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395Y1 - 고압의 공기를 이용 송수관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투입하는장치 - Google Patents

고압의 공기를 이용 송수관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투입하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395Y1
KR200435395Y1 KR2020060024625U KR20060024625U KR200435395Y1 KR 200435395 Y1 KR200435395 Y1 KR 200435395Y1 KR 2020060024625 U KR2020060024625 U KR 2020060024625U KR 20060024625 U KR20060024625 U KR 20060024625U KR 200435395 Y1 KR200435395 Y1 KR 200435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water
pipe
water pipe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우삼
Original Assignee
모우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우삼 filed Critical 모우삼
Priority to KR2020060024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3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콤프레셔를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를 얻어 이 압력을 이용하여 간이상수도의 송수관이나 광역상수도의 관말 부분의 송수관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송수관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약품을 투입하여 상수도의 원수를 살균 소독하는 장치로서 송수관에 약품을 투입하려면 송수관보다 더 높은 압력을 발생할 수 있어야 송수관에 약품을 투입할 수 있는데 기존의 제품들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특성이 나트륨의 결정체가 생성되거나 분말의 스케일이 생성되어 왕복식펌프의 핵심인 체크밸브에 이것들이 끼어 잦은 고장을 발생하여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특성에 전혀 영향을 받지도 않고 또한 송수관보다 더 높은 압력을 콤프레셔를 이용 발생하여 이 압력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송수관에 밀어넣는 방식으로 간이상수도의 관정이나 광역상수도의 관 말에 설치하여 음용수를 살균 소독하여 공급하여 수인성 질병들을 예방하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주입양조절전동밸브, 약품역류방지장치, 공기역류방지장치, 약품고압저장탱크, 약품고압저장탱크, 콤프레셔, 유량센서, 송수관내약품주입호스, 잔류염소량측정센서, 약품희석보조탱크

Description

고압의 공기를 이용 송수관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투입하는장치 {High tension air the system which commits the Naocl in the use water pipe}
도-1본 고안의 설치상세도
도-2송수관 내 약품주입호스상세도
(11)콘트롤러 (12)약품저장탱크
(13)주입 양 조절 전동밸브 (14)약품역류방지장치
(15)송수관 (16)고압용 주입호스
(17)약품공급 호스 (18)고압공기공급호스
(19)공기역류방지장치 (20)약품고압저장탱크
(21)콤프레셔 (22)유량센서
(23)송수관내 약품주입호스 (24)잔류염소량측정센서
(25)약품희석보조탱크
본 고안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특성에 전혀 영향을 받지않고 고압을 발생하여 흐르는 송수관에 약품을 투입할 수 있는 기술로서 콤프레셔(21)를 이용하여 송 수관보다 더 높은 고압의 공기를 얻어내어 약품고압저장탱크(20)로 보내면 약품고압저장탱크는 송수관보다 높은 압력이라 고압용주입호스(16)를 통하여 송수관으로 약품이 투입되고 이때 약품의 투입양 조절은 콘트롤러(11)가 유량센서(22)와 잔류염소량측정센서(24)의 신호를 받아 미리 셋팅 하여놓은 프로그램에 의하여 주입양조절전동밸브(13)를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조절하여 약품을 투입시켜 송수관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밀어 넣기 때문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특성에 전혀 영향을 받지않고 약품을 투입할수있으며 유량센서와 잔류염소량센서의 신호를 받아 약품의 투입양을 조절하므로 한번 셋팅 하여놓으면 그 프로그램에 의하여 약품이 투입되므로 일정한 잔류염소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수도의 원수를 살균소독하는 약품으로는 고체 액체 기체로 나누어진다
기체의 약품은 취급하기가 어려워 거의 사용을 하지않고 있으며 지금까지는 주로 고체의 약품을 사용하여 왔으나 이 고체는 석회질 성분으로 되어있어 석회질의 잔유물 때문에 주변이 지저분할 뿐만 아니라 알약으로 된 약들이 물탱크에서 올라오는 습기 때문에 붙어버려 잦은 고장을 일으키고 있으며 또 저장탱크에서 녹여서 투입하는 기기들은 석회질 부유물들이 주입구를 막아 버리거나 용해가 제대로 되지않아 약품농도가 제대로 나오지않아 잔류염소량도 제대로 유지할 수가 없어 최근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인 액상의 염소를 사용하는 추세로 기울어 가고 있으나 이 차아염소산나트륨은 나트륨의 결정체나 분말의 스케일이 생성되어 이 또한 약품을 투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 지금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이 약품 투입기를 개발하여 왔으나 이 특성 때문에 잦은 고장을 일으켜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에 본 고안은 콤프레셔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송수관에 강제 투입하기 때문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특성인 결정체나 분말의 스케일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송수관보다 더 높은 압력을 발생하여 송수관에 약품을 투입할 수 있으며 유량센서가 송수관에 물의 흐르는 양을 감지하여 약품 주입양조절밸브를 조절하여 약품을 투입하며 약품이 투입된 후 약품희석보조탱크에서 약품을 희석한 후 잔류염소량을 측정하여 약품의 투입 양을 조절하여 약품이 투입되므로 항상 일정한 잔류 염소량을 유지하여 약품을 투입하는 장치의 고안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간이상수도 또는 광역상수도의 송수관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투입하여 음용수의 원수를 살균 소독하는 장치로서 전원이 꺼져 있을 때는 약품저장탱크(12)에서 약품고압저장탱크(20)로 자연 압 상태에서 유체가 아래로 흐르는 것을 이용하여 보충 저장을 한다.
약품고압저장탱크에 약품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송수관에 원수가 흐르면 유량센서(22)가 감지하여 콘트롤러(11)로 신호를 보내면 콘트롤러는 콤프레셔(21)로 신호를 보내 콤프레셔를 구동하여 공기를 약품고압저장탱크로 보내고 송수관에 원수가 흐르지 않을 때는 콤프레셔를 정지시킨다.
콤프레셔에서 공급된 공기가 송수관에 흐르는 물의 압력보다 높이 올라가면 약품고압저장탱크에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은 고압용주입호스(16)를타고 흘러 송수 관에 연결되어있는 송수관내약품주입호스(23)를 타고 송수관에 흐르는 물과 희석이 되면서 약품을 투입시킨다.
이때 콤프레셔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약품저장탱크로 공급이 되면 약품저장탱크에 있는 약품이 넘쳐흐를 수가 있으며 또 송수관으로 투입되는 약품이 정상적으로 투입이 안되는수가 있으므로 약품저장탱크에서 약품고압저장탱크로 보충되는 관에 약품역류방지장치(14)을 설치하여 콤프레셔에서 약품고압저장탱크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가 약품저장탱크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약품의 투입양 조절은 송수관에 설치되어있는 유량센서(22)가 송수관에 흐르는 원수의 양을 감지하여 주입양조절전동밸브(13)로 신호를 보내 필요한 양만큼만 약품이 투입되게 주입양조절밸브를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약품투입양을 조절한다. 약품이 투입된 후 희석이 잘되게 하기 위하여 약품희석보조탱크(25)를 설치하여 희석이 된 송수관의 원수를 잔류염소량측정센서(24)을 설치하여 잔류염소량을 측정하여 콘트롤러로 신호를 보내면 콘트롤러는 미리 셋팅 된 수치 범위 내에서 약품이 투입될 수 있게 주입양조절밸브를 조절하여 약품을 투입시킨다.
또 송수관 내에서 물속에 약품이 투입되면서 물속에 녹아있는 석회질 성분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약품투입호스에 석회성분의 고드름이 생성하여 약품투입호스 출구를 막아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송수관(15)에 송수관내약품주입호스(23)를 설치하여 송수관에 흐르는 물의 유속을 이용하여 송수관내약품주입호스를 떨리게 하여 약품주입호스 끝 부분에 고드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존의 제품들은 송수관보다 높은 압력을 발생할 수 없어 송수관에 설치를 못하고 산속에 있는 물탱크 위에 설치를 하여 산속에까지 약품을 들고 올라가 약품을 보충하기도 힘들었을 뿐 아니라 농도조절 하기도 보통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제품을 간이상수도 관정에 있는 송수관에 설치하여 산속에 있는 물탱크까지 올라갈 필요없이 마을회관 옆에 있는 관정에서 약품을 보충하고 약품투입량조절도 간단하게 콘트롤러에 셋팅만 하면 자동으로 조절이 되게 하여 모든 관리 면에서 편리하고 잔류염소량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광역상수도는 정수장에서 먼 거리는 관속에 물이 흐르면서 염소가 증발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물은 잔류염소량이 없어 수인성 균들이 다시 증식하는 사례가 있는데 본 고안의 제품을 광역상수도의 관 말에 설치하여 일정한 잔류염소량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양질의 수도물을 공급하여 수인성 질병들을 예방하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본 고안은 간이상수도의 관정이나 또는 광역상수도의 관 말의 송수관에 설치하여 송수관에 흐르는 상수도의 원수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투입하여 상수도의 원수를 살균 소독하는 장치로서
    콤푸레셔(21)와 약품저장탱크(12)와 약품고압저장탱크(20)와 유량센서(22)와 콘트롤러(11)와 주입양조절전동밸브(13)와 약품희석보조탱크(25)와 잔류염소량측정센서(24)와 약품역류방지장치(14)와 공기역류방지장치(19)와 송수관내약품주입호스(23)로 구성되어 콤프레셔에서 고압의 공기를 발생하여 약품고압저장탱크로 보낼때 고압의 공기에 의하여 약품고압저장탱크에 저장된 약품이 송수관내약품고압호스를 통하여 약품이 송수관으로 투입될 때 약품역류방지와 공기역류방지장치는 역류를 방지하고 유량센서와 잔류염소량측정센서의 신호를 받아 콘트롤러가 자동으로 약품의 투입 양을 조절하여 약품을 투입하고 약품희석보조탱크는 송수관에서 약품과 물이 희석되게 하여 송수관에서 잔류염소량을 측정하는데 오차의 범위를 최대한으로 적게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송수관에 투입하는
    콤프레셔를 이용 송수관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투입하는장치
KR2020060024625U 2006-09-13 2006-09-13 고압의 공기를 이용 송수관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투입하는장치 KR200435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625U KR200435395Y1 (ko) 2006-09-13 2006-09-13 고압의 공기를 이용 송수관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투입하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625U KR200435395Y1 (ko) 2006-09-13 2006-09-13 고압의 공기를 이용 송수관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투입하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395Y1 true KR200435395Y1 (ko) 2007-01-19

Family

ID=4156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625U KR200435395Y1 (ko) 2006-09-13 2006-09-13 고압의 공기를 이용 송수관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투입하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3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157B1 (ko) * 2019-11-21 2020-07-07 (주)맑은물연구소 염소 과다투입을 방지하는 자동 염소 투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157B1 (ko) * 2019-11-21 2020-07-07 (주)맑은물연구소 염소 과다투입을 방지하는 자동 염소 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3600B2 (en) Salt dispensing system
KR101899564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주입시스템
US200502496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zone disinfection of water supply pipelines
ES2338454T3 (es) Control de flujo.
JP2010162476A (ja) 次亜塩素酸水溶液の連続自動生成器
KR200435395Y1 (ko) 고압의 공기를 이용 송수관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투입하는장치
JP3085356U (ja) 殺菌水製造装置
JP4809535B2 (ja) 殺菌水の連続生成装置
JP4755836B2 (ja) 殺菌水生成方法及び装置
JP2005161142A (ja) 殺菌水の連続生成装置
JP2006297314A (ja) 二酸化塩素発生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二酸化塩素発生装置
KR20070016176A (ko) 유량신호발생 수량계를 이용하고 선택스위치를 설치한소독약품 적량투입장치
KR200273877Y1 (ko) 상수도용 소독약품 자동주입 시스템
US200400507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zone disinfection of liquid-carrying conduits
JP3438880B2 (ja) 殺菌消臭水の製造装置
JPH1119653A (ja) 除菌装置
KR100495146B1 (ko) 지하수를 이용한 상수도 시설의 약품투입장치 및 방법
KR20030038574A (ko) 상수도용 소독약품 자동주입 시스템
US20080083667A1 (en) Apparatus for Dosing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10850248B2 (en) Chlorine dioxide solution generating apparatus
KR101733429B1 (ko) 치과 진료수 생성장치
KR200422964Y1 (ko) 간이 상수도용 염소살균 소독장치
CN102531115A (zh) 污水处理系统和方法
JP2014050828A (ja) 殺菌水の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6150325A (ja) エジェクターを用いた薬液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3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