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118Y1 -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 Google Patents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118Y1
KR200436118Y1 KR2020060029407U KR20060029407U KR200436118Y1 KR 200436118 Y1 KR200436118 Y1 KR 200436118Y1 KR 2020060029407 U KR2020060029407 U KR 2020060029407U KR 20060029407 U KR20060029407 U KR 20060029407U KR 200436118 Y1 KR200436118 Y1 KR 200436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gle
coupled
fram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권
신용술
곽진훈
황무성
Original Assignee
(주) 통일전력
(주) 서원이앤지
라인엔지니어링 (주)
동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통일전력, (주) 서원이앤지, 라인엔지니어링 (주), 동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 통일전력
Priority to KR2020060029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1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9Guiding surfaces;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non-linearity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volumetric dimension of an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4Permanent marks; Boundary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32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by focusing the object, e.g. on a ground glass screen

Abstract

본 고안은 철탑기초재의 각입(脚立) 오차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전철탑의 건설공사에서 철탑기초재를 각입 시공할 경우 철탑기초재의 각입 오차를 보다 간편하고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앵글형 철탑기초재의 상부에 밀착 설치가 가능하도록 자석이 매몰 부착되면서 전방 상면에는 지지대가 고정설치되며 직각의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프리즘이 부착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는 밑판이 결합되며, 상기 밑판은 상부프레임과 연결 설치되면서 저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상판 및 저면이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홈에 부합되는 형태의 가이드가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하판으로 분할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송전, 철탑, 각입, 오차, 측정구

Description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Apparatus for separation error using transmission tower posts}
도 1은 종래의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밑판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밑판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의 확대 단면도.
도 7,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부프레임 11:자석 12:지지대
20:상부프레임 21:지지부 30:프리즘
31:홈 40:밑판 41:상판
42:하판 50:작동봉 51:암나사부
60:이송봉 61:수나사부 62:손잡이부
70:고정볼트 80:스프링 90:철탑기초재
100:광파기 121:기준선 411:가이드홈
412:0점 표시부 421:가이드 422:장공
423:0점 표시부 424:눈금표시부
본 고안은 철탑기초재의 각입(脚立) 오차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전철탑의 건설공사에서 철탑기초재를 각입 시공할 경우 철탑기초재의 각입 오차를 보다 간편하고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각입 오차의 측정방법은 측정이 매우 번거롭고 혼자서는 측정이 불가능하여 측량기를 측정하는 사람과, 줄자 및 스태프를 측정하는 사람이 항상 2인 일조로 각입 오차를 측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한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실용신안등록 제20-0381978호)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앵글형 철탑기초재(150)의 상단 전후 및 상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전후 양측면 및 저면에 자석(111)이 매몰 식으로 부착되는 직각 형태의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면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정면의 상부 중앙에 프리즘(130)이 부착되는 상부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면의 전방에는 끝이 뾰족한 전방측정핀(113)이 중앙에 부착되는 지지대(112)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저면에는 끝이 뾰족한 원기둥 형태의 후방측정핀(123)이 삽입되는 결합공(12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후방측정핀(113, 123)의 뾰족한 끝과 철탑기초재(150)의 중심을 일치시켜 철탑기초재(150)의 고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는 프리즘의 각도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프리즘의 전후 작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각입 오차의 측정이 어렵고, 측정이 정확하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밑판을 상, 하판으로 분할 구성하여 이송봉의 회전에 의한 상판의 슬라이딩 작동으로 프리즘이 전후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각입 오차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송전 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 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리즘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마련하여 프리즘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더욱 정밀한 각입 오차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앵글형 철탑기초재의 상부에 밀착 설치가 가능하도록 자석이 매몰 부착되면서 전방 상면에는 지지대가 고정설치되며 직각의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프리즘이 부착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는 밑판이 결합되며, 상기 밑판은 상부프레임과 연결 설치되면서 저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상판 및 저면이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홈에 부합되는 형태의 가이드가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하판으로 분할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은“
Figure 112006082348410-utm00001
”와 같은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는 상판의 가이드홈에 부합되는“
Figure 112006082348410-utm00002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가이드홈의 일단에는 관통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작동봉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판의 중앙에는 상기 작동봉이 개재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공이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후방에는 하판의 후방을 통과하여 상기 작동봉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면서 하판의 장공에 위치되는 수나사부와 하판의 외측 후방에 위치되며 끝단에 핸들이 결합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이송봉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는 프리즘의 상하 회전동작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좌우로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부가“U”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프리즘의 좌우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상기 프리즘의 좌우 측면을 지지하는 고정볼트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의 선단은 프리즘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는 구형의 홈에 부합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 선단과 프리즘의 홈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상면 중앙에는 기준선이 표시되며, 상기 하판의 정면 중앙에는 상기 지지대의 기준선과 대응되는 0점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한쪽 측면에는 중앙에 형성되는 0점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 형성되는 눈금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눈금표시부가 표시된 동일 방향의 상판 측면 중앙에는 하판의 눈금표시부와 대응되는 0점 표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밑판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밑판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볼트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형 철탑기초재(90)의 상부에 밀착 설치가 가능하도록 자석(11)이 매몰 부착되면서 전방 상면에는 지지대(12)가 고정설치되며 직각의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 상부에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프리즘(30)이 부착되는 상부프레임(20)으로 구성되는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10) 사이에 밑판(40)을 설치하여 프리즘(30)의 전후작동이 가능하게 하고, 상부프레임(20)의 상부 지지부(21) 상단에 고정볼트(70)를 체결하여 프리즘(3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판(40)은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판(41) 및 하판(42)의 분할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41)은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0)의 저면과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 설치되며, 저면 중앙에는 하판(42)의 가이드(421)가 결합되는 가이드홈(411)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411)은 “
Figure 112006082348410-utm00003
”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여 여기에 가이드(421)가 결합되었을 때 전후로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만 좌우로는 움직이지 않는 안정된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411)의 중앙에는 하판(42)의 중앙에 형성되는 장공(422)을 따라 이동하는 작동봉(50)이 수직으로 결합된다.
상기 작동봉(50)의 하단에는 암나사부(51)가 관통 형성되며 이 암나사부(51)에는 후술하는 이송봉(60)의 수나사부(61)가 결합된다.
한편, 상판(41)의 한쪽 측면 중앙에는 하판(42)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는 눈금표시부(424)에 대응되는 0점 표시부(412)가 형성된다.
상기 하판(42)은 상판(41)과 대응되는 사각 구조로 형성되며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하부프레임(10)과 결합되는 한편, 상면 중앙에는 상기 상판(41)의 가이드홈(411)에 부합되는 가이드(421)가 돌출 형성된다.
이 가이드(421)는“
Figure 112006082348410-utm00004
”와 같은 상판(41)의 가이드홈(411)에 부합되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홈(411)에 가이드(421)가 결합될 경우 전후로만 이동이 가능하고 좌우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판(42)의 중앙에는 상기 상판(41)의 가이드홈(411)의 일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작동봉(50)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공(422)이 형성된다.
이 장공(422)은 하판(42)의 상면에서부터 저면까지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판(42)의 전후 끝단에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안쪽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판(42)의 후방에는 작동봉(50)과 결합되는 수나사부(61)와 하판(42)의 후방에 위치되는 손잡이부(62)로 이루어지는 이송봉(60)이 결합된다.
상기 이송봉(60)의 수나사부(61)는 하판(42)의 후방을 통과하여 장공(422)에 위치되되, 작동봉(50)의 암나사부(51)와 나사 결합되어 이송봉(60)의 회전작동시 작동봉(50)의 암나사부(51)가 이송봉(60)의 수나사부(61)를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송봉(60)의 손잡이부(62)는 하판(42)의 후방 외측에 형성되며 끝단에는 핸들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이송봉(6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하판(42)의 후방에는 내측 중앙에 걸림홈이 형성된 지지판을 결합하고, 이송봉(60)의 수나사부(61)와 손잡이부(62) 사이에는 단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이송봉(60)의 단턱부가 지지판의 걸림홈에 끼움되게 결합함으로써, 이송봉(60)의 회전작동시 이송봉(60)이 전후 좌우로는 움직이지 않고 결합된 그 상태로 안정 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하판(42)의 정면 중앙에는 0점 표시부(423)를 두어 지지대(12)의 중앙에 표시되는 기준선(121)과 일치시켜 더욱 정확한 각입 오차 측정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판(42)의 한쪽 측면 즉, 상기 상판(41)의 0점 표시부(412)와 동일 방향 쪽의 측면에 상판(41)의 0점 표시부(412)와 대응되는 눈금표시부(424)를 형성한다.
상기 눈금표시부(424)는 중앙의 0점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며 눈금의 간격은 0 ~ 20mm 정도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프레임(20)의 상부는 도 6과 같이 프리즘(30)의 상하 회전작동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좌우 양측으로 지지부(21)를“U”와 같이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1)의 상단에는 고정볼트(70)를 결합하여 프리즘(30)의 좌우 양 측면을 고정하고 프리즘(30)의 상하 각도조절이 필요할 경우에는 고정볼트(70)를 조금 풀고 프리즘(30)을 상하로 움직여 각도를 조절한 후 고정볼트(70)를 다시 조여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프리즘(30)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70)의 선단은 구형으로 형성하여 프리즘(30)의 측면을 조일 때 프리즘(30)의 측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물론, 프리즘(30)의 좌우 양 측면에도 상기 고정볼트(70) 선단에 부합되는 구형 홈(31)을 형성한다.
따라서, 고정볼트(70)를 조일 경우 고정볼트(70)의 구형 선단이 프리즘(30)의 구형 홈(31)에 밀착되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과 함께 고정볼트(70)의 구형 선단과 프리즘(30)의 구형 홈(31)이 맞닿으므로 프리즘(30)에 흠집이 생기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70) 선단과 프리즘(30)의 홈(31) 사이에는 스프링(80)을 개재함으로써 고정볼트(70)를 풀 때 압축된 스프링(80)의 신장에 의해 고정볼트(70)가 더욱 잘 풀릴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는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10) 사이에 전후로 분할형 밑판(40)을 설치하여 프리즘(30)을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하고, 상부프레임(20)의 지지부(21) 상단에는 프리즘(30)의 좌우 양 측면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70)를 결합하여 프리즘(30)의 상하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를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기초재(90) 상단에 설치한다.
이때, 본 고안의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는 하부프레임(10)에 자석(1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앵글형 철탑기초재(9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하부프레임(10)의 형태가 철탑기초재(90)와 같은 앵글 형태이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다.
철탑기초재(90)에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의 설치가 완료되면 광파기(100)를 통해 측정을 한다.
즉, 사방의 철탑기초재(90)의 중심에 위치된 광파기(100)를 통하여 철탑기초재(90)의 회전 오차, 거리 등을 측정한다.
이때, 본 고안의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는 프리즘(30)의 상하 각도 조절과 전후진 작동이 가능하다.
즉, 프리즘(30)의 상하 각도조절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부프레임(20)의 지지부(21)에 결합된 고정볼트(70)를 조금 푼 다음 프리즘(30)을 상하로 움직여 원하는 각도로 맞춘 다음 고정볼트(70)를 조여주면 프리즘(3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로 프리즘(30)이 고정된다.
또한, 프리즘(30)의 전후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송봉(60)의 손잡이부(62)에 결합된 핸들을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송 봉(60)이 수나사부(61)를 따라 장공(422) 내에서 이동하게 되고, 이와 연계하여 하판(42)의 가이드(421)와 결합된 상판(41)의 가이드홈(411)이 가이드(421)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판(41)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판(41)과 연결된 상부프레임(20)이 전후로 움직이게 되고 상부프레임(20)에 설치된 프리즘(30)의 전후작동이 가능해 진다.
여기서, 프리즘(30)의 상하각도 및 전후작동 조절시 밑판(40)의 상,하판(41, 42)에 형성된 0점 표시부(412, 423) 및 눈금표시부(424)를 이용하면 더욱 정확하고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탑기초재(90)의 거리 측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광파기(100)에서 프리즘(30)에 발사 광을 보내면 프리즘(30)에서 반사광이 형성되는데 이때, 광파기(100)는 발사 광과 반사광의 위상(位相)을 측정하여 거리를 전산 산출(컴퓨터에 의하여)하여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는 철탑기초재(90)에 부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2인 1조가 되어 측정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광파기(100)를 조작할 수 있는 사람이면 한 사람이 모든 측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철탑 건설공사시 철탑기초재의 각입 오차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각입 시공 및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측정작업시 한 사람만으로도 모든 측정작업이 가능하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앵글형 철탑기초재의 상부에 밀착 설치가 가능하도록 자석이 매몰 부착되면서 전방 상면에는 지지대가 고정설치되며 직각의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연결설치되며 상부에 프리즘이 부착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는 밑판이 결합되며, 상기 밑판은 상부프레임과 연결 설치되면서 저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상판 및 저면이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홈에 부합되는 형태의 가이드가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하판으로 분할 구성되는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가이드홈의 일단에는 관통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작동봉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판의 중앙에는 상기 작동봉이 개재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공이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후방에는 하판의 후방을 통과하여 상기 작동봉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면서 하판의 장공에 위치되는 수나사부와 하판의 외측 후방에 위치되며 끝단에 핸들이 결합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이송봉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060029407U 2006-11-10 2006-11-10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KR200436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407U KR200436118Y1 (ko) 2006-11-10 2006-11-10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407U KR200436118Y1 (ko) 2006-11-10 2006-11-10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118Y1 true KR200436118Y1 (ko) 2007-05-31

Family

ID=4163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407U KR200436118Y1 (ko) 2006-11-10 2006-11-10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1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79B1 (ko) * 2008-11-12 2010-05-11 (주)삼원전력 타겟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탑 기초재의 각입 측량 방법
KR102081535B1 (ko) * 2019-07-30 2020-02-2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탑 변위 측정용 타겟 고정장치 및 타겟 고정방법
KR102502098B1 (ko) 2022-07-29 2023-02-23 (주)드림엔지니어링 송전 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79B1 (ko) * 2008-11-12 2010-05-11 (주)삼원전력 타겟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탑 기초재의 각입 측량 방법
KR102081535B1 (ko) * 2019-07-30 2020-02-2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탑 변위 측정용 타겟 고정장치 및 타겟 고정방법
KR102502098B1 (ko) 2022-07-29 2023-02-23 (주)드림엔지니어링 송전 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828B1 (ko)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 및 점검장치
CN201133960Y (zh) 水准测距棱镜
KR200436118Y1 (ko)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CN103117444A (zh) 场强天线弧形导轨角度调整测试架
CN210720724U (zh) 一种工程用手持式测距仪
KR200381978Y1 (ko) 송전철탑용 각입 오차 측정구
CN108168403A (zh) 便携式钢轨位移激光测量仪
CN212428085U (zh) 一种预埋套管快速精确定位装置
CN111576866A (zh) 一种预埋套管快速精确定位装置
CN102506669A (zh) 刀具角度测量仪
CN207894335U (zh) 便携式钢轨位移激光测量仪
CN202188829U (zh) 测量仪器量高设备
JP3658534B2 (ja) 建築限界測定器
CN213236646U (zh) 一种可调式工程测量标杆
CN204694251U (zh) 一种建筑用水平仪
JP2005010127A (ja) 支障物限界測定装置の架台
KR200403983Y1 (ko) 배관길이 측정용 타겟
CN203479264U (zh) 一种双块式轨枕套管中心距检测工具
CN219656807U (zh) 一种阀门行程位移的测量装置
CN211689703U (zh) 一种用于铁道工程轨枕间距的测量装置
CN109459247A (zh) 一种特种车辆结构与特征参数测量装置
CN208818133U (zh) 一种丝杆副间隙检测平台
CN217331161U (zh) 一种新型rtk测量辅助仪
CN2362101Y (zh) 带有对准垂球的三脚架
CN216977883U (zh) 一种城市规划用土地水平度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