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299Y1 -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 - Google Patents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299Y1
KR200437299Y1 KR2020060029881U KR20060029881U KR200437299Y1 KR 200437299 Y1 KR200437299 Y1 KR 200437299Y1 KR 2020060029881 U KR2020060029881 U KR 2020060029881U KR 20060029881 U KR20060029881 U KR 20060029881U KR 200437299 Y1 KR200437299 Y1 KR 200437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ool
drainage
stepped portion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룡
Original Assignee
이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룡 filed Critical 이승룡
Priority to KR2020060029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H4/141Coping elements for swimming p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상부는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부 전/후방에는 단턱부가 형성된 전면블록과 평탄한 상부의 전방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후면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수영장 수조 주변에 상기 전/후면블록 다수를 일정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서로 대향되게 연속되게 배열한 다음 수영장 턱 부위에 타일을 시공하고, 상기 단턱부에 지지대를 설치한 후 상기 지지대에 트랜치 커버를 거치.안착시켜 배수로를 정확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수영장 시공의 용이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켜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후면블록, 경사면, 단턱부, 요철

Description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The block for the swimming place waterway}
도 1은 종래의 수영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종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블록이 설치된 상태의 수영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종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전면/후면블록 10 : 경사면
20, 22, 22' : 단턱부 30, 30' : 요철
110 : 손잡이타일 120 : 지지대
130 : 트랜치커버 140 : 골타일
본 고안은 수영장의 턱 부위와 배수로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블록의 상부는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상부의 전방과 후방에는 단턱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여 수영장의 턱 부위와 배수로의 정밀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영장은 야외 또는 실내의 지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이 공간에 일정량의 물을 담수시켜 운동이나 물놀이 등을 즐길 수 있도록 시공되는 것이다.
종래에 시공된 수영장은 도 1에서와 같이 수영장의 주변에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로를 형성하고, 수영장과 배수로 사이에 모르타르를 타설한 다음 그 상부에 골타일(140)이나 손잡이타일(110) 등을 접착.시공하고, 상기 배수로(200)의 상부는 지지대(120)에 의해 안착.결합된 트랜치커버(130)를 설치하여 수영장에서 범람한 물이 그 주변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배수시킴은 물론 수영장 주변을 청소한 물이 수영장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청결한 수영장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영장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영장과 배수로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타설해야되나, 수영장의 특성상 방수층을 형성해야 하므로 거푸집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상기 공간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거나 또는 모래와 시멘트를 섞은 사모래를 채우며 물을 공급하여 양생하게 되는데, 두껍게 타설된 모르타르의 양생시 장시간이 소요되어 공기를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양생된 모르타르의 강도가 미약하여 유지보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상부는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부 전/후방에는 단턱부가 형성된 전면블록과 평탄한 상부의 전방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후면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수영장 수조 주변에 상기 전/후면블록 다수를 일정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서로 대향되게 연속되게 배열한 다음 수영장 턱 부위에 타일을 시공하고, 상기 단턱부에 지지대를 설치한 후 상기 지지대에 트랜치 커버를 거치.안착시켜 배수로를 정확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수영장 시공의 용이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켜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영장의 배수로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형틀에 의해 성형되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수영장의 수조 주변에 설치되는 전면블록은 직육면체 형태로 성형되되, 그 상부는 타일의 압착시공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부 전/후방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지면에 타설되는 모르타르와의 결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의 요철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블록과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대응되게 시공되는 후면블록의 평탄한 상부 전방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요철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블록이 설치된 상태의 수영장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종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후면블록(1)(1')은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틀에 채워 고압으로 가공.양생시켜 직육면체 형태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면블록(1) 상부에는 경사면(10)과 단턱부(20)(2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요철(30)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블록(1')은 상부가 평탄한 상태로 전방에 단턱부(2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요철(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블록(1)의 경사면(10)은 타일의 압착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상부를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하면 되는데, 이때 상기 경사면(10)의 경사각은 약 8 ~ 10°가 되도록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하고, 설치시 하부로 경사진 부분이 수영장의 내측을 향하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면블록(1')의 상부는 평탄하게 형성하면 된다.
상기 단턱부(20)(22)(22')는 전/후면블록(1)(1')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면블록(1)의 상부 전방에 형성된 단턱부(20)에는 손잡이타일(110)이 안착 및 부착되게 되며, 상기 전면블록(1)의 상부 후방과 상기 후면블록(1')의 상부 전방에 형성된 각각의 단턱부(22)(22')에는 트랜치커버(130)가 삽입.결합되는 지지대(120)가 모르타르에 의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단턱지게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요철(30)(30')은 수영장의 주변 지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착력을 향상시켜 상기 전/후면블록(1)(1')이 견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후면블록(1)(1') 각각의 하부에 다수가 형성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의 설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영장의 주변 지면에 모르타르(M)를 소정 두께로 타설한 다음 상기 전면블록(1)의 하부에 형성된 요철(30)이 모르타르(M)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하여 연속.배열시켜 배수로(200)의 일면을 형성하도록 한 후에 상기 전면블록(1)의 경사면(10)에는 압착시멘트로 골타일(140)을 견고하게 부착하고, 상기 전면블록(1)의 전방에 형성된 단턱부(20)에는 손잡이타일(110)을 견고하게 접착시키며, 후방에 형성된 단턱부(22)에는 모르타르(M)에 의해 지지대(120)를 견고하게 안착.설치하고, 상기 전면블록(1)의 후면에는 내부 타일(150)을 접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면블록(1)을 시공.설치하여 배수로(200)의 일면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전면블록(1)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된 상태의 위치에 후면블록(1')을 대향되게 연속배열시켜 설치하여 배수로(200)의 타면을 형성한 후 상부 전방에 형성된 단턱부(22')에 별도의 지지대(120)를 모르타르(M)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하여 상기 전/후면블록(1)(1')의 단턱부(22)(22') 상에 대칭되게 설치.고정된 지지대(120)에 트랜치커버(130)를 안착.결합시키고 배수로(200)의 바닥에는 바닥타일(160)을 견고하게 부착시키면 수영장의 배수로(200)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수영장 주변에 상기 블록 다수를 연속되게 배열하여 서로 마주보는 단턱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한 다음 그 상부에 지지대를 대칭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에 트랜치 커버를 거치.안착시켜 배수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시공의 용이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켜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수영장의 배수로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형틀에 의해 성형되는 블록에 있어서,
    상기 수영장의 수조 주변에 설치되는 전면블록(1)은 직육면체 형태로 성형되되, 그 상부는 타일의 압착시공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경사면(10)이 형성되고, 상부 전/후방에는 단턱부(20)(2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지면에 타설되는 모르타르와의 결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의 요철(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블록(1)과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대응되게 시공되는 후면블록(1')의 평탄한 상부 전방에는 단턱부(2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요철(3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0)의 경사각은 약 8 ~ 10°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
KR2020060029881U 2006-11-17 2006-11-17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 KR200437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881U KR200437299Y1 (ko) 2006-11-17 2006-11-17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881U KR200437299Y1 (ko) 2006-11-17 2006-11-17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99Y1 true KR200437299Y1 (ko) 2007-11-21

Family

ID=4163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881U KR200437299Y1 (ko) 2006-11-17 2006-11-17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2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479B1 (ko) * 2021-10-19 2022-05-18 주식회사 뉴트랜드 수영장의 배수 트렌치 시공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479B1 (ko) * 2021-10-19 2022-05-18 주식회사 뉴트랜드 수영장의 배수 트렌치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490B2 (en) Wall construction block combination for a wall construction system
CN204875442U (zh) 人行道地砖及人行道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200437299Y1 (ko) 수영장 배수로용 블록
US4978250A (en) Discharge fitting for a tiled floor
CN201459985U (zh) 平顶房的防水结构
CN209523312U (zh) 一种施工缝的防水结构
CN210827824U (zh) 一种预制墙体的连接结构
KR200306432Y1 (ko) 콘크리트 배수로
KR200436652Y1 (ko) 팽이말뚝기초용 매트
HRP20060338A2 (en) Device for achieving an upper anchoring of a staircase
CN101082244A (zh) 建筑用空心砌块
KR20120118705A (ko) 지하수 배수장치
US20070157538A1 (en) Modular curb assembly of pre-cast pre-finished components
KR101201917B1 (ko) 패널, 이 패널을 이용한 펜스, 이 펜스 시공방법, 이 펜스를 이용한 혼합토 성토구조물 시공방법
JP2004169375A (ja) 排水溝構造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JP2008038336A (ja) 土間コンクリート構造
JP3903286B2 (ja) 打込部分付き再使用形セパレーター。
KR200405459Y1 (ko) 면귀 이동식 철재 거푸집
KR100559149B1 (ko) 계단구축용 디딤블록
KR100859294B1 (ko) 블럭형 옹벽을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KR100403566B1 (ko) 부정형(不定形) 자연석이 수직 전면에 설치되는 보강토 옹벽
JP7201453B2 (ja) 建物の基礎構造
CN201258544Y (zh) 一种框架梁下的组合砌筑防渗外墙墙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