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597Y1 -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597Y1
KR200435597Y1 KR2020060027379U KR20060027379U KR200435597Y1 KR 200435597 Y1 KR200435597 Y1 KR 200435597Y1 KR 2020060027379 U KR2020060027379 U KR 2020060027379U KR 20060027379 U KR20060027379 U KR 20060027379U KR 200435597 Y1 KR200435597 Y1 KR 200435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stop
unit
signal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섭
명관 이
Original Assignee
김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섭 filed Critical 김동섭
Priority to KR2020060027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5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pedals
    • B61L1/02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61L25/021Measuring and recording of train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40Handling position reports or trackside vehicl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7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vehicles or vehicle train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in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to release brake,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0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to release brake,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 B61L3/08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to release brake,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2Visible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7/00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 B61L7/06Remote control of local operating means for points, signal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using electrical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가 정위치 정차점에 정차하도록 유도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로를 따라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열차검출수단으로 이루어져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를 검출하는 열차검출부; 상기 열차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열차검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정위치 정차점과의 거리로부터 열차의 위치를 산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며 시각표시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열차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의 위치를 검출하여 정위치 정차점에 대한 열차의 위치를 표시하여줌으로써 열차의 정위치 정차를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정위치 정차점과 얼마만큼의 거리에 있는지의 여부, 정위치 정차점에 정차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정위치 정차를 유도하여 줌으로써, 첫째, 열차의 부정확한 정차로 인한 승객의 불편 및 승/하차시의 사고를 방지하고, 둘째, 운전자의 정차 운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며, 셋째, 정위치 정차를 위한 비 안전 제동 및 후진 운전을 방지하여 승차 품질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시간 지연을 방지하여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112006071909972-utm00001
열차, 정위치 정차, 정차 유도

Description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GUIDE SYSTEM FOR TRAIN STOPPING AT PLATFORM}
도 1 은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종래 열차 제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중 표시부의 구성을 나타 낸 도면,
도 6 은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중 표시부의 다른 구성을 타나낸 도면,
도 7 은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중 열차검출부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은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9 는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의 제어방법 중 속도, 감속도 검출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 정위치 정차점 110: 열차검출부
120: 전원공급부 130: 동작확인스위치부
140: 제어부 150: 고장검출부
160: 표시부 161: 문자표시부
162: 도형표시부 163: 점진표시부
164: 정위치표시부 165: 이상표시부
170: 출력제어부 N: 통신망
S110: 표시동작확인단계 S120: 고장검출단계
S130: 열차검출단계 S140: 위치산출단계
S150: 센서이상판단단계 S160: 표시단계
S170: 신호출력단계 S180: 속도검출단계
본 고안은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기차, 지하철, 전철, 고속철도 등 : 이하 "열차"라 함)가 정위치 정차점에 정차하도록 유도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정위치 정차점과 얼마만큼의 거리에 있는지의 여부, 정위치 정차점에 정차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정위치 정차를 유도하여 줌으로써 정차 위치 불량 및 비 안전 제동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사고 발생 및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열차의 정위치 정차 유무에 대한 정보, 또는 열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여 ATC(AUTOMATIC TRAIN CONTROL : 열차 자동 제어 장치),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 열차 자동 운전 장치) 등의 열차운행 제어장치나, 또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SCREEN DOOR SYSTEM)에 그 신호를 전송하여 열차가 정위치에 정차하였을 경우에 문이 열리도록 자동 제어함으로써 부정확한 정차 위치에서의 문 열림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비 안전 제동이라 함은, 제동으로 인한 승객의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제동을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제 정위치 정차점까지의 거리가 3m임에도 불 구하고 열차 제동 시스템이 5m로 인식하여 제동을 제어하게 되면, 운전자가 제동력을 높여 상기 3m 정차점에 제동을 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관성에 의해 편안함을 느끼는 범위를 넘어선 제동으로 인해 승객이 진행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데 이를 비 안전 제동이라 한다. 이하 같다.
주지하다시피 열차는 고도의 안전성과 정확성이 최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대량 운송 교통 수단으로, 열차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정확성을 높이며 운행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ATS(AUTOMATIC TRAIN STOP SYSTEM: 열차 자동 정지 장치), ATP(AUTOMATIC TRAIN PROTECTOR: 열차 자동 보호 장치), ATC, ATO 등과 같은 많은 열차운행 제어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더욱 높은 안전성과 정확성 및 운행 효율을 향상시키고 편리한 운전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열차의 안전성과 정확성은 열차의 출발에서 정차 시까지 전 과정에 걸쳐 요구되는 것으로 특히 승객이 승하차를 실시하는 승강장에 대한 정차 시의 안전성과 정확성은 승차감 향상과 승객 보호라는 측면에서 더욱 강조되는 사항이다.
실제로 운전 미숙, 또는 열차운행 제어장치의 부정확한 제어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 안전 제동은 승객의 부상을 야기하게 되며, 부정확한 정차는 승강장의 혼란을 야기하여 운행 효율을 저하시키고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역 구내에서의 열차 운행 정보 교환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열차를 이용한 승객 운송량이 많아짐에 따라 승강장 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스크린 도어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승강장 선단에 고정도어와 가동도어를 설치하여 승강장과 선로부를 차단함으로써 역사내의 승객안전과 공조효율 및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는 매우 유익한 설비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스크린 도어를 사이에 두고 승강장과 선로부를 완전히 차단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정확한 정위치 정차가 한층 요구되게 되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하다시피 국내 지하철의 경우 정위치 정차 오차범위를 좌우 35cm로 한정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스크린 도어가 제작 설치되므로 운전자는 상기 35cm의 오차범위 안에 열차를 정확히 정차시켜야만 상기 정위치 정차점을 근간으로 하여 마련된 승객의 탑승위치와 열차의 문 개폐 위치가 일치하게된다.
도2는 열차 제동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계통도로,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동제어부(1)와 주간제어기(2)에 접속된 제동신호분배기(3), 이 제동신호분배기(3)에 제동라인(6)를 통해 접속된 제동전자제어유닛(MICROPROCESSOR CONTROLLED ELECTRONIC CONTROL UNIT: ECU)(4) 및, 이 제동전자제어유닛(4)에 접속된 제동장치(5)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열차 제동 시스템은, ATC나 ATO와 같은 열차 운행 제어장치로부터 제동명령을 입력받는 제동제어부(1), 또는 승무원에 의해 조작되는 주간제어기(2)에서 제동명령이 발생되면 이를 제동신호분배기(3)를 통해 인코딩(ENCODING)하여 제 동선(6)을 통해 각 차량에 설치된 제동전자제어유닛(4)에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제동전자제어유닛(4)은 전송된 명령에 따라 제동장치(5)의 동작을 제어하여 열차의 제동을 실시한다.
이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게 되면, ATO 자동 운전의 경우 열차의 현재 위치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 및 편성 차량 수와 평균 하중 등을 계산하여 열차를 정위치 정차점(7)에 정차시키기 위해 필요한 제동력(제동감속도량)을 산출한 후 이를 제동제어부(1)를 통해 제동신호분배기(3)에 입력하게 된다.
제동신호분배기(3)는 상기 ATO에서 입력되는 제동신호를 인코딩하여 제동라인(6)에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동전자제어유닛(4)은 상기 제동라인(6)을 통해 전송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제동장치(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지령된 제동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수동운전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상기 주간제어기(2)를 조작하여 발생한 신호를 제동제어부(1)와 제동신호분배기(3)를 통해 인코딩하여 제동라인(6)을 통해 제동전자제어유닛(4)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최초 제동 신호 발생 주체가 운전자라는 것 외에는 상술한 동작과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차 제동 시스템은, 자동운전의 경우, 산출된 제동력과 실제의 제동력이 일치하지 않아 부정확한 제동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정위치 정차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운전의 경우에는 열차의 현재 속도와 정위치 정차점(7)까지의 거리, 도달 시간 및 편성차량 수와 평균 하중을 고려하여 제동력(제동감속도량)을 산출한다.
그러나, 열차의 하중은 열차 자체의 하중 외에 승하차가 빈번한 승객 수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열차 제동 시스템의 경우 승객을 포함한 객차의 무게를 4군데의 무게감지센서로 검출하여 그 평균하중을 이용하므로 결과적으로 정확한 하중을 산출할 수 없어 제동력 계산에 오류가 발생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 산출은 차륜의 마모 등으로 인하여 실제 거리와 열차가 인식하는 거리 사이에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한 정위치 정차 제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오차에 의한 거리 오차는 대략 좌우 1m에 이르게 되며, 이러한 1m의 오차범위는 상술한 오차범위 35cm를 훨씬 상회하는 것이다.
따라서, 열차가 정차 위치에 가까워지면 대부분의 경우 운전자가 정위치 정차점(7)을 눈으로 확인하며 정차를 시켰다.
그러나 수동운전의 경우에는 운전자의 숙련도와 감각에 전적으로 의존하여야 하므로 인해 고도의 숙련자가 필요함은 물론, 편안하고 부드러운 정차가 용이하지 않아 승차 품질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승강장마다 구조가 상이하고, 스크린 도어 시스템 설치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제약을 받게 되어 정위치 정차점(7) 인식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이 로 인해 정위치 정차가 더욱 어려워지게 되었다.
스크린 도어가 설치된 승강장의 경우 정위치 정차를 하지 못하여 스크린 도어 개폐 위치와 열차 도어 개폐 위치가 어긋나게 되면 승객의 승하차 혼잡을 야기하여 사고를 유발함은 물론, 휠체어 같은 경우에는 아예 승하차를 못하게 된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스크린 도어 시스템이 설치된 모 전철역에서 정위치 정차를 위해 전진과 후진을 10분 동안이나 반복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순환노선 전체에 대해 출근길 정체를 10분씩이나 빚은 적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열차를 정위치 시키기 위한 안내장치가 없어 열차의 정차를 운전자의 감각 및 숙련도에 의존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부정확한 정차 및 비 안전 제동을 실시하게 되어 승차 품질을 저하시키고 승객 부상을 야기하게 됨은 물론, 승강장의 혼란을 야기하여 운행효율을 저하시키고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정위치 정차점과 얼마만큼의 거리에 있는지의 여부, 정위치 정차점에 정차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정위치 정차를 유도하여 줌으로써, 첫째, 열차의 부정확한 정차로 인한 승객의 불편 및 승/하차시의 사고를 방지하고, 둘째, 운전자의 정차 운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며, 셋째, 정위치 정차를 위한 비 안전 제동 및 후진 운전을 방지 하여 승차 품질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시간 지연을 방지하여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의 열차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정위치 정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열차운행 제어장치에 출력하여 이를 기반으로 열차 문 개폐 제어 동작 및 스크린 도어 개폐 제어 동작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부정확한 정차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열차를 검출하는 열차검출수단을 선로를 따라 다수 개 설치한 후, 이 열차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값에 따라 열차의 위치 및 정위치 정차 여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줌으로써 운전자가 열차의 위치 및 정위치 정차점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여 정확한 정위치 정차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 대한 신호를 ATC나 ATO와 같은 열차운행 제어장치로 출력함으로써 정확한 개폐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은,
선로를 따라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열차검출수단으로 이루어져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를 검출하는 열차검출부;
상기 열차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열차검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정위치 정차점과의 거리로부터 열차의 위치를 산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며 시각표시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열차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승강장에 진입하는 열차의 위치를 검출하여 정위치 정차점에 대한 열차의 위치를 표시하여줌으로써 열차의 정위치 정차를 유도하는 것;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표시부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동작확인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동작확인스위치부는, 필요시 사용자가 상기 동작확인스위치부를 이루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표시부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이를 상기 제어부가 인가받아 표시부를 점등시키는 것으로, 이로 인해 표시부를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표시 소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시험하기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정상동작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고장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고장검출부는 표시부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정상 동작 여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나타내줌으로써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 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를 이루는 표시수단이 램프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램프의 단선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줌으로써 표시부의 고장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나, 또는 정위치 정차 여부에 대한 데이터나, 또는 동작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신호출력부는, 첫째, 열차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나 정위치 정차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이나 또는, ATC, ATP, ATO 같은 열차운행 제어장치에 전송하여 열차의 문 개폐 제어나 스크린도어 개폐 제어를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부정확한 정차 위치에서의 문 열림, 또는 스크린도어의 열림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둘째, 본 고안에 의한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의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데이터나 열차 위치에 대한 데이터, 또는 정위치 정차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망(전용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실로 전송함으로써 이력관리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이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운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열차검출부의 열차검출수단은, 휠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또는 광센서, 또는 자기센서, 또는 도플러센서, 또는 근접센서 중 필요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열차의 바퀴를 검출하는 공지의 휠센서나, 자기센서, 또는 공지의 초음 파 도플러센서나 광 도플러센서, 또는 광센서, 초음파센서 등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열차를 검출하는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된 광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입출력단자와, 연산모듈, 메모리 및 경우에 따라 통신모듈이나 A/D 컨버터 기능, 또는 워치독(WATCH-DOG)기능을 갖춘 마이컴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모리는 마이컴의 내부 메모리 또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를 받는 외부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 등으로 구성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차검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정위치 정차점과의 거리로부터 열차의 현재 위치와 정위치 정차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정위치 정차점까지의 거리를 표시부를 통해 숫자나 문자, 또는 그래픽 형태로 나타내줌으로써 정위치 정차점까지의 거리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차검출부를 이루는 열차검출수단이 두 개 이상일 경우 각 열차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열차검출수단의 정상동작 여부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상기 열차검출부의 고장여부를 검출하여 이를 표시부를 통해 나타내 줌으로써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5개의 열차검출수단으로 상기 열차검출부를 구성하였을 경우,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여 정차하였다가 출발하여 승강장 진출을 완료하였을 때까지 상기 5개의 열차검출수단에서 열차 검출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이를 해당 열차검출수단에 대한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나타내거나 또는 신호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이력관리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차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열차 검출에 대한 신호와, 열차의 설치 위치(거리)에 대한 신호와, 열차 통과 시간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열차의 속도, 또는 감속도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순차적으로 설치된 2개의 열차검출수단을 통과하는 열차의 위치 및 시간으로부터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고, 그 다음번째의 열차검출수단을 통과하는 열차의 속도, 위치 및 시간으로부터 감속도를 산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표시부에 출력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줌으로써 열차의 정위치 정차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차검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정위치 정차점과의 거리로부터 열차가 승강장에 정차하는 지의 여부, 또는 승강장에 정차하던 열차가 출발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열차의 정차, 또는 출발을 나타내줌으로써 운전 편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정위치 정차점을 기점으로 정차 허용 오차 범위(예: 좌우 35cm) 내에 열차가 정차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열차검출부를 통해 열차의 진행방향을 산출하여, 상기 정위치 정차점을 기점으로 하여 정차 허용 오차 거 리 이내에 정차하는 과정을 열차의 "정차과정"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차 허용 오차 거리 이내에 소정의 시간 이상 정차하였다가 움직이면 이를 열차의 "출발과정"으로 판단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용교류전원을 소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상용교류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 동작하는 비상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보통 때는 상기 정류부를 통해 변환한 전원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다가, 상기 상용교류전원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을 경우에는 상기 비상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비상전원부는 축전기 및 충전회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발전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는, 열차의 정위치 정차점을 표시하는 정위치표시부와, 열차의 위치와 정위치 정차점과의 거리를 점진적으로 표시하는 점진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열차의 정차 과정에 대한 신호나, 또는 출발 과정에 대한 신호나, 또는 본 고안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에 대한 신호 중 필요에 따라 선택된 사항을 문자, 또는 숫자로 나타내는 문자표시부; 또는, 상기 열차의 정차 과정에 대한 신호나, 또는 출발 과정에 대한 신호나, 또는 본 고안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에 대한 신호 중 필요에 따라 선택된 사항을 도형이나 그림으로 나타내는 도형표시부; 또는, 본 고안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가 정 상적이지 않을 경우 이를 나타내는 이상표시부; 중 필요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표시부는 열차의 정차 과정에 대한 신호나, 또는 출발 과정에 대한 신호나, 또는 본 고안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에 대한 신호를 문자나 숫자, 또는 그림이나 도형을 통해 나타내줌으로써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열차의 위치에 대한 표시나, 또는 정위치 정차점과의 거리에 대한 표시나, 또는 정위치 정차 여부에 대한 표시나, 또는 "정차과정"인지의 여부에 대한 표시나, 또는 "출발과정"인지의 여부에 대한 표시를 문자표시부와 도형표시부를 통해 문자나 숫자, 또는 그림이나 도형으로 나타내고, 열차검출부나 표시부의 고장상태를 이상표시부를 통해 나타내줌으로써 열차의 정차과정이나 정위치 정차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시켜 정위치 정차를 유도하거나 또는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나타내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를 검출하는 열차검출부와, 열차의 위치 및 정위치 정차여부를 검출하는 제어부와, 열차의 위치 및 정위치 정차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와, 전원공급부 및, 경우에 따라 동작확인스위치부, 또는 고장검출부, 또는 출력제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를 검출하여 정위치 정차점에 대한 열차의 위치를 나타내줌으로써 열차의 정위치 정차를 유도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시스템은,
상기 열차검출부를 통해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존재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열차검출단계;
상기 열차검출단계를 수행한 결과 열차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열차검출부에서 입력되는 열차 검출에 대한 신호와, 정위치 정차점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정위치 정차점에 대한 열차의 위치를 산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산출단계; 및,
상기 위치산출단계를 수행하여 산출한 열차 위치에 대한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나타내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동작확인스위치부의 스위치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스위치가 온 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의 모든 시각 표시 소자를 점등시키는 표시동작확인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표시동작확인단계는, 필요시 상기 동작확인스위치부의 스위치를 눌러 표시부를 구성하는 모든 표시 소자(예: 램프, LED, LCD 등)를 점등시킴으로써 표시부의 표시 소자가 정상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부를 통해 표시부를 이루는 표시 소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 를 출력하는 고장검출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고장검출단계는 표시부를 이루는 각 표시 소자의 정상동작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표시부를 통해 나타내거나, 또는 관리실로 전송하여줌으로써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표시부를 이루는 램프나 LED에 전원을 인가하여 단선 여부 및 노화 정도를 검출하여 교체 시기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열차검출부를 이루는 열차검출수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이상판단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센서이상판단단계는, 상기 열차검출부에서 인가되는 열차검출수단의 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열차가 통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나타내지 않는 열차검출수단이 존재할 경우 이를 해당 열차검출수단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부를 통해 열차 위치에 대한 데이터나, 또는 정위차 정차 여부에 대한 데이터나, 또는 동작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설치된 2개의 열차검출수단의 설치위치와 열차 통과 시간으로부터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의 과정을 통해 산출한 2개의 열차 속도와 열차통과 시간 및 열차검출수단의 설치 위치로부터 열차의 감속도를 산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검출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 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단계에서 열차 위치에 대한 신호를 나타낼 경우에는, 정위치 정차점을 기점으로 한 열차의 위치를 문자나 숫자, 또는 도형을 통해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정위치 정차점과의 거리를 숫자로 나타내거나, 또는 점진적으로 점등되는 램프나 LED를 통해 나타내거나, 또는 도형을 통해 나타냄으로써 운전자가 정위치 정차점과 열차와의 거리 및 정위치 정차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은, 특히,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위치를 검출하여 정위치 정차점에 대한 열차의 위치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운전자의 정위치 정차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열차검출부, 전원공급부, 동작확인스위치부, 제어부, 고장검출부, 표시부 및 출력제어부로 구성한다.
이는, 상기 구성 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략하여 구성하는 실시예는 본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하여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열차검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된 광센서 17개를 선로를 따라 설치하여 구성하며, 전원공급부는 정류부와 비상전원부로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확인스위치부는 1개의 푸시버튼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하며, 표시부는 문자표시부, 도형표시부, 점진표시부, 정위치표시부 및, 이상표시부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점진표시부는 열차검출부를 이루는 17개의 열차검출수단이 일대일로 대응된 17개의 섹션으로 구분하여 정위치 정차점에 대한 열차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장검출부는 상기 표시부를 이루는 램프나 LED 또는 세븐세그먼트의 단선 여부 및 노후정도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도록 출력하도록 구성하며, 출력제어부는 그 출력신호를 열차운행 제어장치와, 스크린 도어 시스템 및 관리실로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탑재한 마이컴으로 구성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과 도3 및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차검출부(110)를 이루는 17개의 열차검출수단(S1~S17)을 선로를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열차검출수단(S1~S17)의 출력단과 동작확인스위치부(130)의 출력단을 제어부(140)에 접속하고, 상기 제어부(140)의 신호 출력단에 표시부(160)와 출력제어부(170)를 접속하며, 고장검출부(150)를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또한, 열차의 "정차과정"과 "출발과정"을 문자로 나타내고(161a, 161d), 열차의 위치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를 숫자로 나타내는(161b, 161c) 문자표시부(161)와, 정위치 정차점(7)을 나타내는 정위치표시부(164)와, 열차의 정위치 여부를 도형으로 나타내는(162a, 162b) 도형표시부(162)와, 표시부(160)의 각 표시 소자나 열차검출부(110)를 이루는 각 열차검출수단(S1~S17)의 정상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이상표시부(165) 및, 열차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를 점진적인 표시로 나타내는(D1~D17) 점진표시부(163)로 상기 표시부(160)를 구성하고, 정류부(121)와 비상전원부(122)로 전원공급부(120)를 구성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열차검출수단(S1~S17)은 열차가 정위치 정차점(7)에 정차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좌우로 각기 200cm 씩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열차검출수단(S1~S17)의 열차 검출을 상기 표시부(160)의 점진표시부(163)를 이루는 각 표시 소자(D1~D17)에서 일대일로 대응하여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도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차검출수단 (S9)이 열차를 검출하였을 경우를 정위치 정차점으로 하여 좌측으로 10cm + 10cm + 15cm + 25cm + 35cm + 35cm + 35cm + 35cm의 간격으로 8개의 열차검출수단(S1 ~ S8)을 설치하고, 우측으로 상기의 설치 위치와 대칭되도록 8개의 열차검출수단(S10 ~ S17)을 설치한다.
또한, 정위치 정차 허용 오차내에 있는 열차검출수단(S6 ~ S12)이 열차를 검출하였을 경우에는 점진표시부(163)를 이루는 각 표시 소자(D1 ~ D17) 중 (D6 ~ D12)의 표시 소자를 녹색으로 점등하여 나타내도록 하고, 그 외에는 적색으로 점등되도록 표시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정위치 정차 허용 오차내에 있는 열차검출수단(S6 ~ S12)이 열차를 검출하였을 경우에는 도형표시부(162)의 도형 표시 소자(162a)를 점등시켜 "O"를 나타내도록 하고, 그 외에는 "X"(162b)를 나타내도록 한다.
또한, 열차가 "정차과정"에 있을 경우에는 문자표시부(161)의 문자 표시 소자(161d)를 통해 정차 중임을 나타내는 글자 "정차"가 점등되도록 함과 동시에 열차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를 숫자 표시 소자(161c)를 통해 나타내고, "출발과정"에 있을 경우에는 문자표시부(161)의 문자 표시 소자(161a)를 통해 출발 중임을 나타내는 글자 "출발"이 점등되도록 함과 동시에 열차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를 숫자 표시 소자(161b)를 통해 나타내도록 설정하여 운전자가 열차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정위치표시부(164)는 표시부(160)에서 열차의 정위치 정차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항상 점등되어 있다.
문자표시부(161) 중 숫자 표시 소자 (161a)는 정위치 정차점(7)에 도달하기 위해 남은 거리를 나타내며, (161b)는 열차가 정위치 정차점(7)을 지나쳤을 경우 열차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출력제어부(170)는 ATC, ATP, ATO 등과 같은 열차운행 제어장치(8)와, 스크린 도어 시스템(9) 및 통신망(N)(전용망,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실(1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부(140)를 이루는 마이컴(141)의 직렬, 혹은 병렬통신 포 트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기타 직렬, 혹은 병렬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통신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고장검출부(150)는, 표시부(160)를 이루는 각 표시소자(램프, LED 등)의 단선 및 노화 정도를 검출하는 공지의 단선검출회로(미도시)로 이루어 지는 것으로, 주기적으로 상기 각 표시부(160) 표시소자에 미약 전원을 인가하여 그 전류의 흐름 및 양으로부터 단선 여부 및 노후 정도를 검출하도록 한다.
즉, 전류의 흐름이 없을 경우에는 단선으로 판단하고, 전류 흐름이 변화되었을 경우에는 노후로 판단하는 것으로, 이러한 단건검출회로의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부(140)를 이루는 마이컴(141)의 내부메모리, 또는 상기 마이컴(141)의 제어를 받은 외부메모리(미도시)에 열차검출수단(S1~S17)의 설치위치 및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에 대한 데이터와 열차의 정차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마이컴(141)은 도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동작확인단계(S110)를 수행하여, 상기 동작확인스위치부(130)의 푸쉬버튼스위치(SW1)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상기 푸쉬버튼스위치(SW1)가 온(ON) 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그 시간동안 상기 표시부(160)의 모든 시각 표시 소자를 점등시킨다.
즉, 상기 푸쉬버튼스위치(SW1)를 누르면 이를 상기 마이컴(141)에서 검출하여 누르고 있는 시간동안 상기 표시부(160)를 이루는 모든 표시 소자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상기 표시부(160) 각 표시 소자의 정상 동작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동작확인단계(S110)를 수행한 후에는 고장검출단계(S120)를 수행하여 상기 고장검출부(150)를 통해 표시부(160)를 이루는 표시 소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표시부(160)의 이상표시부(165)를 통해 나타내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60)를 이루는 각 표시 소자에 미약 전류를 흘려서 그 전류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전기가 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이를 해당 표시 소자의 단선으로 판단하고, 평소와는 다른 양의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그 표시 소자의 노후로 판단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표시부(160)의 이상표시부(165)를 통해 나타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상표시부(165)의 점등을 관리자가 인지하여 상기 동작확인스위치부(130)를 통해 이상이 있는 표시 소자를 검출하여 교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해당 표시 소자에 대한 이상 동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통신망(N)을 통해 관리실(10)로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인지시켜줌으로써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장검출단계(S120)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열차검출부(110)를 통 해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열차검출단계(S130)를 수행한다.
상기 열차검출단계(S130)를 수행한 결과 열차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열차검출부(110)에서 입력되는 열차 검출에 대한 신호와, 정위치 정차점(7)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정위치 정차점(7)에 대한 열차의 위치를 산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산출단계(S140)와, 센서이상판단단계(S150) 및, 상기 위치산출단계(S140)를 수행하여 산출한 열차 위치에 대한 신호와 고장검출단계(S150)를 수행한 결과를 상기 표시부(160)에 나타내는 표시단계(S160)를 수행한다.
이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여 첫 번째 열차검출수단(S1)을 지나게 되면, 상기 열차검출수단(S1)에서 이를 검출하여 마이컴(141)으로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컴(141)은 점진표시부(163)의 첫 번째 표시 소자(D1)를 점등시켜 이를 나타냄과 동시에 "정차과정"으로 판단하여 문자표시부(161)의 "정차"(161d) 문자를 점등시켜 정차중임을 나타내고, 도형표시부(162)의 "X"도형(162b)을 점등시키며, 상기 첫 번째 열차검출수단(S1)과 정위치 정차점(7)까지의 거리를 독출하여 문자표시부(161)의 숫자 표시 소자(161c)를 통해 이를 나타내게 된다.
첫 번째 열차검출수단(S1)의 설치위치는 정위치 정차점(7)으로부터 200cm 떨어져 있으므로 상기 세븐세그먼트(161c)에는 200cm가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열차가 두 번째 열차검출수단(S2)의 설치 위치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D1), (D2), (161d)를 점등시키고, "X"도형(162b)을 점등시키며, (161c)를 통해 열차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 165cm를 표시하여 준다.
열차가 여섯 번째 열차검출수단(S6)의 설치 위치에 도달하였을 경우에는 (D1) ~ (D6), (161d), (162a)를 점등시키고, (161c)를 통해 열차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 35cm를 표시하여 준다.
이후, 열차가 일정시간(역 구내 열차 정차시간) 정차하였다가 출발하게 되면 이를 "출발과정"으로 판단하여 문자표시부(160)의 문자 표시 소자 (161a)를 점등시켜 "출발"임을 나타내주고, 열차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를 숫자 표시 소자 (161b)를 통해 나타내주게 된다.
예를 들어, 열차가 (S11)의 위치에서 출발할 경우에는 (D1) ~ (D11), (161a), (162a)를 점등시키고, (161b)를 통해 열차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 20cm를 표시하여 준다.
마찬가지로 열차가 (S15)의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D1) ~ (D15), (161a), (162b)를 점등시키고, (161b)를 통해 열차와 정위치 정차점(7)과의 거리 135cm를 표시하여 준다.
한편, 상기 위치산출단계(S140)를 수행한 결과 열차가 통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열차검출수단이 존재하면 상기 센서이상판단단계(S150)에서 이를 해당 열차검출수단의 고장으로 인식하여 표시부(160)를 통해 이를 나타내게 된다.
즉, 이상표시부(165)와 해당 열차검출수단에 일대일로 대응된 표시 소자를 점멸시켜 그 이상 여부 및 위치를 나타내주는 것으로, 예를 들어, (S6)의 열차검출수단이 열차를 검출하였다는 신호를 출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S5)에서 열차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이를 해당 열차검출수단의 동작 이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상표시부(165)와, 표시 소자 (D6)을 점멸시켜 나타내게 된다.
상기 표시단계(S160)를 수행한 후에는 신호출력단계(S170)을 수행하여 상기 신호출력부(170)를 통해 열차 위치에 대한 데이터나, 또는 정위차 정차 여부에 대한 데이터나, 또는 동작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의 각 제어단계에서 검출 및 산출한 데이터를 통신망(N)을 통해 관리실(1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이력관리를 수행하도록 하고, 열차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나 정위치 정차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열차운행 제어장치나 스크린 도어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문 개폐 제어나 스크린도어 개폐제어, 또는 기타의 제어에 활용토록 함으로써 부정확한 정차 위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은, 특히,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위치를 검출하여 정위치 정차점과 얼마만큼의 거리에 있는지의 여부, 정위치 정차점에 정차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은 물론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정위치 정차를 유도하여 줌으로써 정차 위치 불량 및 비 안전 제동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사고 발생 및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열차검출수단으로 광센서를 사용하고 그 수를 17개로 한정하며, 그 설치 위치 또한 극히 제한된 범위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즉,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열차를 검출하는 기타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열차검출부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수와 설치 장소에 대해서도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많은 수의 열차검출수단을 사용하여 열차검출부를 구성하거나, 또는 지속적으로 열차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도플러 센서 하나로 열차검출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열차검출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통해 정위치 정차점에 대한 열차의 위치를 검출하여 나타내었으나, 정위치 정차점에 대한 거리는 물론 열차의 속도나 감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나타낼 수 있음을 밝혀둔다.
즉, 도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열차검출수단의 신호와 그 지점을 통과하는 열차의 시각 및 거리 데이터로부터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고, 두 개의 속도와 시각 및 거리 데이터로부터 열차의 감속도를 산출하여 나타낼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열차검출수단과 표시부 표시소자를 일대일 로 대응시켜 나타내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극히 한정된 문자와 숫자 및 도형 등을 통해 표시부를 구성하고, LED나 및 세븐세그먼트를 통해 표시 소자를 구성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부를 도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로로 배열하여 구성하였으나 도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로로 구성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환경에 따라 임의의 형태로 제작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를 마이컴을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나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은, 특히,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정위치 정차점과 얼마만큼의 거리에 있는지의 여부, 정위치 정차점에 정차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정위치 정차를 유도하여 줌으로써, 첫째, 열차의 부정확한 정차로 인한 승객의 불편 및 승/하차시의 사고를 방지하고, 둘째, 운전자의 정차 운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며, 셋째, 정위치 정차를 위한 비 안전 제동 및 후진 운전을 방지하여 승차 품질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시간 지연을 방지하여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2)

  1. 선로를 따라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열차검출수단으로 이루어져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를 검출하는 열차검출부;
    상기 열차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열차검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정위치 정차점과의 거리로부터 열차의 위치를 산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며 시각표시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열차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표시부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동작확인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정상동작여부 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고장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열차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나, 또는 정위치 정차 여부에 대한 데이터나, 또는 동작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검출부의 열차검출수단은, 휠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또는 광센서, 또는 자기센서, 또는 도플러센서, 또는 근접센서 중 필요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차검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정위치 정차점과의 거리로부터 열차의 현재 위치와 정위치 정차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차검출부를 이루는 열차검출수단이 두 개 이상일 경우 각 열차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열차검출수단의 정상동작 여부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차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열차 검출에 대한 신호와, 열차의 설치 위치에 대한 신호와, 열차 통과 시간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열차의 속도, 또는 감속도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차검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정위치 정차점과의 거리로부터 열차가 승강장에 정차하는 지의 여부, 또는 승강장에 정차하던 열차가 출발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상용교류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 동작하는 비상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열차의 정위치 정차점을 표시하는 정위치표시부와, 열차의 위치와 정위치 정차점과의 거리를 점진적으로 표시하는 점진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열차의 정차 과정에 대한 신호나, 또는 출발 과정에 대한 신호나, 또는 본 고안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에 대한 신호 중 필요에 따라 선택된 사항을 문자, 또는 숫자로 나타내는 문자표시부; 또는, 상기 열차의 정차 과정에 대한 신호나, 또는 출발 과정에 대한 신호나, 또는 본 고안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에 대한 신호 중 필요에 따라 선택된 사항을 도형이나 그림으로 나타내는 도형표시부; 또는, 본 고안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이를 나타내는 이상표시부; 중 필요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KR2020060027379U 2006-09-30 2006-09-30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KR200435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379U KR200435597Y1 (ko) 2006-09-30 2006-09-30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379U KR200435597Y1 (ko) 2006-09-30 2006-09-30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411A Division KR100756269B1 (ko) 2006-04-13 2006-04-13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597Y1 true KR200435597Y1 (ko) 2007-02-01

Family

ID=4161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379U KR200435597Y1 (ko) 2006-09-30 2006-09-30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5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40B1 (ko) 2014-05-13 2014-09-26 박현수 선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선로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40B1 (ko) 2014-05-13 2014-09-26 박현수 선로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선로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269B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1600613A (zh) 用于铁路车辆系统的远程辅助操作的系统、方法和计算机软件代码
WO2022032923A1 (zh) 轨道交通车辆、轨道交通车辆车门控制方法及系统
CN1302978C (zh) 用于电梯乘客撤离的装置
KR101654354B1 (ko) 역사 감시부와 연동되는 철도신호 시스템
CN113401181A (zh) 一种适用于多种制式信号系统验证的实现系统与方法
KR100756187B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5317310A (zh) 基于机器视觉的屏蔽门和列车门防夹超限监控系统及方法
KR20120118653A (ko) 열차 운행 제어시스템
KR100529791B1 (ko)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KR100475625B1 (ko)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KR200435599Y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자동 제어 시스템
KR100633392B1 (ko) 스크린도어 제어시스템
KR101701232B1 (ko) 버스 승객 수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35597Y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유도 시스템
KR20060066691A (ko) 열차 정차 유도 장치
KR102136359B1 (ko) 열차 진입 가이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차 진입 가이드 제어 방법
KR20060058517A (ko) 전동차 정차 위치 제공 시스템
KR101255503B1 (ko) 교차로 주행 안전을 위한 교통 신호기 및 그의 제어방법
RU2468951C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KR100840304B1 (ko) 2단 스크린 도어를 이용한 정위치 정차 오차 제어장치
KR101550239B1 (ko) 단등형 3현시 led 신호기를 이용한 열차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970429B1 (ko) 전동차 정위치 정차 검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37335B1 (ko) 승강장의 낙하물 검지 시스템
RU2577196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сообщений в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ных системах управления и диагности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