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988Y1 - 사무용 칼 - Google Patents

사무용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988Y1
KR200436988Y1 KR2020060029914U KR20060029914U KR200436988Y1 KR 200436988 Y1 KR200436988 Y1 KR 200436988Y1 KR 2020060029914 U KR2020060029914 U KR 2020060029914U KR 20060029914 U KR20060029914 U KR 20060029914U KR 200436988 Y1 KR200436988 Y1 KR 200436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sheath
office
coupled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진규
Original Assignee
(주)퓨전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전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퓨전에프앤씨
Priority to KR2020060029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9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2Guards or sheaths for knives
    • B26B29/025Knife sheaths or scabb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2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segmented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3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comprising retraction means for the blade or the blade hold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며 일정 길이씩 잘라 사용할 수 있는 밴드형 칼 다수가 내장되며, 내장된 칼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자동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사무용 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사무용 칼은, 폭 방향 중앙부 전 길이에 걸쳐 요입홈(G)을 가진 몸체(41A)와, "
Figure 112006084361417-utm00001
"형 단면의 잔여부(41B1)와 "ㅁ"자형 단면의 좌측단부(41B2)로 이루어지면 요입홈(G)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41B)로 구성된 칼집(41)과; 다수의 칼(K)이 안착되는 내부공간(R)을 가진 카트리지(42)와; 카트리지(42)의 내부공간(R) 바닥면에 놓여지는 칼장착판(43)과; 칼집(41)의 요입홈(G) 바닥면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상향 볼록한 중앙부가 칼장착판(43)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다수의 와이어스프링(44)과; 가이드(41B)의 잔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4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칼.
본 고안의 사무용 칼은,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캡부의 자연적인 분리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칼, 슬라이더, 커터칼, 사무용 칼, 문구용 칼

Description

사무용 칼{Knife for office work}
도 1은 종래 사무용 칼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다른 사무용 칼의 정면도.
도 3은 종래 밴드형 칼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 사무용 칼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일실시예 사무용 칼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일실시예 사무용 칼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는 칼과 슬라이더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
(나)는 칼과 슬라이더의 분리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카트리지를 보인 것으로,
(가)는 평면도이도,
(나)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더를 보인 것으로,
(가)는 평면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며,
(다)는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칼집 41A. 몸체 41B. 가이드
41B1. 잔여부 41B2.좌측단부 42.카트리지
42A. 칼안착부 42B. 캡부 42B1. 압입돌기
42B2. 걸림편 42B3. 탄성체 43. 칼장착판
43A. 삽입편 43B. 결합편 44. 와이어스프링
45. 슬라이더 45A. 피동체 45B. 결합체
45C. 걸림체
B. 바닥판 E. 걸림돌기 E'. 고정돌기
E". 걸림체구동돌기 G. 요입홈 H. 스프링관통공
H'. 결합공 H". 통공 K. 칼
R. 내부공간 S. 요철 U. 부분상판
본 고안은,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며, 칼날이 무뎌지거나 손상되었을 경우 일정 길이씩 잘라낸 후 사용할 수 있는 밴드형 칼 다수가 내장된 카트리지를, 칼집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결합시키고, 사용 중인 칼을 교체하고자 할 때는 카트리지에 내장된 칼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자동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사무용 칼에 관한 것이다.
사무 또는 문구 용품으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는 연필이나 펜 등과 같은 필기구와 종이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외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는 칼을 들 수 있는 바, 사무용 또는 문구용(이하 "사무용"이라 한다.)으로 사용되어 온 종래의 칼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잉크가 충진된 펜이나, 가는 연필심을 넣어 사용하는 샤프 펜슬이 널리 사용되기 전 사무 또는 학습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필기구는 연필로서, 특히, 글씨를 배우고 있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필기 시 손에 힘이 들어가는 초등학교 학생의 경우에는 여전히 연필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연필깍기가 개발되기 전까지 연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칼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연필깍기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사무용 칼은 주로 종이 등을 절단하는 "절단용"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바, 초기의 사무용 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11)의 일측에 칼날(11E)이 형성되고, 이 칼날(11E)의 반대측 변에 손잡이(12)가 결합된 구조인 바, 일측의 칼날(11E)이 항상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부주의 한 경우 손 등을 베일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11)의 일측단부에 칼(11)이 삽입되는 틈새(N)를 가진 칼집(21)이, 칼날(11E) 반대측에 결합된 손잡이(12)의 일측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의 사무용 칼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사무용 칼이 연필을 깍는 용도가 아닌, 주로 자르는 용도로 사용됨 에 따라 칼날(11E)이 전체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칼날(11E)의 끝부분만이 주로 사용되는 바, 칼날(11E)의 끝부분이 무디어지는 경우에는 칼날(11E)의 끝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도 그 사무용 칼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칼날의 끝부분이 무뎌진 경우 그 부분만을 절단 분리한 후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사무용 칼이 개발되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일정한 밴드형 칼(31)의 일측단부에서부터 타측단부까지 일정 길이씩 절단선(C)을 형성시킴으로써, 칼날(31E)의 끝부분이 무뎌지는 경우, 일측단부에서부터 절단선(C)을 따라 순차적으로 칼(31)의 선단부를 절단 분리하여 칼날(31E)의 끝부분을 항상 예리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밴드형 칼(31)은, 돌기를 가진 슬라이더에 그 후단부의 결합공(H')이 분리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고, 슬라이더는 칼집에 결합된 후 칼집에 구비된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 왕복 이동하게 되는 바, 사용 시에는 슬라이더를 전진시켜 밴드형 칼(31)을 칼집 외부로 필요한 길이만큼 노출시키고, 시용치 않을 경우에는 슬라이더를 후진시켜 밴드형 칼(31)을 칼집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넣을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밴드형 칼(31)이 결합된 사무용 칼은 "커터칼"이라고도 불리우는 것으로서, 그 이전의 칼에 비하여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근래에 사용되고 있는 사무용 칼은 대부분이 상기 커터칼이며, 그 크기도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는 바, 사무용은 물론 건축 공사 시 특히, 합판 등이 많이 쓰이는 인테리어 공사 등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커터칼은, 칼집에 한 장의 밴드형 칼(31)만이 결합되고, 칼의 대부분을 모두 절단 사용한 후 교체하게 되는 바, 인테리어 등의 공사와 같이 비교적 두께가 얇은 목재를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 시에는 계속 무뎌지는 밴드형 칼(31)을 절단하면서 연속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밴드형 칼(31) 역시 연속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커터칼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공고 실1986-1500호에 "예비 칼날을 내장할 수 있게 된 문구용 칼"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문구용 칼은, 적층된 다수의 밴드형 예비칼(상기 인용 고안의 명세서에는 "칼날"로 기재됨.)이 판상의 대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대판이 칼집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작동슬라이더로서 최상층(또는, 최외층)의 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칼을 교체 시에는, 작동슬라이더를 최전방으로 이동시켜 사용 중인 칼을 뽑아낸 후 작동슬라이더를 최후방으로 후진시키면 제거된 칼의 내측에 있던 예비칼이 작동슬라이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문구용 칼의 경우, 칼을 교체하기 위하여 매번 칼집을 분해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어, 대판에 5장의 예비칼이 적층 결합되어 있다고 하면, 5회의 칼 교체를 위하여 종래의 커터칼은 칼집 역시 5회를 분해 조립하여야 하나, 상기 문구용 칼의 경우에는 한번의 칼집 분해가 필요할 뿐이다.
그러나, 상기 문구용 칼 역시 칼집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는 캡 역할을 하는 클립이 별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중 칼집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예비 칼들이 작동슬라이더에 밀착되도록 예비 칼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판상의 스프링인 절곡탄편이 사용됨으로써,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예비 칼들이 판상의 대판에 단순 적층된 상태이기 때문에, 예비 칼들이 적층 결합된 대판을 칼집 내부에 삽입 조립 시, 예비 칼 들이 대판의 삼각절곡편에 관통 결합된 각 예비칼의 삽입공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비 칼을 잡을 시에는 칼날에 손을 베일 수도 있는 등, 예비 칼들과 대판의 결합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다.
그 외에, 칼이 칼집 외부로 나와 있는 경우 칼에 힘이 가해지면 칼이 칼집 내부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칼을 사용 시에는 슬라이더가 후퇴하지 않도록 슬라이더에 힘을 가한 상태에서 칼을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사용 중인 칼이 틈새에 끼는 경우 칼집을 당기게 되면 칼이 더욱 빠지면서 손을 다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교체 가능한 밴드형 칼 다수를 내장시켜 슬라이더만을 움직여 손쉽게 칼을 교채할 수 있도록 한 종래의 사무용 칼(또는 문구용 칼)이 가지고 있는 제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장시킬 예비 칼 다수를 안정적으로 적층 내장시킬 수 있으며, 판상 스프링의 크기를 대폭적으로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칼집의 후방단부에 결합되는 캡이 외부 물 체에 걸리는 경우에도 쉽게 빠지지 않는 사무용 칼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용 중인 칼이 고정되도록 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밴드형 칼 다수를 적층식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상향 개방형의 내부공간을 가진 카트리지와, 다수의 와이어스프링 및 슬라이더에 구비된 걸림편구동돌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사무용 칼은,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공간에 다수의 칼을 적층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카트리지의 우측단부에는 칼집의 우측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카트리지에 내장된 칼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로서 와이어스프링을 사용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칼을 칼집에서 나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에 힘을 가하여야만 하며, 칼을 사용시 슬라이더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사용 중인 칼이 외부 물체에 눌리는 경우에도 칼이 칼집 내부로 되돌아 들어가거나, 틈새 등에 칼이 낀 상태에서 칼집을 당겨도 칼이 더이상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함에 또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방향"에 대한 기재는, 칼집 내부의 칼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나오도록 본 고안의 사무용 칼이 수평 방향으로 바닥에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본 고안의 사무용 칼은, 칼집과; 다수의 칼이 적층 상태로 안착되며, 칼집의 내부에 슬라이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의 내부공간 바닥면에 적층되는 칼장착편과; 칼집의 내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와이어스프링과; 상기 칼집의 상면에서 좌·우 슬라이딩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등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칼집은, 다수의 밴드형 칼이 적층 안착된 카트리지를 감싸며, 그 외면이 손에 쥐어지게 되는 케이스의 역할을 하는 바,
손으로 쥐기 쉽도록 외면에 그립부가 구비되며, 폭 방향 중앙부의 전길이에 걸쳐 상향 개방형 요입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요입홈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ㅁ"자형 단면 형상을 하는 좌측단부와, 좌측단부에서 우측으로 연장형성되며 그 전길이에 걸쳐 폭방향 중앙부가 상향 개방되어 "
Figure 112006084361417-utm00002
"형의 폭방향 단면 형상을 갖는 잔여부로 이루어진 가이드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의 좌측단부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직립한 한 쌍의 측판 및 두 측판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며, 잔여부 역시 좌측단부와 같이 바닥판과 한 쌍의 측판 및 상판으로 이루어지나, 잔여부의 상판은 서로 이격된 부분상판으로 분리 구성되며, 두 부분상판의 내측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구조이다.
이때, 좌측단부와 잔여부의 각 바닥판과 측판은, 서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의 잔여부를 이루며 서로 대향하는 일측 부분상판의 내 측단면과 타측 부분상판의 내측단면 중 어느 일측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저면이 몸체의 요입홈 바닥면에 밀착되는 가이드의 바닥판에는 다수의 스프링관통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카트리지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밴드형 칼 다수를 내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향 개방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바닥판에, 상기 가이드의 스프링관통공과 위치가 일치하는 또다른 스프링관통공이 형성된 칼안착부와;
칼안착부의 우측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칼집의 우측단부에 밀착 결합되는 캡부로 이루어진 본체로 이루어진다.
칼장착판은, 칼안착부의 내부공간에 적층되는 다수의 칼에 상향 탄성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칼안착부의 내부공간 바닥면에 적층된 후 바닥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우측단부의 일측 모서리부가 칼안착부 내부공간의 우측단부 일측 모서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와이어스프링은, 카트리지에 내장된 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바, 그 양 단부가 칼집의 몸체에 형성된 요입홈 바닥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향 볼록한 중앙부가, 상기 가이드의 바닥판과 카트리지 칼안착부의 바닥판 각각에 형성된 스프링관통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칼장착판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칼장착판 및 그 상면에 결합된 칼들을 탄력적으로 상향 지지하게 된다.
슬라이더는, 카트리지에 안착된 다수의 칼 중 최외층에 위치한 칼을, 칼집 내부에서 내·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측단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된 가이드 잔여부의 두 부분상판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가이드 잔여부를 구성하는 두 부분상판의 각 내측단면 인접한 상면에 폭 방향 양 측 저면이 각각 접촉하게 되는 피동체와;
폭 방향 중앙부가 상기 피동체의 저면 폭 방향 중앙부에 결합되며, 밴드형 칼의 우측단부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에 분리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저면에 하향 돌출되고, 폭 방향 양 측 상면이 상기 두 부분상판의 각 내측단면 인접한 저면에 각각 접촉하는 결합체와;
상기 피동체와 결합체 사이에 결합되며, 가이드 잔여부를 이루는 일측 부분상판 내측단면의 요철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되는 걸림체 등으로 구성된다.
즉, 폭 방향 중앙부가 결합된 피동체와 결합체의 폭 방향 양 측 사이에 가이드 잔여부의 두 부분상판이 각각 삽입된 구조로서, 피동체와 결합체는, 서로 이격된 두 부분상판의 내측단부에 폭 방향 양 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두 부분상판 사이의 이격 틈새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사무용 칼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닥판 상면에 칼장착판이 적층 결합된 카트리지 칼안착부의 상향 개방형 내부공간에 밴드형 칼 다수를 적층 안착시킨 후, 카트리지를 칼집 가이드의 우측단부를 통하여 가이드 내부로 삽입하는 방법으로 카트리지 우측단부의 캡부를 칼집의 우측단부에 밀착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카트리지를 칼집에 삽입 결합시키게 되면, 칼집의 몸체 요입홈 바닥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앙부가 상향 볼록한 각 와이어스프링이, 칼집의 가이드 바닥판과 카트리지 본체 칼안착부의 바닥판에 각각 관통 형성된 스프링관통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되고, 칼안착부의 스프링관통공을 관통한 와이어스프링의 볼록한 중앙부가 칼장착판의 저면을 탄성적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즉, 와이어스프링이 칼장착판을 탄력적으로 상향 이동시키려고 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칼장착판의 상면에 적층 안착된 다수의 칼이, 적층된 상태 그대로, 슬라이더의 결합체 저면에 접촉하게 되는 바, 슬라이더를 칼집의 우측단부 측으로 완전히 이동시키면, 슬라이더 결합체 저면의 걸림돌기가 최상층 칼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면서 카트리지에 안착된 칼 중 최상층 칼이 슬라이더와 함께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를 칼집의 좌측단부로 완전히 이동시켜 슬라이더 결합체의 좌측단부가, "ㅁ"자형 단면을 가진 칼집 가이드 좌측단부의 상판 위로 적층되도록 하면, 슬라이더 결합체의 좌측단부가 가이드 좌측단부의 상판에 의해 들려지는 상태가 되고, 그 결과, 결합체 저면의 걸림돌기가 칼의 결합공에서 빠지게 되면서 칼을 칼집의 좌측단부를 통하여 칼집 외부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칼이 분리된 슬라이더를 우측단부 측으로 완전히 이동시키게 되면, 카트리지에 내장되어 있던 다른 최상층 칼의 결합공에 슬라이더 결합체 저면의 걸림돌기가 다시 관통 결합되면서 새로운 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에 본 고안 일실시예 사무용 칼의 사시도를, 도 5에 본 고안 일실시예 사무용 칼의 분리 사시도를, 도 6에 본 고안 일실시예 사무용 칼의 작동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를, 도 7에 본 고안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카트리지의 평면도와 저면도를, 도 8에 본 고안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평면도와 측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무용 칼은,
폭 방향 중앙부에 상향 개방형 요입홈(G)이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된 몸체(41A)와, 바닥판(B)에 다수의 스프링관통공(H)이 구비된 "
Figure 112006084361417-utm00003
"형 단면의 잔여부(41B1)가 "ㅁ"자형 단면의 좌측단부(41B2)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몸체(41A)의 요입홈(G)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41B)로 구성된 칼집(41)과;
다수의 칼(K)이 적층 안착되는 상향 개방형 내부공간(R)을 가지며 바닥판에 가이드(41B)의 각 스프링관통공(H)과 일치하는 다수의 스프링관통공(H)이 형성된 칼안착부(42A)와, 칼안착부(42A)의 우측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칼집(41)의 우측단부에 밀착 결합되는 캡부(42B)로 이루어진 카트리지(42)와;
상기 카트리지(42)의 칼안착부(42A)에 구비된 내부공간(R) 바닥면에 놓여지며, 칼안착부(42A)의 내부공간(R) 바닥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우측단부의 일측 모서리부가 칼안착부(42A)의 내부공 간(R) 우측단부 일측 모서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칼장착판(43)과;
상기 칼집(41)의 몸체(41A)에 구비된 요입홈(G) 바닥면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상향 볼록한 중앙부가 상기 칼집(41)의 가이드 바닥판(B)과 카트리지(42)의 칼안착부(42A)에 각각 형성된 각 스프링관통공(H)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칼장착판(43)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다수의 와이어스프링(44)과;
상기 가이드 잔여부(41B1)를 이루는 두 부분상판(U)의 각 내측단면 인접한 상면에 폭 방향 양 측 저면이 각각 접촉하는 피동체(45A)와, 폭 방향 상면 중앙부가 피동체(45A)의 저면 폭 방향 중앙부에 좌·우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칼(K) 우측단부의 결합공(H')에 분리 가능토록 관통 결합되는 걸림돌기(E)가 저면에 하향 돌출되고 폭 방향 양 측 상면이 상기 두 부분상판(U)의 각 내측단면 인접한 저면에 각각 접촉하는 판상의 결합체(45B)와, 상기 피동체(45A)와 결합체(45B) 사이에 결합되며 가이드(41B)의 잔여부(41B1)를 이루는 일측 부분상판(U)의 내측단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걸림체(45C)로 구성된 슬라이더(45)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칼집(41)의 가이드 잔여부(41B1)를 이루는 두 부분상판(U) 중 어느 하나의 내측단면에는 다수의 요철(S)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45)의 걸림체(45C)는 요철(S)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되는 바, 슬라이더(45)에 힘을 가하여 밀거나 당겨야만 슬라이더(45)를 움직일 수 있으며, 슬라이더(45)가 움직이는 경우에는 요철(S)과 걸림체(45C)가 탄성적으로 충돌하면서 클릭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45)의 피동체(45A) 저면 일측에는 하향 볼록한 만곡면을 갖는 걸림체구동돌기(E")가 구비되는 바, 걸림체(45C)의 하단면은 걸림체구동돌 기(E")의 만곡면에 밀착된 구조로서, 걸림체(45C)에 대하여 피동체(45A)가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걸림체(45C)는 만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슬라이더(45)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걸림체구동돌기(E")의 만곡면 하단부에 위치한 걸림체(45C)는, 가이드 잔여부(41B1)의 요철(S) 중 골에 위치하게 되는 바, 슬라이더(45)는 칼(K)과 함께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45)에 힘을 가하여 결합체(45B)에 대하여 피동체(45A)를 좌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하는 걸림체구동돌기(E")의 만곡면에 의해 걸림체(45C)가 상향 이동하면서 골에서 빠져나오게 되는 바, 슬라이더(45)는 칼(K)과 함께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칼장착판(43)은, 그 우측단부 인접한 곳에 대략 "ㄷ"자의 형상을 하는 통공(H")이 관통 형성되는 바, 통공(H")의 내측에는 삽입편(43A)이 형성되며, 이 삽입편(43A)의 우측단부는 상향 절곡된 구조로서, 삽입편(43A)의 상향 절곡된 우측단부는 칼장착판(43)의 상면에 적층된 칼들의 결합공(H')에 관통 결합된다.
따라서, 최상층의 칼이 슬라이더(45)와 함께 움직일 때 그 직하층의 칼 상면은, 와이어스프링(44)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최상층의 칼 저면과 접촉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더(45)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최상층 칼과 함께 움직이지 않고 카트리지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때, 최상층 칼의 결합공(H')에 상기 삽입편(43A)의 상향 절곡된 우측단부가 관통하지 않는 것은, 최상층 칼의 결합공(H')에는 슬라이더(45)의 결합체(45B) 저면에 하향 돌출된 걸림돌기(E)가 관통 결합되기 때문이다.
즉, 삽입편(43A)의 상향 절곡된 우측단부는, 최상층 칼의 결합공(H')을 관통한 상기 걸림돌기(E)의 저면에 접촉하면서 더 이상 상향 이동하지 못함으로써, 최상층 칼은 움직일 수 있게 되면서 그 이하의 칼들은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칼장착판(43)의 우측단부 일측 모서리부에는 결합편(43B)이 돌출 형성되고, 이 결합편(43B)은 칼안착부(42A)의 내부공간(R) 우측단부 일측 모서리부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바, 칼장착판(43)은 칼안착부(42A)의 내부공간(R)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카트리지(42)의 칼안착부(42A)는 칼집(41) 내부로 완전 삽입되고, 캡부(42B)는 칼집(41)의 우측단부 외면에 밀착되는 바, 카트리지(42)가 칼집(41)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칼집(41)의 우측단부 외측벽에는 고정돌기(E')돌출되며, 캡부(42B)에는 캡부(42B)를 관통하여 그 전면으로 돌출되는 압입돌기(42B1)가 구비되고, 캡부(42B)의 배면에는 상기 압입돌기(42B1)의 압입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걸림편(42B2)이 결합된 구조이다. 이때, 걸림편(42B2)은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42B3)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구조이다.
즉, 카트리지(42)를, 칼집의 우측단부에서 좌측단부 측으로, 칼집(41)에 삽입 결합 시에는, 칼집(41)의 우측단부 외측벽에 구비된 고정돌기(E')에 의해 카트리지 캡부(42B) 배면의 걸림편(42B2)이 상향 이동한 후 걸림편(42B2)이 고정돌기(E')를 통과하면서 탄성체(42B3)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편(42B2) 다시 하강하여 그 하단부가 고정돌기(E')에 걸리게 되면서 카트리지(42)를 칼집(41)에서 분리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카트리지(42)를 칼집(41)에서 빼고자 하는 경우, 캡부(42B)의 압입돌기(42B1)를 누르면, 탄성체(42B3)에 의해 탄력 지지되었던 걸림편(42B2)이 상향 이동하면서 고정돌기(E')에 걸려 있던 상태가 해제되면서 카트리지(42)를 칼집(41)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정면도 상에서, 캡부(42B) 배면에 결합된 상기 걸림편(42B2)의 하단면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걸림편(42B2) 하단면의 좌측단부는 고정돌기(E')의 상단면보다 높은 위치이나, 걸림편(42B2) 하단면의 우측단부는 고정돌기(E')의 상단면보다 낮은 위치이다.
즉, 카트리지(42)를 칼집(41)의 우측단부에서 좌측단부 측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고정돌기(E')의 상단면에 경사진 하단면이 닿게 되는 걸림편(42B2)은 탄성적으로 상향 이동 가능하게 되나, 고정돌기(E')에 걸림편(42B2)의 하단부가 걸리 상태에서는 압입돌기(42B1)를 눌러 탄성체(42B3)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는 걸림편(42B2)을 인위적으로 상향 이동시켜야만 카트리지(42)를 칼집(41)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무용 칼은, 다수의 예비 칼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와이어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의 압입돌기를 누르지 않으면 카트리지가 칼집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바, 캡부가 분리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더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슬라이더의 위치가 고정되는 바, 칼을 사용시 슬라이더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칼이 더욱 빠지게 되거나 칼집 내부로 후퇴하지 않기 때문에 칼을 사용 중 칼이 칼집 내부로 갑자기 들어가거나 필요 이상 칼이 빠져 나오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내장된 다수의 칼을 자유롭게 교체 사용할 수 있는 사무용 칼에 있어서,
    폭 방향 중앙부 전 길이에 걸쳐 요입홈(G)이 형성된 몸체(41A)와, 바닥판(B)에 다수의 스프링관통공(H)이 구비되고 상판이 두 부분상판(U)으로 분리된 "
    Figure 112006084361417-utm00004
    "형 단면의 잔여부(41B1)가 "ㅁ"자형 단면의 좌측단부(41B2)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G)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41B)로 구성된 칼집(41)과;
    다수의 칼(K)이 안착되는 상향 개방형 내부공간(R)을 가지며 스프링관통공(H) 다수가 형성된 칼안착부(42A)의 우측단부에, 칼집(41)의 우측단부에 밀착 결합되는 캡부(42B)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 카트리지(42)와;
    상기 칼안착부(42A)의 내부공간(R) 바닥면에 놓여지며, 일측 모서리부가 내부공간(R) 우측단부 일측 모서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칼장착판(43)과;
    상기 칼집(41)의 요입홈(G) 바닥면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상향 볼록한 중앙부가 가이드(41B)와 칼안착부(42A)의 각 스프링관통공(H)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칼장착판(43)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다수의 와이어스프링(44)과;
    상기 두 부분상판(U)의 각 내측단부에 폭 방향 양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칼(K)의 결합공(H')에 분리 가능토록 관통 결합되는 걸림돌기(E)가 저면에 하향 돌출된 슬라이더(4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집(41)의 우측단부 외측벽에는, 고정돌기(E')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카트리지(42)의 캡부(42B)에는, 캡부(42B)를 관통하여 그 전면으로 돌출되는 압입돌기(42B1)가 구비되고, 캡부(42B)의 배면에는 하단부가 상기 고정돌기(E')에 걸리며 압입돌기(42B1)의 압입에 의해 상향 이동하되 탄성체(42B3)의 탄성력에 의해 압입돌기(42B1)의 압입력 제거시 원위치로 하향 이동하는 걸림편(42B2)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집 가이드 잔여부(41B1)를 이루는 두 부분상판(U) 중 어느 하나의 내측단면에는, 다수의 요철(S)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장착판(43)의 우측단부 인접한 곳에는,
    "ㄷ"자 형상의 통공(H")이 관통 구비되어 통공(H") 내측에 삽입편(43A)이 형성되며, 상향 절곡된 삽입편(43A)의 우측단부는 칼장착판(43)의 상면에 적층된 칼(K)들의 결합공(H')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5)는,
    가이드 잔여부(41B1)를 이루는 두 부분상판(U)의 각 내측단면 인접 상면에 폭 방향 양 측 저면이 각각 접촉하는 피동체(45A)와;
    폭 방향 상면 중앙부가 피동체(45A)의 저면 폭 방향 중앙부에 좌·우 유동 가능토록 결합되며, 칼(K)의 결합공(H')에 분리 가능토록 관통 결합되는 걸림돌기(E)가 저면에 하향 돌출되고, 폭 방향 양 측 상면이 두 부분상판(U)의 각 내측단면 인접 저면에 각각 접촉하는 결합체(45B)와;
    상기 피동체(45A)와 결합체(45B) 사이에 결합되며, 가이드 잔여부(41B1)를 이루는 일측 부분상판(U)의 내측단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걸림체(45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체(45A) 저면 일측에는,
    걸림체(45C)의 하단면이 밀착되며, 하향 볼록한 만곡면을 갖는 걸림체구동돌기(E")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칼.
KR2020060029914U 2006-11-17 2006-11-17 사무용 칼 KR200436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914U KR200436988Y1 (ko) 2006-11-17 2006-11-17 사무용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914U KR200436988Y1 (ko) 2006-11-17 2006-11-17 사무용 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988Y1 true KR200436988Y1 (ko) 2007-10-24

Family

ID=4163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914U KR200436988Y1 (ko) 2006-11-17 2006-11-17 사무용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9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689B1 (ko) * 2019-05-17 2019-11-08 오세창 샤프형 커터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689B1 (ko) * 2019-05-17 2019-11-08 오세창 샤프형 커터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8958B2 (ja) 有孔ブレードアセンブリを有する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JP5329628B2 (ja) 剃毛かみそり、そのブレードサブアセンブリ、及び製造方法
JP4827227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US20120060311A1 (en) Brush
JP2014034099A (ja) 綴じ具
KR20060132904A (ko) 면도기 및 그 제조 방법 및 면도기용 부조립체
TW200946303A (en) Retractable utility knife
JP2008110468A (ja) 穴あけ綴じ用具
KR200436988Y1 (ko) 사무용 칼
KR101457484B1 (ko) 탄성 칼날돌출식 안전커터
US20080060567A1 (en) Buckle punch
JP6711095B2 (ja) シート切断具
EP2636337A1 (en) Brush
US8230782B2 (en) Stamp die assembly for a self-inking stamping device
JP6265488B2 (ja) 1穴パンチ具
EP2716423A1 (en) Puncher
JP4135622B2 (ja) ステープラ用ゲージ、ステープラ
CN216067548U (zh) 一种美工刀
EP3065921B1 (en) Razor head with improved guard bar
CN210353629U (zh) 折叠收纳式指甲钳
CN214643809U (zh) 伸缩式文具改良结构
CN218576298U (zh) 一种剃须刀刀架
AU2008202202B2 (en) A utility knife with an auto-retracable blade
KR20100030180A (ko) 보드 커터
JP3193505U (ja) 柱のない爪切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