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689B1 - 샤프형 커터칼 - Google Patents

샤프형 커터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689B1
KR102032689B1 KR1020190057648A KR20190057648A KR102032689B1 KR 102032689 B1 KR102032689 B1 KR 102032689B1 KR 1020190057648 A KR1020190057648 A KR 1020190057648A KR 20190057648 A KR20190057648 A KR 20190057648A KR 102032689 B1 KR102032689 B1 KR 102032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utton
push button
case
low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창
Original Assignee
오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창 filed Critical 오세창
Priority to KR102019005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3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comprising retraction means for the blade or the blade hold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샤프식 커터칼(100)은 내부에 복수개의 칼날이 함께 수용되는 칼날수용공간(113)과, 상기 칼날수용공간(113)의 최하위에 위치된 최하위 칼날을 외부로 안내하는 칼날이동공간(115)이 형성되며, 상면에 버튼이동로(117)가 일정길이 형성된 케이스(110)와; 선단은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일정 길이 노출되고 후단은 상기 칼날수용공간(113)에 수용되어 상기 최하위 칼날이 외부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칼날안내관(130)과; 상부는 상기 버튼이동로(117)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최하위 칼날의 배출거리를 전달받는 누름버튼(140)과; 상기 누름버튼(140)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누름버튼(140)의 전방이동을 상기 최하위 칼날의 전방이동으로 변환하는 칼날이동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칼날이동공간(115)의 내벽면에는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된 지지돌기(116)가 구비되고, 상기 칼날이동부재(150)는, 후단의 결합영역은 고정되고, 전단은 칼날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1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칼날(A)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부재(151) 및 하부부재(153)와; 상기 상부부재(151) 및 상기 하부부재(153)에 함께 끼워지며 상기 지지돌기(116)에 접촉지지는 결합링(155)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누름버튼(140)의 하부와 고정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누름버튼(140)이 상기 버튼이동로(117)를 따라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부부재(151)와 상기 하부부재(153)도 함께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샤프형 커터칼{SHARP PENCIL TYPE CUTTER KNIFE}
본 발명은 커터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샤프와 같이 누름버튼을 눌러 칼날의 외부 노출량을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샤프형 커터칼에 관한 것이다.
커터칼은 종이나 직물 등을 절단할 때 널리 사용된다. 종래 커터칼의 일례가 공개특허 제10-2005-0088234호 "슬라이드형 커터칼"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커터칼은 칼집의 상면에 안내로가 형성되고, 안내로를 따라 칼날이 결합된 슬라이더가 이동하며 칼날이 칼집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한다.
그런데, 종래 커터칼은 하나의 칼날만 칼집에 수용이 가능하므로, 사용 중에 칼날이 부러지거나 칼날 표면이 마모된 경우 칼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커터칼은 슬라이더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면 슬라이더의 이동거리를 제약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칼날 전체가 칼집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특히, 어린아이가 커터칼을 사용하는 경우 이렇게 칼날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의 칼날을 함께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샤프식 커터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칼날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누름버튼을 가압하는 횟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샤프식 커터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식 커터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샤프식 커터칼(100)은 내부에 복수개의 칼날이 함께 수용되는 칼날수용공간(113)과, 상기 칼날수용공간(113)의 최하위에 위치된 최하위 칼날을 외부로 안내하는 칼날이동공간(115)이 형성되며, 상면에 버튼이동로(117)가 일정길이 형성된 케이스(110)와; 선단은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일정 길이 노출되고 후단은 상기 칼날수용공간(113)에 수용되어 상기 최하위 칼날이 외부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칼날안내관(130)과; 상부는 상기 버튼이동로(117)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최하위 칼날의 배출거리를 전달받는 누름버튼(140)과; 상기 누름버튼(140)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누름버튼(140)의 전방이동을 상기 최하위 칼날의 전방이동으로 변환하는 칼날이동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칼날이동공간(115)의 내벽면에는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된 지지돌기(116)가 구비되고, 상기 칼날이동부재(150)는, 후단의 결합영역은 고정되고, 전단은 칼날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1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칼날(A)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부재(151) 및 하부부재(153)와; 상기 상부부재(151) 및 상기 하부부재(153)에 함께 끼워지며 상기 지지돌기(116)에 접촉지지는 결합링(155)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누름버튼(140)의 하부와 고정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누름버튼(140)이 상기 버튼이동로(117)를 따라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부부재(151)와 상기 하부부재(153)도 함께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링(155)은 전방의 직경이 후방의 직경 보다 넓게 형성되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누름버튼(140)을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결합링(155)은 상기 지지돌기(116)에 접촉되어 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상부부재(151)와 상기 하부부재(153)는 상기 결합링(155)의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상부부재(151)와 상기 하부부재(153) 사이의 간격이 제1간격 보다 넓은 제2간격으로 벌어지고, 내부의 칼날(A)을 상기 누름버튼(140)의 이동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부재(151)와 상기 하부부재(153)는 각각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최하위 칼날을 안내하는 상부칼날안내바(151a) 및 하부칼날안내바(153a)와; 상기 결합링(155)에 삽입되는 상부링결합축(151b) 및 하부링결합축(153b)과; 상기 칼날안내바와 상기 링결합축을 연결하는 상부연결바(151c) 및 하부연결바(153c)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영역(154)은 상기 상부링결합축(151b)과 상기 하부링결합축(153b)의 후단에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영역(154)의 후단에는 상기 누름버튼(140)과 고정결합되는 버튼연결로드(151d)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10)의 선단에는 최하위 칼날을 외부로 배출하는 칼날배출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후단에는 칼날을 상기 칼날수용공간(113)으로 삽입하는 칼날삽입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칼날안내관(130)은 상기 칼날배출공(112)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칼날배출안내관(131)과; 상기 칼날배출안내관(131)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케이스(110)의 버튼이동로(117)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칼날안내바(151a) 및 상기 하부칼날안내바(153a)와 함께 상기 최하위 칼날의 이동을 안내하는 칼날이동안내관(133)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이동안내관(133)의 상부에는 상기 버튼이동로(117)에 대응되는 길이로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 및 함몰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버튼안내이빨(135)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버튼(140)은, 상기 버튼이동로(117)의 폭보다 큰 폭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누름상판(141)과;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버튼이동로(117)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버튼본체(143)와;상기 버튼본체(143)의 측면에 상기 칼날이동안내관(133)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버튼안내이빨(135)과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버튼본체(143)가 상기 버튼이동로(117) 상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이빨접촉탄성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링결합축(151b)과 상기 하부링결합축(153b)에는 상기 누름버튼(140)에 의해 전진된 상기 상부부재(151) 및 상기 하부부재(153)를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후진시키는 복귀탄성부재(157)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은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의 칼날을 함께 수용하는 칼날수용공간이 구비된다. 그리고, 칼날수용공간의 최하위에 위치된 최하위 칼날이 칼날이동공간으로 이동된 후, 칼날이동부재에 삽입된다.
칼날이동부재에 칼날이 삽입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칼날이 케이스의 선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누름버튼을 조작하는 횟수만큼 칼날이 선단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조작방식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은 칼날이 한번에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칼날이 함께 수용되므로, 최하위 칼날이 마모되어 제거되면 차순위 칼날이 연속하여 배출되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의 평단면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의 칼날안내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의 누름버튼과 칼날이동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의 칼날이동부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의 링결합축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의 누름버튼이 칼날안내관에 결합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100)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샤프식 커터칼(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샤프식 커터칼(100)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샤프식 커터칼(100)의 평단면구성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100)은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후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20)과,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칼날(A)의 외부 배출을 안내하는 칼날안내관(130)과, 케이스(110)의 상부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칼날(A)의 외부노출 길이를 조절하는 누름버튼(140)과, 케이스(110)의 내부에 누름버튼(140)과 결합되게 구비되어 누름버튼(140)의 이동을 칼날(A)로 전달하는 칼날이동부재(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100)은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버튼(140)을 사용자가 한번씩 전방으로 미는 동작에 의해 칼날(A)을 케이스(110) 내부에서 전방으로 조금씩 이동시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칼날(A) 전체가 한번에 외부로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던 종래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칼날들은 함께 케이스(110) 후방의 칼날수용공간(113)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앞서 사용되는 칼날(A)이 부서지거나 마모되는 경우 해당 칼날(A)을 버리고 칼날수용공간(113)의 차순위 칼날(A1)을 곧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복수개의 칼날(A,A1,A2,A3)을 함께 수용하고, 최하위에 위치되는 칼날이 전방을 향해 배출될 수 있게 지지한다. 케이스(1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후방에는 칼날을 삽입하는 칼날삽입공(111)이 형성되고, 케이스(110)의 전방에는 최하위 칼날(A)이 외부로 배출되는 칼날배출공(112)이 형성된다.
케이스(110)는 칼날삽입공(111)과 연통되게 형성된 칼날수용공간(113)과, 칼날수용공간(113)의 최하위에 위치된 칼날(A)을 칼날배출공(112)으로 안내하는 칼날이동공간(115)으로 구분된다. 칼날수용공간(113)은 복수개의 칼날(A, A1,A2,A3)이 함께 적층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 때, 칼날수용공간(113)의 전방에 형성된 벽면은 계단형태로 형성된 계단측벽(113a) 형태로 구비된다. 계단측벽(113a)에 의해 복수개의 칼날(A,A1,A2,A3)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위치가 구분되게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동시에 여러개의 칼날이 칼날이동공간(115)으로 이동되지 않고 최하위의 칼날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케이스(110)는 무게를 고려하여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다. 칼날수용공간(113)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수용되므로 플라스틱 소재가 칼날과 반복적으로 닿으면 손상 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칼날과 계속 접하게 되는 계단측벽(113a)은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계단측벽(113a) 부분만 금속소재로 형성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케이스(110) 내벽면에 접착하여 형성된다.
칼날이동공간(115)에는 칼날이동부재(150)가 구비되어 누름버튼(140)의 조작에 연동하여 칼날수용공간(113)의 최하위에 위치된 최하위 칼날(A)을 칼날배출공(112) 측으로 안내한다.
칼날수용공간(113)과 칼날이동공간(115)은 연결로(114)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로(114)는 두개의 칼날이 이동될 수 있는 높이로 구비되어 칼날수용공간(113)의 최하위에 위치된 최하위 칼날(A)과, 차순위 칼날(A1)이 칼날이동공간(115)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초기에 칼날수용공간(113)에 복수개의 칼날을 수용한 후, 사용자가 케이스(110)를 수직으로 세우면 하중에 의해 최하위에 위치된 칼날(A)이 연결로(114)로 이동될 수 있다. 일단 연결로(114)로 최하위 칼날(A)이 이동되면, 이후에는 칼날이동부재(150) 사이에 칼날(A)이 삽입되어 칼날배출공(112)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0)의 전체 길이는 하나의 칼날의 길이의 1.5~1.8배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칼날수용공간(113)의 길이가 칼날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칼날이동공간(115)의 길이는 칼날의 0.5~0.8배 범위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로(114)에서 최하위 칼날(A)의 후단과 차순위 칼날(A1)의 선단이 겹쳐지게 위치될 수 있다.
칼날이동공간(115)의 내벽면에는 지지돌기(11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돌기(1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이동부재(150)의 결합링(155)을 접촉 지지하여 칼날이동부재(150)가 전진하며 칼날(A)이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지지돌기(116)와 칼날이동부재(150)의 동작에 관해서는 이후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버튼이동로(117)가 일정길이 구비된다. 버튼이동로(117)는 누름버튼(140)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한다. 버튼이동로(117)를 통해 사용자가 누름버튼(140)을 이동시키는 거리만큼 칼날(A)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캡(120)은 케이스(110) 후방의 칼날삽입공(111)을 개폐한다. 캡(120)의 테두리영역에는 삽입관(121)이 형성된다. 삽입관(121)은 칼날삽입공(1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캡(120)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칼날안내관(130)은 최하위 칼날(A)이 칼날배출공(112)으로 배출되도록 최하위 칼날(A)을 안내하고, 누름버튼(140)이 버튼이동로(117)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칼날안내관(130)은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부에 고정결합된다.
이 때, 케이스(11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칼날이동안내관(133)은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칼날이동안내관(133)은 인서트 사출방법에 의해 케이스(11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칼날안내관(13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안내관(130)은 케이스(110)의 칼날배출공(112) 측에 위치되어 최하위 칼날(A)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칼날배출안내관(131)과, 칼날배출안내관(131)으로부터 칼날이동공간(115) 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최하위 칼날(A)이 칼날배출안내관(131)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칼날이동안내관(133)을 포함한다.
칼날배출안내관(131)은 칼날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칼날 전체를 감싸며 칼날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칼날배출안내관(131)의 상면에는 개구(131a)가 형성된다. 개구(131a)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해 칼날(A)을 가압하여 다 쓴 칼날(A)을 외부로 분리할 때 사용하게 된다.
칼날배출안내관(131)의 바닥에는 칼날가압수단(132)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칼날수용공간(113) 밖으로 배출된 최하위 칼날(A)은 칼날이동부재(150) 사이에 삽입되어 이동된다. 칼날가압수단(132)은 칼날이동부재(150)를 경유하여 칼날배출안내관(131)으로 이동된 칼날(A)의 선단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칼날배출안내관(131)의 높이(h1)는 칼날(A)의 두께보다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칼날(A)의 선단이 칼날배출안내관(131)에서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상하로 유동될 수 있다. 칼날가압수단(132)은 판스프링으로 구비되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배출안내관(131)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칼날(A)이 칼날배출안내관(131)으로 이동되면, 칼날가압수단(132)은 칼날(A)의 두께만큼 압축되며 하강하고 칼날(A)의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칼날(A)이 칼날가압수단(132)과 칼날배출안내관(131) 상면 사이에 끼워져 위치가 구속된다.
이러한 칼날배출안내관(131)의 구조에 의해 칼날(A)의 선단은 칼날가압수단(132)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고, 후단은 칼날이동부재(150)에 삽입되어 전후의 위치가 구속된 상태로 칼날(A)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칼날가압수단(132)은 칼날배출안내관(131)의 바닥면에 형성된 탄성부재수용홈(131b)에 양단(132a)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칼날이동안내관(133)은 칼날배출안내관(131)의 후단으로부터 칼날이동공간(115)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최하위 칼날(A)을 칼날배출안내관(131)으로 안내한다. 칼날이동안내관(133)의 길이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0)의 후단에 이르도록 형성된다. 즉, 칼날이동안내관(133)의 길이는 케이스(110)에 형성된 버튼이동로(117)의 후단에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된다.
칼날이동안내관(133)의 높이(h2)는 칼날배출안내관(131)의 높이(h1) 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는 칼날이동안내관(133)의 상면이 누름버튼(140)을 전후로 안내하기 위함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이동안내관(133)의 상면에는 버튼안내이빨(135)이 케이스(110)의 버튼이동로(117)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누름버튼(140)은 케이스(110)의 버튼이동로(117)에 삽입된 상태로 버튼안내이빨(135)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누름버튼(140)의 측면에 결합된 이빨접촉탄성부재(145)가 탄성적으로 돌출 또는 압축되며 버튼안내이빨(135)의 홈과 돌기 사이를 이동하며 누름버튼(140)이 전후로 이동되게 지지한다.
칼날이동안내관(133)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이동공간(115)에서 칼날(A)이 칼날배출안내관(131)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최하위 칼날(A)은 길이방향에 대해 일측면이 칼날이동부재(150)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가 구속되고, 타측면이 자유단 형태로 칼날배출안내관(131) 사이에 위치된다. 최하위 칼날(A)의 타측면은 칼날이동안내관(133)의 내벽면에 접촉되면서 칼날이동안내관(133)을 따라 칼날배출안내관(131)으로 이동된다.
칼날이동안내관(133)의 내벽면에 최하위 칼날(A)의 타측면이 접촉되면서 최하위 칼날(A)이 케이스(110)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누름버튼(140)은 사용자의 가압을 칼날이동부재(150)로 전달하여 칼날(A)이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누름버튼(14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으로 이동되며 최하위 칼날(A)의 배출거리를 전달받는다.
도 6은 누름버튼(140)과 칼날이동부재(150)의 구성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누름버튼(14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누름버튼(140)의 평면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사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누름버튼(140)은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상판(141)과, 누름상판(141)의 하부로 연장되어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되고 칼날이동부재(150)와 고정결합되는 버튼본체(143)를 포함한다.
누름상판(141)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W1)이 버튼이동로(117)의 폭(W2) 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누름상판(141)이 전후로 가압되어 이동되더라도 버튼이동로(117)로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된다.
버튼본체(143)는 누름상판(141)의 하부에 구비되어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버튼본체(143)의 폭(W2)은 버튼이동로(117)의 폭 보다 작게 구비되어 버튼이동로(117)를 따라 이동된다.
버튼본체(143)에서 칼날이동안내관(133)을 향하는 측면에는 복수개의 이빨접촉탄성부재(145)가 구비된다. 이빨접촉탄성부재(145)는 판스프링 형태로 구비되어 칼날이동안내관(133)의 버튼안내이빨(135)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며 누름버튼(14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누름상판(14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가압하면, 버튼본체(143)는 버튼이동로(117)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이빨접촉탄성부재(145)는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신장되며 버튼안내이빨(135)의 산 또는 골에 지지된다. 이빨접촉탄성부재(145)가 버튼안내이빨(135) 사이에서 탄성력을 인가하여 누름버튼(140)이 버튼이동로(117) 내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누름버튼(140)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면, 칼날(A)이 전후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버튼안내이빨(135)과 이빨접촉탄성부재(145)의 맞물림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희망한 위치에 누름버튼(140)이 고정된다.
이빨접촉탄성부재(1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에 두 개가 구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가운데 한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누름버튼(140)의 하부는 칼날이동부재(150)의 버튼연결로드(151d)에 고정결합된다. 이에 의해 누름버튼(140)의 전후 이동이 칼날이동부재(150)로 전달된다. 즉, 누름버튼(140)이 전진되면 칼날이동부재(150)도 함께 전진되고, 누름버튼(140)이 후진되면 칼날이동부재(150)도 후진된다.
칼날이동부재(150)는 누름버튼(140)의 이동을 최하위 칼날(A)의 이동으로 변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이동부재(15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부부재(151) 및 하부부재(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부재(151)와 하부부재(153)는 후단의 결합영역(154)이 고정된 상태로 가운데 영역이 절개되어 상하로 간격이 벌어질 수 있게 형성된다.
도 7은 칼날이동부재(15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상부부재(151)와 하부부재(153)는 결합영역(154)이 고정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해하여 도시하였다.
상부부재(151)는 칼날(A)을 안내하는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누름버튼(140)의 이동을 전달받는 상부링결합축(151b)과,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상부링결합축(151b)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연결바(151c)를 포함한다.
하부부재(153)는 최하위 칼날(A)을 안내하는 하부칼날안내바(153a)와, 누름버튼(140)의 이동을 전달받는 하부링결합축(153b)과, 하부칼날안내바(153a)와 하부링결합축(153b)을 연결하는 하부연결바(153c)를 포함한다.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는 서로 마주보며 최하위 칼날(A)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은 서로 마주보며 누름버튼(140)의 이동을 전달한다. 상부연결바(151c)와 하부연결바(153c)는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의 이동을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로 전달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의 후단은 결합영역(154)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결합영역(154)의 후단에는 버튼연결로드(151d)가 연장되어 누름버튼(140)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누름버튼(14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누름버튼(140)이 이동되면, 버튼연결로드(151d)가 결합영역(154)으로 이동을 전달하고 상부부재(151)와 하부부재(153)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은 각각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과 상부연결바(151c) 및 하부연결바(153c)의 경계영역에는 결합링(155)이 끼워진다. 결합링(155)은 상부부재(151)와 하부부재(153)가 누름버튼(140)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될 때, 위치가 고정되어 상부부재(151)와 하부부재(153)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다.
결합링(15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링(155)의 전방영역의 내경(R1)은 후방영역의 내경(R2) 보다 크게 형성된다.
결합링(155)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벽면에 형성된 지지돌기(116)에 접촉지지된다. 결합링(155)의 외경이 결합영역(154)의 외경 보다 크므로 누름버튼(140)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결합링(155)은 지지돌기(116)에 의해 접촉되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상부부재(151)와 하부부재(153)만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0)이 버튼이동로(117)의 후방에 위치될 때,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은 후단의 결합영역(154)에 고정된 상태로 제1간격(d1)을 유지하게 위치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0)이 버튼이동로(117)의 전방으로 이동될 때, 결합링(155)은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만 결합링(155)의 내부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결합링(155)의 내경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확장되므로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 사이의 제2간격(d2)도 제1간격(d1)에 비해 커지게 벌어진다.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 사이의 제2간격(d2)은 상부연결바(151c)와 하부연결바(153c)에 의해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로 전달된다.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는 최하위 칼날(A)을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A)은 일측면이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에 삽입된다.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의 간격은 칼날(A)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최하위 칼날(A)이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에 끼워져서 위치가 구속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0)이 버튼이동로(117)이 후방에 위치되어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이 제1간격(d1)을 유지하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의 간격도 칼날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1간격(d1)을 유지한다.
이에 의해 최하위 칼날(A)은 칼날이동안내관(133)과 상하부칼날안내바(151a,153a) 사이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다.
사용자가 누름버튼(14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이 제2간격(d2)으로 벌어지면서 전방으로 이동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도 제2간격(d2)으로 벌어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하부칼날안내바(151a,153a)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에 연동하여 내부에 끼워져 있는 최하위 칼날(A)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하부링결합축(151b,153b)에는 복귀탄성부재(157)가 권취된다. 복귀탄성부재(157)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구비되어 상하부링결합축(151b,153b)의 외주연에 일정길이 권취된다. 복귀탄성부재(157)는 누름버튼(140)이 버튼이동로(117)의 후방에 위치된 초기위치에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링(155)과 결합영역(154) 사이에서 초기 길이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누름버튼(140)을 전방으로 가압하면 상하부링결합축(151b,153b)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복귀탄성부재(157)는 결합링(155)과 결합영역(154)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 때, 복귀탄성부재(157)는 초기길이로 신장되기 위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한다.
사용자가 누름버튼(140)을 가압하던 손을 놓으면, 사용자의 가압력이 해지되면서 복귀탄성부재(157)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부링결합축(151b,153b)이 후진되고, 동시에 누름버튼(140)이 초기 위치로 후진하게 된다.
상하부링결합축(151b,153b)이 후진되면서 이들 사이의 간격도 제1간격(d1)으로 좁아지게 되고, 상하부칼날안내바(151a,153a)도 제1간격(d1)으로 좁아지면서 후진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부재(151)와 하부부재(153)의 후진동작은 복귀탄성부재(157)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진행되므로, 칼날(A)은 전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누름버튼(140)을 한번 전방으로 가압하면, 누름버튼(140)이 전방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칼날(A)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칼날안내바(151a)는 최하위 칼날(A)과 접촉되는 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하부칼날안내바(153a)는 최하위 칼날(A)과 접촉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최하위칼날(A)이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에서 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칼날안내바(153a)와 상하부링결합축(153b) 사이에는 칼날이탈방지판(159)이 수직하게 구비된다. 칼날이탈방지판(159)은 최하위 칼날(A)이 상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를 따라 칼날배출안내관(131)으로 이동될 때, 상하부칼날안내바(153a)의 외측으로 최하위 칼날(A)이 벗어나지 못하게 제한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위 칼날(A)은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에 일측면이 끼워지고 타측면은 자유단 상태로 칼날이동안내관(133) 내에 위치된다. 누름버튼(140)을 전방으로 가압하면, 최하위 칼날(A)은 상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를 따라 이동된다. 이 때, 최하위 칼날(A)의 타측면은 칼날이동안내관(133)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반면, 상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에 끼워진 칼날(A)의 일측면은 상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를 벗어나 상하부링결합축(153b)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칼날이탈방지판(159)은 상하부칼날안내바(153a)와 상하부링결합축(153b) 사이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최하위 칼날(A)이 상하부링결합축(153b)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에 의해 최하위 칼날(A)이 상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와 칼날이동안내관(133) 내벽면을 따라 직선형태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칼날이탈방지판(159)은 하부가 하부칼날안내바(153a)에 고정결합되어 하부부재(153)와 함께 전후로 이동되며 칼날(A)이 이탈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케이스(110) 후면의 캡(120)을 열고 칼날수용공간(113)으로 복수개의 칼날(A, A1, A2, A3)을 함께 삽입한다. 복수개의 칼날(A, A1, A2, A3)이 칼날수용공간(113)에 함께 수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측벽(113a)의 형상에 의해 하부에서 상부로 계단식으로 배열된다.
이 때, 사용자가 케이스(110)를 수직방향으로 세우면, 최하위에 있던 최하위 칼날(A)이 연결로(114)를 통해 칼날이동공간(115) 측으로 이동되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이동부재(150)의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로 삽입된다.
최하위 칼날(A)은 연결로(114)를 통해 칼날이동공간(115)으로 이동되면서 일측은 상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로 삽입되고, 타측은 칼날이동안내관(133) 내부로 삽입된다.
이 때,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은 나팔관 형태의 결합링(155)에 삽입되고, 결합링(155)은 지지돌기(116)에 접촉지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복귀탄성부재(157)는 결합링(155)과 결합영역(154) 사이에 초기길이로 위치된다.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은 제1간격(d1)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부연결바(151c)와 하부연결바(153c)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도 제1간격(d1)으로 유지되고, 내부에 최하위 칼날(A)이 삽입된다.
도 10의 (a)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140)은 버튼이동로(117)의 후방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 누름버튼(140)의 누름상판(141)을 전방으로 가압하면, 버튼본체(143) 측면의 이빨접촉탄성부재(145)가 칼날이동안내관(133)의 버튼안내이빨(135)과 맞물리면서 칼날이동공간(115)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버튼본체(143)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버튼본체(143)와 버튼연결로드(151d)에 의해 결합된 결합영역(154)이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부부재(151)와 하부부재(153)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151)와 하부부재(153)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결합링(155)은 지지돌기(116)에 접촉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만 결합링(155)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은 나팔관 형태의 결합링(155)의 내벽면에 안내되어 제2간격(d2)으로 간격이 벌어진다.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이 제2간격(d2)으로 벌어질 때,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도 동일하게 제2간격(d2)으로 벌어지며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의 최하위 칼날(A)도 누름버튼(140)이 전방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칼날(A)은 도 1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은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에 삽입되고, 타측면은 칼날이동안내관(133)을 따라 이동된다. 이 때, 최하위 칼날(A)의 양측은 칼날이탈방지판(159)과 칼날이동안내관(133)의 내벽면 사이에 위치되므로 좌우로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누름버튼(140)을 전방으로 가압하던 힘을 해제하면, 즉 누름버튼(140)을 가압하던 손을 떼면, 복귀탄성부재(157)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부재(151)와 하부부재(153)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누름버튼(140)도 버튼이동로(117)의 후단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링결합축(151b)과 하부링결합축(153b) 사이의 간격은 다시 제1간격(d1)으로 좁아지고,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 사이의 간격도 다시 제1간격(d1)으로 좁아지면서 칼날(A)의 상하를 구속하게 된다.
복귀탄성부재(157)에 의한 칼날이동부재(150)의 급속한 이동에 의해 전진한 상태의 칼날(A)은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누름버튼(140)을 전방으로 가압하면, 동일한 과정으로 칼날(A)이 누름버튼(140)의 이동거리만큼 다시 전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누름버튼(140)을 가압하는 횟수만큼 최하위 칼날(A)은 전진하고 칼날배출안내관(131)으로 진입된다.
칼날배출안내관(131)으로 최하위 칼날(A)이 진입되면, 최하위 칼날(A)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가압수단(132)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칼날배출안내관(131)에서 위치가 구속된다.
이 때, 최하위 칼날(A)의 선단은 칼날배출안내관(131)의 칼날가압수단(132)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고, 후단은 칼날이동부재(150)의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하부칼날안내바(153a)에 의해 위치가 구속된다.
칼날배출안내관(131)으로 최하위 칼날(A)의 선단이 진입한 후에 누름버튼(140)을 다시 가압하면, 최하위 칼날(A)이 칼날배출안내관(131) 밖으로 배출되고 사용자는 희망하는 물체를 절단하는데 최하위 칼날(A)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칼날배출안내관(131) 외부로 노출된 최하위 칼날(A)이 마모되면, 사용자는 마모된 최하위 칼날(A)의 선단을 절단하고, 누름버튼(140)을 가압하여 후단의 칼날(A)을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최하위 칼날(A)의 후단이 칼날이동부재(150)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최하위 칼날(A)의 후단을 구속하는 수단이 없어지고, 최하위 칼날(A)은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단이 없게 된다. 이 경우, 최하위 칼날(A)이 칼날배출안내관(131) 내부에서 칼날가압수단(13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개구(131a)로 넣어 최하위 칼날(A)을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즉, 최하위 칼날(A)의 길이가 짧아져 최하위 칼날(A)의 후단이 칼날이동부재(150)에 닿지 않게 되면, 최하위 칼날(A)의 외부노출길이는 사용자가 손으로 조절해야 한다.
한편, 최하위 칼날(A)이 칼날이동부재(150)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차순위의 칼날(A1)이 칼날이동부재(150)로 연속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길이가 짧아진 최하위 칼날(A)을 버리고, 차순위의 칼날(A1)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칼날수용공간(113)에 수용된 칼날을 모두 소진할 때까지 샤프식 커터칼(10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외부로 최하위 칼날(A)을 일정길이 배출시킬 상태로 물품의 절단에 사용한 후 최하위 칼날(A)을 케이스(110) 내부로 다시 삽입해야할 때는 사용자가 누름버튼(140)을 전방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케이스(110)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최하위 칼날(A)을 지면과 닿게 한다.
누름버튼(140)이 전방으로 가압되면 상부부재(151)와 하부부재(153) 사이가 제2간격(d2)으로 벌어지므로 케이스(110)를 수직방향으로 세우면 최하위 칼날(A)이 지면과 닿는 압력에 의해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은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의 칼날을 함께 수용하는 칼날수용공간이 구비된다. 그리고, 칼날수용공간의 최하위에 위치된 최하위 칼날이 칼날이동공간으로 이동된 후, 칼날이동부재에 삽입된다.
칼날이동부재에 칼날이 삽입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누름버튼을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칼날이 케이스의 선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누름버튼을 조작하는 횟수만큼 칼날이 선단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조작방식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샤프식 커터칼은 칼날이 한번에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칼날이 함께 수용되므로, 최하위 칼날이 마모되어 제거되면 차순위 칼날이 연속하여 배출되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샤프형 커터칼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샤프형 커터칼 110 : 케이스
111 : 칼날삽입공 112 : 칼날배출공
113 : 칼날수용공간 113a : 계단측벽
114 : 연결로 115 : 칼날이동공간
116 : 지지돌기 117 : 버튼이동로
120 : 캡 121 : 삽입관
130 : 칼날안내관 131 : 칼날배출안내관
131a : 개구 131b : 탄성부재수용홈
132 : 칼날가압수단 132a : 양단
133 : 칼날이동안내관 135 : 버튼안내이빨
140 : 누름버튼 141 : 누름상판
143 : 버튼본체 145 : 이빨접촉탄성부재
150 : 칼날이동부재 151 : 상부부재
151a : 상부칼날안내바 151b : 상부링결합축
151c : 상부연결바 151d : 버튼연결로드
153 : 하부부재 153a : 하부칼날안내바
153b : 하부링결합축 153c : 하부연결바
154 : 결합영역 155 : 결합링
157 : 복귀탄성부재 159 : 칼날이탈방지판
A : 최하위 칼날
A1 : 차순위 칼날

Claims (6)

  1. 내부에 복수개의 칼날이 함께 수용되는 칼날수용공간(113)과, 상기 칼날수용공간(113)의 최하위에 위치된 최하위 칼날을 외부로 안내하는 칼날이동공간(115)이 형성되며, 상면에 버튼이동로(117)가 일정길이 형성된 케이스(110)와;
    선단은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일정 길이 노출되고 후단은 상기 칼날수용공간(113)에 수용되어 상기 최하위 칼날이 외부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칼날안내관(130)과;
    상부는 상기 버튼이동로(117)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최하위 칼날의 배출거리를 전달받는 누름버튼(140)과;
    상기 누름버튼(140)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누름버튼(140)의 전방이동을 상기 최하위 칼날의 전방이동으로 변환하는 칼날이동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칼날이동공간(115)의 내벽면에는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된 지지돌기(116)가 구비되고,
    상기 칼날이동부재(150)는,
    후단의 결합영역은 고정되고, 전단은 칼날의 두께에 대응되는 제1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칼날(A)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상부부재(151) 및 하부부재(153)와;
    상기 상부부재(151) 및 상기 하부부재(153)에 함께 끼워지며 상기 지지돌기(116)에 접촉지지되는 결합링(155)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누름버튼(140)의 하부와 고정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누름버튼(140)이 상기 버튼이동로(117)를 따라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부부재(151)와 상기 하부부재(153)도 함께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식 커터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155)은 전방의 직경이 후방의 직경 보다 넓게 형성되는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누름버튼(140)을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결합링(155)은 상기 지지돌기(116)에 접촉되어 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상부부재(151)와 상기 하부부재(153)는 상기 결합링(155)의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상부부재(151)와 상기 하부부재(153) 사이의 간격이 제1간격 보다 넓은 제2간격으로 벌어지고, 내부의 칼날(A)을 상기 누름버튼(140)의 이동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식 커터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151)와 상기 하부부재(153)는 각각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최하위 칼날을 안내하는 상부칼날안내바(151a) 및 하부칼날안내바(153a)와;
    상기 결합링(155)에 삽입되는 상부링결합축(151b) 및 하부링결합축(153b)과;
    상기 상부칼날안내바(151a)와 상기 상부링결합축(151b), 상기 하부칼날안내바(153a)와 상기 하부링결합축(153b)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연결바(151c) 및 하부연결바(153c)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영역(154)은 상기 상부링결합축(151b)과 상기 하부링결합축(153b)의 후단에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영역(154)의 후단에는 상기 누름버튼(140)과 고정결합되는 버튼연결로드(151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식 커터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선단에는 최하위 칼날을 외부로 배출하는 칼날배출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후단에는 칼날을 상기 칼날수용공간(113)으로 삽입하는 칼날삽입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칼날안내관(130)은 상기 칼날배출공(112)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칼날배출안내관(131)과;
    상기 칼날배출안내관(131)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케이스(110)의 버튼이동로(117)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칼날안내바(151a) 및 상기 하부칼날안내바(153a)와 함께 상기 최하위 칼날의 이동을 안내하는 칼날이동안내관(133)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이동안내관(133)의 상부에는 상기 버튼이동로(117)에 대응되는 길이로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 및 함몰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버튼안내이빨(13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식 커터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140)은,
    상기 버튼이동로(117)의 폭보다 큰 폭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누름상판(141)과;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버튼이동로(117)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버튼본체(143)와;
    상기 버튼본체(143)의 측면에 상기 칼날이동안내관(133)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버튼안내이빨(135)과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버튼본체(143)가 상기 버튼이동로(117) 상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이빨접촉탄성부재(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식 커터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결합축(151b)과 상기 하부링결합축(153b)에는 상기 누름버튼(140)에 의해 전진된 상기 상부부재(151) 및 상기 하부부재(153)를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후진시키는 복귀탄성부재(157)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식 커터칼.
KR1020190057648A 2019-05-17 2019-05-17 샤프형 커터칼 KR10203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648A KR102032689B1 (ko) 2019-05-17 2019-05-17 샤프형 커터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648A KR102032689B1 (ko) 2019-05-17 2019-05-17 샤프형 커터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822A Division KR20200132636A (ko) 2019-10-04 2019-10-04 샤프형 커터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689B1 true KR102032689B1 (ko) 2019-11-08

Family

ID=6854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648A KR102032689B1 (ko) 2019-05-17 2019-05-17 샤프형 커터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6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988Y1 (ko) * 2006-11-17 2007-10-24 (주)퓨전에프앤씨 사무용 칼
KR20100042494A (ko) * 2008-10-16 2010-04-26 김득수 종이 절단용 회전칼
KR20170108539A (ko) * 2016-03-18 2017-09-27 박현성 노크식 커터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988Y1 (ko) * 2006-11-17 2007-10-24 (주)퓨전에프앤씨 사무용 칼
KR20100042494A (ko) * 2008-10-16 2010-04-26 김득수 종이 절단용 회전칼
KR20170108539A (ko) * 2016-03-18 2017-09-27 박현성 노크식 커터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0161B2 (en) Multi-function cutter
US8069571B2 (en) Spring back safety and film cutter
US6148520A (en) Box cutter with autoretracting blade
EP1722942B1 (en) Dispensers for razor blade cartridges
CN102825614A (zh) 安全裁切刀
EP2700482A1 (en) Box cutter with retractable blade
MXPA96004691A (en) Paper trimmer
US6789594B1 (en) Tape dispenser with a hidden blade
CN102166757A (zh) 电剃刀
KR101538881B1 (ko) 안전 눈썹칼
KR102032689B1 (ko) 샤프형 커터칼
JP2012515044A (ja) 爪切り
KR20200132636A (ko) 샤프형 커터칼
KR100693398B1 (ko) 안전 커터칼
US20210237292A1 (en) Compact safety cutter
KR20210040755A (ko) 미끄럼방지공이 형성된 칼날 및 이를 사용한 샤프형 커터칼
JPWO2016132626A1 (ja) インジェクター、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および穿刺デバイス
US3106017A (en) Eyebrow shaver-trimmer
CN214818709U (zh) 一种安全型收纳割刀
CN215424986U (zh) 一种全自动穿刺针的调挡结构和全自动穿刺针
KR100867863B1 (ko) 듀얼 칼날을 갖는 사무용 칼
CN218165413U (zh) 一种便捷的自动牙线棒盒
CN217345572U (zh) 一种可双向出刀的美工刀
CN215789997U (zh) 一种美工刀
CN218110842U (zh) 一种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