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784Y1 -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784Y1
KR200434784Y1 KR2020060026397U KR20060026397U KR200434784Y1 KR 200434784 Y1 KR200434784 Y1 KR 200434784Y1 KR 2020060026397 U KR2020060026397 U KR 2020060026397U KR 20060026397 U KR20060026397 U KR 20060026397U KR 200434784 Y1 KR200434784 Y1 KR 200434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pe
center
support portion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규
Original Assignee
윤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규 filed Critical 윤진규
Priority to KR2020060026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7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6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 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받침 구조의 개선에 의해 인체와의 접촉면을 넓혀 체압을 분산시킴으로써 정신적, 육체적으로 안락함과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 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쿠션재로 이루어지되, 상면은 받침대상 인체부위의 외형보다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상기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받침부와; 상기 제 1 받침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상면은 상기 제 1 받침부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받침부를 지지하는 상체부와, 상기 상체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체부를 구비하는 제 2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생활이나 수면을 통하여 안락함과 건강증진을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의 맞춤형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골격의 변형을 교정 및 예방하는 효과와, 자기의 체형에 알맞아 오래 사용해도 상대적으로 편안하여 피로감이 적은 효과가 있다.
받침 구조, 체압, 등압, 베개, 매트리스, 의자

Description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 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Support structure and, chair or stool, pillow, and mattress using the same}
도 1은 인체의 받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받침 작용에 있어서 등압을 이루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받침 구조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도 3의 조립상태의 단면도(a), x-x'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b), y-y'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c), z-z'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d), 제 1 받침부 상면의 부분 확대도(e).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의 주요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열풍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
도 8a 내지 도 8e는 도 7의 등 받침부의 주요부분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9a 내지 도 9e는 도 7의 방석부의 주요부분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a) 및 방석부의 제 2 받침부의 등고선도(b).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평면도 및 측단 면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받침 구조 10 : 제 1 받침부
11,21 : 상면 12 : 통기로
13 : 통로 14 : 돌출부
20 : 상체부 22 : 요입홈
24 : 조립구 25 : 공기유입구
29 : 연결통로 30 : 하체부
31 : 바닥면 32 ; 원통형 기둥
34 : 조립용 관통홀 37 : 용기 조립구
40,41 : 스크류 볼트 50 : 밸브
60 : 용기 70 ; 열풍기
77 : 호스 78 : 지그관
100,200 : 의자 300 : 베개
400 : 매트리스
본 고안은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 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와의 접촉면을 가급적 넓은 면으로 확장시켜 인체적 등압을 제공하도록 받침 구조를 개선하여 인체의 변형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신적, 육체적으로 안락함과 건강 증진을 제공할 수 있는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 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신체가 생활, 휴식, 및 수면을 통하여 정신적, 육체적으로 안락함과 건강을 유지 증진하고자 할 때에 간단한 방법으로서, 앉거나, 기대거나, 눕거나, 베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인체와 접촉하여 사용하는 수단으로서 쿠션(cushion)과 같은 접촉부가 있는데, 이는 1차적 받침부와 2차적 받침부로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2차적 받침부는 최근에 많은 발전을 통하여 그 기능이 다소 개선되고 있지만, 접촉부의 형상을 구성하는 골격이거나, 본체와 조립의 편의성을 위한 기능을 갖는 것이 보편적이며, 그 일례로서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중 하나인 의자의 경우, 등받침에 있어서, 인체부위가 닿는 부분은 쿠션층으로서, 직접적인 1차적 받침 작용을 하고, 2차적 받침은 그 형상을 이루고 의자의 골격에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해 합성수지판, 철판, 목재 혹은 합판 등의 받침을 재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의자의 앉는 바닥부(방석부) 또한 비슷한 구조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2차적 받침을 적정한 굴곡으로 형성하여 편안함을 제공하고자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은 의자, 방석, 베개, 매트리스 등의 2차적 받침에 대한 연구에는 큰 진전이 없다. 현재, 방석, 베개, 매트리스 등은 2차적 받침이 없는 형태 로서, 실체적 기능면에서는 그 2차적 기능은 바닥에 해당되어 평면적 기능을 하게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이러한 받침 구조 및 그 작용을 살펴본다.
도 1은 인체의 받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W는 인체를 대신하는 어떤 중량을 가진 구슬이며, A는 1차적 받침으로서 쿠션층이고, C는 쿠션층 A의 상면이며, B는 A를 받치는 경도가 큰 2차 받침이고, D는 쿠션 A의 두께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 W가 1차적 받침에 얹히게 되면, P1~P4는 구슬 W의 외경에 의하여 1차 받침 A의 표면 C를 L1~L4의 깊이로 각각 가압하는데, 이때 1차 받침 A내에서 발생하는 각 점의 응력 합과 W의 중량이 같은 상태에서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점 P'1~P'4는 각각 그 변형량이 다르고 따라서 그 반발력이 다르게 작용한다.
이러한 반발력의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쿠션층 A의 두께 D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점 P'1~P'4의 변형률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쿠션층 A를 충분히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쿠션층 A의 반발력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이는 한계가 있으며, 저탄성 고밀도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점 P'1~P'4에 등압이 형성되지 못한다.
따라서 쿠션층 A의 표면 C중 그 반발력이 높은 부분(P'1 주변)에서는 W의 표 면층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이 발생하는데, 다시 말하면, 쿠션층에 접촉된 인체 각계의 구조 일부가 변화되고, 이런 상태를 장시간 지속하면 안락하거나 건강을 유지 및 증진하는 효과는 반감될 것이다.
한편, 인체는 딱딱한 물체와의 접촉에 비하여 부드러운 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편안함을 느끼는 것이 보편적이므로, 의자, 방석, 베개, 매트리스 등과 같은 접촉부는 모두가 어떤 형태로든 인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1차적으로 쿠션층을 갖는다. 이는 쿠션층에 의해 인체와의 접촉면을 넓혀 체압을 분산하는 원리이며, 그 반대 현상으로 말하면 쿠션에 의해 인체 각계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등압을 이루는 조건을 살펴본다.
도 2는 받침 작용에 있어서 등압을 이루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의 A, C, B와 같은 조건하에서 도 1의 W의 중량에 해당하는 정육면체 W1을 고려하면, 정육면체 W1을 쿠션층 A1의 상면 C1 위에 놓았을 경우, 정육면체 W1은 상면 C1의 점 P"1~P"4를 동일한 깊이 l'1로 누르면서 그 중량 W1과 같은 반발력을 유지할 때 균형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쿠션층 A1을 동일한 깊이(변형)로 누르게 됨으로써 등압을 쉽게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등압 상태에서는 압력 등고선이 심한 불균형을 이루는 도 1(b)와는 달리 낮은 깊이를 누르게 되어 쿠션층 A의 두께 D는 상대적으로 엷어지게 되면서 쿠션층 A의 반발력에 의한 W1의 표면에 가해지는 반발력은 현저히 감소함에 따라 그 표면 변형율 또한 현저히 감소하므로, 다시 말해 인체의 접촉 부위에도 각계의 구조 변형률이 거의 없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안락함이나 건강을 유지 증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체압에 대하여 인체에 영향력을 가장 작게 할 수 있는 일반적 방법은 접촉부가 가급적 넓은 면적에 걸쳐 등압 상태로 인체에 작용케 하여야 한다.
예컨대, 인체가 물 위에 편안히 누워서 떠 있는 상태는 인체 두께 정도의 수압차를 무시하면 등압상태라 규정할 수 있는데, 이는 누구나 압력에 관한한 매우 편안함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인체의 외형은 도 2의 W1 상태와는 전혀 다른 형태로서 도 1의 W상태에 가깝고, 더욱이, 인체의 부위에 따라 그 입체성이 제각각 다르며, 단면적도 다르고 인체 구조의 특징상 외압에 견딜 수 있는 기능 또한 많은 차이를 보이므로, 쿠션층을 이용하여 인체에 적합한 등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인체부위가 쿠션층을 누를 때 쿠션층의 각각의 반발력이 유사한 변형률을 제공할 수 있는 받침구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받침 구조의 개선에 의해 인체와의 접촉면을 넓혀 체압을 분산시키고 사용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정신적, 육체적으로 안락함과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 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쿠션재로 이루어지되, 상면은 받침대상 인체부위의 외형보다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상기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받침부와; 상기 제 1 받침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상면은 상기 제 1 받침부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받침부를 지지하는 상체부와, 상기 상체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체부를 구비하는 제 2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받침부는 그 하면에 일면이 잘린 콘 형상의 돌출부가 일정간격의 배열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체부는 상기 돌출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요입홈이 두께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 일단의 막힘부 중앙에는 조립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체부는 상기 조립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립용 관통홀을 구비한 원통형 기둥이 형성되되, 체결구가 상기 원통형 기둥의 조립용 관통홀을 거쳐 상기 조립구를 통하여 상기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받침부는 그 상면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직선형 통기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기로의 교차지역에 상면에서 하면으로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체부는 그 내부가 중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입홈의 좌우측을 십자형으로 지지하는 제 1 힘대가 형성되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의 상기 요입홈 주변의 상기 통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두께 방향으로 연결통로가 배열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에 삽입된 일방향 밸브를 통하여 외부 공기 또는 열풍기에 의한 공기가 상기 상체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체부는 상기 원통형 기둥을 십자형으로 지지하는 제 2 힘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힘대와 상기 원통형 기둥 사이 공간에 형성된 수납부중 임의의 위치에 약성향을 함유한 휘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른 등 받침부를 갖는 의자는 상기와 같은 받침 구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받침부는 인체의 등 부분에 접촉되되, 인체의 흉추와 요추의 좌우측면부를 등압으로 받치도록 그 상면이 가로방향으로 중앙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세로방향으로는 중앙 아랫부분이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체부의 상면은 상기 제 1 받침부가 그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방석부를 갖는 의자는 상기와 같은 받침 구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받침부는 인체의 둔부에 접촉되되, 인체의 둔부를 등압으로 받치도록 그 상면이 가로방향으로는 중앙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세로방향으로는 안측이 볼록한 곡면형상이면서 양측부가 높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체부의 상면은 상기 제 1 받침부가 그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베개는 상기와 같은 받침 구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받침부는 인체의 머리부에 접촉되되, 인체의 머리부를 등압으로 받치도록 그 상면이 가로방향으로는 요철(凹) 형상으로 중앙부의 두께가 좌우측부의 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중앙부와 상기 좌우측부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부는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미세 하향 경사를 이루며, 세로방향으로는 전면에서 후면부를 향하여 미세 하향 경사를 이루며; 상기 상체부의 상면은 상기 제 1 받침부가 그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매트리스는 상기와 같은 받침 구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받침부는 인체의 머리부부터 발끝부분에 걸쳐 접촉되되, 가로방향으로 중앙부의 두께가 좌우측부의 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중앙부와 상기 좌우측부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는 세로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이 소정의 폭으로 수평을 이루되, 좌우측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미세 하향 경사되고, 상기 좌우측부는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미세 하향 경사된 베개부와; 상기 베개부의 중앙에 연이어 형성되되, 좌우 및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된 흉추 받침부와; 상기 흉추 받침부의 좌우측에 연이어 형성되되, 그 중앙에 골을 이루는 견갑골 받침부와; 상기 흉추 받침부에 연이어 형성되되, 중앙이 미세 돌출되고 좌우측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허리받침부와; 상기 허리받침부에 연이어 형성되되, 가로상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둔부 받침부와; 상기 둔부 받침부에 연이어 형성되되, 좌우측부가 미세 돌출 형성된 무릎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면 의 좌우측부 및 발목 아랫부분은 상기 통기로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상체부의 상면은 상기 제 1 받침부가 그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정신적, 육체적으로 안락함과 건강을 유지 증진하고자 하는 자세에 대응하는 받침의 각 조건에 따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받침의 조건을 실제적으로 충족할 수 있는 기능적 조건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받침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도 3의 조립상태의 단면도(a), x-x'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b), y-y'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c), z-z'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d), 제 1 받침부 상면의 부분 확대도(e)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의 주요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열풍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첫째, 인체 접촉 부위의 체압이 인체의 골격구조, 근육구조, 신경구조, 순환구조 등의 각 위치별 강약성을 감안하면서도 가급적 넓은 면에 걸쳐 신체적 등압 형태를 달성하여 상술한 신체 각계의 구조에 최소한의 영향을 받게 하여야 한다.
도 4a에 있어서, 1차 받침으로서 쿠션(10)의 상면(11)이 인체조건 W2에 따라 굴곡부(18)로 혹은 그 반대형상으로 균일한 탄성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W2에 의한 압력 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굴곡부(18)의 하부면(15)은 W2의 접촉부 외경과 유사하나, 쿠션(10)의 상면 굴곡부(18)와는 다소 변형된 형태의 하면 굴곡부가 형성된다.
이 부분에 대응하여 2차 받침은 경도가 높고 인체에 무해한 합성 수지 제품으로서 도 4b의 상체부(20)와, 내부적으로 공간을 충분히 유지하되 상체부(20)를 지지하여 조립되는 하체부(30)로 구성하여 상술한 등압을 실현함으로써, 순환계, 신경계, 근육계, 골격계 등에 안락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생활습관의 잘못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자세의 이상, 습관 등을 바르게 교정하여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첫째 조건을 충족하려면 의학적 통계에 의한 개개인의 신체조건에 따라 여러 단계의 크기가 요구된다.
상술한 첫째 조건으로서 등압을 제공하는 구조, 즉, 1차, 2차 받침의 굴곡의 형상은 사용자의 체격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 개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의학적 통계에 의해 구분하여 규격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그 특성상 개인의 맞춤형으로서 여러 단계의 규격이 요구된다.
셋째, 접촉 부위나 인체에 냉각 혹은 보온성으로서 온도 및 열량조절성이 있어야하며, 접촉부가 피부의 습도 조절성이 있어야 한다.
먼저 이 조건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4b에서 그 상면(11,18)에는 그 단면이 V형의 골로 이루어진 통기로(12)가 다수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 제60943호 "건강베개"에, "통기로의 계곡면은 대략 V형으로 반드시 경사지게 하여 베개면의 뿌리 부분이 아래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하여 압력을 충 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통기로의 꼭지점 부분은 작은 원형을 갖도록 하여 두부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통기로가 최소한으로 존속될 수 있도록 그 깊이를 정하도록 하여"로 기재된바, 이와 같은 통기로(12)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로(12)는 가로 방향으로 주축을 이루되 각 통로(13)를 중심으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 연결되어 있어, 가로 방향의 각 통기로(12)를 세로상으로 연결시켜주는 구조로서, 이 통기로(12)의 구조적 특성은 어느 부분에 막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2차 받침부에서 공급되는 기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4b의 1차 쿠션층(10)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로(13)를 갖추되, 도 4c의 2차 받침부(20)의 상면(21)의 연결통로(29)에 대응하도록 형성하고, 2차 받침부의 상체부(20)와 하체부(30)의 사이 공간과 통하게 되며, 이 공간은 2차 받침부 상체부(20)의 측면부에 타설된 공기유입구(25)에 삽입되는 일방향 밸브(one way valve)(50)를 통하여 밖에서 안으로만 기체가 유입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50)는 합성수지 원료로 이루어지되, 원통형 내부 구멍(54)은 스크류로 이루어진 구멍이고, 바깥은 이중턱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턱부(53)는 공기유입구(25)의 구멍에 끼워졌을 때 그 측면에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밸브(50)의 일측에는 둥근 탄성판(51)이 52의 부위에 밸브(50)와 탄성판(51)을 접착하여 한 방향으로만 기체가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체압의 작은 변화에도 소량의 펌핑 효과를 갖게 되고, 이 기능은 습도 조절성이 뛰어나게 되며 특히 계절에 따라서 필요량의 열량 (냉, 난방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및 팬(71), 히터(72), 열센서(73), 콘트롤러(74)를 포함한 열풍기(70)에 연결, 호스(77)의 지그관(78-1,78-2,…,78-n)을 접속용 스크류에 필요한 수만큼 간단히 병렬 연결하여 필요 부분에만 기체를 공급하여 에너지 공급을 할 수 있는데, 여기서, 내부 압력의 상승으로 다른 통기 밸브는 닫힌다.
이때, 2차 받침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피톤치드향(phytoncid)은 통로(13) 및 연결통로(29)를 거쳐 통기로(12)를 통하여 발산됨으로써, 신체에 열량조절과 피부의 습도 조절성이 가능하다.
넷째, 2차 받침 공간에 피톤치드 등의 약성을 담지하여 통기성 기체의 상태조건이 향균력, 살균력, 면역력강화 및 혈액순환개선 효과 등을 갖추어 사용중 건강의 유지 및 증진 기능을 갖추어 사용환경을 개선하여야 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31)에 착설된 다수의 용기(60)는 휘산량(揮散量)을 조절할 수 있는 용기로서, 피톤치드약성향을 담지하고 2차 받침구의 상체부(20)와 하체부(30) 내 공간에 일정농도의 약성향을 기체 속에 발산시키는데, 이는 그 약성중 향균력이나 살균력으로 먼저 받침구 자체에 작용한 다음, 그 주변과 접촉 피부에 작용함으로써 위생성을 높이고, 또한, 발산된 약성향을 피부와 코를 통하여 호흡함으로써 면역성과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기분이 상쾌해지는 등의 건강 증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받침 제품의 중량을 가볍게 하면서 우수한 형태 보전을 유지하며 세탁, 살균 등의 위생성이 뛰어나고 사용성이 편리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받침부(10)는 쿠션층으로 구성되고 2차 받침대는 그 용도상 압력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는데 형태의 변형이 거의 없는 것으로서, 재료의 특성이 인체에 무해하면서 질기고 일정 수준 이상의 경도를 가지는 합성수지 제품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1차 받침부(10)의 구조적 특징은 쿠션재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에 돌출부(14)가 형성되는데, 이는 꼭지를 자른 형태의 콘 형상으로서 가로/세로의 적당한 규격으로 배치되고, 2차 받침부 상체부(20)는 전체적으로 1차 받침부의 돌출부(14)와 배면(15)의 형태를 그대로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받침 구조(1)의 조립 및 분해과정은 2차 받침부 상체부(20)에 1차 받침부(10)를 상하 방향으로 얹거나 들어올리는 단순한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1차 받침부(10)의 돌출부(14)가 상체부(20)의 요입홈(22)에 삽입고정되므로 측면 방향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받침부 상체부(20)는 1차 받침부(10)의 돌출부(14)를 수용하는 요입홈(22)의 막힘부(23)가 2차 받침부 하체부(30) 상에 원통형으로 솟은 원통형 기둥(32)의 막힘부(33)에 얹히고, 조립구(24)를 통하여 스크류 테퍼 볼트(40)가 결합되어 조립이 완성되며,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받침부의 상체부(20)의 측면 끝에 형성된 연결부(26)는 하체부(30)의 측면부의 끝에 형성된 연결부(36)에 끼워 맞추어진다. 따라서 이 부분의 조립과 분해 또한 스크류 볼트(40)만으로 이루어져 매우 간편하다.
또한, 약성향 용기(60)는 2차 받침의 하체부(30) 바닥면(31)에 스크류 볼트 (41)로 간단히 조립 및 분해가 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받침부의 상체부(20)의 요입홈(22)과 상면은 힘대(27)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결되어 그 단면이 T형을 이루어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하다. 하체부(30)의 원통형 기둥(32)은 좌우 방향으로 힘대(35)에 의해 연결되고, 바닥면(31)과도 연결되어 역시 그 단면이 T형을 이루어 구조적으로 견고하다. 또한, 상체부(20)의 힘대(27)와 하체부(30)의 힘대(35)는 그 사이가 떨어져 있어 내부가 하나의 공간이 된다.
이러한, 2차 받침대의 구조적 특징으로 체적비의 중량은 쿠션재보다 훨씬 가볍게 구성된다. 이는 비슷한 비중의 원료로서 발포의 경우, 10배 정도 체적이 늘어나지만 2차 받침대는 체적의 재료 구성비가 30~50분의 1정도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조립된 받침 구조(1)는 그 특성에 맞는 내외피를 지퍼로 활용하여 덮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조립과 분해, 세탁, 자외선, 열등의 살균처리, 약성향 용기교환 또는 재충진이 용이하고, 가볍고 위생성이 뛰어나며 사용성이 편리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구조(1)는 1차 받침부(10)와 2차 받침부(20,30)로 이루어지되, 1차 받침부(10)는 쿠션재로 이루어지고, 상면(11)은 받침대상 인체부위(W2)의 외형보다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면(15)은 상면(11)으로 부터 체압방향으로 유사한 두께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1차 받침부(10)는 상면(11)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직선형 통기로(1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통기로(12)의 교차지역에 상면(11)에서 하면(15)으로 통로(13)가 관통하여 형성되며, 하면(15)에는 일면이 잘린 콘 형상의 돌출부(14)가 일정간격의 배열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1차 받침부(10)는 상면(11)에는 촘촘한 빗금 상태의 통기로(12)가 형성되고, 그와 교차되는 방향의 4~6줄 정도의 통기로(12)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구면형태의 W2의 표면에 대응하는 굴곡부(18)가 형성되고(W2의 조건에 따라 그 반대 형상일 수도 있음), 교차 부분에는 일정 규격으로 1차 받침부(10)를 관통하는 통로(13)가 다수 형성된다.
또한, 배면(15)은 인체의 강약성에 대응하는 능력을 감안한 체압의 방향으로 두께가 상면(11)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와 세로상의 끝이 잘린 콘 형태의 돌출부(14)가 다수 형성된다.
2차 받침부는 상체부(20)와 하체부(30)로 이루어지되, 상체부(20)는 1차 받침부(10)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면(21)은 1차 받침부(10)의 하면(1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돌출부(14)에 끼워 맞추어지는 요입홈(22)이 두께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요입홈(22) 일단의 막힘부(23) 중앙에는 조립구(24)가 형성되며, 1차 받침부(10)를 지지한다.
또한, 상체부(20)는 그 내부가 중공부로 이루어지고, 요입홈(22)의 좌우측을 십자형으로 지지하는 제 1 힘대(27)가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공기유입구(25)가 형성되고, 상면(21)의 요입홈(22)의 주변에 두께방향으로 연결통로(29)가 배열형태로 형성되며, 공기유입구(25)에 삽입된 일방향 밸브(50)를 통하여 열풍기(70)에 의해 공기가 상체부(20) 내부로 유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체부(20)는 상면(21)에는 1차 받침부(10)의 배면(15) 굴곡과 일체가 되는 형태로서 돌출부(14)에 대응하여 요입홈(22)이, 통로(13)에 대응하여 연결통로(29)가 해당 위치에 형성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측면부에는 아래로 적당히 내려와 그 끝부에 형성된 연결부(26)가 하체부(30)의 연결부(36)에 결합된다.
그 벽의 좌우에는 공기유입구(25)가 다수 형성되며, 여기에 밸브(50)를 통하여 필요 위치에 필요수량만큼 지그관(78-1,78-2,...,78-n)을 스크류 볼트(40)로 연결하고, 연결 호스(77)로 연결되어 열풍기(70)에 의해 적절온도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체부(20)에 다수 형성된 요입홈(22)은 돌출부(14)를 수용하면서 한편으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체부(30)에 형성된 원통형 기둥(32)과 맞닿아 기둥의 역할을 하는데, 그 구조의 강성을 위하여 요입홈(22)과 원통형 기둥(32)은 힘대(27,35)에 의해 가로와 세로로 각각 서로 연결된다.
또한, 요입홈(22)과 원통형 기둥(32)이 맞닿는 부분에는 각각 막힘부(23,33)가 형성되고 각 막힘부(23,33)에 조립구(24) 또는 조립용 관통홀(34)이 형성되어 스크류 볼트(40)의 삽입 통로를 형성한다.
하체부(30)는 상체부(20)의 하면을 지지하고, 원통형 기둥(32)을 십자형으로 지지하는 제 2 힘대(35)가 형성되며, 제 2 힘대(35)와 원통형 기둥(32)에 의해 형성된 수납부중 임의의 위치에 약성향을 함유한 휘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용기(60)가 배치된다.
또한, 하체부(30)는 조립구(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립용 관통홀(34)을 구비한 원통형 기둥(32)이 형성된다. 바닥면(31)에는 원통형 기둥(32)과 원통형 기둥(32)의 대각선 사이에 다수의 용기 조립구(3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받침 구조(1)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면, 2차 받침부의 하체부(30) 바닥면(31)에 피톤치드 용기(60)를 스크류 볼트(41)로 조립하고, 1차 받침부(10)의 돌출부(14)를 2차 받침부 상체부(20)의 요입홈(22)에 삽입한 다음, 상체부(20)의 측면 공기유입구(25)에 밸브(50)를 삽입하여 상체부(20)의 요입홈(22) 막힘부(23)와 하체부(30)의 원통형 기둥(32) 막힘부(33)가 맞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구인 스크류 볼트(40)가 원통형 기둥(32)의 조립용 관통홀(34)을 거쳐 조립구(24)를 통하여 돌출부(14)에 결합함으로써, 1차 받침부(10)와 2차 받침부(20,30)가 조립된다. 여기에 외피를 입히고 필요시 열풍기(70)를 연결하여 작은 열량으로도 효과적인 난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e는 도 7의 등 받침부의 주요부분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9a 내지 도 9e는 도 7의 방석부의 주요부분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의자(100)는 등받침부와 방석부로 이루어지되, 등받침부는 인체의 등 부분에 접촉되되, 인체의 흉추와 요추의 좌우측면부를 등압으로 받치도록 상면(111')이 가로방향으로 중앙이 오목한 형상(V)을 가지며, 세로방향으로는 중앙 아랫부분이 볼록한 곡면형상(C)으로 이루어진 1차 받침부(110')와, 1차 받침부(110')가 상면(111')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면을 갖는 상체부(120')로 구성된다.
1차 받침부(110')는 인체가 가하는 체압 방향으로 그 단면의 두께가 비슷하면서 인체의 접촉부인 상면(111')은 인체의 흉부 단면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서 그 가운데 흉추 부위 V는 깊은 골이 세로로 구성되어 인체가 누르면 흉추 부위를 감싸듯 하는 구조이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1')에는 통기로(112')가 가로로 다수 형성되고 세로상으로는 적당한 간격으로 좌,우 각각 통기로(112')가 4~6줄 정도 가로와 세로의 통기로(112')가 교차되게 형성되는데, 이 교차위치에는 1차 받침부(110')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로(113')가 형성된다.
1차 받침부(110')의 배면(115')에는 인체 접촉부(111')의 단면 곡선과 유사한 곡면을 이루되 인체의 압력특성을 감안한 곡선이 되며, 또한 끝부가 잘린 콘형태의 돌출부(114')가 가로와 세로상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2차 받침부 상체부(120')의 요입홈(122')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형성된다.
상체부(120')의 상면(121')은 1차 받침부(110')의 배면(115')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요입홈(122')이 구비되어, 1차 받침부(110')의 배면(115')이 상체부(120')의 상면(121')에 정확히 결합된다.
또한, 가로상의 측면에는 좌,우에 일방향 밸브(150')가 부착되어 있으며, 요입홈(122')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대로 연결되며, 상면(121')과 연이어진 형상이다.
여기에서 하체부(130')의 바닥면(131')에는 피톤치드향을 담지한 용기(미도시)를, 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풍기(70)를 필요에 따라 착설할 수도 있다.
그외의 구성요소는 받침 구조(1)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받침부는,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흉추와 요추의 좌우측면부를 등압으로 받치는 우수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등허리를 기댈 때 척추의 양쪽을 감싸듯 하고 좌,우의 늑골부까지 뒤에서 받칠뿐 아니라 미세하게 가운데로 모아서 받치는 기능이 있는데, 이 기능은 자세를 바르게 할 뿐 아니라 측만증을 예방한다.
또한, 허리 부분의 미세 돌출은 척추에 체중과 자세에 의한 과압을 줄이고, 장시간 사용중에도 피로감이 감소하며, 더운 날씨에도 통기로에 의하여 땀이 적게 발생되고, 땀이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증발시켜 줌으로써 안락함이 유지된다.
의자(100)의 방석부는 인체의 둔부에 접촉되되, 인체의 둔부를 등압으로 받치도록 상면(111)이 가로방향으로는 중앙이 오목한 형상(V1)을 가지며, 세로방향으로는 안측이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1차 받침부(110)와, 1차 받침부(110) 가 그 상면(111)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면을 갖는 상체부(120)로 구성된다.
1차 받침부(110)는 인체 접촉부인 상면(111)에 가로상의 통기로(112)가 다수 형성되고 이와 교차되는 세로상에 통기로(112)가 4~6줄 정도 형성된다. 이러한 통기로(112)는 1차 받침부(110)를 관통하는 다수의 통로(113)로 연결된다.
또한, 상면(111)의 표면굴곡은 대체로 인체가 앉을 때 만들어지는 굴곡과 같으나 방석부 중앙 세로상으로는 약간 깊은 골곡 V1이 있고, 바닥부의 양쪽 끝부 e1은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등고선 상으로는 높은 위치로 형성되어 두 다리를 기댈 수 있는 동시에 무릎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배면(115)은 상면(111)의 곡면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가로, 세로상으로 각각 일정한 규격으로 끝부가 잘린 콘 형태의 돌출부(114)가 형성되어 이는 2차 받침부의 상체부(120)에 형성된 요입홈(122)에 삽입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부(120)의 상면(121)을 등고선 C1로 표시하여 보면, 좌골 하단이 위치하는 곳은 g1로 주변에 비하여 다소 높게 형성되고, 세로상의 중앙부 V1 지역은 앉아서도 압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으므로, 주변에 비하여 약간 낮게 형성된다.
또한, 2차 받침부의 상체부(120) 상면(121)의 굴곡은 1차 받침부(110)가 체압에 의해 눌러질때 등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배면(115)의 굴곡면과 거의 유사한 형태로 형성한다.
그외의 구성요소는 받침 구조(1)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석부는 좌골의 끝부가 가장 낮고 좌,우로 궁둥이 형태의 곡선을 갖고 있어서 체압이 한곳에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인체의 부위 특성에 맞는 등압의 상태로서 구성됨으로써 장시간 사용시에도 피로감이나 다리의 저림 현상 등이 없고, 특히 끝부 e1은 무릎부위가 기대어 질 수 있으며, 무릎이 벌어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어 고관절의 건강과 바른 자세에 도움이 된다.
또한, 통기로에 의하여 사용시에 궁둥이에 땀이 작게 발생하며, 땀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빨리 증발시켜줌으로써 땀띠 등의 예방에도 매우 효과적이며, 위생적이고, 피톤치드 향을 내장하여 휘산 시킴으로써 살균력, 항균력, 면역력 강화, 순환기강화, 상쾌한 기분 등의 유익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a) 및 방석부의 제 2 받침부의 등고선도(b)이다.
의자(200)는 일명 앉은뱅이 의자로서 의자의 다리부가 없어 방석부를 방바닥 등에 놓고 사용하며, 이때, 사용자는 양반다리 자세 등을 취하게 된다.
등받침부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방석부(210,220,230)는 가장 깊은 부위인 g2 부분에 양쪽 좌골부 끝부가 안착하면서 두다리는 양반다리 형태를 취함으로써 등고선 상의 각이 세로 방향 아래로 좌,우 각각 45° 정도로 열리게 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제 2 실시예의 방석부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베개(300)는 인체의 머리부에 접촉되되, 인체의 머리부를 등압으로 받치도록 상면(311)이 가로방향으로는 요철(凹) 형상으로 중앙부(V3)의 두께가 좌우측부의 두께보다 얇으며, 중앙부(V3)와 좌우측부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P3)이 형성되고, 세로방향으로는 전면에서 후면부를 향하여 미세 하향 경사(θ1)를 이루는 1차 받침부(310)와, 1차 받침부(310)가 상면(311)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면(321)을 갖는 상체부(320)로 구성된다.
1차 받침부(310)의 상면(311)에는 세로상 다수의 통기로(312)와 2~4줄의 가로상 통기로(312)가 교차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 상면의 중앙부(V3)는 좌,우측부보다 낮게 형성된다. 중앙부(V3)는 상,하부는 좁고 가운데는 다소 넓은 상태의 호 형상으로 중앙선에서 대칭되게 형성되고, 좌우측부로 연장되는 경사면(P3)은 급한 경사로 이루어지며, 좌우측면부는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미세 하향경사 θ2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 제609437호 "건강 베개"에, "대체적으로 신체가 옆으로 돌아 누울때 바로 누운 상태에서는 무게중심 때문에 어깨각을 조금씩 임의의 각도로 돌아 누울 수 없게 된다. 보통 어깨가 30°내외에서 한번 돌아 눕게 되는데 이때 하체는 고관절이 옆으로 구부러진 상태가 되며 대부분은 무릎관절까지 구부러지게 된다. 즉, 어깨 부위만 30°정도 옆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시된 도 1b에서의 θ0는 바로 누운 상태일 때 30 ~ 40°내외이므로 만약 어깨가 30°정도 돌아간다면 θx(병기되어 있지는 않으나 a가 a1,a2,a3,..an으로 변해갈 때 초기각 θ0는 θ1,θ2,..θn으로 변하게 됨)는 60 ~ 70°정도까지 커지게 된다."라고 기재된바, 구체적으로는 머리부의 바닥에서 높이는 쇄골, 늑골, 견갑골 등과 관련이 있으나, 신체 구조면에서 쇄골의 형태에 가장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며, 바로 누운 상태에서 쇄골은 30~40°정도 이미 경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체형에 따라 이런 베개의 상면에서 다소 옆으로 누운자세에서는 어깨와 머리의 중력에 의한 운동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 중심을 쉽게 얻고, 경추와 그 주변부를 미세 인장시켜 효과적으로 이완시키게 된다 .
또한, 상면(311)은 평면 상태이면서 수평면과는 윗쪽으로 미세각 θ1로 기울어져 있으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로(312)는 1차 받침부(310)를 관통하는 통로(313)와 연결된다.
배면(315)은 직경이 큰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끝부를 자른 콘형태의 돌출부(314)가 가로, 세로 일정규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체부(320)는 상면(321)에 직경이 큰 호 형상이면서 위쪽으로 θ1 기울어진 면을 이루며, 1차 받침부(310)의 배면(315)에 배치된 돌출부(314)를 수용하는 요입홈(322)이 형성되고, 통로(313)에 대응하는 연결통로(329)가 다수 구비되며, 좌,우 측면은 밸브(350)가 삽입되는 공기유입구(325)가 형성된다.
또한, 2차 받침 상체부(320)의 상면(321)은 1차 받침부(310)의 배면(315)과 동일하게 중앙부가 다소 낮고, 좌우측면부는 다소 높으면서,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미세 하향경사 θ2 정도 기울어진 형태로서 경사면(P3)처럼 급경사로 서로 이어진 형상이다.
하체부(330)는 평면의 바닥면(331)에서 가로,세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원통형 기둥(332)이 형성되고 상측의 막힘부(333)에는 조립용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 볼트에 의하여 상체부(320)의 요입홈(322)에 결합된다.
또한, 바닥면(331)에는 피톤치드 향을 담지한 용기(360)를 설치하여 스크류테퍼 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한다.
그외의 구성요소는 받침 구조(1)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베개(300)는 개인의 습관에 따라 고개가 약간 뒤로 젖혀지거나 앞으로 약간 숙여서 베는 정도의 차이와 높이가 약간 달리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하를 돌려 베는 것으로 조절이 가능하고, 통기로(312)에 의하여 머리의 열이 쉽게 확산하며, 땀이 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증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고, 피톤치드 향을 발산할 수 있어 살균, 향균, 면역성, 순환기 등의 기능을 강화하는 등의 강화 효과가 있으면서, 바른자세와 옆으로 임의의 자세에 있어서 항상 등압을 실현시킴으로써 상쾌한 기분과 더불어 피로가 빨리 풀리고 숙면을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매트리스(400)는 인체의 머리부부터 발끝부분에 걸쳐 접촉되되, 가로방향으로 중앙부(11a)의 두께가 좌우측부(11c)의 두께보다 얇으며, 중앙부(11a)와 좌우측부(11c)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11b)이 형성되고, 세로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이 소정의 폭으로 수평을 이루되, 좌우측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미세 하향 경사된 베개부(11a~11c)와, 베개부의 중앙에 연이어 형성되되, 좌우 및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된 흉추 받침부(11g)와, 흉추 받침부의 좌우측에 연이어 형성되되, 그 중앙에 골을 이루는 견갑골 받침부(l'2)와, 흉추 받침부에 연이어 형성되되, 중앙이 미세 돌출되고 좌우측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허리받침부(11e)와, 허리받침부에 연이어 형성되되, 가로상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둔부 받침부(11h)와, 상기 둔부 받침부에 연이어 형성되되, 그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미세 돌출 형성된 무릎 받침부(11f)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면의 좌우측부 및 발목 아랫부분은 통기로(412)가 형성되지 않고, 상체부(420)의 상면(421)은 1차 받침부(410)가 그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2a 내지 도 12d에 있어서, 세로 중앙선 L1 좌편은 2차 받침부 상면의 중심선 l에 대한 단면 굴곡선 l'를 표시한 것이며, 세로 중앙선 우편은 1차 받침 부(410)의 상면(411) 평면도 상의 평면도와 등고선을 표시한 것이다.
먼저, 중앙선 L1 우측 1차 받침부(410)의 상면(411)은, 경사부 S와 낮은 중앙부(11a) 하부에서 상부로 다소 넓어지면서 측면으로는 급경사부를 이루는 경사면(11b)이 형성되고, 측면의 중앙은 평면에 가까우면서 좌,우로 미세 하향경사를 이루는 11c와 양측면부의 아랫부분이 호를 그리며 조금 내려오고 베개부 전체는 세로부의 상부가 미세하게 낮아진다.
베개부(11a,11b,11c)는 그 상면에 전체적으로 세로상의 통기로(412)와 2~4줄 정도의 가로상 통기로(412)가 교차되어 형성되고, 그 아래로는 대략 인체의 발목부 정도에 까지 세로상의 통기로(412)가 이어지고, 세로상으로는 4~6줄의 통기로가 교차되어 구성되며 11d의 양끝부와 발목부 아래는 통기로(412)가 형성되지 않는다.
베개부의 중앙부(11a)에 연이어 경추부와 이어지는 흉추부를 받칠 수 있는 흉추 받침부(11g)는 위는 높고 아래로 갈수록 낮아지면서, 베개부의 중앙부(11a) 넓이로 시작되어 좌,우 끝부는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허리 부분에서는 중앙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미세 돌출되고, 좌,우 부위로 갈수록 돌출량이 늘어나는 형태로서, 등고선 11e처럼 구성되고, 엉덩이 부분은 등고선 11h의 가로줄로서 통기로(412) 선과 겹침 상태로서 그 곡선의 형상으로 약간 낮아진다.
그 아래로 무릎부위에서 좌,우로 다리를 약간 벌린 상태에서 무릎부를 받치는 형태로 다소 융기된 부분 11f(등고선, 통기로선과 겹침)가 위치한다.
중앙선 L1 의 좌측으로 세로상으로는 기준선 L1 에 대하여 2차 받침부의 높이에 상응하는 실제곡선 L'1 로서 베개부 상면은 θ가량 상부가 기울어지면서 상,하부는 그 단면이 호의 형태이다.
그 아래로 흉추부를 상부에서 하부까지 알맞은 곡선 형태로 아래로 낮추어지며 흉추 하단부에서 요추 및 천골 상단부에 이르기까지는 그 중앙이 솟아오르다 내려가고, 천골부와 미추 및 좌골부(대둔근)까지는 아래로 내려 다시 올라온다. 그 다음 대퇴이두근 부위에서 미세 아래로 굴곡지고 비복근(경골부) 부위는 아래로 작은 호를 그린다.
중앙에서 옆으로 L2 중심선에 대하여 2차 받침부 상면의 세로상의 그 곡선 L'2 는 윗부분부터 설명을 하면, 45°정도의 경사부(S)가 있고 베개 상면은 전체가 θ정도의 각으로 윗쪽이 아래로 기울면서 호의(적당곡선) 형태가 되며, 중심선보다 다소 높은 상태이고, 베개 상면부 아래로 내려오면 다른면보다 다소 깊은 홈을 이룬다. 이곳은 인체가 옆으로 누울때 견갑골 끝부의 상완두골 부근이 위치하는 곳이다.
그 아래로는 서서히 허리 부분에 까지 미세한 경사로 상승하다 허리부는 완만한 곡선으로 솟아오른다. 그 아래로 골반부 및 고관절 부위는 완만한 곡선으로 내려앉는다. 그 아래로 내려와 무릎 부위에선 봉곳하게 높아진다. 그 아래로는 바닥과 평면을 유지한다.
상술한 바를 인체 가로상의 변화를 중앙에서 좌측면으로 설명하면 그 중심선 L1 혹은 l1 에 대하여 L'1 혹은 l'1은 베개 중앙부(11a)가 측면에 비하여 낮으며 상부가 넓고 하부는 다소 좁은 면을 이루며 급경사부(11b)를 지나 미세하게 외부쪽으로 다소 하향경사지고, 그 배면(415)은 세로 방향으로 호를 그리며, 상부가 다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낮아지는 형태의 2차 받침부의 베개 상면을 이룬다.
l'2는 흉추 받침이 높고 일정한 너비를 가지며 경사지게 내려와 다시 평면을 이루고 다시 경사지게 낮아지면서 일정 너비를 유지하다 다시 바닥이 경사져 올라가 평면을 이룬다. l'3은 흉추 6,7,8번 부위로서 중앙에서 좌측부로 거의 평면을 이룬다. l'4는 요추 2,3번 부위로서 중앙부위가 다소 융기된 상태로서 미세하게 측면을 향하여 상승하다 허리너비 정도에서 다소 경사를 이루면서 높이 상승후 다시 낮아지는 단면 형태이다. l'5는 인체의 둔부 위치로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서 좌측으로 미세한 기울기는 끝부까지 이어진다.
l'6은 대둔근 아래 끝부로 다소 봉곳한 형태로서 좌측 끝부로 미세 하향 되어 있다. l'7은 무릎 부위로서 중앙부가 약간 높으며 좌측으로 향해 점점 높아지다. 다시 중앙부의 높이로 된다. l'8 ,l'9 ,l'10 ,l'11은 중앙부에서 좌측으로 거의 수평으로 이어진다.
또한, 1차 받침부(410)는 S의 경사면을 지나 베개의 상면(411)이 형성되고, 이는 윗쪽이 θ 각으로 미세 하향되며, 그 아래로는 직각에 가깝게 꺾여 얇아 진후 흉추의 모양을 따라 상부는 경사가 크고 내려오면서 다소 완만해지는 흉추 모양과 유사하고 허리 부분에서는 알맞게 봉곳하게 솟으며, 이어 둔부의 부분에서 적당히 내려앉고 그 끝부에서 아래로는 같은 두께로 내려온다.
베개부의 표면은 세로상의 다수 통기로(412)가 형성되고 2~3줄의 가로상의 통기로(412)가 교차되도록 형성되며, 흉추부 아랫부는 다수의 통기로(412)가 세로상으로 형성되고 4~6줄 정도의 세로상 통기로(412)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데, 여기에는 1차 받침부(410)를 관통하는 통로(413)가 규칙적으로 다수 형성되고, 이는 2차 받침부의 상면에 있는 연결통로(429)를 통하여 상체부(420)와 하체부(430)가 조립되어 만드는 내부공간과 연통한다.
한편, 1차 받침부(410)의 배면(415)은,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부(420)의 상면곡선과 동일한 곡면을 이루어 조립시 인체 부위별로 특성에 적합한 등압을 형성시키게 되며 가로 세로상으로는 규칙적으로 끝부가 잘린 콘형태의 돌출부(414)가 다수 형성된다.
2차 받침부(420,430)는 윗부분에 45°정도의 경사면 S가 형성되고, 그 아래로는 베개부의 상면(411)은 직경이 큰 호를 그리며 윗부분으로 θ°정도의 낮은 상태로 형성되고, 그 아랫부는 직각 가깝게 약간 꺾여진 다음 흉추 상부에서는 급한 형태의 곡면으로 내려와 점점 완만해지는데, 이 곡선은 체압이 없는 흉추의 자연스런 형태이고, 이어져 허리부(요추)에서는 다소 봉곳한 허리의 곡선 형태가 되며, 그 아랫부는 둔부로서 환형으로 깊어지고, 둔부의 끝부는 미세하게 솟다가 다시 비복근 부위는 완만하게 내려가고 무릎부에서는 약간 솟다가 종아리 부분에서 발목부위까지는 다소 내려가고 그 아래는 바닥과 평면 상태이다.
상체부(420)는 상술한 곡면을 갖으면서 가로와 세로상으로는 일정 규격의 위치마다 다수의 요입홈(422)이 형성되는데, 이는 1차 받침부(410)의 배면(415)에 융기되어있는 돌출부(414)가 삽입된다. 또한 이 요입홈(422)의 상면 곡면을 받치는 기둥 역할을 하면서 아래 원통형 기둥(432)의 상면(433)에 얹히고 조립용 관통홀(434)의 스크류 볼트(미도시)에 의해 조립된다.
요입홈(422)과 요입홈(422)의 대각선 중심부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연결통로(429)아 형성되는데, 이는 1차 받침부(410)의 통로(413)와 연이어져 기체 통로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요입홈(422)은 가로 세로상으로 힘대(427)를 통하여 서로 연접되는 견고한 구조로 된다.
또한, 상체부(420)의 외곽부는 연결부(426)에 의하여 하체부(430)의 외곽부와 접합되게 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공기유입구(425)가 형성되어 여기에 밸브(450)가 삽입된다.
하체부(430)는 바닥에서 90°꺾여 올라온 측면판의 끝부에 상체부(420)의 연결부(426)와 결합되는 연결부(436)가 형성되고, 바닥에서 가로 세로로 원통형으로 융기된 다수 원통형 기둥(432)은 상체부(420) 요입홈(422)의 받침 기둥으로서 가로와 세로상으로는 힘대(435)가 형성되어 그 구조를 더욱 강하게 구성하고 있고, 그 기둥 상부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를 스크류 테퍼 볼트(40)로서 간단히 조립할 수 있게 장치되어 있다.
하체부(430)의 바닥면(431)의 원통형 기둥(432) 사이에는 피톤치드 향의 용기(460)가 여러개 설치되어 2차 받침부(420,430) 내부 공간에 그 약성향을 휘산시 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체부(420)와 하체부(430)가 조립된 2차 받침부의 요입홈(422)에 1차 받침부(410)의 돌출부(414)를 삽입하면, 조립이 완료되고, 이렇게 구성된 매트리스(400)의 외부에 적합한 재료로 외피를 여러겹 씌우되 그 측면에 밸브(450)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게 되며, 필요시 호스(미도시)를 통하여 열풍기(미도시)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외의 구성요소는 받침 구조(1)와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더블 침대에서 사용시 체형에 따라 2개를 나란히 놓고 사용하며, 위치를 바꾸는 경우에도 서로의 위치를 이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받침 구조는 상기 실시예 이외에도 인체가 접촉되는 많은 곳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 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는 인체의 등압을 구현하도록 받침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생활이나 수면을 통하여 안락함과 건강증진을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의 맞춤형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골격의 변형을 교정 및 예방하는 효과와, 자기의 체형에 알맞아 오래 사용해도 상대적으로 편안하여 피로감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쿠션부의 두께가 현저히 감소하여 전체의 중량이 동일 크기 의 비하여 가볍고 튼튼하며, 약성향을 휘산시킴으로써, 면역기능, 순환기계, 항균력 등이 강화되어 건강에 매우 유익하고, 다양한 구조의 통기로 및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통기성이 우수하여 장시간의 사용시 땀의 발생이 적을 뿐만 아니라 발생한 땀도 빨리 건조되어 쾌적한 기분을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 분해가 용이하여 세탁, 살균 등의 취급이 용이한 동시에 위생성 및 사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쿠션재로 이루어지되, 상면은 받침대상 인체부위의 외형보다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상기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받침부와;
    상기 제 1 받침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상면은 상기 제 1 받침부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받침부를 지지하는 상체부와, 상기 상체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체부를 구비하는 제 2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부는 그 하면에 일면이 잘린 콘 형상의 돌출부가 일정간격의 배열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체부는 상기 돌출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요입홈이 두께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 일단의 막힘부 중앙에는 조립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체부는 상기 조립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립용 관통홀을 구비한 원통형 기둥이 형성되되,
    체결구가 상기 원통형 기둥의 조립용 관통홀을 거쳐 상기 조립구를 통하여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부는 그 상면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직선형 통기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기로의 교차지역에 상면에서 하면으로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는 그 내부가 중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입홈의 좌우측을 십자형으로 지지하는 제 1 힘대가 형성되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의 상기 요입홈 주변의 상기 통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두께방향으로 연결통로가 배열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에 삽입된 일방향 밸브를 통하여 외부 공기 또는 열풍기에 의한 공기가 상기 상체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부는 상기 원통형 기둥을 십자형으로 지지하는 제 2 힘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힘대와 상기 원통형 기둥 사이 공간에 형성된 수납부중 임의의 위치에 약성향을 함유한 휘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용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받침 구조를 이용한 등 받침부를 갖 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부는 인체의 등 부분에 접촉되되, 인체의 흉추와 요추의 좌우측면부를 등압으로 받치도록 그 상면이 가로방향으로 중앙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세로방향으로는 중앙 아랫부분이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체부의 상면은 상기 제 1 받침부가 그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 받침부를 갖는 의자.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받침 구조를 이용한 방석부를 갖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부는 인체의 둔부에 접촉되되, 인체의 둔부를 등압으로 받치도록 그 상면이 가로방향으로는 중앙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세로방향으로는 안측이 볼록한 곡면형상이면서 양측부가 높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체부의 상면은 상기 제 1 받침부가 그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석부를 갖는 의자.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받침 구조를 이용한 베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부는 인체의 머리부에 접촉되되, 인체의 머리부를 등압으로 받치도록 그 상면이 가로방향으로는 요철(凹) 형상으로 중앙부의 두께가 좌우측부 의 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중앙부와 상기 좌우측부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부는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미세 하향 경사를 이루며, 세로방향으로는 전면에서 후면부를 향하여 미세 하향 경사를 이루며;
    상기 상체부의 상면은 상기 제 1 받침부가 그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받침 구조를 이용한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침부는 인체의 머리부부터 발끝부분에 걸쳐 접촉되되,
    가로방향으로 중앙부의 두께가 좌우측부의 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중앙부와 상기 좌우측부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는 세로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이 소정의 폭으로 수평을 이루되, 좌우측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미세 하향 경사되고, 상기 좌우측부는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미세 하향 경사된 베개부와;
    상기 베개부의 중앙에 연이어 형성되되, 좌우 및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된 흉추 받침부와;
    상기 흉추 받침부의 좌우측에 연이어 형성되되, 그 중앙에 골을 이루는 견갑골 받침부와;
    상기 흉추 받침부에 연이어 형성되되, 중앙이 미세 돌출되고 좌우측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허리받침부와;
    상기 허리받침부에 연이어 형성되되, 가로상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둔부 받침부와;
    상기 둔부 받침부에 연이어 형성되되, 좌우측부가 미세 돌출 형성된 무릎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면의 좌우측부 및 발목 아랫부분은 상기 통기로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상체부의 상면은 상기 제 1 받침부가 그 상면으로부터 체압방향으로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KR2020060026397U 2006-09-28 2006-09-28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 KR200434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397U KR200434784Y1 (ko) 2006-09-28 2006-09-28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397U KR200434784Y1 (ko) 2006-09-28 2006-09-28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926A Division KR100794646B1 (ko) 2006-09-28 2006-09-28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784Y1 true KR200434784Y1 (ko) 2006-12-27

Family

ID=4178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397U KR200434784Y1 (ko) 2006-09-28 2006-09-28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7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0137A (en) Physiological chair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KR100685801B1 (ko) 종합 베개
KR20070001031U (ko) 허리운동용 의자
WO2007091863A1 (en) Bear back and neck pillow
CN205434270U (zh) 加热按摩多功能老人椅
KR101930643B1 (ko) 베개
KR100795271B1 (ko) 베어 등목 베개
KR101656567B1 (ko) 바로잠베개
KR200423409Y1 (ko) 건강증진용 베개형 운동구
KR19990069290A (ko) 인체공학베개
KR200434784Y1 (ko)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100794646B1 (ko) 받침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등받침부 또는 바닥부를 갖는의자, 베개 및 매트리스
KR20210080787A (ko) 어깨를 지지하는 베개
KR20110130796A (ko) 자세교정용 의자
JP2843797B2 (ja) 姿勢調整寝具
CN208692686U (zh) 一种定制化床垫
KR20180029328A (ko) 매트리스
KR200456599Y1 (ko) 척추 받침대
CN206197500U (zh) 休闲运动椅
KR200473823Y1 (ko) 지압기
KR200258149Y1 (ko) 체형 의자
JP3175763U (ja) 指圧器
JP2004215916A (ja) 背部押圧治療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