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567Y1 - 강관 - Google Patents
강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5567Y1 KR200435567Y1 KR2020060025347U KR20060025347U KR200435567Y1 KR 200435567 Y1 KR200435567 Y1 KR 200435567Y1 KR 2020060025347 U KR2020060025347 U KR 2020060025347U KR 20060025347 U KR20060025347 U KR 20060025347U KR 200435567 Y1 KR200435567 Y1 KR 2004355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welding
- reinforcing
- present
- streng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4—Reinforced pip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관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강관의 빈 내부에 링, 스프링, 판재 등의 보강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전단강도, 비틀림강도,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과, 상기 강관의 제조공정 중 벤딩공정에서 롤러에 링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관, 비닐하우스, 구조용 기둥, 전단강도, 휨강도
Description
도 1은 비닐하우스용 파이프로 사용된 일반적인 강관의 변형 전과 변형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6은 제1용접단계 후 일부가 벤딩되고 있는 강관의 평면도,
도 7은 벤딩 단계의 정면도,
도 8은 제2용접단계 후의 강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 강관 120 - 보강링
220 - 보강판재 320 - 보강스프링
B - 베이스 롤 R - 롤러
G - 링 삽입홈
본 고안은 강관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강관의 빈 내부에 링, 스프링, 판재 등의 보강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전단강도, 비틀림강도,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과, 상기 강관의 제조공정 중 벤딩공정에서 롤러에 링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구조용 기둥이나 보 트러스(truss) 또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에 사용되는 강관은 일반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강관의 생산공법으로는 ERW(Electric Resistance Welding) 공법, Spiral 공법, Roll Bending 공법 등이 있다. 특히, 소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는 상온에서 강관코일을 풀고 롤러에서 파이프의 형상으로 굽힌 후, 고주파로서 전기 저항에 의한 발열을 이용해서 용접하여 제조하는 ERW(전기저항용접) 공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강관은 용도에 따라 단면이 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된다. 강관의 재질로는 구조용으로 사용될 때 고강도와 고탄성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주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아연 등이 도금된 탄소강이 사용된다.
도 1은 비닐하우스용 파이프로 사용된 일반적인 강관의 변형 전과 변형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설치 당시의 비닐하우스용 파이프는 정상 형태의 강관(10)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태풍이나 폭설 등 자연재해로 인해 외력이 가해져 변형되면 휜 형태의 강관(30) 형상을 하게 된다. 특히 폭설시에는 상부 하중이 과도하게 걸리므로 중앙부(M)와 양 옆의 횡 가대부(S1, S2)에 집중 모멘트가 가해져서 도 1과 같이 변형되기 쉽다. 변형 부위(35)를 확대한 부분을 참조하면, 이러한 강관의 내부는 비어 있기 때문에 관의 단면이 눌려 외경과 내경이 작아지면서 접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그 특성상 아치 형상으로 설치되는 관계로, 고강도 강관의 사용시 굽힘이 힘들기 때문에 열연 강관을 사용하게 된다. 열연 강관은 강도와 탄성이 약하기 때문에 처지거나 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최근에는 전지구적으로 이상 기후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여름철 태풍과 겨울철 폭설에 의한 위험이 한층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비닐하우스의 파이프로는 내경 22~32mm의 아연도금 강관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관은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내경 22mm에 두께 1.2mm가 주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매년 자연재해시 비닐하우스가 내려앉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현재는 내경이 25~27mm, 더 크게는 32mm에 두께 1.8mm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강관의 규격을 키워서 사용하게 되면 비용이 증가하여 농민들의 부담이 가중되며, 이는 농업 경쟁력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관의 규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단강도와 비틀림강도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강관의 빈 내부에 링, 스프링, 판재 등의 보강부재를 삽입함으로 써, 전단강도, 비틀림강도,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과, 상기 강관의 제조공정 중 벤딩공정에서 롤러에 링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은 구조용 강관에 있어서, 상기 강관의 내부에는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용접에 의해 상기 강관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보강링, 보강판재, 보강스프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링 또는 상기 보강판재는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강관의 단면 내경의 10배 이내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강관의 제조장치는 베이스 롤(base roll); 및 상기 베이스 롤 위에 강관을 올려놓고 상기 강관을 벤딩하기 위한 롤러를 포함하는 강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강관에 용접된 보강링의 위치고정을 위한 링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 삽입홈은 상기 보강링 두께 이하의 깊이로 상기 롤러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 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100)은, 도 2a를 참조하면, 내부에 보강링(120)이 삽입된다. 상기 보강링(120)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재가 벤딩(vending)되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링(120)은 강관(100)의 내주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용접은 저항용접, 레이저용접 등에 의할 수도 있으나, 전기압접, 즉 전기아크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접합강도확보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용접부위는 도 2b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20)의 양측 중앙부(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강링(120)과 강관(100)의 양측 단부끼리의 용접은 모살용접(fillet welding)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살용접은 맞댄용접(butt welding)과 달리, 두 용접살이 하나의 평면상에 있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이룰 때 이루어지는 용접 방식이다. 전기압접과 모살용접의 용접부위는 서로 마주보게 된다. 상기 보강링(120)은 강관(1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굴곡강도가 뛰어난 아연도금 탄소강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관(10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보강링(120)은, 도 2b를 참조하면,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링(120)은 강관(100)의 단면 내경의 10배 이내의 거리로 서로 이격된다. 이와 같은 적정 간격을 파악하기 위해 대나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닐하우스는 아치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태풍이나 폭설이 심한 경우 상단부 또는 양측부가 주저앉는 현상이 흔히 발생한다. 본 출원인은 강풍이나 폭설 등의 열악한 자연환경에서도 부러지지 않고 유연하게 형상을 유지하는 대나무에서 그 아이디어를 얻게 되었다. 수개의 대나무 시편을 통해 마디간격과 단면내경을 측정한 결과, 평균 마디간격은 대나무 하단 내경의 대략 10배 이내였다. 이를 강관에 동일하게 적용하면, 상기 보강링(120) 사이의 간격도 강관(100) 내경의 10배 이내로 배열,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간격은 모두 동일할 필요가 없으며, 전단력의 강도에 따라 조정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강관(100)이 비닐하우스 파이프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중앙부와 양 좌대부가 변형되기 쉬우므로, 이러한 부분에 보강링(120)이 조밀하도록 배열될 것이다.
이와 같이 강관(100)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보강링(120)을 삽입한 결과, 내부가 빈 일반 강관에 비해 초기 강성이 26~30% 증가하였다. 또한, 상기 강관(100)은 최대 내력이 대략 20% 정도 증가하여 휨강도가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보강링(120) 대신 보강판재(220)가 강관(200) 내부에 삽입된다는 점 이외에는 도 2a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200)은, 도 3을 참조하면, 내부에 보강판재(22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보강판재(220)는 강관(200)의 내주면과 대략 수직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강판재(22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강관의 단면 형상이 원형상이 아닌 다각형상인 경우 보강판재 또한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판재(220)는 평판 형상의 강관(200) 내측면에 전기압접에 의해 용접된 후, 강관(200)을 원기둥 형상으로 벤딩하고, 강관(200)의 양측 단부와 보강판재(220)의 접촉부분을 모살용접함으로써 부착된다. 한편, 상기 보강판재(220)는 원기둥 형상의 강관(200)을 절개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한 후, 내부에 삽입, 용접되는 방식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보강판재(220)의 용접 후에는 이등분된 강관(200)끼리 용접하는 과정이 더 필요함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판재(220) 또한,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삽입되며, 바람직하게는 이격거리가 강관(200) 내경의 대략 10배 이내로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강관(200)은 전단강도, 휨강도 및 비틀림강도가 향상되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견고하게 견딜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보강링(120) 대신 보강스프링(320)이 강관(300)의 내부에 삽입된다는 점 이외에는 도 2a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300)은, 도 4를 참조하면, 내부에 보강스프링(320)이 삽입된다. 상기 보강스프링(320)은 미리 제작되어 있어, 강관(300) 내부에 삽입하고 용접하는 방식으로 부착된다. 상기 보강스프링(320) 또한, 보강링(120)과 보강판재(2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스프링(320)은 강관(300) 내부 전체에 삽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보강스프링(320)의 탄성계수는 외력에 의해 상당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견딜 수 있을 만큼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스프링(320)은 강관(300) 내부에 적어도 2곳 선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벤딩된 강관(300)의 양측 단부 연결시에는 모살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강관(300)은 삽입된 보강스프링(320)에 의해 전단강도, 휨강도 및 비틀림강도가 향상되며 변형시에도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용접단계 후 일부가 벤딩되고 있는 강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벤딩 단계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용접단계 후의 강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a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보강부재로 보강링이 사용된 경우)의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 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제조방법은, 도 5를 참조하면, 언코일링(uncoiling) 단계(S10), 레벨링(leveling) 단계(S20), 절단 단계(S30), 보강부재 삽입단계(S40), 제1용접단계(S50), 벤딩 단계(S60), 제2용접단계(S70), 및 용접부위 열처리 및 냉각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언코일링 단계(S10)는 강관(100) 제조를 위해 강관제조용 코일을 펼치는 단계이다. 강관 제조를 위한 판재는 취급과 운반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원기둥 형태로 권취되어 있다. 따라서, 강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코일을 평판 형상으로 펼쳐야 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강관제조용 코일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롤러를 이용하여 언코일링 될 수 있다.
상기 레벨링 단계(S20)는 언코일링 단계(S10)를 통해 풀린 강관제조용 판을 평판 형상으로 평탄화하는 단계이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레벨링 단계(S20)는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롤러 사이로 강관제조용 판을 통과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단 단계(S30)는 레벨링 단계(S20)를 통해 평탄화된 강관제조용 판을 제조하고자 하는 규격에 맞도록 절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절단 단계(S30)는 강관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닐하우스 파이프용으로 제조될 경우 최종 파이프의 내경과 외경을 고려하여 절단 규격이 정해진다.
상기 보강부재 삽입단계(S40)는 절단 단계(S30)를 통해 적정 규격으로 절단된 강관(100)의 내주면이 될 면에 보강부재(120)를 배열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강 부재(120)는 복수개가 적절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며, 그 간격은 강관(100)의 내경의 10배 이내가 바람직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제1용접단계(S50)는, 도 6을 참조하면, 보강부재 삽입단계(S40)를 통해 적절한 간격으로 배열된 보강부재(120)를 강관(100)에 용접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용접단계(S50)에서 용접은 보강부재(120)의 양측 중앙부(130)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기압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용접방법과 용접개소 및 회수는 이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벤딩 단계(S60)는,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용접단계(S50)를 통해 보강부재(120)가 용접된 강관(100)을 관 형상으로 구부리는 단계이다. 상기 벤딩 단계(S60)는 베이스 롤(B)과 롤러(R)를 포함하는 강관 제조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용접단계(S70)는, 도 8을 참조하면, 벤딩 단계(S60)를 통해 구부러진 보강부재(120)와 강관(100)을 관 형상으로 성형한 후, 상기 보강부재(120) 및 강관(100)의 일단과 타단을 용접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용접단계(S70)는 모살용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용접단계(S70)가 완료되면 도 8과 같이 보강부재(120) 및 강관(100)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연결부(140)를 이루며, 단면이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용접부위 열처리 및 냉각단계(S80)는 제2용접단계(S70)를 통해 관 형상으로 성형된 강관(100)의 연결부(140)를 비롯한 용접부위를 열처리한 후 냉각하는 단계이다. 용접부위는 용접봉이 고온으로 가열되었다가 식어서 이루어진 부분이므 로, 타 부위와 금속의 미세조직이 다른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대로 사용될 경우 용접부위는 타 부위와 강도 등 물성치가 달라 취약부위로 작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강관(100) 전체를 균질한 미세조직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열처리 방법이 도입될 수 있다. 이렇게 열처리한 후에는 냉각과정이 필요하다. 냉각은 공냉과 수냉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강관의 규격을 변경시키지 않고도 기존 강관 생산 공정에 약간의 공정만 추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강도 향상 효과 대비 저렴한 단가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제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강관 제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공정하에서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선택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7의 벤딩 공정시 사용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제조장치는,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롤(B)과 롤러(R)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롤(B)에는 롤러(R)로 누르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러(R)는 중심축(C), 링 삽입홈(G)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롤(B)은 서로 용접된 강관(100)과 보강부재(120)를 함께 벤딩시키기 위한 작업대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 롤(B)의 상면과 하면에는 강관(100)과 보강부재(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대략 반원기둥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은 베이스 롤(B)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홈에는 강관(100)과 보강부재(120)가 놓이게 된다.
상기 롤러(R)는 상기 베이스 롤(B) 위에 놓여진 강관(100)과 보강부재(120)를 수직하방으로 압력을 작용하여 벤딩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롤러(R)는 도 7과 같이 중심축(C)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 삽입홈(G)은 보강부재(120), 특히 보강링(120)의 위치 고정을 위해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링 삽입홈(G)에는 보강링(120)만 삽입되고 강관(100)은 삽입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링 삽입홈(G)은 보강링(120) 두께 이하의 깊이로 롤러(R)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 삽입홈(G)이 보강링(120) 두께보다 깊도록 형성되면 링 삽입홈(G) 내부로 보강링(120)이 지나치게 깊게 삽입되어 보강링(120)으로부터 강관(100)이 심하게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롤러(R)와 베이스 롤(B)에 의해 강관(100)과 보강링(120)에 대략적인 라운딩 형상이 형성되면, 다른 회전 롤러에 의해 완전한 파이프 형상으로 가공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벤딩 공정시 보강링(120)과 강관(100)의 용접부위가 탈리되지 않고 서로 일체화된 상태로 절곡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 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강관에 의하면 강관의 규격을 종전과 같이 유지하여 경제성을 확보하면서도, 전단강도, 휨강도 및 비틀림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강관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존 공정에 몇 개의 간단한 공정만 추가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강관 제조장치에 의하면 벤딩 공정시 강관과 보강부재의 용접부위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서로 일체화시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구조용 강관에 있어서,상기 강관의 내부에는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보강부재는 용접에 의해 상기 강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보강부재는 보강링, 보강판재, 보강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보강링 또는 상기 보강판재는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소정 간격은 상기 강관의 단면 내경의 10배 이내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5347U KR200435567Y1 (ko) | 2006-09-20 | 2006-09-20 | 강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5347U KR200435567Y1 (ko) | 2006-09-20 | 2006-09-20 | 강관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1071A Division KR100814863B1 (ko) | 2006-09-20 | 2006-09-20 | 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5567Y1 true KR200435567Y1 (ko) | 2007-01-31 |
Family
ID=4161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5347U KR200435567Y1 (ko) | 2006-09-20 | 2006-09-20 | 강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556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4499B1 (ko) | 2009-10-16 | 2012-03-16 | 최명기 | 오수처리시설의 파이프 루프형 보강 링 |
KR101625094B1 (ko) * | 2015-12-30 | 2016-05-27 | 이은보 | 경량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롤러 제조 방법 및 그 롤러 |
KR101629447B1 (ko) * | 2015-12-03 | 2016-06-10 | 이은보 | 경량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롤러 |
-
2006
- 2006-09-20 KR KR2020060025347U patent/KR20043556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4499B1 (ko) | 2009-10-16 | 2012-03-16 | 최명기 | 오수처리시설의 파이프 루프형 보강 링 |
KR101629447B1 (ko) * | 2015-12-03 | 2016-06-10 | 이은보 | 경량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롤러 |
KR101625094B1 (ko) * | 2015-12-30 | 2016-05-27 | 이은보 | 경량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롤러 제조 방법 및 그 롤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40000199B1 (ko) | I-빔구조 | |
CN109403210A (zh) | 一种高架桥结构 | |
KR100780862B1 (ko) | 평면 주름형 강관의 제조방법 | |
KR200435567Y1 (ko) | 강관 | |
KR100814863B1 (ko) | 강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
CA245817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or shipping elongated members | |
CA2563514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circular metal tank | |
RU2009140140A (ru) | Сварной компонент, содержащий бесшовную изогнутую трубу и секции бесшовной прямой трубы, а также способы их производства | |
JP2012505329A (ja) | スペーサを有する鋼補強帯片を備える組積造 | |
US8943691B2 (en) | Furcated composite post | |
PL367980A1 (en) | A method of bending metal roofing sheets and a bending apparatus | |
CN102061807B (zh) | 一种大跨度h型钢桁架梁的组装方法 | |
CN207239582U (zh) | 一种金属管端头焊接辅助装置 | |
KR101878601B1 (ko) |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 제조장치 및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를 이용한 파이프 배관설비 시공방법 | |
JP2015096265A (ja) | 多重角形管の製造方法および多重角形管 | |
CN111360487A (zh) | 一种新型钢结构及其制备方法 | |
CN201880599U (zh) | 电除尘器用圆管侧刺阴极线 | |
JP2008184686A (ja) | 建築用低yr角鋼管の製造方法 | |
CN201237032Y (zh) | 双平壁钢塑排水管 | |
JP2007063835A (ja) | モルタル下地材とその製造方法 | |
US9476203B2 (en) | Column/beam ma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 |
CN218904052U (zh) | 一种v型圆管柱脚节点 | |
CN210597632U (zh) | 建筑用高效防水型材 | |
CN213977817U (zh) | 一种辊棒炉用淬火使用料框 | |
JP4990317B2 (ja) | 鉄骨構造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23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