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300Y1 -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 Google Patents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300Y1
KR200432300Y1 KR2020060023003U KR20060023003U KR200432300Y1 KR 200432300 Y1 KR200432300 Y1 KR 200432300Y1 KR 2020060023003 U KR2020060023003 U KR 2020060023003U KR 20060023003 U KR20060023003 U KR 20060023003U KR 200432300 Y1 KR200432300 Y1 KR 200432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olin
support
clavicle
collarbon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일
Original Assignee
심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성일 filed Critical 심성일
Priority to KR2020060023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3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2Bowed or rubbed string instruments, e.g. violins or hurdy-gurd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8Chin-rests, hand-rests, shoulder rests or guards being removable from, or integral with the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이올린 어깨걸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올린 뒷판에 부착되는 바이올린 어깨받침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주자의 어깨에 안착되는 가늘고 긴 베이스; 상기 베이스 뒷면의 양단에 형성되어,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에 고정되는 베이스 고정구;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뒷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바이올린 끝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 사이에 연결되어,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바이올린뒷판의 모서리주위를 감싸는 쇄골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이올린 어깨받침과 바이올린의 끝핀에 형성된 고정구 사이에 구비되는 쇄골받침을 제공함으로써 연주도중에 바이올린의 뒷판이 연주자의 쇄골을 가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일없이 장시간을 안정적으로 연주할 수 있는 바이올린 어깨받침을 제공한다.
어깨받침, 베이스, 쇄골받침

Description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Shoulder surpporter for violin added collarbone supporter}
도 1은 종래의 바이올린 어깨받침대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체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구체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체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바이올린
3:바이올린 앞판
5:바이올린 뒷판
7: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
9:고정핀
10:바이올린 어깨받침
100:베이스
120:베이스 뒷면
200:베이스 고정구
300:쇄골받침
320:쿠션
340:고정홈
400:베이스 쿠션
본 고안은 바이올린 연주자의 어깨 위에서 바이올린 기타 유사한 현악기( 이하 '바이올린 등'이라 한다)의 본체를 지지하는 바이올린 등의 현악기에 사용하는 어깨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바이올린 등은 아코(arco)로 알려진 활로 현을 가로질러 당길 때, 또는 현을 손가락으로 뜯을 때(피치카토) 음색을 발생한다. 바이올린 등은 복부와 뒷판부 사이에서 공진을 발생시켜, 현의 진동에 의해 생기는 소리에 음량과 공명현상을 부가한다. 바이올린에는 연주의 편이성을 위하여 턱받이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턱받이는 통상 연주자의 턱과 바이올린 등의 본체 사이에 지지되는 바이올린 본체의 복부의 후미편에 인접하여 마련된다.
또한 이러한 턱받이 외에도 바이올린 본체와 연주자의 어깨 사이에는 바이올린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어깨받침이 사용된다.
그러나 연주자의 쇄골과 바이올린 뒷판 사이에는 별도의 충격완화장치가 없는 관계로 바이올린 연주자에게는 연주 후에 쇄골부위의 피부가 멍이 들거나 어린이에게는 쇄골이 기형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이올린 어깨받침과 바이올린의 끝핀에 형성된 고정구 사이에 구비되는 쇄골받침을 제공함으로써 연주도중에 바이올린의 뒷판이 연주자의 쇄골을 가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일없이 오래도록 안정적으로 바이올린을 연주할 수 있는 바이올린 어깨받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이올린 뒷판에 부착되는 바이올린 어깨받침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주자의 어깨에 안착되는 가늘고 긴 베이스; 상기 베이스 뒷면의 양단에 형성되어,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에 고정되는 베이스 고정구;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뒷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바이올린 끝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 사이에 연결되어,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주위를 감싸는 쇄골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쇄골받침에서,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쇄골받침의 안쪽에는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쿠션은 직물성분 또는 탄성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쇄골받침의 일단은 두 갈래로 나뉘어 상기 베이스의 뒷면 양단에 형성된 베이스 고정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쇄골받침의 타단은 바이올린 끝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 사이에 연결되어,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주위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쇄골받침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뒷면의 중앙에 연결되고, 상기 쇄골받침의 타단은 바이올린 끝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 사이에 연결되어,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주위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바이올린 어깨받침대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체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구체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체예의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는 바이올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바이올린에 한정하지 않고 기타 바이올린류의 악기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체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체예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바이올린 뒷판(5)에 부착되는 바이올린 어깨받침(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의 바이올린 어깨받침과 달리, 연주자의 어깨에 안착되는 가늘고 긴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 뒷면(120)의 양단에 형성되어,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7)에 고정되는 베이스 고정구(200);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뒷면(120)과 연결되고 타단은 바이올린 끝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9)사이에 연결되어,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7)주위를 감싸는 쇄골받침(300)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즉 종래의 바이올린 어깨받침과 달리 쇄골받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점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바이올린 어깨받침(10)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서, 양단에는 베이스 고정구(120)가 구비되어 바이올린의 뒷판 모서리(7)부분과 결합고정되고, 베이스의 앞면에는 쿠션(320)이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에 사용하는 베이스 고정구(200)는 클램프요소를 구비한 것으로서 공지된 바이올린 어깨받이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베이스 고정구(200)를 사용 하여 실시하였다. 다만,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베이스 고정구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쇄골받침(300)의 안쪽에는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320)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부분에 직물 또는 탄성재료의 쿠션(320)을 구비함으로써 쇄골을 바이올린 모서리부분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고 안락한 느낌과 함께 오랜시간 안정적으로 바이올린을 연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도면에 예시된 쿠션(320)은 일실시예로서 쿠션의 재료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원 고안의 실시에 사용하는 쇄골받침(300)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쇄골받침(300)의 일단을 두 갈래로 나뉘어 지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의 뒷면(120) 양단에 형성된 베이스 고정구(200)에 각각 연결하고, 상기 쇄골받침(300)의 타단은 바이올린 끝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9)에 상기 쇄골받침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340)을 연결하여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주위(7)를 감싸도록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쇄골받침(300)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뒷면(120)의 중앙에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쇄골받침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340)을 바이 올린 끝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9)에 끼워 고정하여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7)주위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을 실시함으로써, 바이올린 어깨받침과 바이올린의 끝핀에 형성된 고정구 사이에 구비되는 쇄골받침을 제공함으로써 연주도중에 바이올린의 뒷판이 연주자의 쇄골을 가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일없이 괘적한 환경하에서 오래도록 연주할 수 있는 바이올린 어깨받침을 제공한다.

Claims (5)

  1. 바이올린 뒷판에 부착되는 바이올린 어깨받침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주자의 어깨에 안착되는 가늘고 긴 베이스;
    상기 베이스 뒷면의 양단에 형성되어,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에 고정되는 베이스 고정구;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뒷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바이올린 끝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 사이에 연결되어,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주위를 감싸는 쇄골받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2. 제 1항에서,
    상기 쇄골받침에서,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쇄골받침의 안쪽에는 충격을 완화하는 쿠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3. 제 2항에서,
    상기 쿠션은 직물성분 또는 탄성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골받 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쇄골받침의 일단은 두 갈래로 나뉘어 상기 베이스의 뒷면 양단에 형성된 베이스 고정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쇄골받침의 타단은 바이올린 끝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 사이에 연결되어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주위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쇄골받침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의 뒷면의 중앙에 연결되고,
    상기 쇄골받침의 타단은 바이올린 끝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 사이에 연결되어, 연주자의 쇄골과 맞닿는 바이올린 뒷판의 모서리주위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KR2020060023003U 2006-08-28 2006-08-28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KR200432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003U KR200432300Y1 (ko) 2006-08-28 2006-08-28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003U KR200432300Y1 (ko) 2006-08-28 2006-08-28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300Y1 true KR200432300Y1 (ko) 2006-11-30

Family

ID=4178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003U KR200432300Y1 (ko) 2006-08-28 2006-08-28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3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8648A (zh) * 2019-11-01 2020-01-03 王明亮 小提琴演练辅助器
KR200492157Y1 (ko) 2019-03-12 2020-08-19 김영채 현악기의 어깨 받침대
KR102182446B1 (ko) 2020-06-15 2020-11-24 장현혜 바이올린의 어깨받침대
KR20220001097U (ko) 2020-11-10 2022-05-17 김영채 현악기의 어깨 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157Y1 (ko) 2019-03-12 2020-08-19 김영채 현악기의 어깨 받침대
CN110648648A (zh) * 2019-11-01 2020-01-03 王明亮 小提琴演练辅助器
KR102182446B1 (ko) 2020-06-15 2020-11-24 장현혜 바이올린의 어깨받침대
KR20220001097U (ko) 2020-11-10 2022-05-17 김영채 현악기의 어깨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14554A (ja) 弦楽器用肩当て
KR200432300Y1 (ko) 쇄골받침이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JP2004502975A (ja) バイオリン用肩受け台
US4951541A (en) Adjustable rest for a stringed instrument
US5883315A (en) Stringed instrument shoulder rest
JP6485131B2 (ja) 楽器
KR200432299Y1 (ko) 어깨걸이가 부가된 바이올린 어깨받침
JP2005084257A (ja) 弦楽器
KR200495456Y1 (ko) 현악기의 어깨 받침대
JP6317918B2 (ja) 弦楽器
KR102503764B1 (ko) 현악기용 턱받침 고정 장치
JP2011112981A (ja) ベルトで肩に接する3点支持のヴァイオリン用肩当て
JP6893977B2 (ja) 弦楽器の支持装置用のアダプタ
KR200492157Y1 (ko) 현악기의 어깨 받침대
WO2019235600A1 (ja) 弦楽器用肩当て
JP4203766B2 (ja) 擦弦楽器用消音器
JP2006065263A (ja) ベルトで肩に接する3点支持のヴァイオリン用肩当て
JP2005062783A (ja) 弦楽器の弱音器
JP3097070U (ja) 弦楽器
KR101537776B1 (ko) 전자 국악기의 견착식 거치대
KR101744604B1 (ko) 바이올린/비올라용 턱받침대
JP2006285078A (ja) ブリッジサイレンサ
TWI302690B (ko)
JP3172564U (ja) 単音打楽器用弱音具
JP2009186946A (ja) 弦楽器用肩当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