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741Y1 - 음료수용 병뚜껑 - Google Patents

음료수용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741Y1
KR200433741Y1 KR2020060024710U KR20060024710U KR200433741Y1 KR 200433741 Y1 KR200433741 Y1 KR 200433741Y1 KR 2020060024710 U KR2020060024710 U KR 2020060024710U KR 20060024710 U KR20060024710 U KR 20060024710U KR 200433741 Y1 KR200433741 Y1 KR 200433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ottle cap
beverage
lin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 filed Critical 조경
Priority to KR2020060024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7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3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formed separately but connected to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용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로 된 병의 나사형 뚜껑으로서 목고정부의 수직절단라인을 원형의 라운드 또는 경사형으로 형성하여 열어놓은 뚜껑으로 사용자가 찔리지 않도록 하여 작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평절개라인, 파단라인

Description

음료수용 병뚜껑{Bottle cover for beverag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병뚜껑이 장착된 음료수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병뚜껑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병뚜껑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병뚜껑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병뚜껑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병뚜껑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병뚜껑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3 : 목고정부 14 : 수평절개라인
15 : 파단라인
본 고안은 음료수용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사형 몸체를 잡고 돌릴 때 목고정부가 상기 몸체에서 이탈하도록 한 수평절개라인이 상기 목고정부에서 절개되기 전에 파단되는 파단라인을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가벼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료수용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술과 같은 음료수용 병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봐와 같이 유리로 된 병(B)이 있고, 그 병의 입구는 나사형으로 형성되어 얇은 알류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 나사형 병뚜껑(1)으로 체결되어 밀폐된다.
상기 병뚜껑(1)은 상기 도 2에서 도 4에 도시된 봐와 같이 상기 병(B)의 나사형 입구에 체결되기 위해 나사형으로 형성된 몸체(2)가 있고, 그 몸체(2)가 상기 병(B)의 입구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병(B)의 목을 잡아주는 목고정부(3)가 있으며, 상기 몸체(2)에서 상기 목고정부(3)가 이탈되도록 형성한 수평절개라인(4)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절개라인(4)이 절개되기 전에 상기 목고정부(3)가 상기 수평절개라인(4)에 수직으로 파단되도록 파단라인(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음료수용 병뚜껑은 파단라인(5)이 상기 수평절개라인(4)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병뚜껑(1)을 열어 상기 병에서 분리하게 되면 날카롭고 예리한 파단된 부분이 형성된다. 특히 술이 담긴 병에서 이탈된 병뚜껑은 상기 파단된 부분으로 인하여 과다하게 술을 마신 사람이 종종 찔리는 작은 안전사고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병에서 이탈된 병뚜껑의 파단라인이 파단된 부분에서 찔리지 않도록 하여 작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료수용 병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음료수용 병의 나사형 입구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형 몸체와, 체결된 나사형 몸체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음료용 병의 목부분을 잡아주는 목고정부와, 상기 몸체를 잡고 돌릴 때 상기 목고정부가 상기 몸체에서 이탈하도록 한 수평절개라인과, 그 수평절개라인이 상기 목고정부에서 절개되기 전에 파단되는 파단라인을 갖는 음료수용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파단라인이 상기 수평절개라인과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단라인은 라운드형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병뚜껑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병뚜껑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병뚜껑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 5에서 도 7에 도시된 봐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용 병두 껑(11)은 병의 나사형 입구에 체결되기 위해 나사형으로 형성된 몸체(12)가 있고, 그 몸체(12)가 상기 병의 입구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병의 목을 잡아주는 목고정부(13)가 있으며, 상기 몸체(12)에서 상기 목고정부(13)가 이탈되도록 형성한 수평절개라인(14)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절개라인(14)이 절개되기 전에 상기 목고정부(13)가 상기 수평절개라인(14)에 라운드형으로 경사지게 파단되도록 파단라인(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병뚜껑(11)이 체결된 병에서 상기 몸체(12)를 잡고 돌리게 되면 상기 파단라인(15)이 라운드형으로 경사지게 파단되고, 이어서 상기 수평절개라인(13)이 절개되어 상기 두껑(12)이 상기 병에서 이탈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단라인을 라운드형으로 경사지게 파단되도록 함으로써 파단된 부분을 손으로 집어도 손이 찔리지 않게 되어 작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음료수용 병의 나사형 입구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형 몸체와, 체결된 나사형 몸체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음료용 병의 목부분을 잡아주는 목고정부와, 상기 몸체를 잡고 돌릴 때 상기 목고정부가 상기 몸체에서 이탈하도록 한 수평절개라인과, 그 수평절개라인이 상기 목고정부에서 절개되기 전에 파단되는 파단라인을 갖는 음료수용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파단라인이 상기 수평절개라인과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 병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라인은 라운드형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 병뚜껑.
KR2020060024710U 2006-09-14 2006-09-14 음료수용 병뚜껑 KR200433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710U KR200433741Y1 (ko) 2006-09-14 2006-09-14 음료수용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710U KR200433741Y1 (ko) 2006-09-14 2006-09-14 음료수용 병뚜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869A Division KR20060115676A (ko) 2006-09-14 2006-09-14 음료수용 병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741Y1 true KR200433741Y1 (ko) 2006-12-12

Family

ID=4178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710U KR200433741Y1 (ko) 2006-09-14 2006-09-14 음료수용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7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41119A3 (en) Anti-tampering closing device for bottles and in particular for bottles of alcoholic drinks or spirits
KR200433741Y1 (ko) 음료수용 병뚜껑
WO2008046416A3 (de) Behälterverschluss mit mittel zur geräuscherzeugung
KR20060115676A (ko) 음료수용 병뚜껑
JP4401083B2 (ja) 注出口体
JP5643136B2 (ja) 容器蓋
MX2019010327A (es) Cierre indicador de alteracion.
CN204038121U (zh) 一种红酒瓶塞
ES1108635U (es) Mecanismo para tapar botellas o recipientes con bebidas
PT1526085E (pt) Tampa para garrafa de bebidas
JP2017081617A (ja) ヒンジキャップ
US20110024384A1 (en) Screw top for bottles
JP6004990B2 (ja) 不正開封防止機能を備えた注出栓
ES2235011T3 (es) Tapon inviolable para contenedores.
JP2006111344A (ja) 樹脂等容器及びキャップ
KR20080003776U (ko) 병뚜껑
KR200433708Y1 (ko) 코르크 마개
KR200273095Y1 (ko) 포장용기용 캡
CN201703698U (zh) 一种防伪瓶盖
KR200239869Y1 (ko) 뚜껑따개
RU140897U1 (ru) Колпачок с индикацией первого открывания
KR20240002374A (ko) 코르크 겨냥 보조 오프너
CN201914563U (zh) 撬断瓶口式防伪瓶盖
RU23070U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40078220A (ko) 병 음료 안심따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