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492Y1 -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 Google Patents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492Y1
KR200431492Y1 KR2020060021856U KR20060021856U KR200431492Y1 KR 200431492 Y1 KR200431492 Y1 KR 200431492Y1 KR 2020060021856 U KR2020060021856 U KR 2020060021856U KR 20060021856 U KR20060021856 U KR 20060021856U KR 200431492 Y1 KR200431492 Y1 KR 200431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hot water
heating
pressure
rece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섭
Original Assignee
임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희섭 filed Critical 임희섭
Priority to KR2020060021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492Y1/ko
Priority to CNU2007200045686U priority patent/CN201045534Y/zh
Priority to CNA2007100891843A priority patent/CN101126543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8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with tubes filled with heat transfer flu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관 내부의 압력 변화를 수용함으로써 온수관의 밀폐장치 및 온수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의하면, 밀폐장치 내지 연결소켓에 온수관의 압력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는 압력 수용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온수관의 압력 변화를 즉시 수용하여 온수관이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온수관, 전열선, 밀폐장치, 연결소켓

Description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A STRUCTURE OF WARM WATER PIPE FOR ELECTRIC BOILER}
도 1의 "가"와 "나"는 종래의 온수관의 끝단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끝단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수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수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온수관의 구조 12 : 온수관
14 : 전열선 20 : 밀폐장치
22 : 너트 23 : 연결편
24,24' : 밀봉캡 25 : 링와셔
26 : 캡너트 28 : 캡
30 : 본 고안의 온수관의 구조 32 : 관통공
33 : 체결부 34 : 연결수단
35a : 제 1니뿔 35b : 제 2니뿔
35c : 호스 35d : 연결캡
36,38 : 나선부 40 : 압력 수용장치
42 : 케이스 43 : 나선부
44 : 에어 배출구 46 : 탄성수단
48 : 이동체 49 : 패킹
50 : 유도관 52 : 연결소켓
본 고안은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관 내부의 압력 변화를 수용함으로써 온수관의 밀폐장치 및 온수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관의 내부에 난방수와 더불어 전열선이 삽입됨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게 되는 난방 장치들이 다수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05681호 참조) 이러한 난방 장치에서는 온수관 내부에 삽입되는 난방수 유출을 어떻게 방지하느냐에 따라 난방 장치의 수명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온수관의 구조에 대해서도 종래에 다수 제시되고 있는바 즉, 귀청의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72037호,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26909호 및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5-0035441호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로 하여 하기에서 종래 온수관의 구조에 대해서 상술하겠다.
도 1의 "가"와 "나"는 종래의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온수관(12)의 내부에는 난방수와 전열선(14)이 삽입되어 있고, 그 끝단부에는 난방수 유출을 방지토록 밀폐장치(2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장치(20)는 내부에 나선부가 형성되며, 온수관(12)의 끝단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너트(22)와 일측은 상기 너트(22)의 내부 나선부에 체결도록 제 1나선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2나선부가 형성된 연결편(23)과 상기 연결편(23)의 내부에 끼움 체결되는 밀봉캡(24)(24')과 상기 밀봉캡(24)(24')을 밀착되게 체결하는 캡너트(26)와 상기 캡너트(26) 끝단부를 막음하는 캡(2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밀봉캡(24)(24')은 대략 마름모 꼴 형상을 가지며, 두 개로 형 성되어 중간부분에 링와셔(25)가 위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밀봉캡(24)(24')은 난방수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끼움되는 것이므로 그 특성상 탄성력이 뛰어난 고무재질로 형성될 것인바, 중간부에 단단한 링와셔(25)가 위치되지 않으면 밀봉캡(24)(24')을 밀착하는 캡너트(26)가 단단히 체결되지 못할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온수관의 구조(10)는 외부로 배출되어 있는 전열선(14)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열선(14)에 의해서 난방수가 가열됨으로 난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장시간 난방을 하게 되면 전열선(14)은 과도한 열이 발생될 것은 물론이고 난방수 또한 과도하게 압력이 상승될 것이다.
이때, "나"를 참조로 하면, 과도하게 가열된 전열선(14)과 난방수의 압력에 의해서 온수관(12)의 일부가 파열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전열선(14)에 의해서 가열되는 난방수의 압력이 높아져 온수관(12)이 상기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것이다. 즉, 온수관(12)은 난방의 목적을 달성토록 비교적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재 파이프임을 감안하면 난방수의 압력에 의해서 파손은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온수관(12)의 파열에 의해서 난방수가 유출됨은 물론이고 난방장치 자체를 교체해야 되는 큰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온수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압력을 수용함으로써 온수관의 밀폐장치 및 온수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온수관의 내부로 연통되는 체결부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밀폐장치; 및 상기 밀폐장치의 체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온수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압력 수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력 수용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은 상기 체결부 내지 연결구에 체결가능토록 개방되어 나선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막음되되 에어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케이스의 입구쪽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수단의 끝단부에 탄지되어 상기 온수관의 압력을 수용하여 상하 슬라이딩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 수용장치의 매설시에도 에어의 소통이 가능토록 에어 배출구에 체결되는 유도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밀착성을 높임과 동시에 온수관의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외주면에 패킹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온수관의 내부로 연통되는 체결부가 구비된 연결소켓이 이음 설치되는 온수관; 및 상기 연결소켓의 체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온수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압력 수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 수용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은 상기 체결부에 체결가능토록 개방되어 나선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막음되되 에어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케이스의 입구쪽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수단의 끝단부에 탄지되어 상기 온수관의 압력을 수용하여 상하 슬라이딩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분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수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온수관 구조(30)는 크게 온수관(12), 상기 온수관(12)의 끝단부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온수관(12)의 내부와 연통되는 체결부(33)가 형성된 밀폐장치(20) 및 상기 밀폐장치(20)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압력 수용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관(12)의 내부에는 전열선(14)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밀폐장치(20)는 이미 공지되어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밀폐장치(20)의 일측에 관통공(32)이 형성된 체결부(33)가 구비됨으로써 온수관(1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현하였다. 즉, 상기 밀폐장치(20)에 소정의 크기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체결부(33)를 체결시킴으로 압력 수용장치(40)가 나사 결합되도록 구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33)에는 하부로 체결되는 연결수단(34)이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체결부(33)가 압력 수용장치(40)를 직접 체결하게 되면 긴밀성이 다소 저하되고, 동시에 유지관리가 다소 불편하므로 연결수단(34)을 구비하는 것이다. 즉, 상기 압력 수용장치(40)는 밀폐장치(20)의 체결부(33)에 더욱 긴밀하게 체결됨과 더불어 유지관리 용이하도록 연결수단(34)을 통해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수단(34)은 밀폐장치(20)의 체결부(33)에 나사 결합되는 제 1니뿔(35a)과 상기 제 1니뿔(35a)에 상부가 끼움 체결되는 호스(35c)와 상기 호스(35c)의 하부에 끼움 체결되는 제 2니뿔(35b) 및 상기 제 2니뿔(35b)에 나선부(36)가 나사 결합되는 연결캡(35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유연성을 가지는 호스(35c)를 구비함으로써, 밀폐장치(20)와 압력 수용장치(40)간에 유동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니뿔은 통상 호스(35c)를 긴밀하게 연결할 때 사용되는 부속이다.
물론, 상기 연결수단(34) 없이도 압력 수용장치(40)를 직접 체결부(33)에 체결시켜도 가능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호스(35c)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연결수단(34)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압력 수용장치(40)는 내부에 원통형 형상의 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은 상기 연결수단(34)에 체결가능토록 개방되어 외주면에 나선부(43)가 형성되고, 타 측은 막음되되 에어 배출구(44)가 형성되는 케이스(42)와 상기 케이스(42)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46) 및 상기 케이스(42)의 입구쪽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수단(46)의 끝단부에 탄지되어 상기 온수관(12)의 압력을 수용하여 상하 슬라이딩되는 이동체(4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42)의 하부에 형성된 에어 배출구(44)가 형성되지 않으면 케이스(42)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46)과 이동체(48)의 수축과 팽창 작용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또한, 에어 배출구(44)에 결합되는 유도관(5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압력 수용장치(40)의 매설시에도 에어의 소통이 가능토록 에어 배출구(44)에 체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유도관(50)이 구비되는 것이다. 즉, 바닥부에 온수관(12)의 매설과 함께 압력 수용장치(40) 또한 매설될 때를 대비한 것으로써, 매설과 상관없이 에어가 소통되도록 구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체(48)는 밀착성을 높임과 더불어 온수관(12)의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패킹(49)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46)은 통상의 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을 발휘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총칭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수용장치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압력 수용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먼저 도 4를 설명하면, 밀폐장치(2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33)에 연결수단(34)을 통해 압력 수용장치(40)가 체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33)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에 연결수단(34)의 제 1니뿔(35a)과 호스(35c)와 제 2니뿔(35b) 및 연결캡(35d)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탄성수단(46)은 케이스(42)의 내부로 삽입되며, 그 상단부에 이동체(48)가 탄지되며, 탄성수단(46)과 이동체(48)를 구비한 케이스(42)는 나선부(43)를 통해 상기 연결캡(35d)의 나선부(38)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42)의 하부에 형성된 에어 배출구(44)는 필요에 따라 유도관(50)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로 하여 압력 수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온수관(12) 내부의 난방수가 가열됨에 따라 온수관(12) 내부 압력이 점차 상승되며, 상승된 압력은 점차 압력 수용장치(40)로 전달되어 가압할 것이다. 온수관(12)의 압력을 받은 압력 수용장치(40)의 이동체(48)는 압력에 의해 케이스(42)의 내벽을 따라 하향되면서 탄성수단(46)을 수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이동체(48)는 팽창되면서 탄성수단(46)을 수축시키는 것을 연상케 한다. 반대로 온수관(12)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이동체(48)는 팽창되는 탄성수단(46)의 탄성력에 의해서 최초 위치 즉, 연결수단(34) 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수단(46)은 온수관(12)의 내부 압력에 따라 수축과 팽창 작동을 반복하면서 온수관(12)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수용 함으로써 온수관(12)의 파열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42)의 하부에는 에어 배출구(4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체(48)는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30)에 의하면, 온수관(12)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수용하는 압력 수용장치(40)를 구비함으로써, 온수관(30) 내지 밀폐장치가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전술한 밀폐장치(20) 대신에 온수관(12)을 이음하는 연결소켓(52)에 압력 수용장치(40)를 체결시킨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온수관(12)을 절단하여 그 사이에 연결소켓(52)을 삽입부착하고, 상기 연결소켓(52)에 전술한 체결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33)에는 연결수단(34)이 체결되고, 상기 연결수단(34)에는 압력 수용장치(40)가 체결됨으로 온수관(12)의 압력을 수용토록 구현한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 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에 의하면, 밀폐장치 내지 연결소켓에 온수관의 압력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는 압력 수용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온수관의 압력 변화를 즉시 수용하여 온수관이 압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내부에는 난방수가 구비되고, 상기 난방수를 가열시키도록 전열선이 삽입되며, 끝단부는 상기 난방수의 유출을 방지토록 밀폐장치로 밀폐되는 온수관의 구조에 있어서,
    온수관의 내부로 연통되는 체결부가 일측면에 형성되는 밀폐장치; 및
    상기 밀폐장치의 체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온수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압력 수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수용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은 상기 체결부 내지 연결구에 체결가능토록 개방되어 나선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막음되되 에어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케이스의 입구쪽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수단의 끝단부에 탄지되어 상기 온수관의 압력을 수용하여 상하 슬라이딩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수용장치의 매설시에도 에어의 소통이 가능토록 에어 배출구에 체결되는 유도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밀착성을 높임과 동시에 온수관의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외주면에 패킹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5. 내부에는 난방수가 구비되고, 상기 난방수를 가열시키도록 전열선이 삽입되며, 끝단부는 상기 난방수의 유출을 방지토록 밀폐장치로써 밀폐되는 온수관의 구조에 있어서,
    온수관의 내부로 연통되는 체결부가 구비된 연결소켓이 이음 설치되는 온수관; 및
    상기 연결소켓의 체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온수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압력 수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수용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은 상기 체결부에 체결가능토록 개방되어 나선 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막음되되 에어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케이스의 입구쪽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수단의 끝단부에 탄지되어 상기 온수관의 압력을 수용하여 상하 슬라이딩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2020060021856U 2006-08-16 2006-08-16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200431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856U KR200431492Y1 (ko) 2006-08-16 2006-08-16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CNU2007200045686U CN201045534Y (zh) 2006-08-16 2007-03-21 插入有电热线的温水管的结构
CNA2007100891843A CN101126543A (zh) 2006-08-16 2007-03-21 插入有电热线的温水管的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856U KR200431492Y1 (ko) 2006-08-16 2006-08-16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492Y1 true KR200431492Y1 (ko) 2006-11-23

Family

ID=3909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856U KR200431492Y1 (ko) 2006-08-16 2006-08-16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31492Y1 (ko)
CN (2) CN201045534Y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03B1 (ko) 2007-11-19 2008-02-20 주식회사 대우에너텍 전열온수관 시스템
KR200453767Y1 (ko) 2007-04-18 2011-05-27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101077548B1 (ko) * 2009-08-05 2011-10-27 윤현진 전열온수관의 열매체 누수방지 및 압력유지장치
KR101077497B1 (ko) * 2011-05-11 2011-10-28 유정춘 열선 내장형 동파방지장치
KR101198112B1 (ko) 2012-05-25 2012-11-09 김평근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 및 압력조절장치
KR101428565B1 (ko) 2012-10-19 2014-08-11 김상철 오일 충전식 난방관의 파이프 내부 압력완화 및 누전방지 장치
KR101515607B1 (ko) 2013-01-03 2015-04-27 주식회사 유니웜 도전성 발열열선을 이용하는 발열파이프
KR20190012913A (ko) * 2017-07-31 2019-02-11 양성훈 관로 동파방지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67Y1 (ko) 2007-04-18 2011-05-27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100805703B1 (ko) 2007-11-19 2008-02-20 주식회사 대우에너텍 전열온수관 시스템
KR101077548B1 (ko) * 2009-08-05 2011-10-27 윤현진 전열온수관의 열매체 누수방지 및 압력유지장치
KR101077497B1 (ko) * 2011-05-11 2011-10-28 유정춘 열선 내장형 동파방지장치
KR101198112B1 (ko) 2012-05-25 2012-11-09 김평근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 및 압력조절장치
KR101428565B1 (ko) 2012-10-19 2014-08-11 김상철 오일 충전식 난방관의 파이프 내부 압력완화 및 누전방지 장치
KR101515607B1 (ko) 2013-01-03 2015-04-27 주식회사 유니웜 도전성 발열열선을 이용하는 발열파이프
KR20190012913A (ko) * 2017-07-31 2019-02-11 양성훈 관로 동파방지 장치
KR102170648B1 (ko) * 2017-07-31 2020-10-27 양성훈 관로 동파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26543A (zh) 2008-02-20
CN201045534Y (zh)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1492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100687521B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ES2550498T3 (es) Adaptador para conectar tuberías, en particular tuberías flexibles
KR200419683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200424367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20180132318A (ko) 파이프 구조체
KR200386472Y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 소켓
KR101691021B1 (ko) 소방용 배관
RU2396492C1 (ru) Секционный радиатор
ITTO20080159U1 (it) Elemento di giunto tubolare.
KR102005277B1 (ko) 관 연결부 밀폐장치
US20160069489A1 (en) Hose Connection Device
KR101647280B1 (ko) 플랜지형 지수판
KR200486985Y1 (ko) 이경관 연결용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확관형 배관
KR101187042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1164187B1 (ko) 하수도관 연결구
JP3187036U (ja) クランプリング
KR200206615Y1 (ko) Pvc호스연결 코크에서의 누수 방지구조
KR10118148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0750044B1 (ko) 파이프 이음관
KR200411149Y1 (ko) 맨홀연결부 틈새 밀폐구조
KR200424916Y1 (ko) 파이프 이음관
KR101181488B1 (ko) 파이프 연결장치
GB2618159A (en) A leak resolu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