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658Y1 -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 - Google Patents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658Y1
KR200431658Y1 KR2020060023463U KR20060023463U KR200431658Y1 KR 200431658 Y1 KR200431658 Y1 KR 200431658Y1 KR 2020060023463 U KR2020060023463 U KR 2020060023463U KR 20060023463 U KR20060023463 U KR 20060023463U KR 200431658 Y1 KR200431658 Y1 KR 200431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treated water
treatme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승
Original Assignee
신한건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건설산업(주) filed Critical 신한건설산업(주)
Priority to KR2020060023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6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탁수를 정화처리하는 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탁수로부터 부유물을 분리는 방식을 개선하여 시간당 오탁수를 처리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처리설비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돌과 같은 큰 입자를 분리하는 침사조(10)와, 침사조(10)로부터 공급된 처리수를 교반시킴과 동시에 약제통(60)(70)으로부터 살균용 황산 및 황산반토가 투입되고 약제통(80)으로부터 응집제가 투입되어 부유물을 반은 응집시키는 중화/반응조(20)와, 미세부유물을 필터링하여 방류조(50)로 보내지도록 하는 여과장치(100)로 이루어진 오탁수 처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100)는, 처리수에 포함된 미세부유물이 상부로 부양될 수 있도록 공기를 풀어 넣는 에어공급관(111)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110)와;
처리수내의 미세부유물을 걸러내어 맑은 물만이 방류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과포(124)가 외측으로 씌워져 있는 스프링관(123)이 스프링관고정판(122)에 형성된 고정구멍(122a)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관고정판(122)에 볼트 체결됨과 동시에 고정구멍(122a)과 대응하는 숫자의 구멍(125a)을 가지는 고정판(125)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상기 조(110)의 상부로 위치한 하우징(112)에 체결되어 스프링관(123) 외측에 위치하는 유도하우징(121)으로 이루어진 필터체(120)와;
상기 하우징(112)을 포함하는 처리수이송관(113)과 연결된 분배관(150)에 연 결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체크밸브(132)를 포함하는 처리수배출관(131)상에 설치된 처리수펌프(130)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공압밸브(142)를 포함 함과 동시에 처리수이송관(113)에 설치된 분배관(15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방류조(50)에 연결된 역세관(141)상에 설치되어서 방류조(50)내의 처리수를 필터체(120)로 펌핑하여 여과포(124)에 흡착(吸着)된 미세부유물을 탈리(脫離)시키는 역세펌프(1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과장치, 필터체, 스프링관, 여과포, 스프링관고정판, 고정판, 유도하우징, 처리수펌프, 역세펌프

Description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Filtration system of waste water treatment at tunnel a field of construction work }
도1은 오탁수를 처리하는 처리설비의 일반 공정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오탁수 처리설비의 공정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장치를 발췌한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장치를 구성하는 필터체를 발췌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여과장치 110 : 조
120 : 필터체 121 : 유도하우징
122 : 스프링관고정판 123 : 스프링관
124 : 여과포 125 : 고정판
130 : 처리수펌프 132 : 체크밸브
140 : 역세펌프 150 : 분배관
50 : 방류조
본 고안은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탁수를 정화처리하는 처리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탁수로부터 부유물을 분리는 방식을 개선하여 시간당 오탁수를 처리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처리설비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 즉, 터널공사 현장에서는 터널을 굴착하는 중에 건수 및 지하수와 같은 물이 공사중인 터널내부에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된 물에는 굴삭중에 발생하는 토사가 유입되어 탁해지는 현탁수(오탁수라고도 함)로 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토사의 혼입으로 발행된 현탁수를 정화하지 않고 하천으로 방류할 경우, 하천 바닥에 토사가 퇴적되어 미생물의 생성 및 활동을 저하켜 하천수의 수질 악화를 초래함은 물론 현탁물인 토사가 어류의 아가미에 접착되어 어류를 생육을 방해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현탁수는 정화과정을 거쳐 방류하고 있고, 현탁수를 정화하는 방법으로는 물에 혼입된 토사등과 같은 부유물을 가라 앉혀 분리해내는 침전방식의 처리설비에 의해 이루어진다.
침전방식에 의해 현탁수의 부유물을 침전시키는 처리설비는, 도1에서와 같이침사조(10)의 침사지(11)로 유입되어 돌과 같은 큰 입자의 부유물이 침강 분리되어진다.
상기 침사조(10)의 침사지(11)에서 큰 입자의 부유물이 분리되어진 처리수는 집수조(12)로 유입되어지게 되고, 상기 집수조(12)로 유입되어진 처리수는 정량펌프(13)에 의해 펌핑되어 중화/반응조(20)로 공급된다.
이때 비중이 낮은 부유물은 농축조(30)로 보내져 처리되어 진다.
중화/반응조(20)로 공급된 처리수는 교반날개(23)를 갖고 전동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축(22)의 회전으로 교반되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교반되어지는 처리수는 약제통(60)으로부터 공급된 황산과 섞여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성 유해물질이 살균되어지게 된다.
또한 약제통(70)으로부터 공급되어진 황산반토와 섞이면서 처리수내의 부유물이 1차응집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응집되어진 부유물은 아래로 침강되어져 슬러지펌프(도면에 특정부호로 표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수거되어지게 된다.
상기 중화/반응조(20)에서 부유물이 1차응집되어 정화되어진 처리수는 중화/반응조(20)와 연결된 이송관(90)을 통해 침전조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상기 중화/반응조(20)에서 정화된 처리수가 이송관(90)을 따라 이송될 때 이송관(90)에는 약제통(80)으로부터 고분자응집제가 투입되어져 중화/반응조(20)에서 응집되어지지 않은 처리수내의 미세부유물이 2차응집되어지게 된다.
상기 고분자응집제에 의해 미세 부유물이 응집되어진 처리수는 이송관(90)내에서 지그재그로 설치된 버플판(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이송 속도가 규제되어서 느린속도로 이송되어지게 된다.
상기 이송관(90)을 따라 이송하는 처리수는 경사판을 갖는 침전조로 유입되 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관(90)을 통해 처리수가 유입되어지는 침전조에는 전술한 약제통(60)(70)(80)으로부터 약품들이 제차 투입되어지게 된다.
상기 침전조에 유입된 처리수는 경사판(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저류하거나 저유속으로 흐르면서 현탁수내의 잔여 부유물의 응집이 활성화되어지게 되고, 응집이 활성화되어 비중이 커진 부유물이 자체 비중에 의해 침전조의 아래로 침강되어서 분리되어지게 된다.
부유물이 침강되어 정화되어진 처리수는 여과조(40)에서 최종적으로 처리되어진 후, 방류조(50)를 거쳐 방류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침강 분리되어진 상기 침전조 하부에 침강되어 쌓인 부유물은 부유물배출관을 통해 건조대(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로 이송되어 건조되어진 후 처리되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현탁액을 포함하는 처리수를 정화처리 하는 처리설비에서는 처리수를 최종적으로 정화처리하는 방법이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물을 자연침전시키는 침전방식이어서, 첫째, 처리수를 처리하는 처리시간이 길어 오탁수를 정화처리하는 처리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둘째, 터널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오탁수는 그 탁도의 농도가 높아 대용량의 침전조를 사용해야 처리가 가능함은 물론 폐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오탁수의 탁도가 일정하지 않아 탁도의 농도 차이가 있을때에는 짐전조가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 하지 못하여 최종 처리되는 방류수에 미세부유물(돌가루 등)이 혼입 방류되어서 하천 바닥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점을 가지고 있으며;
셋째, 침전조의 용량을 증대킴에 따라 터널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가 가능해진 반면, 침전조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처리설비 설치에 따른 설치부지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산악지형에서의 처리설비를 설치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야기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오탁수를 정화 처리하는 처리설비중 처리수를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처리방식을 자연침전 방식인 침전조를 이용한 침전방식에서 벗어나 필터여과방식으로 대체함에 따라 터널공사현장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인 오탁수의 탁도가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되게 처리수를 처리함과 더불어 기존 침전조에 비해 시간당 오탁수의가 처리되는 처리효율을 두배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설비의 부피가 작아 처리설비의 집약(集約) 제작이 가능해 짐은 물론 그에 따른 이동 및 조립이 용이 해져 처리설비의 현장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 및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의 절감을 꽤한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침사지(11)에서 큰 입자의 부유물이 분리되어진 처리수가 집수조(12)로 유입되고, 상기 집수조(12)로 유입되어진 처리수를 중화/반응조(20)로 펌핑하는 정량펌프(13)를 가지는 침사조(10)와, 침사조(10)의 집수조(12)로부터 공급된 처리수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23)를 갖고 전동 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축(22)을 포함하고 있고, 이웃하는 약제통(60)(70)으로부터 살균용 황산 및 황산반토가 투입됨과 동시에 처리수 내의 부유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제가 약제통(80)으로부터 공급되는 중화/반응조(20)와, 상기 중화/반응조(20)에서 반응된 처리수내의 미세부유물을 필터링하여 방류조(50)로 보내지도록 하는 여과장치(100)로 이루어진 오탁수 처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100)는, 처리수에 포함된 미세부유물이 상부로 부양될 수 있도록 공기를 풀어 넣는 에어공급관(111)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110)와;
처리수내의 미세부유물을 걸러내어 맑은 물만이 방류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과포(124)가 외측으로 씌워져 있는 스프링관(123)이 스프링관고정판(122)에 형성된 고정구멍(122a)이 끼워져 상기 스프링관고정판(122)에 볼트 체결됨과 동시에 고정구멍(122a)과 대응하는 숫자의 구멍(125a)을 가지는 고정판(125)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상기 조(110)의 상부로 위치한 하우징(112)에 체결되어 스프링관(123) 외측에 위치하는 유도하우징(121)으로 이루어진 필터체(120)와;
상기 하우징(112)을 포함하는 처리수이송관(113)과 연결된 분배관(150)에 연결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체크밸브(132)를 포함하는 처리수배출관(131)상에 설치된 처리수펌프(130)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공압밸브(142)를 포함 함과 동시에 처리수이송관(113)에 설치된 분배관(15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방류조(50)에 연결된 역세관(141)상에 설치되어서 방류조(50)내의 처리수를 필터체(120)로 펌핑하여 여과포(124)에 흡착(吸着)된 미세부유물을 탈리(脫離)시키는 역세펌프(1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은, 침사조(20)와, 약제통(60)(70)(80)과, 중화/반응조 (20)및 처리수를 최종처리하는 여과장치(1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여과장치(100)는, 응집/반응조(20)로부터 처리수가 유입되는 조(110)와, 상기 조(110)에 유입된 처리수내의 미세부유물을 걸러내는 필터체(120)와, 처리수을 흡입 배출시키는 처리수펌프(130) 및 필터체(120)의 여과포(124)을 세척하는 역세펌프(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110)는, 처리수에 포함된 미세부유물이 상부로 부양될 수 있도록 공기를 풀어 넣는 에어공급관(111)이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필터체(120)는, 처리수내의 미세부유물을 걸러내어 맑은 물만이 방류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과포(124)가 외측으로 씌워져 있는 스프링관(123)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스프링관(123)은 고정구멍(122a)에 끼워져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상부 테이퍼져 있다.
상기 스프링관(123)은 스프링관고정판(122)에 고정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스 프링관고정판(122)은 다수의 스프링관(123)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구멍(122a)을 다수 가지고 있고, 스프링관(123)을 고정시키는 고정판(125)이 볼트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볼트공(도면에서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하우징(112)과 유도하우징(121)의 볼트공(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과 일치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관고정판(122)에 볼트 체결됨과 동시에 스프링관(123)을 고정시키는 고정판(125)은 스프링관고정판(122)에 형성된 고정구멍(122a)과 대응하는 숫자의 구멍(125a)을 가지고 있고, 스프링관고정판(122)에 볼트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가 끼워지는 볼트공(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관(123) 외측에 위치하는 유도하우징(121)은 조(110)의 상부로 위치한 하우징(112)에 체결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조(110)내의 처리수가 필터체(120)로 흡입 배출되도록 하는 처리수펌프(130)는, 미세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가 이송되는 처리수이송관(113)에 설치된 분배관(150)에 연결됨과 동시에 처리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차단시키는 체크밸브(132)를 포함하는 처리수배출관(131)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체(120)의 여과포(121)에 흡착(吸着)된 부유물을 탈리(脫離)시키는 역세펌프(140)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공압밸브(142)를 포함 함과 동시에 처리수이송관(113)에 설치된 분배관(15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방류조(50)에 연결된 역세관(141)상에 설치되어서 방류조(50)내의 처리수를 필터체(120)로 펌핑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를 이용해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오탁수를 처리하게 된다.
터널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오탁수는 먼저 침사조(10)로 유입되어진다.
상기 침사조(10)로 유입되어진 오탁수는 침사지(11)에서 큰 입자의 부유물이 분리되어지게 되고, 상기 침사지(11)에서 큰 입자가 분리되어진 처리수는 집수조(12)로 보내진다.
상기 집수조(12)에 집수된 처리수는 정량펌프(13)에 의해 중화/반응조(20)로 공급되어 진다.
상기 정량펌프(13)에 의해 처리수가 중화/반응조(20)로 공급될때 비중이 낮은 부유물은 농축조(30)로 보내져 처리되어 진다.
중화/반응조(20)로 공급된 처리수는 교반날개(23)를 갖고 전동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축(22)의 회전으로 교반되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교반되어지는 처리수는 약제통(60)으로부터 공급된 황산과 섞여 처리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성 유해물질이 살균되어지게 된다.
또한 약제통(70)으로부터 공급되어진 황산반토와 섞이면서 처리수 내의 부유물이 1차응집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응집되어진 부유물은 아래로 침강되어져 슬러지펌프(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수거되어지게 된다.
상기 중화/반응조(20)에서 부유물이 1차응집되어 정화되어진 처리수는 중화/반응조(20)와 연결된 이송관(90)을 통해 이 사건 출원의 요부인 여과장치(100)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상기 중화/반응조(20)에서 정화된 처리수가 이송관(90)을 따라 여과장치(100)로 이송할때 이송관(90)에는 약제통(80)으로부터 고분자응집제가 투입되어져 중화/반응조(20)에서 응집되어지지 않은 처리수내의 미세 부유물이 2차응집되어지게 된다.
상기 고분자응집제에 의해 미세 부유물이 응집되어진 처리수는 이송관(90)내에서 지그재그로 설치된 버플판(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이송 속도가 규제되어서 느린속도로 이송되어지게 된다.
상기 이송관(90)을 통해 여과장치(100)의 조(110)로 유입되어진 처리수에는 전술한 약제통(60)(70)(80)으로부터 약품들이 제차 투입되어지게 되고, 조(110)에 유입된 처리수는 에어공급관(111)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폭기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약품들이 투입되고, 조(110)내의 에어공급관(111)에 의해 폭기되어지는 처리수는 필터체(120)에 의해 미세부유물이 제거되어 방류조(50)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조(110)내의 처리수가 필터체(120)를 통해 정화처리되어 방류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110)내에 유입되어진 처리수가 처리수이송관(113)에 연결된 분배관(150)을 매개로 설치되어진 처리수배출관(131)상의 처리수펌프(130)의 가동에 의해 필터체(120)를 구성하는 스프링관(123)을 거쳐 흡입 배출되어지게 되고, 상기 처리수에 혼합되어 있는 미세부유물은 상기 스프링관(123)의 외측으로 씌워진 여과포(124)에 흡착되어 분리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처리수 내의 미세부유물을 제거하는 필터체(120)는 스프링관(123)이어서 자유롭게 흔들림이 발생하여 처리수의 여과 배출로 여과포(124)에 에 흡착되는 미세부유물중 일부는 자동으로 탈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처리수가 처리수펌프(130)에 의해 필터체(120)를 거쳐 처리될 때에는 처리수배출관(131)상에 설치된 체크밸브(132)는 개방되어 있게 되고, 역세관(141)상에 설치된 공압밸브(142)는 차단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처리수펌프(130)의 가동으로 처리수를 일정시간(30분) 처리하다 필터체(120)의 여과포(124)에 흡착된 미세부유물을 탈리시켜 처리수의 처리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여과포(124)에 흡착된 미세부유물의 탈리는 역세펌프(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과포(124)에 흡착된 미세부유물의 탈리는 처리수를 30분간 처리한 후, 처리수펌프(130)의 가동 중단과 체크밸브(132)를 차단시킴과 동시에 역세관(141)에 설치된 공압밸브(142)를 개방한 상태에서 역세펌프(140)을 가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역세펌프를 가동시키면, 방류조(50)내의 처리수가 역세관(141)을 통해 필터체(120)로 보내 여과포(124)에 흡착된 미세부유물을 탈리시키게 되는데 미세부유물 탈리는 3분간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처리수로부터 미세부유물을 여과하여 배출시키는 작업을 30분간 수행하고 3분간 필터체(120)의 여과포(124)를 세척하는 작업을 연속 반속하면서 여 과장치(100)를 24시간 가동시키면서 오탁수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처리수을 흡입 배출시키는 처리수펌프(130)와 필터체(120) 세척하는 역세펌프(140)는 통상의 자동 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되어지게 된다.
한편, 여과장치(100)의 조(110)에 유입되어 필터체(120)에 의해 처리되는 처리수 내의 미세부유물중 일부의 미세부유물은 조(110)의 하부에 설치되어진 에어공곱관(111)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상부로 부양하여 조(110)의 슬러지배출관(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해 탈수기(도시하지 않았음)로 보내져 탈수처리되어 진다.
상기 여과장치(100)에 의해 여과되어 미세부유물이 제거된 맑은 물은 방류조(50)를 거쳐 방류되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고안은,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은, 터널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오탁수를 정화 처리하는 처리설비중 처리수를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처리방식을 자연침전 방식인 침전조를 이용한 침전방식에서 벗어나 필터여과방식으로 대체함에 따라 터널공사현장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인 오탁수의 탁도가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되게 처리수를 처리함과 더불어 기존 침전조에 비해 시간당 오탁수를 처리하는 처리효율을 두배가량 증대시켰으며, 처리설비의 부피가 작아 처리설비의 집약(集約) 제작이 가능해 짐은 물론 그에 따른 이동 및 조립이 용이 해져 처리설비의 현장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 및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의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침사지(11)에서 큰 입자의 부유물이 분리되어진 처리수가 집수조(12)로 유입되고, 상기 집수조(12)로 유입되어진 처리수를 중화/반응조(20)로 펌핑하는 정량펌프(13)를 가지는 침사조(10)와, 침사조(10)의 집수조(12)로부터 공급된 처리수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23)를 갖고 전동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축(22)을 포함하고 있고, 이웃하는 약제통(60)(70)으로부터 살균용 황산 및 황산반토가 투입됨과 동시에 처리수 내의 부유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제가 약제통(80)으로부터 공급되는 중화/반응조(20)와, 상기 중화/반응조(20)에서 반응된 처리수내의 미세부유물을 필터링하여 방류조(50)로 보내지도록 하는 여과장치(100)로 이루어진 오탁수 처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100)는, 처리수에 포함된 미세부유물이 상부로 부양될 수 있도록 공기를 풀어 넣는 에어공급관(111)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110)와;
    처리수내의 미세부유물을 걸러내어 맑은 물만이 방류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과포(124)가 외측으로 씌워져 있는 스프링관(123)이 스프링관고정판(122)에 형성된 고정구멍(122a)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관고정판(122)에 볼트 체결됨과 동시에 고정구멍(122a)과 대응하는 숫자의 구멍(125a)을 가지는 고정판(125)에 의해 고정되어지고, 상기 조(110)의 상부로 위치한 하우징(112)에 체결되어 스프링관(123) 외측에 위치하는 유도하우징(121)으로 이루어진 필터체(120)와;
    상기 하우징(112)을 포함하는 처리수이송관(113)과 연결된 분배관(150)에 연 결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체크밸브(132)를 포함하는 처리수배출관(131)상에 설치된 처리수펌프(130)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공압밸브(142)를 포함 함과 동시에 처리수이송관(113)에 설치된 분배관(15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방류조(50)에 연결된 역세관(141)상에 설치되어서 방류조(50)내의 처리수를 필터체(120)로 펌핑하여 여과포(124)에 흡착(吸着)된 미세부유물을 탈리(脫離)시키는 역세펌프(1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
KR2020060023463U 2006-08-31 2006-08-31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 KR200431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463U KR200431658Y1 (ko) 2006-08-31 2006-08-31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463U KR200431658Y1 (ko) 2006-08-31 2006-08-31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658Y1 true KR200431658Y1 (ko) 2006-11-23

Family

ID=4178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463U KR200431658Y1 (ko) 2006-08-31 2006-08-31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6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289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1278958B1 (ko) 폐수처리시스템
JP6067268B2 (ja) 水処理システム
KR102063343B1 (ko) 화학 응집 침전 여과장치
KR101189912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646042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1539727B1 (ko) 전기응집과 전자석을 이용한 총인 제거방법 및 장치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100844503B1 (ko) 하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26971B1 (ko) 원수 정수장치
KR100815248B1 (ko) 응집-여과 일체형 하향식 정화처리장치
KR101391903B1 (ko) 오염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수 처리 방법
JP4044292B2 (ja) 排水処理装置
KR200431658Y1 (ko) 터널 공사현장의 오탁수 처리설비의 여과시스템
KR102009674B1 (ko) 친환경 생활하수 처리시스템
CN212222719U (zh) 一种清洗液自动过滤处理设备
KR200377629Y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100628881B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102002750B1 (ko) 종합 수처리 시스템
KR0133627B1 (ko) 고농도 유기무기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23247B1 (ko) 하수 처리수 내의 총인 제거를 위한 일체형 하수처리장치
JPH07232196A (ja) 高度水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84139Y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0597072B1 (ko) 자외선과 미세기포를 이용한 유브이하수 소독 시스템
KR101689151B1 (ko) 폐수 처리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양방향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