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405Y1 -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 Google Patents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405Y1
KR200435405Y1 KR2020060025469U KR20060025469U KR200435405Y1 KR 200435405 Y1 KR200435405 Y1 KR 200435405Y1 KR 2020060025469 U KR2020060025469 U KR 2020060025469U KR 20060025469 U KR20060025469 U KR 20060025469U KR 200435405 Y1 KR200435405 Y1 KR 200435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using
closing
switch
clos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정
Original Assignee
이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정 filed Critical 이우정
Priority to KR2020060025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4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4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티컬 블라인드의 개폐줄에 설치되는 개폐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티컬 블라인드의 개폐 온/오프를 결정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양단부가 이음되어 무한 회전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의 개폐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하면에 개폐줄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폐줄이 통과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가 상기 통공에 수용되는 개폐줄과 교차되고, 상기 하우징에 왕복 이송 가능하게 관통 삽입설치되며, 작업자의 누름조작 시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이 일측 개폐줄을 타측 개폐줄 방향으로 밀어주거나 상기 수용홈의 타측면이 타측 개폐줄을 일측 개폐줄 방향으로 밀어주어 버티컬 블라인드의 개폐 온/오프 모드를 결정하는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이 하강할 때만 스위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개폐줄을 각각 잡아주는 파지편이 구비된 파지부재;로 구성된다.
블라인드, 버티컬, 개폐, 손잡이, 하우징, 스토퍼, 스위치

Description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An opening and shutting handle of a vertical blind}
도 1a 내지 도 1b는 일반적인 버티컬 블라인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손잡이가 버티컬 블라인드의 개폐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5b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손잡이의 스위치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손잡이의 하우징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손잡이의 하우징 하강 시 파지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손잡이에 위치고정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경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스위치
30 : 파지부재
40 : 위치고정수단
본 고안은 버티컬 블라인드의 개폐줄에 설치되는 개폐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폐줄에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개폐줄을 타측 개폐줄 방향으로 밀어주어 개폐줄 온(ON)/오프(OFF) 상태를 결정하는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강 시 상기 스위치에 의해 이송된 일측 개폐줄을 잡아주는 파지부재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창문에 설치된 블라인드의 상태, 즉 펼쳐져있는 온(ON)상태와 졉혀져 있는 오프(OFF)상태를 보고 상기 스위치를 조작한 후 상기 하우징을 내리면 간편하게 버티컬 블라인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이다.
일반적으로 버티컬 블라인드(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도르래(2)와, 상기 도르래(2)에 걸쳐지며 양단부가 이음처리되어 상기 도르래(2)에 의해 무한 회전하는 개폐줄(3)과, 상기 개폐줄(3)의 일측에 걸림 설치되어 개폐줄(3)의 장력을 유지하는 무게추(4)와, 상기 개폐줄(3)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블라인드(5)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버티컬 블라인드(1)는 사용자가 일측 개폐줄(3a) 또는 타측 개폐줄(3b)을 파지한 후 아래로 당겨서 상기 개폐줄(3)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때 상기 개폐줄(3)에 설치된 블라인드(5)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구성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버티컬 블라인드는 사용자가 창문에 펼쳐진 블라인드를 펼치거나 접고자할 때 어느측 개폐줄을 잡아당겨야 하는지 알 수 없어서 일단 일측줄을 당겨보고 그래도 블라인드가 안 접혀지면 타측 개폐줄을 당겨서 블라인드를 펼치거나 접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펼쳐지거나 접혀져 있는 상태를 사용자가 보고 그에 따라 스위치를 펼쳐지는 온(ON)모드와 졉혀지는 오프(OFF)모드로 조작한 후 상기 스위치가 설치된 하우징을 하강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파지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하강시에만 개폐줄을 파지하여 상기 개폐줄을 회전시킴으로써 한번의 하우징 내림 조작으로 블라인드를 손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의 특징은,
양단부가 이음되어 무한 회전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의 개폐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하면에 개폐줄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폐줄이 통과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가 상기 통공에 수용되는 개폐줄과 교차되고, 상기 하우징에 왕복 이송 가능하게 관통 삽입설치되며, 작업자의 누름조작 시 상기 수용홈의 일측면이 일측 개폐줄을 타측 개폐줄 방향으로 밀어주거나 상기 수용홈의 타측면이 타측 개폐줄을 일측 개폐줄 방향으로 밀어주어 버티컬 블라인드의 개폐 온/오프 모드를 결정하는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이 하강할 때만 스위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개폐줄을 각각 잡아주는 파지편이 구비된 파지부재;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손잡이가 버티컬 블라인드의 개폐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5b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손잡이의 스위치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손잡이의 하우징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손잡이의 하우징 하강 시 파지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손잡이에 위치고정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는, 크게 버티컬 블라인드(1)의 블라인드(5) 개폐줄(3)에 왕복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상기 개폐줄(3)과 교차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왕복이송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 시 일측 개폐줄(3a) 또는 타측 개폐줄(3b) 중의 어느 하나를 밀어주는 스위치(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우징(10)이 하강할 때에만 상기 스위치(20)에 의해 이동된 일측 개폐줄(3a) 또는 타측 개폐줄(3b)을 잡아줌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하강과 함께 개폐줄(3)이 회전되어 상기 개폐줄(3)에 매달린 블라인드(5)를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하는 파지부재(30)로 이루 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전면하우징(11)과 후면하우징(12)이 걸림고리(11a) 및 걸림홈(12a)에 의해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이음되어 무한 회전하는 개폐줄(3)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하면에 개폐줄(3)이 통과하는 통공(13)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통공(13)은 전면하우징(11)과 후면하우징(12)에 반원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하우징(11)과 후면하우징(12)이 결합되었을 때 통공(13)을 이룬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에는 스위치(20)가 왕복이송 가능하게 관통 삽입 설치되도록 하우징(10)의 양측면에 이송공(15)이 설치된다.
그리고, 후면하우징(12) 내면 일측에 파지부재(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회전축(16)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스위치(20)는 몸체(21)의 중앙에 개폐줄(3)이 통과하는 수용홈(22)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통공(13)에 수용되는 개폐줄(3)과 교차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왕복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이송공(15)에 관통 삽입설치되며, 작업자의 누름조작 시 상기 수용홈(22)의 일측면(22a)이 일측 개폐줄(3a)을 타측 개폐줄(3b) 방향으로 밀어주거나 상기 수용홈(22)의 타측면(22b)이 타측 개폐줄(3b)을 일측 개폐줄(3a) 방향으로 밀어준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20)의 수용홈(22) 양측면(22a,22b)은 상기 하우징(10)이 승하강할 때 상기 개폐줄(3)과 계속해서 접면함으로써, 마찰 저항에 의해 개폐줄(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볼록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20)가 상기 하우징(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왕복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스위치(20)의 몸체(21) 전후면 양측부에 이송홈(23)이 형성되며, 이 이송홈(23)에 수용되는 걸림돌기(17)가 상기 하우징(10)의 이송공(15) 일측 내면에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20)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20)가 일측 개폐줄(3a)을 밀어준 상태 즉, 하우징(10)을 내릴 때 파지부재(30)에 의해 상기 일측 개폐줄(3a)이 파지된 후 개폐줄(3)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블라인드(5)가 펼치지도록하는 상태를 온(ON)모드라 하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20)가 타측 개폐줄(3b)을 밀어준 상태 즉, 하우징(10)을 내릴 때 파지부재(30)에 의해 상기 타측 개폐줄(3b)이 파지된 후 개폐줄(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블라인드(5)가 접혀지도록 하는 상태를 오프(OFF)모드라 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20)가 온(ON)모드인지 오프(OFF)모드인지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표면 일측에는 “⊃”과 “펼쳐짐”이라는 온모드표시부(18)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과 “접혀짐”이라는 오프모드표시부(1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부재(30)는 내부에 중공(31)이 형성되며, 후면하우징(12)에 내면 일측에 돌출형성된 회전축(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연에 한 쌍의 파지편(3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재(30)는 상기 하우징(10)의 하강 시 상기 스위치(20)에 의해 이송된 일측 개폐줄(3a)을 파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위치(2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지편(32)은 상기 스위치(20)와 대응하는 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파지부재(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20)가 일측 개폐줄(3a)을 타측 개폐줄(3b) 방향으로 밀어준 상태에서 하우징(10)을 하강하면 일측 개폐줄(3a)에 발생한 라운드 부분(R)과 상기 파지부재(30)의 일측 파지편(32a)이 간섭되고, 이러한 간섭에 의해 상기 파지부재(30)가 회전하면서 상기 일측 개폐줄(3a)이 하우징(10)의 내면 일측부와 일측 파지편(32a)에 끼워지면서 파지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이 승강하면 일측 파지편(32a)이 잡고 있는 일측 개폐줄(3a)과 일측 파지편(32a)이 서로 간섭하지 아니하므로 파지부재(30)의 파지 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파지부재(30)가 스위치의 상부에 설치되고, 파지편(32a,32b)이 스위치(20)와 대응하는 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20)쪽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승강 시에는 상기 일측 개폐줄(3a)에 의해 전달되는 힘이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상기 일측 파지편(32a)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파지부재(30)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일측 파 지편(32a)의 일측 개폐줄(3a) 파지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20)를 누름 조작한 다음에도 상기 스위치(20)가 온 또는 오프모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위치(2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면과 그에 대응하는 하우징(10)의 수용공간(14) 일측면 중 어느 일측에 제1돌기(4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41)와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1돌기(41)의 이동을 결정하는 복수개의 제2돌기(42)로 이루어진 위치고정수단(40)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1돌기(41)는 완만한 곡면을 갖도록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42)는 상기 제1돌기(41)가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접면하는 면이 라운드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돌기(41)가 소정부분 삽입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전면하우징(11) 또는 후면하우징(12)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20)의 왕복 이동시 상기 스위치(20)의 상면과 하면을 수용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0-1)이 전면하우징(11) 또는 후면하우징(12)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의 사용상태를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면하우징(12)의 회전축(16)에 파지부재(3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런 다음에, 스위치(20)의 이송홈(23)에 전면하우징(11)과 후면하우징(12)에 형성된 걸림돌기(17)가 수용되도록 하고 하우징(10)의 통공(13)에 개폐줄(3)이 수용되도록 한 후 상기 전,후면하우징(11,12)을 조립한다.
이때, 하우징(10)의 표면에 인쇄된 온모드표시부(18)와 오프모드표시부(19)에 맞게 스위치(20)를 설치되고, 하우징(10)의 통공(13)에 개폐줄(3)이 통과한다.
즉,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하우징(10)을 기준으로 상기 스위치(20)가 우측으로 많이 돌출됐을 때를 온(ON)모드, 좌측으로 많이 돌출됐을 때를 오프(OFF)모드임.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에 설치된 블라인드(5)를 펼칠 때에는 스위치(20)를 누름 조작하여 상기 스위치(20)가 온(ON)모드가 되도록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20)의 수용홈(22) 일측면(22a)은 일측 개폐줄(3a)을 타측 개폐줄(3b)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에 따라, 일측 개폐줄(3a)에 라운드 부분(R)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을 하강시키면, 스위치(20)에 의해 일측 개폐줄(3a)에 발생한 라운드 부위(R)와, 파지부재(30)의 일측 파지편(32a)이 간섭되고, 이에 따라 파지부재(30)가 정회전하면서 하우징(10)의 수용공간(14) 일측면과 일측 파지편(32a) 사이에 일측 개폐줄(3a)이 끼워지면서 파지된다.
계속해서, 상기 파지부재(30)가 일측 개폐줄(3a)을 파지함으로서, 하우징(10)의 하강에 따라 개폐줄(3)이 시계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하며, 이로 인해 개폐줄(3)에 매달린 블라인드(5)가 펼쳐지면서 창문을 가린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블라인드(5)를 접고자할 때에는 먼저 하우징(10)을 승강시킨다.
그런 후에, 스위치(20)를 누름 조작하여 상기 스위치(20)가 오프(OFF)모드가 되도록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20)의 수용홈() 타측면(22b)은 타측 개폐줄(3b)을 일측 개폐줄(3a)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에 따라, 타측 개폐줄(3b)에 라운드 부분(R)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을 하강시키면, 스위치(20)에 의해 타측 개폐줄(3b)에 발생한 라운드 부위(R)와, 파지부재(30)의 타측 파지편(32b)이 간섭되고, 이에 따라 파지부재(30)가 역회전하면서 하우징(10)의 수용공간(14) 타측면과 타측 파지편(32b) 사이에 타측 개폐줄(3b)이 끼워지면서 파지된다.
계속해서, 상기 파지부재(30)가 타측 개폐줄(3b)을 파지함으로서, 하우징(10)의 하강에 따라 개폐줄(3)이 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며, 이로 인해 개폐줄(3)에 매달린 블라인드(5)가 접혀지면서 창문을 가린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자가 창문에 설치된 블라인드의 상태, 즉 펼쳐지거나 접혀져 있는 상태를 사용자가 보고 그에 따라 스위치를 펼쳐지는 온(ON)모드와 졉혀지는 오프(OFF)모드로 조작한 후 상기 스위치가 설치된 하우징을 하강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파지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하강시에만 개폐줄을 파지하여 상기 개폐줄을 회전시킴으로써 한번의 하우징 내림 조작으로 블라인드를 손쉽게 펼쳐지거나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양단부가 이음되어 무한 회전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의 개폐줄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상하면에 개폐줄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폐줄이 통과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가 상기 통공에 수용되는 개폐줄과 교차되고, 상기 하우징에 왕복 이송 가능하게 관통 삽입설치되는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줄을 잡아주는 파지편이 구비된 파지부재;로 구성되며,
    여기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가 일측으로 이송되면, 상기 스위치에 형성된 수용홈의 일측 내면이 개폐줄을 밀어주며, 이 상태에서 하우징을 하강시키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파지부재가 이동된 개폐줄을 잡아주어, 상기 개폐줄이 무한 회전하며, 이로인해 개폐줄에 설치된 블라인드가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개폐줄을 밀어주는 수용홈 양측면이 볼록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스위치의 이송 위치에 따라 블라인드의 펼쳐짐과 접혀짐을 표시하는 온/오프모드표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이송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스위치의 일측면과 그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수용공간 일측면 중 어느 일측에 제1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와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1돌기의 이동을 결정하는 복수개의 제2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KR2020060025469U 2006-09-21 2006-09-21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KR200435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469U KR200435405Y1 (ko) 2006-09-21 2006-09-21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469U KR200435405Y1 (ko) 2006-09-21 2006-09-21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819A Division KR100788879B1 (ko) 2006-09-21 2006-09-21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405Y1 true KR200435405Y1 (ko) 2007-01-19

Family

ID=4156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469U KR200435405Y1 (ko) 2006-09-21 2006-09-21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4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180B1 (ko) 2011-09-05 2014-05-08 노인택 블라인드의 조정줄 웨이트
KR20160128143A (ko) * 2015-04-28 2016-11-07 홍문기 안전 사고 방지용 블라인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180B1 (ko) 2011-09-05 2014-05-08 노인택 블라인드의 조정줄 웨이트
KR20160128143A (ko) * 2015-04-28 2016-11-07 홍문기 안전 사고 방지용 블라인드 장치
KR101682804B1 (ko) 2015-04-28 2016-12-12 홍문기 안전 사고 방지용 블라인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132B1 (ko)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구조
JP5918393B2 (ja) 窓用シェードおよびその制御モジュール
WO2012096035A1 (ja) 折り畳みハンガ
US7779886B2 (en) Dual function mechanism for a Venetian blind
KR200435405Y1 (ko)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KR101219207B1 (ko) 여닫이식 도어 어셈블리
KR100788879B1 (ko) 버티컬 블라인드용 개폐손잡이
US20060243397A1 (en) Cordless blind structure
KR10181048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630619B1 (ko) 롤 스크린 블라인드의 구동장치
US20060169419A1 (en) Transmissio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lats of an electric blind
CN113996007B (zh) 一种跑步机
US6945301B1 (en) Telescopic tube of upper beam of vertical type venetian blind
KR100393016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5698708B2 (ja) 横引きスクリーン装置
KR10196289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362520B1 (ko) 미서기 창호의 핸들 구조체
KR20120007976U (ko) 윈도우 쉐이드용 양방향 작동/전환 가능한 풀 코드 기구
JP2023077111A (ja) 操作補助具
KR20024100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510968B1 (ko) 회동식 창문용 위치 고정구
KR102653592B1 (ko) 도어 닫힘 방지 경첩
JP2005113449A (ja) 開閉体装置、走行体および開閉体の吊り込み方法
TWM544558U (zh) 捲簾結構
JP4495101B2 (ja) 開閉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