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582Y1 -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582Y1
KR200432582Y1 KR2020060025818U KR20060025818U KR200432582Y1 KR 200432582 Y1 KR200432582 Y1 KR 200432582Y1 KR 2020060025818 U KR2020060025818 U KR 2020060025818U KR 20060025818 U KR20060025818 U KR 20060025818U KR 200432582 Y1 KR200432582 Y1 KR 200432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microbubbl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박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훈 filed Critical 박지훈
Priority to KR2020060025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5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장식 물탱크를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 별도의 욕조 없이 샤워 수전에 연결하여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제1통수관(151)과 제2통수관(152)의 사이에 결합된 미세기포기(150)를 갖되, 제1통수관(151)을 통해 미세기포기(150)에 물을 공급하도록 결합된 저장식 물탱크(160)와; 제2통수관(152)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샤워기 수전용 호스(181)에 연결된 샤워기의 사용 유무에 따라, 기포수의 흐름이 발생 또는 정지를 감지하여 유량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주제어부(120)에 전달하는 압력스위치(180)와; 저장식 물탱크(160)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저장식 물탱크(160)에 내장된 수위조절기(130)를 포함하여, 샤워기 작동과 연동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물탱크, 압력스위치, 수위조절기, 케이싱, 주제어부

Description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Micro bubbl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water storage tank}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실시예 110 : 케이싱
120 : 주제어부 130 : 수위조절기
140 : 열선 150 : 미세기포기
151 : 제1통수관 152 : 제2통수관
160 : 저장식 물탱크 170 : 냉온수혼합밸브
180 : 압력스위치 181 : 샤워기 수전용 호스
189 : 샤워기 수전 190 : 온도센서
본 고안은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워, 목욕, 세정시 초미세 기포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효과, 미용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저수조 또는 욕조 내의 액체를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혼합시켜 음이온에 해당하는 미세기포(micro bubble)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대한민국 2006년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1335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흡입노즐(1), 펌프(2),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용 기능의 복수개의 세라믹 볼(ceramic ball)을 내장하기 위한 단순형 탱크(3), 배출노즐(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온수히터(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2)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흡입구에는 흡입라인(6)이 연결되어 있다. 흡입라인(6)은 펌프(2)와 연결된 일단 외의 타단에서 저수조(7) 내의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유로인 액체 흡입라인(8)과, 대기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유로인 기체 흡입라인(9)으로 분기된다. 흡입라인(6)으로부터 분기되는 액체 흡입라인(8)의 일단의 반대편 타끝단에는 흡입노즐(1)이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저수조(7) 또는 이와 유사한 수통, 욕조 등에 물을 받은 다음에 이를 흡입노즐(1) 또는 흡수구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샤워기와 전원스위치가 따로 있어서, 온/오프(ON/OFF)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즉, 유체학적으로 샤워기의 물공급을 샤워기 레버로 정지시키더라도,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정지시킬 수단의 부재로 인하여,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작동 제어가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기포발생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저장식 물탱크를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 별도의 욕조 없이 샤워 수전에 연결하여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통수관과 제2통수관의 사이에 결합된 미세기포기를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통수관을 통해 상기 미세기포기에 물을 공급하도록 결합된 저장식 물탱크와; 상기 제2통수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샤워기 수전용 호스에 연결된 샤워기의 사용 유무에 따라, 기포수의 흐름이 발생 또는 정지(예 : 상대적 압력 상승)를 감지하여 유량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주제어부에게 전달하는 압력스위치와; 상기 저장식 물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저장식 물탱크에 내장된 수위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제어부 설치용으로 일측에 배치된 제1설치공간과; 상기 미세기포기 설치용으로 타측에서 아래쪽에 배치된 제2설치공간과; 상기 저장식 물탱크 설치용으로 타측에서 상부쪽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다가 하향으로 꺾여 배치된 "ㄱ"자 형상의 제3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식 물탱크의 물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발생된 온도측정신호에 대응하게 상기 주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저장식 물탱크의 바닥에 내장된 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포말욕을 위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거나, 기포의 지름이 1㎜ 이하인 경우의 초음파욕용 초미세기포를 발생시키거나, 수면에서 부서진 미세기포에 의해 공기 중에서 이온화 현상을 발생시킴에 따라, 물의 표면 부근에서는 상대적으로 음이온을 증가시키는 어떠한 미세기포기가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구성도이 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본 실시예(100)로서 이해되며, 이하의 설명에 의해 더욱 상세하고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100)는 운반 설치 가능하고 커버와 본체로 분해 조립 가능하게 구성된 케이싱(110)을 갖는다.
케이싱(110)의 내부는 일종의 기계실 또는 전자실과 같이 주제어부(120) 설치용으로 일측에 배치된 제1설치공간과; 미세기포기(150) 설치용으로 타측에서 아래쪽에 배치된 제2설치공간과; 저장식 물탱크(160) 설치용으로 타측에서 상부쪽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다가 하향으로 꺾여 배치된 "ㄱ"자 형상의 제3설치공간을 갖는다.
주제어부(120)는 케이싱(110)의 제1공간에 설치된다.
주제어부(120)는 주지 또는 통상의 전자동 냉, 온수 혼합 기능과; 기준 압력 대비 측정 압력을 이용하여 샤워기 쪽으로 공급될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 기능과; 온도 조절을 위한 히팅 제어 기능과; 초기 작동시 열선(140)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온도범위로 가온한 다음 미세기포기(150)를 작동시키는 냉수 방출 방지 기능과; 설정되거나 적정한 온도범위 내에서 기포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오차범위보다 벗어날 경우, 미세기포기(150)를 비상정지토록 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는 경우 미세기포기(150)의 작동을 재개시키는 기능을 실현하도록 주지의 회로 기술에 의해 구성된 온도제어회로를 갖는다.
주제어부(120)는 온도센서(190), 열선(140) 또는 냉온수혼합밸브(170)를 이용하여, 미리 사전에 정한 온도의 물을 미세기포기(150)에 공급하므로, 미세기포기(150)에서 출수되는 기포수의 온도가 일정하게 한다.
온도제어회로의 입출력단자에는 온도센서(190)에서 발생된 온도측정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온도센서(190)의 연결전선이 접속된다. 또한, 온도제어회로의 입출력단자에는 수압감지 기능을 구비한 주지의 압력스위치(180)에서 발생된 유량 온/오프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압력스위치(180)의 연결전선이 접속된다. 또한, 온도제어회로의 입출력단자에는 냉온수혼합밸브(170)의 냉수측 또는 온수측 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조절신호를 냉온수혼합밸브(170) 쪽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연결전선이 접속된다.
수위조절기(130)는 저장식 물탱크(160)의 내부측 상부 공간에 볼탑(ball top) 또는 플로트(float) 등을 설치하고 있고, 이런 볼탑의 반대쪽 단부를 냉온수혼합밸브(170)의 배출구에 결합시킴에 따라, 냉온수혼합밸브(170)에서 빠져나와 저장식 물탱크(160)에 채워질 저장수의 유량 높이를 미리 사전에 설계된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저장식 물탱크(160)의 수위조절은 수위조절기(130)의 볼탑 또는 그와 대등한 등가물(예 : 수위센서/솔레노이드밸브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미세기포기(150)는 케이싱(110)의 제2공간에 설치된다.
미세기포기(150)는 포말욕을 위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거나, 기포의 지름이 1㎜ 이하인 경우의 초음파욕용 초미세기포를 발생시키거나, 수면에서 부서진 미세 기포에 의해 공기 중에서 이온화 현상을 발생시킴에 따라, 물의 표면 부근에서는 상대적으로 음이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케이싱(110)의 제2공간에 설치 가능한 레이아웃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미세기포기(150)는 저장식 물탱크(16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제1통수관(151), 상기 제1통수관(151)에 연결된 펌프, 상기 제1통수관(151)의 관련 배관에 외기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전자밸브를 갖는 급기장치, 상기 제1통수관(151)의 반대쪽에서 미세기포를 포함한 기포수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2통수관(1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통수관(151)의 일측 단부는 저장식 물탱크(160)에 연결되고, 제1통수관(151)의 타측 단부는 미세기포기(150)에 연결된다. 또한, 제2통수관(152)의 일측 단부는 미세기포기(150)에 연결되고, 제2통수관(152)의 타측 단부는 압력스위치(180)에 연결된다.
저장식 물탱크(160)는 케이싱(110)의 제3공간에 설치된다.
저장식 물탱크(160)는 열선(140)을 바닥에 내장한 타입이다. 저장식 물탱크(16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190)에 설치되어 있다. 저장식 물탱크(160)는 단순형 탱크와 달리, 저탕식 또는 저장식 구조로서, 미세기포기(150)에 공급할 물을 저장하고 있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저장식 물탱크(160)가 본 실시예(100)에 내장됨에 따라, 미용실, 가정 또는 미세기포를 포함한 외기혼합수를 필요로 하는 어떠한 공간에서, 별도의 욕조, 수통, 저수조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냉온수혼합밸브(170)는 온수 또는 냉수용 연결튜브(171, 172)를 통해 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개별적으로 냉수측과 온수측으로 급수를 공급받은 후 혼합하고, 냉온수혼합밸브(170)의 배출구를 통해 혼합된 물을 저장식 물탱크(160) 쪽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냉온수혼합밸브(170)는 수동식 또는 자동식이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100)에서 냉온수혼합밸브(170)가 자동식으로 구성될 경우, 냉온수혼합밸브(170)의 내부에는 냉수측 또는 온수측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된다.
압력스위치(180)는 수압감지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서, 압력스위치(180)의 입수측은 미세기포기(150)의 제2통수관(152)에 연결되며, 압력스위치(180)의 출수측은 샤워기 수전용 호스(181)에 연결된다.
압력스위치(180)는 샤워기 수전용 호스(181)에 연결된 샤워기의 사용 유무에 따라, 기포수의 흐름이 발생 또는 정지를 감지하여 유량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앞서 설명한 주제어부(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만일, 사용자가 샤워기 수전에 연결된 샤워기를 사용하는 도중, 샤워기 수전의 밸브를 개방할 경우, 압력스위치(180)는 유량 온신호를 주제어부(120)에 전달하여, 결국 주제어부(120)가 미리 사전에 정한 소정의 작동 알고리즘에 의해 미세기포기(150)를 작동(예 : 미세기포기에 내장된 펌프구동모터의 전원을 온)시킨다.
이와 반대로 만일, 사용자가 샤워기 수전의 밸브를 폐쇄할 경우, 유량 오프신호를 주제어부(120)에 전달시켜, 결국 주제어부(120)가 미리 사전에 정한 소정의 작동 알고리즘에 의해 미세기포기(150)를 정지(예 : 미세기포기에 내장된 펌프구동모터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온도센서(190)는 미리 세팅된 온도에서 저장식 물탱크(160) 내부의 물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온도센서(190)에서 발생된 온도측정신호는 주제어부(120)로 입력되고, 결국 주제어부(120)는 입력받은 온도측정신호 대비 열선(140)에게 공급해야할 전력량을 정량적으로 제어하는 주지의 히팅 제어 작동을 수행하게 한다. 이런 주제어부(120)와 열선(140)에 의해, 설정된 온도범위로 가온한 다음 미세기포기(150)가 작동되므로 샤워 초기에 발생되는 냉수로 인한 불편이 해소된다.
이하, 도 3을 통해서, 본 실시예(100)의 설치 및 사용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100)의 케이싱(110)은 사용처(미용실, 가정 등)에 놓여 진다. 주제어부(120)의 전원공급전선은 사용처의 콘센트에 접속되어 작동 전원을 공급받는다.
냉온수혼합밸브(170)에서 연장된 온수 또는 냉수용 연결튜브(171, 172)는 'T'자관과 같은 연결관(173, 174)을 이용하여, 사용처의 수전(175)과 기설치 사용되고 있던 욕조용 수전(176)의 사이에 체결되어 본 실시예(100)에 급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케이싱(1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샤워기 수전용 호스(181)는 실제 미세기포를 갖는 기포수가 방출될 샤워기 수전(189) 또는 등가물에 연결된다.
특히, 주제어부(120)에는 별도의 제어패널(129)이 선택적으로 더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어패널(129)은 온도스위치를 이용하여 냉수, 미온(36~38℃), 적온(38~40℃), 고온(40~42℃) 등과 같은 온도범위를 설정하거나, 설정된 온도값 또는 온도센서(190)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을 복수개의 LED 등을 통해 보여주거나,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시각 및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주지의 LED점멸 기능 또는 주지의 스피커 알람 기능을 구현하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1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주제어부(120)의 전원 스위치를 온(ON)시킨다. 이런 경우, 온수 또는 냉수용 연결튜브(171, 172), 냉온수혼합밸브(170)를 통해서 저장식 물탱크(160) 내부에 급수가 이루어진다.
일정 시간이 지나 미리 정해진 용량만큼 저장식 물탱크(160) 내부에 물이 채워질 경우, 수위조절기(130)에 의해 상기 급수가 차단된다.
온도센서(190)는 급수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세팅된 온도범위에 일치하도록 열선(140)에게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히팅 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초기 작동시 냉수가 바로 샤워기 수전(189)을 통해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샤워기 수전(189)의 밸브 또는 레버를 개방시킨다. 이런 경우, 물의 흐름이 샤워기 수전용 호스(181)에서 발생되고, 이를 감지한 압력스위치(180)가 유량 온신호를 주제어부(120)에 전달한다. 이에 대응하게, 주제어부(120)는 미리 사전에 정한 소정의 작동 알고리즘과 같이 미세기포기(150)를 작동시켜, 결국 기포수가 샤워기 수전(189)의 출구 또는 샤워기에서 방출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샤워기 수전의 밸브를 폐쇄 할 경우, 상기와 반대로, 압력 스위치(180)가 유량 오프신호를 주제어부(120)에 전달하여, 결국 미세기포기(150)의 작동이 정지됨에 따라, 결국 기포수의 방출이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의하면, 샤워기 수전의 온/오프만으로, 미세기포기의 작동이 연동됨에 따라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케이싱 내부에 저장식 물탱크와 수위조절기를 구비함에 따라, 별도의 수통이나 욕조에 물을 받은 다음 사용할 필요 없이, 직접 수전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열선이 바닥에 내장된 저장식 물탱크와 온도센서 및 주제어부를 이용하여, 초기 작동시 냉수가 방출됨에 의해 발생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제1통수관(151)과 제2통수관(152)의 사이에 결합된 미세기포기(150)를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통수관(151)을 통해 상기 미세기포기(150)에 물을 공급하도록 결합된 저장식 물탱크(160)와;
    상기 제2통수관(152)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샤워기 수전용 호스(181)에 연결된 샤워기의 사용 유무에 따라, 기포수의 흐름이 발생 또는 정지를 감지하여 유량 온/오프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주제어부(120)에 전달하는 압력스위치(180)와;
    상기 저장식 물탱크(160)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저장식 물탱크(160)에 내장된 수위조절기(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120) 설치용으로 일측에 배치된 제1설치공간과; 상기 미세기포기(150) 설치용으로 타측에서 아래쪽에 배치된 제2설치공간과; 상기 저장식 물탱크(160) 설치용으로 타측에서 상부쪽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다가 하향으로 꺾여 배치된 "ㄱ"자 형상의 제3설치공간을 갖는 케이싱(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식 물탱크(160)의 물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온도센서(190)와;
    상기 온도센서(190)에서 발생된 온도측정신호에 대응하게 상기 주제어부(120)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저장식 물탱크(160)의 바닥에 내장된 열선(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KR2020060025818U 2006-09-26 2006-09-26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KR200432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818U KR200432582Y1 (ko) 2006-09-26 2006-09-26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818U KR200432582Y1 (ko) 2006-09-26 2006-09-26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216 Division 2006-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582Y1 true KR200432582Y1 (ko) 2006-12-05

Family

ID=41780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818U KR200432582Y1 (ko) 2006-09-26 2006-09-26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5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394B1 (ko) * 2014-11-28 2015-07-08 주식회사 뉴워터텍 가정용 미세기포 발생 노즐
KR20180131735A (ko)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뉴워터텍 버퍼존을 구비한 가정용 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394B1 (ko) * 2014-11-28 2015-07-08 주식회사 뉴워터텍 가정용 미세기포 발생 노즐
KR20180131735A (ko)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뉴워터텍 버퍼존을 구비한 가정용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2772B2 (en) Electronic faucet with voice, temperature, flow and volume control
KR100786217B1 (ko) 온수 세정기 및 그 세정방법
EP2871295B1 (en) Sanitary cleansing device
US11865066B2 (en) Pedicure chair with auto-fill system for a water basin and related methods
WO2018022073A1 (en) Smart shower compartment
EP3409850A1 (en) Hand washing device
KR101501051B1 (ko) 욕조의 스마트 수전장치
KR200432582Y1 (ko) 물탱크를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US20070147808A1 (en) Flow trough sauna steamer with manifold
JP2000329407A (ja) 熱交換装置
JP2017198379A (ja) 風呂給湯装置
KR102306989B1 (ko) 자동샤워장치
JP2018175001A (ja) 浴槽洗浄装置
KR100635792B1 (ko) 욕조의 온도 및 수위조절 시스템
JP4603343B2 (ja) 自動手洗装置
KR101870206B1 (ko) 자동 손 세척장치
CN209991623U (zh) 一种零冷水恒温混水龙头系统
AU2019100412A4 (en) Water Dispensing System
CN211066331U (zh) 新型全自动老年坐式浴缸
CN114322299B (zh) 一种燃气热水器的控制方法
KR200353189Y1 (ko) 수평으로 온수가 공급되는 욕조
KR200366611Y1 (ko) 욕조의 온도 및 수위조절 시스템
JP7097156B2 (ja) 浴槽洗浄装置
EP2952820A1 (en) Sanitary water recovery system
GB2433885A (en) Shower with back flow prev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