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134Y1 -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 Google Patents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134Y1
KR200434134Y1 KR2020060026294U KR20060026294U KR200434134Y1 KR 200434134 Y1 KR200434134 Y1 KR 200434134Y1 KR 2020060026294 U KR2020060026294 U KR 2020060026294U KR 20060026294 U KR20060026294 U KR 20060026294U KR 200434134 Y1 KR200434134 Y1 KR 200434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dish
base
casting
mold
continuous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수 filed Critical 김희수
Priority to KR2020060026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1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1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3/00Centrifugal casting; Casting by using centrifugal force
    • B22D13/12Controlling, supervising, specially adapted to centrifugal casting, e.g.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1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above, e.g. by ceilings of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주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용탕이 담긴 턴디쉬와, 소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중공부를 갖는 관체로 된 몰드와, 상기 몰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장치로 구성된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는 하부에 이동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턴디쉬로부터 상기 몰드의 입구측까지 연결되는 레일과, 상기 턴디쉬의 이동바퀴가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조, 턴디쉬, 이동, 레일, 연장

Description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Continuation casting apparatus for centrifugal casting}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턴디쉬 4 : 베이스
6 : 몰드 8 : 회전장치
22 : 주입구 24 : 이동바퀴
25 : 연장주입구 28 : 높이조절장치
64 : 롤러 66 : 홈
67 : 가스배출구
본 고안은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턴디쉬의 이동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몰드와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어, 주조물의 두께가 균일하고, 탈형이 용이하도록 한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미도시)내에 담겨진 용탕이 쉬라우드 노즐(Shroud Nozzle)을 통하여 턴디쉬(2')내로 장입되고, 상기 턴디쉬(2')에서는 주입구(22')를 통하여 몰드(6')로 용탕이 공급되고, 몰드(6')는 회전장치(8')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몰드(6') 내주면에 용탕이 도포된 후 소결됨으로써 파이프 형상의 주조물이 연속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턴디쉬를 크레인이나 지렛대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들어올린 후 이동하여 그 주입구를 몰드에 합치시켜야 왔으나, 이는 주입구에 인접된 낙하부에만 용탕이 비교적 두껍게 누적되고, 주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용탕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결국 주조물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한 관계로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낙하부에만 고온의 용탕이 누적되므로, 몰드의 내주면에 도포된 알루미나가 용해되어 주조물이 고착될 우려가 있어 탈형이 어렵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턴디 쉬의 이동이 용이하면서 몰드와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동장치가 설치되며, 아울러 턴디쉬에 연장주입구를 구비하고, 턴디쉬를 후진하면서 용탕을 주입함으로써 용탕이 한곳에 집중됨없이 몰드 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어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일측에 주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용탕이 담긴 턴디쉬와, 소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중공부를 갖는 관체로 된 몰드와, 상기 몰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장치로 구성된 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는 하부에 이동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턴디쉬로부터 상기 몰드의 입구측까지 연결되는 레일과, 상기 턴디쉬의 이동바퀴가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턴디쉬의 주입구에는 탈착가능하게 연장주입구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턴디쉬에는 높이조절장치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A)는, 일측에 주입구(2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용탕이 담긴 턴디쉬(2)와, 소정의 베이스(4)와, 상기 베이스(4)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중공부(62)를 갖는 관체로 된 몰드(6)와, 상기 몰드(6)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4)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장치(8)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턴디쉬(2)는 하부에 이동바퀴(24)가 설치된다.
턴디쉬(2)는 내부에 용탕을 담을 수 있는 수용홈(20)이 형성된 박스형태의 수용체로써, 측벽에는 견인구(26)와 높이조절장치(28)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견인구(26)는 인력으로 턴디쉬(2)를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소정의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면 적당하다.
높이조절장치(28)는 베이스(4)에 수직되게 설치된 외측지주(282)와, 상기 외측지주(282) 내에 삽입되며 턴디쉬(2)의 측벽에 설치된 내측지주(284)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지주(282)와 내측지주(284)는 고정볼트(286)의 조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몰드(6)는 양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관체이며, 전단의 개구부에는 턴디쉬(2)의 주입구(22) 및 후술될 연장주입구(25)가 삽입되며, 후단에는 가스배출 구(67)로 사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회전장치(8)의 롤러(64)가 접촉하는 홈(66)이 원주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회전장치(8)는 몰드(6)의 외면에 마련된 홈(66)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롤러(64)와, 롤러(64)에 체인 등의 연결수단(82)을 이용하여 연결된 구동모터(84)로 구성된 것이며, 구동모터(84)의 구동에 의해 롤러(64)가 회전함으로써 몰드(6)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4)의 상면에는 턴디쉬(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42)이 직선방향으로 설치된다.
레일(42)은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는 강재가 적당하며, 턴디쉬(2)와 몰드(6)의 입구측까지 형성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형상인 강재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상기 턴디쉬(2)의 이동바퀴(24)에는 전술한 레일(42)이 삽입될 수 있는 요홈(66)이 원주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그러므로, 턴디쉬(2)는 레일(42)을 타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턴디쉬(2)의 주입구(22)에는 탈착가능하게 연장주입구(25)가 더 설치된다. 연장주입구(25)는 대략 몰드(6) 전체길이의 2/3 정도 되는 길이를 갖는 파이프형상으로써, 일단에는 턴디쉬(2)의 주입구(22)가 끼워지는 확관부(220)가 형성되고, 확관부(220)의 외측에 복수개의 고정수단(222)이 마련됨으로써 연장주입구(25)를 주입구(22)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고정수단(222)의 일예로는 연장주입구(25)의 확관부(220)에 나사결합된 채 조임조작에 의해 턴디쉬(2)의 주입구(22) 외면에 밀착되는 조임볼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고정수단(222)의 일예를 언급한 것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몰드(6)의 내주면에 알루미나 분말을 도포하여 알루미나층(100)을 형성하고, 회전장치(8)를 구동시킴으로써 몰드(6)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턴디쉬(2)의 수용홈(20)에 용탕을 붓고, 그 주입구(22)에는 연장주입구(25)를 설치한 후 레일(42)을 따라 턴디쉬(2)를 전진시켜 그 연장주입구(25)가 몰드(6)의 전단 개구부(62)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턴디쉬(2)에 마련된 높이조절장치(28)를 이용하여 적정한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용탕의 주입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턴디쉬(2)의 연장주입구(25)를 통해 용탕을 몰드(6)내에 주입하면서, 턴디쉬(2)를 후진시킨다.
따라서, 용탕의 낙하지점이 연속적으로 변동됨으로써 열의 집중을 방지하여 알루미나 분말이 보존될 수 있어 주조물의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몰드(6)의 내측에서 용탕이 점진적으로 확산되므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양질의 주조물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 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견인구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턴디쉬를 이동시키는 것을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턴디쉬의 이동바퀴를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장치가 더 구비됨으로써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동력장치는 전력에 의한 구동모터와 동력전달부가 이동바퀴에 연결되는 구성이며 충분하며 이러한 구성은 당업계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어렵지 않게 예측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따르면, 턴디쉬의 이동이 용이하면서 몰드와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고, 아울러 턴디쉬를 후진하면서 용탕을 주입함으로써 용탕이 한곳에 집중됨없이 몰드 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어 양질의 주조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Claims (6)

  1. 일측에 주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용탕이 담긴 턴디쉬와, 소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중공부를 갖는 관체로 된 몰드와, 상기 몰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장치로 구성된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는 하부에 이동바퀴가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턴디쉬로부터 상기 몰드의 입구측까지 연결되는 레일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턴디쉬의 이동바퀴가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의 주입구에는, 일단에는 상기 턴디쉬의 주입구가 끼워지는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의 외측에 조임볼트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연장주입구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의 측벽에는 높이조절장치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베이스에 수직되게 설치된 외측지주와, 상기 외측지주 내에 삽입되며 턴디쉬의 측벽에 설치된 내측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외측지주와 내측지주는 고정볼트의 조임에 의해 고정될 수 있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의 측벽에는 견인구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의 이동바퀴를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장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KR2020060026294U 2006-09-28 2006-09-28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KR200434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294U KR200434134Y1 (ko) 2006-09-28 2006-09-28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294U KR200434134Y1 (ko) 2006-09-28 2006-09-28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134Y1 true KR200434134Y1 (ko) 2006-12-18

Family

ID=4178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294U KR200434134Y1 (ko) 2006-09-28 2006-09-28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1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67A (ko) * 2018-06-22 2020-01-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주입장치
KR20220159569A (ko) * 2021-05-26 2022-12-05 오문택 콘크리트 지주대 원심 성형 장치와 성형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콘크리트 지주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67A (ko) * 2018-06-22 2020-01-02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주입장치
KR102110655B1 (ko) * 2018-06-22 2020-05-13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주입장치
KR20220159569A (ko) * 2021-05-26 2022-12-05 오문택 콘크리트 지주대 원심 성형 장치와 성형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콘크리트 지주대
KR102551619B1 (ko) * 2021-05-26 2023-07-05 오찬수 콘크리트 지주대 원심 성형 장치와 성형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콘크리트 지주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4134Y1 (ko) 원심주조용 연속주조장치
CN110744026B (zh) 缸套离心铸造机
CN110814311B (zh) 一种缸套离心铸造工艺
KR200418609Y1 (ko) 미끄럼방지도료용 노면도포장치
CN109500372B (zh) 一种移动式浇筑口离心铸造机
KR101129982B1 (ko) 연속 주조용 몰드 파우더 공급 장치
CN207127247U (zh) 浇铸装置及铸造设备
CN212598736U (zh) 一种用于消失模加工的均匀喷涂装置
KR100882976B1 (ko) 원심주조장치
CN114683398A (zh) 一种预制混凝土构件及其浇筑装置
RU244518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тливки чушек
KR200462012Y1 (ko) 수평원심주조장치 주입관의 축조대
CN104924432A (zh) 一种预制构件成组立模
KR20130056049A (ko) 연속주조장치용 세그먼트
CN2180364Y (zh) 一种铸管装置
CN104924429A (zh) 一种预制构件成组立模
CN217775537U (zh) 一种用于重力铸造机的旋转机构
JPH07208081A (ja) ライニング打設機
CN220372199U (zh) 一种刹车鼓加工用的铁水浇铸装置
JP3644573B2 (ja) 連続鋳造用パウダー投入装置
KR100315540B1 (ko) 연속 로스트 폼 주조장치
CN215481076U (zh) 一种新的灯具压铸模具热处理装置
EP1316646B1 (fr) Procédé de construction d&#39;ouvrages en béton et application à des voies ferrées pour trains, métros ou tramways
KR101470490B1 (ko) 연속주조장치
CN220807915U (zh) 一种管桩混凝土布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