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237Y1 -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237Y1
KR200434237Y1 KR2020060024801U KR20060024801U KR200434237Y1 KR 200434237 Y1 KR200434237 Y1 KR 200434237Y1 KR 2020060024801 U KR2020060024801 U KR 2020060024801U KR 20060024801 U KR20060024801 U KR 20060024801U KR 200434237 Y1 KR200434237 Y1 KR 200434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base
injection device
scul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범
Original Assignee
임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범 filed Critical 임성범
Priority to KR2020060024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6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eroplanes, airships, balloons, or ki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의 내부로 신속하면서도 깨끗한 공기를 튜브내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51)의 상방에 광고 문안을 가지고 연결되는 튜브(52)와;
상기 튜브(52)에 튜브(52)로 공기를 주입시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공기주입장치(55)를 구비하는 공기조형물(50)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장치(55)는 베이스(51)와 연결되는 튜브(52)의 하단부 일측면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필터(56)를 가지고 고정되는 주입가이드관(57)과;
상기 주입가이드관(57)의 내측에 방향 전환성이 좋도록 주름(58)을 형성하여 연결되는 결합관(59)과;
상기 결합관(59)은 베이스(51)의 내부에 장착되는 송풍홴(60)과 결합하여 외부공기를 튜브(52)내에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공기조형물, 공기, 주입

Description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Air supplier for signtube}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인 공기주입장치가 적용된 공기조형물을 도시한 간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를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를 도시한 발췌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공기주입장치가 적용된 공기조형물을 도시한 간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공기조형물
51; 베이스
52; 튜브
55; 공기주입장치
56; 필터
57; 주입가이드관
58; 주름
59; 결합관
60; 송풍홴
본 고안은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얇은 직물재질로 구비되는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직립시켜 튜브를 이용하여 광고를 수행하는 공기조형물에 공기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공기조형물은 필요에 따라 쉽게 접고 펼칠 수 있고 설치공간을 크게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근자에 들어 직립되는 광고용이나 운동회와 같은 행사장에서 장식 또는 행사보조용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가장 대표적인 예를 도 4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공기조형물(1)은 지면과 연접되는 베이스(2)의 상방으로 직물재질로 구성되고 다양한 광고 문안을 가지는 튜브(3)를 연결하고, 상기 튜브(3)의 내부에는 튜브(3)로 공기를 주입시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공기주입기(4)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주입기(4)는 베이스(2)에 전원을 인가받는 모터(5)에 의하여 구동하는 흡입홴(6)을 설치하여 베이스(2)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하여 외부공기를 주입하여 튜브를 팽창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흡입홴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튜브의 내부로 주입할 때 베이스가 지면과 연접된 상태에 있고 흡입홴 또한 지면과 거의 연접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서 지면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유입하여 튜브를 충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면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흡입홴에 의하여 유입될 때 흡입홴의 손상을 가져오는 것은 물론, 주기적으로 공기를 충진 하고 빼는 것이 반복되는 것을 감안할 경우 나중에는 튜브에 이물질로 가득 차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와 지면의 이격 거리가 짧기 때문에 공기를 흡입하는 위치의 공기량이 적기 때문에 튜브를 충분한 공기를 튜브 내로 주입하기 못함으로서 튜브를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지 못하여 높이가 높거나 형상이 특이한 것일 경우에는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되므로 광고의 효과를 높이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튜브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공기주입장치를 개선하여 보다 신속하면서도 깨끗한 공기를 튜브 내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튜브의 팽창도를 높여 광고 효과를 높이면서 공기주입장치의 내구성과 튜브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인 공기주입장치가 적용된 공기조형물을 도시한 간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를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를 도시한 발췌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공기조형물(50)은 지면과 연접되는 베이스(51)의 상방으로 직물재질로 구성되고 다양한 광고 문안을 가지는 튜브(52)를 연결하고, 상기 튜브(52)에는 튜브(52)로 공기를 주입시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공기주입장치(55)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공기주입장치(55)를 개선하여 이물질의 유입 없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많은 양의 공기를 튜브(52)에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주입장치(55)는 베이스(51)와 연결되는 튜브(52)의 하단부 일측면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필터(56)를 가지는 주입가이드관(57)를 본딩등의 방법으로 고정한다.
상기 튜브(52)의 내부에 위치한 주입가이드관(57)의 내측 단부에는 튜브(52)의 내부에서 방향 전환성이 좋도록 일정한 길이에 걸쳐 주름(58)을 형성한 결합관(59)을 연결한다.
상기 결합관(59)은 베이스(51)의 내부에 장착되는 송풍홴(60)과 결합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튜브(52) 내에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홴(60)의 경우에는 튜브(52)를 베이스(51)와 결합하기 전에 베이스(51) 상에 설치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55)는,
공기조형물(50)을 설치할 위치에 베이스(51)를 위치시킨 후 송풍홴(60)을 작동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튜브(52) 내로 유입되면서 튜브(52)가 팽창하고, 팽창된 튜브(52)의 외면의 광고 문안이 표출되어 광고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튜브(52) 자체가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비되어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튜브(52) 내로 외부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튜브(52)의 하단부 일측에 고정되는 주입가이드관(57)을 통하여 수행함으로서 지면에 있는 이물질이나 먼지, 모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입가이드관(57)에 필터(56)를 더 구비함으로서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차단한 상태에서 순수 외부공기만 튜브(52) 내에 주입하게 됨으로서 공기의 주입량을 증대시켜 튜브(52)의 팽창성을 좋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른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경우 베이스(51)와 튜브(52)의 내부에 주입가이드관(57)과 결합관(59)이 구비되고 송풍홴(60)이 구비됨으로서 공기조형물(50)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가나 사용을 위하여 이동중일 때 공기주입장치(55)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주입장치(55)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교환이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베이스(51)로부터 튜브(52)를 분리한 후 송풍홴(60)과 결합관(59)을 분리하여 쉽게 정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튜브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공기주입장치를 개선하여 보다 신속하면서도 깨끗한 공기를 튜브내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튜브의 팽창도를 높여 공기조형물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Claims (1)

  1. 베이스(51)의 상방에 광고 문안을 가지고 연결되는 튜브(52)와;
    상기 튜브(52)에 튜브(52)로 공기를 주입시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공기주입장치(55)를 구비하는 공기조형물(50)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장치(55)는 베이스(51)와 연결되는 튜브(52)의 하단부 일측면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필터(56)를 가지고 고정되는 주입가이드관(57)과;
    상기 주입가이드관(57)의 내측에 방향 전환성이 좋도록 주름(58)을 형성하여 연결되는 결합관(59)과;
    상기 결합관(59)은 베이스(51)의 내부에 장착되는 송풍홴(60)과 결합하여 외부공기를 튜브(52)내에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
KR2020060024801U 2006-09-14 2006-09-14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 KR200434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801U KR200434237Y1 (ko) 2006-09-14 2006-09-14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801U KR200434237Y1 (ko) 2006-09-14 2006-09-14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237Y1 true KR200434237Y1 (ko) 2006-12-18

Family

ID=4178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801U KR200434237Y1 (ko) 2006-09-14 2006-09-14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2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303B1 (ko) * 2022-10-27 2023-11-14 이형래 공기 주입식 광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303B1 (ko) * 2022-10-27 2023-11-14 이형래 공기 주입식 광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674B1 (ko) 비접촉 석션 그립핑 장치 및 이를 갖는 비접촉 석션 그립핑 프레임
WO2006049470A3 (en) Wet type air cleaner
US7197841B2 (en) Inflatable doll display
KR200434237Y1 (ko) 공기조형물용 공기주입장치
KR101318281B1 (ko) 물 분사 노즐을 구비한 청소차
CN211134564U (zh) 一种带吹气清理的震动筛装置
KR200488818Y1 (ko) 입체형 에어간판
KR200386409Y1 (ko) 에어간판용 고정장치
ES2542894A2 (es) Máquina y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machos de arena
KR102058863B1 (ko) 실내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덕트 내부 청소 장치
ES2441666A1 (es) Soporte publicitario para eventos deportivos y similares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 soporte publicitario
CN220135996U (zh) 风干装置
CN215304669U (zh) 一种稳定性高的传感交互式镜
CN107774057A (zh) 一种滤袋弹簧骨架安装结构
KR200326128Y1 (ko) 집진기
KR200190506Y1 (ko) 광고용 에어탑
CN104080385A (zh) 具有空气动力振荡器的清洁装置
KR102058866B1 (ko) 오염 물질의 확산을 방지하는 덕트 내부 청소 장치
KR100550611B1 (ko) 워셔 분사장치의 관 구조
JP2019003183A (ja) 広告用空気膜造形物
CN105649350A (zh) 一种建筑用安全防护棚盖
JP3218085U (ja) エアブロー装置
KR200207318Y1 (ko) 움직이는 광고용 에어탑
KR102080942B1 (ko) 폴리우레탄 폼 냄새제거 장치
ES2318660T3 (es) Dispositivo de limpieza con cabezal de limpieza y procedimiento para limpiar filtros tubula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