KR200437661Y1 -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661Y1
KR200437661Y1 KR2020070002641U KR20070002641U KR200437661Y1 KR 200437661 Y1 KR200437661 Y1 KR 200437661Y1 KR 2020070002641 U KR2020070002641 U KR 2020070002641U KR 20070002641 U KR20070002641 U KR 20070002641U KR 200437661 Y1 KR200437661 Y1 KR 200437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rame
height
chair
sn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2020070002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6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프레임(30)의 상부포스트(31)와 하부프레임(40)의 하부포스트(41)가 끼워져 높이를 조절하며 고정볼트(6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상부포스트(31)와 하부포스트(41)의 연결부에는 상기 하부포스트(41)의 상단부가 끼워져 걸리며 그 내부에 상기 상부포스트(31)의 하단부가 슬라이딩 가능케 끼워지는 커넥터(50)가 결합되되, 상기 커넥터(50)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포스트(31)의 슬라이딩에 따라 변형되는 스냅돌기(52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포스트(31)의 외면에는 상기 스냅돌기(52a)가 걸리는 다수의 스냅홈(3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높낮이를 조절할 때에 도장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부프레임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는 한편 볼트 체결시의 구멍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structure for adjusting height for a frame chair}
도1은 종래 프레임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종래 프레임 의자에서 높이조절 부분을 나타내는 절단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이 적용된 프레임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 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5는 도4의 결합 단면도,
도6의 (a) 내지 (c)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 부분의 작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상부프레임 31 : 상부포스트
31a : 볼트구멍 31b : 스냅홈
40 : 하부프레임 41 : 하부포스트
50 : 커넥터 51 : 외통부
52 : 내통부 52a : 스냅돌기
본 고안은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의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판(1)과 좌판(2)이 결합된 상부 프레임(3)과, 의자의 베이스와 다리를 이루는 하부프레임(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3)의 포스트 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4)의 포스트 상단이 서로 끼워져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 의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프레임(3, 4)에 형성된 구멍(3a, 4a)을 높이에 따라 맞추어 볼트(5)로 고정함에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프레임 의자에서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볼트(5)를 풀게 되면 상부프레임(3)이 갑자기 하강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상부프레임의 외면이 하부프레임(4)의 절단면 모서리에 긁혀 상부프레임의 도장이 손상되며,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볼트(5)를 체결할 시에 구멍(3a, 4a)을 맞추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높낮이를 조절할 때에 도장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부프레임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는 한편 볼트 체결시의 구멍을 용이하게 맞추는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는, 상부프레임의 상부포스트와 하부프레임의 하부포스트가 끼워져 높이를 조절하며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포스트와 하부포스트의 연결부에는 상기 하부포스트의 상단부가 끼워져 걸리며 그 내부에 상기 상부포스트의 하단부가 슬라이딩 가능케 끼워지는 커넥터가 결합되되, 상기 커넥터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포스트의 슬라이딩에 따라 변형되는 스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포스트의 외면에는 상기 스냅돌기가 걸리는 다수의 스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포스트의 하단부에는 프레임 의자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냅홈은 인접하는 볼트구멍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된 프레임 의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판(10)과 좌판(20)이 결합된 상부프레임(30)과, 의자의 베이스와 다리를 이루는 하부프레임(4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30)의 상부포스트(31) 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40)의 하부포스트(41) 상단이 커넥터(50)을 매개로 서로 끼워져 결합되어 고정볼트(60)에 의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30)은 2개의 상부포스트(31)를 상수평대(32)가 연결하고, 상기 2개의 상부포스트(31)의 상측을 상기 등판(10)이 연결하며, 상기 상수평대(32)에 도시하지 않은 지지대가 결합되어 상기 좌판(20)이 설치된 구조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포스트(31)의 하단부에는 프레임 의자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볼트(60)가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볼트구멍(31a)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볼트구멍(31a) 사이에는 후술하는 스냅돌기가 걸리는 스냅홈(3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40)은 ㄴ자로 구부려진 상단부가 상기 커넥터(50)에 끼워져 걸리며 하부가 바닥에 닿는 2개의 하부포스트(41)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하부포스트(41)의 하부를 하수평대(42)가 연결하고, 상기 하부포스트(41)의 구부려진 부부의 외측에는 프레임 의자가 넘어지지 않도로 지지리브(43)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하부포스트(41)의 상단부에는 상기 고정볼트(60)가 관통하는 관통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50)는 외통부(51)와 내통부(5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통부(51)와 내통부(52)는 상단에서 이어져 일체로 되어 있다. 상기 내통부(52)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포스트(31)의 하단부가 슬라이딩 가능케 끼워져 있으며, 상기 내통부(52)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상부포스트(31)의 슬라이딩에 따라 변형되는 스냅돌기(5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냅돌기(52a)는 상기 상부포스트(31)의 스냅홈(31b)에 걸리어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고정볼트(60)를 풀더라도 상기 상부포스트(31)가 급격히 하강하지 않게 한다.
상기 커넥터(5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포스트(41)의 상단부가 끼워져 걸리게 되는데, 상기 하부포스트(41)는 상기 외통부(51)와 내통부(52)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포스트(41)가 걸리어 그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내통부(52)의 하부 외면에는 상기 하부포스트(41)의 내면이 밀착되게 소정길이로 파여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50)의 외통부(51)의 하단 일측은 벌징(bulging)가공되어 부풀어진 벌징부(51a)를 구비한다. 상기 벌징부(51a)에는 상기 고정볼트(60)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구멍(51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에서 프레임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볼트(60)를 풀고 상부프레임(30) 또는 등/좌판(10, 20)을 내리 누려면 커넥터(50)의 스냅돌기(52a)가 뒤로 젖혀지면서 상부포스트(31)가 하측으로 슬라이딩하다가(도6의 (b) 참조), 스냅돌기(52a)가 다음의 스냅홈(31b)에 걸리면 멈추게 되어 다음 높이로 위치가 결정된다. 이어서 도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60)를 조우면 상부포스트(31)와 하부포스트(41)가 고정되어 높이조절이 완료된다. 프레임 의자에서 한꺼번에 2단 또는 3단으로 상부포스트(31)를 슬라이딩시켜 높이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높이조절구조에 의하면, 상부프레임(30)의 상부포스트(31)와 하부프레임(40)의 하부포스트(41)가 접촉하지 않고 매끄러운 커넥터(50)와 상부포스트(31)가 접촉하므로 상부포스트(31)의 도장이 벗겨질 염려가 없으며, 상부프레임(30)의 상부포스트(31)가 슬라이딩할 시에 스냅돌기(52a)의 탄성력에 의해 서서히 이동하므로 급격한 하강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스냅돌기(52a)가 스냅홈(31b)에 걸리어 위치가 결정되므로 고정볼트(60)의 구멍(31a, 41a)에 용이하게 맞추어지므로 고정작업이 용이하다.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에 의하면, 높낮이를 조절할 때에 도장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부프레임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는 한편 볼트 체결시의 구멍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프레임(30)의 상부포스트(31)와 하부프레임(40)의 하부포스트(41)가 끼워져 높이를 조절하며 고정볼트(60)에 의해 고정되는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포스트(31)와 하부포스트(41)의 연결부에는 상기 하부포스트(41)의 상단부가 끼워져 걸리며 그 내부에 상기 상부포스트(31)의 하단부가 슬라이딩 가능케 끼워지는 커넥터(50)가 결합되되,
    상기 커넥터(50)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포스트(31)의 슬라이딩에 따라 변형되는 스냅돌기(52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포스트(31)의 외면에는 상기 스냅돌기(52a)가 걸리는 다수의 스냅홈(31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포스트(31)의 하단부에는 프레임 의자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볼트(60)가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볼트구멍(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냅홈(31b)은 인접하는 볼트구멍(31a)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
KR2020070002641U 2007-02-14 2007-02-14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 KR200437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641U KR200437661Y1 (ko) 2007-02-14 2007-02-14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641U KR200437661Y1 (ko) 2007-02-14 2007-02-14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661Y1 true KR200437661Y1 (ko) 2007-12-14

Family

ID=4162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641U KR200437661Y1 (ko) 2007-02-14 2007-02-14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6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695A (ko) * 2013-12-20 2015-06-30 구자곤 마사지배드에 장착하는 포터블 필라테스 기구
KR102498993B1 (ko) * 2022-08-19 2023-02-13 박찬희 머리받침대 겸용 침대 테이블
KR20230078424A (ko) * 2021-11-26 2023-06-02 정영호 시스템 선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695A (ko) * 2013-12-20 2015-06-30 구자곤 마사지배드에 장착하는 포터블 필라테스 기구
KR101595558B1 (ko) * 2013-12-20 2016-02-18 구자곤 마사지베드에 장착하는 포터블 필라테스 기구
KR20230078424A (ko) * 2021-11-26 2023-06-02 정영호 시스템 선반
KR102649778B1 (ko) * 2021-11-26 2024-03-19 정영호 시스템 선반
KR102498993B1 (ko) * 2022-08-19 2023-02-13 박찬희 머리받침대 겸용 침대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661Y1 (ko) 프레임 의자의 높이조절구조
US10266273B2 (en) Aircraft engine pylon
KR101556410B1 (ko) 관람석 의자용 브라켓 덮개
KR101775656B1 (ko)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JP4169683B2 (ja) 共有空間構造体におけるパネル体取付構造
KR20140019182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JP4617242B2 (ja) 手摺
KR20080060209A (ko) 외장용 루버 패널
JP7441712B2 (ja) 足場における楔緊結装置
KR100769114B1 (ko) 가구용 선반 설치장치
KR20140005485U (ko) 천정판 고정구조
KR200410319Y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고정장치
KR100686618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070019015A (ko) 자동문 안내레일 및 이를 위한 지지부재와 고정장치
KR101565880B1 (ko)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
JP6857037B2 (ja) 構造体
JP5354585B2 (ja) 門柱等のキャップの取付構造
JP5406078B2 (ja) 簡易屋根の中骨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簡易屋根
KR200440789Y1 (ko) 책상 또는 의자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20130004300U (ko) 전자기기의 케이싱 체결 구조
KR20110126981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50004501U (ko) 태양전지 모듈 고정용 클램프
KR100777620B1 (ko) 건축물의 천정판 시공장치
US20240107977A1 (en) Mounting base for cat furniture device and cat furnitu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