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957Y1 -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957Y1
KR200432957Y1 KR2020060024969U KR20060024969U KR200432957Y1 KR 200432957 Y1 KR200432957 Y1 KR 200432957Y1 KR 2020060024969 U KR2020060024969 U KR 2020060024969U KR 20060024969 U KR20060024969 U KR 20060024969U KR 200432957 Y1 KR200432957 Y1 KR 200432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rizontal
vertical
frame
win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학
Original Assignee
이봉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학 filed Critical 이봉학
Priority to KR2020060024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06B3/9648Mitr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 E06B3/9688Mitr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짝이 창틀레일에 최대한 밀착되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과 창짝모서리부의 내부보강심재들을 연결하여 강한 풍압과 진동에도 변형이나 파손되지 않는 결합기능을 일체한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유리와 내부 보강심재를 갖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열융착결합하여 완성된 창짝에 있어서,
‘ㄷ'자 모양의 양날개면이 형성되며 몸체에는 원형 끼움돌기로 구성된 수평결합체와 수평결합체를 “ㄱ"자 모양의 연결보강재에 끼움결합 함으로 일체화된 보강결합부재를 창짝의 모서리 수직/수평면에 밀착하여 고정피스로 체결 장착한 특징이 있다.
내풍압, 창틀, 흔들림방지, 진동파손, 보강결합부재

Description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Device for coupling window and door with reinforced windproof function}
도 1은 종래의 모서리보강을 위한 창짝의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내풍압강화를 위하여 창틀에 유닛을 구성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의 수직/수평결합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의 보강결합부재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창짝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도.
도 7은 본 고안의 창짝에 구성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
10 : 고정피스 20 : 끼움홈
30 : 피스홀 40 : 연결보강재
50 : 끼움돌기 60 : 삽입구
70 : 수평결합체 80 : 수직결합체
90 : 보강결합부재 100,110 : 수평/수직프레임
120 : 창짝 130 : 레일
200 : 창틀
우리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탁자나 장농등의 가구를 배치할시 바닥상태가 고르지 않아 흔들거리는 경우를 종종 경험한다. 이런 경우 우리는 종이나 고무바킹등 으로 바닥과의 틈이나 유격을 최소화 함으로 안정된 가구의 배치를 얻곤한다. 만약 흔들림 상태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심리적인 불안감의 가중과 가구의 파손은 피할수없게된다. 마찬가지로 우리주변의 많은 창들을 흔들어보거나 밀어보면 창틀레일과 창짝의 레일홈에서는 흔들림이 발생한다. 이는 창틀레일에 창짝레일홈을 끼워 부착하는 방식의 창호 구조상 필연적인 걸림치수의 유격과 틈인 것이다. 이로인하여 잦은 흔들림이 유발되며 이는 심리적인 불안감을 가중시키며 장기적으로는 창호의 파손을 초래하여 강한 풍압에의한 창짝 이탈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 치명적인 손실을 피할수없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창호의 구조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에따르는 취약점을 보완함을 목적으로 하며 창틀에 창짝을 최대한 밀착시킴으로 잦은 풍압 이나 진동등에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과 창짝모서리부의 내부보강심재들을 연결하여 강한 풍압과 진동에도 변형이나 파손되지않으며, 창짝제작 가공 및 이동 시공시의 뒤틀림 으로인한 파손을 방지하여 이에따르는 경제적인 손실을 예방하는 기능을 일체화한 구성의 보강결합부재를 사용한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창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사무용 건물, 주상복합 건물, 공동주택의 발코니창 등에 사용되어 단열, 방음 및 조망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건축산업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많은 연구와 투자가 진행중에 있다.
종래의 조립식창호의 경우에는 모서리보강재를 창호프레임 내부에 삽입하여 보강하는 여러가지 방법들(등록실용신안 제0283737호, 제0279187호, 제0362219호, 제0341295호 제0360560호 등)이 제안되어 창호제작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용접식창호의 경우 모서리부에 금속보강재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창호프레임 사이의 열융착이 실제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용접식 창호의 모서리부의 구조적 안정성은 단지 용접강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하여, 창호프레임에 삽입된 내부보강재는 용접된 모서리부에서 그 연속성이 단절되어 창호모서리의 용접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해 지게 되고, 이는 창호구조 자체의 취약성으로 연결되게 된다. 실제로 용접식창호는 운반과정이나 양중과정에서 용접부위가 자주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시공 후에는 창호구조의 안정성 및 내풍압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창짝을 결합구성시 가공 및 시공시 발생이 되는 창짝프레임의 파손으로 제조비용 및 시공비가 증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창짝의 모서리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프레임의 두께를 높이게 되므로 무게가 증가하게 되어 구조적인 설계의 변경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창틀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가이드부 및 길이방향으로 연통된 중공부를 갖고, 상호 융착되어 각형으로 결합된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100)과,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중공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프레임보강재와,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G)의 내면 및 양측면에 각각 접하는 보강부(501) 및 날개부(502)를 갖는 모서리보강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보강재(500)는 상호 연결된 상기 수평 및 수직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소정의 피스홀(509)에 의해 상기 각 프레임보강재에 결합하여 구성된 실용신안 출원제2006-0006182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보강심재들을 연결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고있으며
다음은 풍압에 대한 창짝의 지지 강도를 증대시킬 목적으로 실용신안등록 제0379140호 창문의 내풍압 강화 보조유닛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풍압 강화 보조유닛(1)은, 고정 대상 창짝(320)의 고정면(321)과 그 내측 레일(420) 사이의 창틀 홈(440)에 배치되는 몸체(11)와, 몸체(11)의 하부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재(21)가 관통되는 수직 관통공(1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직 관통공을 통해 체결되는 비스 등의 결합부재(21)에 의해 창틀 홈(420)에 결합되는 하부 고정편(12)과; 창짝(320)의 고정면(321)에 접하도록 몸체(1)의 상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재(22)가 관통되는 수평 관통공(13a)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평 관통공(13a)을 통해 체결되는 나비 볼트 등의 결합부재(22)에 의해 창짝용 결 합유닛(200)을 매개로 창짝의 고정면(321)에 결합되는 측부 고정편(13)이 일체로 성형되어 구성하여 기술되어 있다.
이 기술은 창짝을 창틀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내풍압 강화를 위해 레일과 고정할 수 있는 보조유닛을 장착하여 내풍압에 견딜 수 있는 장치나 보조재로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풍압에 대한 창짝의 지지 강도를 증대시킬 목적으로 레일에 고정유닛을 연결하여 결합할 시 풍압의 강도차이에 의해 합성수지로 제조된 창틀레일의 취약한 수평응력은 레일을 휘게 하거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전기에 설명한 문제점은 창짝의 결합구조상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단지 모서리부분에 모서리보강재 만을 구성한 것이고, 후기에서 설명한 문제점은 유닛에 의존한 지지능력 향상만을 구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짝모서리부의 결합력과 창틀과의 지지력 을 강화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내풍압성을 향상시킨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흔들림을 발생할수있는 유격부위의 공간을 기존 창짝의 구조변경이나 변형없이 간단한 고정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최소화시킴으로 바람과 진동 등에 창짝이 창틀레일에 밀착되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과 창짝모서리 부의 내부보강심재들을 연결하여 강한 풍압과 진동에도 변형이나 파손되지않는 결합기능을 일체화한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창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리와 내부 보강심재를 갖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열융착결합이 되는 창짝에 있어서, “ㄷ"자 모양의 양날개면이 형성되며 몸체에는 원형 끼움돌기(50)가 형성된 수평결합체(70)와, 수평결합체의 삽입구(60)에 마춤결합되며 양날개면을 형성한 수직결합체(80)를 ‘ㄱ’자 모양을하며 가로/세로면에 끼움홈(20)을 형성하며 다수의 피스홀(30)로 구성된 연결보강재(40)에 가로/세로에 끼움결합으로 일체화한 보강결합부재(90)를 창짝 모서리 수직/수평면에 밀착삽입하여 고정피스(10)로 체결 장착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보강결합부재(90)는 수평/수직결합체(70,80)와 연결보강제(40)로 구성되며 손쉽게 결합되도록 수평/수직결합체에 원형 끼움돌기(50)를 구성하고, 연결보강재(40)의 가로/세로면에는 끼움홈(20)을 구성하여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끼워 결합하여 일체화한 구성으로 완성하였다.
본 고안의 상기 수평/수직결합체는 양날개면이 창짝 레일홈 사이에 밀착삽입 되며 창틀레일에 최대한 밀착토록 구성하였다. 수평/수직결합체의 재질로는 합성수지의 창틀재와 마찰계수가 최소로 레일을 따라 이동시 미끄러지듯이 부드럽게 작용하는 실리콘계 경화 프라스틱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고안의 구성은 용접식 방식으로 제작되는 창짝에 있어서 각형의 모서리 용접부위는 내부보강심재가 연결될 수 없어 모서리 중공부가 합성수지의 용접강도에만 의존하여 결합되어 있는 구조임에 강풍에 의해 창의 중앙부가 심한 풍압에 대응시 모서리부위는 변형과 지탱의 한계에 처하는 문제점과 창호의 결합에 따르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창틀과 창짝의 부착공간에 기존 창짝의 구조변경이나 변형없이 유격과 틈을 최소화시키는 보강결합부재(90)을 장착함으로 바람과 진동 등에 창짝이 창틀 레일에 밀착되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과 창짝모서리부의 내부보강심재들을 연결하여 강한 풍압과 진동에도 변형이나 파손되지않는 결합기능을 일체화한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창치를 제공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창짝 수평/수직프레임(100,110)의 모서리면에 밀착삽입 할 수 있는 수평결합체(70)와 수직결합체(80)를 연결보강재(40)에 결합한 보강결합부재(90)를 구성하여 창짝 모서리부에 고정피스(10)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수평결합체(70)와 수직결합체(80)에는 창틀 수평/수직프레임의레일에 끼워지며 유격을 최소화 하는 양날개면을 형성하여 바람이나 진동등에 창틀레일에 바로 밀착고정 됨으로 창짝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연결보강제(40) 가로/세로면에 끼움홈(20)을 길이로 형성하고있으며 창짝 모서리부근의 수평/수직내부보강심제(150)와 피스등의 고정구로 체결토록 다 수의 피스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고 있다.
재질로는 내부보강심재와 같은 합금이 바람직하며 강화프라스틱재도 가능하다.
상기의 수평/수직결합체를 연결보강재(40)에 끼움결합하여 일체화한 보강결합부제(90)를 창짝의 용접된 모서리에 밀착삽입하여 각각의 내부보강심재(150)와 피스로 체결고정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도 6의 사시도는 창짝 모서리에 장착되는 상태도이며 상세창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의 도면은 도 7에 그 결합단면도로 나타내었다.
양 날개면이 형성되며 피스홀(30)이 형성되며 측면 결합부에 삽입구(6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원형 끼움돌기(50)가 형성된 수평결합체(70)와 수평결합체(80)의 삽입구에 마춤결합되며 양날개면을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원형 끼움돌기(50)가 형성된 수직결합체를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수평/수직결합체는 상부면에는 연결보강재(40)와 결합되도록 수평/수직결합체의 몸체에 원형끼움돌기(50)를 구성하고, 연결보강재(40)에는 끼움홈(20)을 구성하여 끼움홈에 결합돌기를 끼워 일체화한 보강결합부재(9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였다.
상기와 같이 결합하여 고정피스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 장착함으로 창짝의 모서리면을 강화시키면서 레일에 최대한 밀착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4면의 모서리에 날개면이 레일과 창짝 레일홈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성하여 창짝의 구조변경이나 변형없이 창틀과 창짝이 결합된 부위의 유격 과 틈을 최소화시킴으로 바람과 진동 등에 창짝이 창틀레일에 바로 밀착되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과 창짝모서리부의 내부 보강심재(150)들을 연결하여 강한 풍압과 진동에도 변형이나 파손되지않는 결합기능을 일체한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를 개발한 특징이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모양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은 잦은 바람과 진동으로 야기되는 창짝흔들림의 소음으로 발생되는 심리적인 불안을 해소하였으며, 잦은 흔들림에 의한 창호의 파손등으로 창호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심한 흔들림이 지속되면 창짝이탈 등으로 인명에 피해 및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파트나 건물이 고층화하고 있는 현시점에 고층일수록 강풍과 잦은 바람, 진동 등이 심하게 작용시에도 견딜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유리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결합되는 창짝에 있어서,
    양날개면과 피스홀이 형성되며 측면 결합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수평결합체; 상기 수평결합체의 삽입구에 마춤결합되며 양날개면과 피스홀을 형성한 수직결합체; 를 포함하여 창짝의 용접된 모서리수직/수평면에 밀착 삽입하여 고정피스로 결합 창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유리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결합되는 창짝에 있어서,
    양날개면과 피스홀이 형성되며 측면 결합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수평결합체; 상기 수평결합체의 삽입구에 마춤결합되며 양날개면과 피스홀을 형성한 수직결합체; 를 포함하며 가로/세로면에 다수의 피스홀을 형성한 연결보강재 를 일체화한 보강결합부재를 창짝의 용접된 모서리수직/수평면에 밀착 삽입하여 고정피스로 결합 창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결합부재는
    수평/수직결합체와 연결보강재가 일체화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며 수평/수 직결합체의 몸체에는 연결보강재와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연결보강부재에는 끼움홈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과 끼움돌기를 끼워 일체화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수직결합체는
    양날개면이 창짝의 용접된 모서리레일홈에 삽입 밀착되며, 창틀레일을 따라 이동할시 레일과의 마찰을 피할 수 있는 간격으로 최대한 밀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KR2020060024969U 2006-09-16 2006-09-16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KR200432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69U KR200432957Y1 (ko) 2006-09-16 2006-09-16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69U KR200432957Y1 (ko) 2006-09-16 2006-09-16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327A Division KR100804749B1 (ko) 2007-03-05 2007-03-05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957Y1 true KR200432957Y1 (ko) 2006-12-07

Family

ID=4178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969U KR200432957Y1 (ko) 2006-09-16 2006-09-16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9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29A (ko) * 2017-11-06 2019-05-15 조광현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29A (ko) * 2017-11-06 2019-05-15 조광현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KR102038871B1 (ko) * 2017-11-06 2019-10-31 조광현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026B1 (ko) 스틸 알루미늄 조합형 유닛 타입 커튼월
KR102038657B1 (ko)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노출바형 커튼월
KR101392472B1 (ko) 커튼월의 이중 결합구조
US4411111A (en) Window sash assembly
KR102236477B1 (ko) 충격 완화 구조를 가진 커튼월
KR100804749B1 (ko)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JPH1113342A (ja) 窓 枠
KR200432957Y1 (ko) 내풍압기능을 갖는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KR20070093242A (ko) 창짝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1952907B1 (ko) Grp를 이용한 개방형 커튼 월 구조
KR200423362Y1 (ko) 창틀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1907355B1 (ko)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철골 건축구조물
KR101148286B1 (ko)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JP2006022589A (ja) 樹脂サッシ
KR200492912Y1 (ko) 조립식 창틀용 가새 부분 고정 부재
KR200413731Y1 (ko) 보강재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틀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창호구조
KR200428785Y1 (ko) 창호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130098014A (ko)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JP4053468B2 (ja) 断熱サッシの上枠構造及び上記上枠の組立方法
KR200416683Y1 (ko) 모서리 보강재를 갖는 용접식 창짝프레임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창호구조
KR101866238B1 (ko) 커튼월 창호 프레임
JP4823108B2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38493Y1 (ko)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KR200430564Y1 (ko) 내풍압 강화기능을 갖는 창호결합장치
KR200457569Y1 (ko) 시스템 창호의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