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938Y1 -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938Y1
KR200433938Y1 KR2020060027066U KR20060027066U KR200433938Y1 KR 200433938 Y1 KR200433938 Y1 KR 200433938Y1 KR 2020060027066 U KR2020060027066 U KR 2020060027066U KR 20060027066 U KR20060027066 U KR 20060027066U KR 200433938 Y1 KR200433938 Y1 KR 200433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ct
bar members
pump
contact su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유진
Original Assignee
허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유진 filed Critical 허유진
Priority to KR2020060027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9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일단부에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들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접촉면들 사이에 나뭇잎을 끼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한 쌍의 바부재; 상기 바부재들 중 하나의 바부재에 설치되며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 상기 바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바부재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으로 개구된 관통공들을 포함하는 수로;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면들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부재들이 회전될 때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접촉면들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부재들이 회전될 때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유출구를 가지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유출구와 상기 수로를 연결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Dust exclusion device of leaf}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의 작동도.
본 고안은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공급하여 용이하게 나뭇잎에 뭍어 있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뭇잎에 뭍어있는 먼지는 미관상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나무들의 광합성에도 지장을 주어 나무가 잘 자라지 못하게 한다.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나뭇잎에 뭍어 있는 먼지를 제거해줘야 하는 데, 통상적으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천으로 된 손수건 등으로 나뭇잎의 표면을 문지르게 된다. 또는, 보다 용이하게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미리 물 등을 나뭇잎에 뿌려 둔 상태에서, 손수건 등을 이용하여 나뭇잎 표면을 문질러 먼지를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물을 공급하는 작업과, 나뭇잎 표면을 문지르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을 위한 시간도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뭇잎에 물을 공급하는 작업과, 나뭇잎 표면을 문지르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는, 각각의 일단부에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들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접촉면들 사이에 나뭇잎을 끼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한 쌍의 바부재; 상기 바부재들 중 하나의 바부재에 설치되며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 상기 바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바부재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으로 개구된 관통공들을 포함하는 수로;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면들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부재들이 회전될 때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접촉면들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부재들이 회전될 때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유출구를 가지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유출구와 상기 수로를 연결하는 튜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는 상기 펌프의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그 유입구에 설치되는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는 바부재(10), 물탱크(20), 수로(30), 펌프(40), 튜브(50), 밸브(60)로 구성되어 있다.
바부재(10)는 각각의 일단부에 접촉면(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11)들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접촉면(11)들 사이에 나뭇잎을 끼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바부재(10)은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바부재(10)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부재(10)에는 다수의 섬유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부재(10)의 접촉면(11)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필터(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20)는 상부에 마련된 바부재(10)에 설치되어 물을 수용한다. 상기 물탱크(20)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구멍(21)이 마련되며, 상기 물구멍(21)에는 그 구멍을 막아 두기 위한 마개(22)가 끼워진다.
상기 수로(30)는 하부에 마련된 바부재(10)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11)으로 개구된 관통공(31)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공(31)은 바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마련되어 있으며, 관통공(31)의 크기 및 수는 먼지 제거장치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펌프(40)는 상기 물탱크(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면(11)들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부재(10)들이 회전될 때 상기 물탱크(20) 내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41)와, 상기 접촉면(11)들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부재(10)들이 회전될 때 상기 유입구(41)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유출구(42)를 가진다.
상기 펌프(40)에는 유입구(41)와 유출구(42)를 연결하는 관통구멍(43)이 마련되며, 상기 관통구멍(43)의 중앙에는 저장공간(44)이 마련된다.
상기 펌프(40)의 관통구멍(43)에서 유입구(41) 측에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유입구(41) 쪽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은 막는 제1체크밸브(45)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40)의 관통구멍(43)에서 유출구(42) 측에는 물이 유출되는 것은 허용하며, 상기 유출구(41) 쪽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은 막는 제2체크밸브(46)가 설치된다.
상기 저장공간(44)에는 기밀을 유지하면서 상기 저장공간(44)의 내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부재(4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부재(47)에는 봉(48)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봉(48)의 하단은 하측의 바부재(10)와 접촉한다. 상기 바부재에서 피스톤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피스톤부재를 누르는 스프링부재(49)가 구비된다.
상기 봉(48)은 상기 바부재(10)들의 접촉면(11)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하측의 바부재(10)에 의하여 눌려서 상부측으로 상기 피스톤 부재(47)를 밀어올리고, 상기 바부재(10)들의 접촉면(11)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스프링부재(49)에 신장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부재(47)를 하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바부재(10)들의 접촉면(11) 사이에는 스프링(7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바부재(10)들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바부재(10)들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튜브(50)는 상기 펌브의 유출구(42)와, 상기 수로(30)를 연결한다.
상기 밸브(60)는 상기 펌프(40)의 유입구(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그 유입구(41)에 설치된다. 상기 밸브(60)는 몸체부와, 플러그(62)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는 그 몸체부를 관통하는 관로(61)가 마련되며, 상기 관로(61)의 일단은 물탱크(2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관로(61)의 타단은 유입구(4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62)는 상기 관로(61)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62)가 회전함에 따라 관로(61)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62)의 상단에는 물탱크(20)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63)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일단 물탱크(20)의 물구멍(21)에 막아둔 마개(22)를 빼낸 후, 상기 물구멍(21)을 통하여 적량의 물을 상기 물탱크(20) 내로 유입한다. 이후, 마개(22)를 이용하여 물구멍(21)을 막아서, 물이 물탱크(20)로부터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후, 밸브(60)를 회전하여 열림상태를 만들어 준다. 이후, 상기 바부재(10)들을 서로 접촉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펌프(40)를 작동시킨다. 이때, 펌프(40)에서 바부재(1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내부에 마련된 피스톤이 하부측으로 이동하고, 유입구(41)로부터 저장공간(44)으로 물이 유입되게 한다. 이후, 바부재(10)가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내부에 마련된 피스톤이 상부측으로 이동하고, 저장공간(44)내에 마련된 물은 유출구(42)를 통하여 배출된다. 배출된 물은 튜브(50)를 통하여 수로(30)로 이동하게 된다. 수로(30)로 이동된 물은 관통공(31)을 통하여 바부재(10)의 접촉면(11)으로 배출된다. 접촉면(11)으로부터 배출된 물은 접촉면(11)에 부착된 필터(12)에 흡수되어 접촉면(11)의 전체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고, 원하는 양의 물이 용이하게 나뭇잎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바부재(10)의 접촉면(11)들 사이에 미리 준비해 둔 나뭇잎을 끼워두면, 상기 물을 머금은 필터(12)는 상기 나뭇잎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물을 상기 나뭇잎에 적시면서, 상기 나뭇잎에 뭍은 먼지 등을 제거해낸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가능하다.
상기 바부재(10)에서 나뭇잎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커버를 덮어씌우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부직포 또는 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극세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커버는 바부재(10)에 직접 덮어씌울 수 도 있으며, 또는 바부재(10)에 필터(12)를 끼운 상태에서 그 위에 덮어씌우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나뭇잎에 뭍어있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에 따른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는 물의 공급과 함께 나뭇잎에 뭍어 있는 먼지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을 위한 시간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와 커버가 물이 공급되는 바부재에 끼워져 있어, 물이 직접 나뭇잎에 공급되는 경우에 비하여 물의 양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각각의 일단부에 접촉면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들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접촉면들 사이에 나뭇잎을 끼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한 쌍의 바부재;
    상기 바부재들 중 하나의 바부재에 설치되며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
    상기 바부재들 중 다른 하나의 바부재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으로 개구된 관통공들을 포함하는 수로;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면들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부재들이 회전될 때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접촉면들이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부재들이 회전될 때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유출구를 가지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유출구와 상기 수로를 연결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그 유입구에 설치되는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
KR2020060027066U 2006-09-29 2006-09-29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 KR200433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66U KR200433938Y1 (ko) 2006-09-29 2006-09-29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66U KR200433938Y1 (ko) 2006-09-29 2006-09-29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938Y1 true KR200433938Y1 (ko) 2006-12-13

Family

ID=4178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066U KR200433938Y1 (ko) 2006-09-29 2006-09-29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9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184B1 (ko) * 2015-02-27 2015-09-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관상용식물 잎 세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184B1 (ko) * 2015-02-27 2015-09-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관상용식물 잎 세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5160B1 (en) Gray-water recycling system
KR200412640Y1 (ko) 차광조절기능을 갖는 유리창
DE3537184A1 (de) Anschluss fuer den entleerungsschlauch einer geschirrspuel- oder waschmaschine
KR101200060B1 (ko) 저압용 자동 물막이밸브
KR200433938Y1 (ko) 나뭇잎 먼지 제거장치
KR101067040B1 (ko) 샤워기가 장착된 비상용 안구세척기
TWM547941U (zh) 可釋放清潔液的自擠水拖把
CN108499995A (zh) 一种用于清洗排气管的清洗装置
KR20170098939A (ko) 세탁기 배수장치, 세탁기 및 제어방법
JP3448605B2 (ja) 地中差込み形給液装置
WO2020006951A1 (zh) 底座组件和具有其的衣物处理装置
CN204034953U (zh) 一种具有快速清洗系统的液体滚涂装置
KR200312920Y1 (ko) 창문조립체
KR101775310B1 (ko) 창문 청소기 및 창문 청소 시스템
KR100707271B1 (ko) 차광조절기능을 갖는 유리창
DE3544788A1 (de) Trommelwaschmaschine
CN210106622U (zh) 一种方便清除滤渣的阀门
JPH10280475A (ja) 建設機械の作動油タンク
KR200371003Y1 (ko) 연수샤워기
CN208171521U (zh) 一种防水试验装置
KR100232117B1 (ko)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자동세척식 연수기
JPH09165724A (ja) 散水装置
KR100795820B1 (ko) 자동차 엔진의 폐유수거 및 후레싱장치
CN2883815Y (zh) 园艺喷水器的启闭阀结构
JP4529290B2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