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095Y1 - 단자덮개를 가진 브레이커 커버 - Google Patents

단자덮개를 가진 브레이커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095Y1
KR200431095Y1 KR2020060023823U KR20060023823U KR200431095Y1 KR 200431095 Y1 KR200431095 Y1 KR 200431095Y1 KR 2020060023823 U KR2020060023823 U KR 2020060023823U KR 20060023823 U KR20060023823 U KR 20060023823U KR 200431095 Y1 KR200431095 Y1 KR 200431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reaker
terminal
output terminal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 석 김
Original Assignee
만 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석 김 filed Critical 만 석 김
Priority to KR2020060023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0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64Protective covers for terminal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 덮개를 가진 브레이커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과전류를 차단하는 브레이커(breaker)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강화 합성수지판으로 된 커버(1)를 형성하고 커버(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커버를 부착하기 위한 클립편(2)을 형성하며, 커버(1)의 중간부에는 브레이커의 스위치가 노출되는 구멍(H1)과 테스트 버튼이 노출되는 복수개의 구멍(H2)을 형성하며 커버(1)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된 ㄱ 자형의 경첩고리(3)에 출력단자를 덮는 덮개(4)의 양측에 형성된 경첩핀(5)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커버를 클립편에 의하여 브레이커 전면에 부착하면 덮개가 브레이커의 출력 단자를 덮어 보호한다. 과부하로 인하여 브레이커가 혹 파열되어도 커버에 의하여 파편의 확산을 방지하여 보호할 수 있다.
브레이커, 커버, 단자 덮개, 경첩고리, 경첩핀.

Description

단자덮개를 가진 브레이커 커버{ BRAKER COVER WITH A TERMINAL COVER}
도1은 본 고안의 결합전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결합후의 사시도
도3은 커버가 부착된 상태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커버 2 : 클립편 3 : 경첩고리 4 : 덮개 5 : 경첩핀
H1 : 구멍 H2 : 구멍
본 고안은 단자 덮개를 가진 브레이커 커버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공사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전반에는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전류를 차단하는 여러 개의 브레이커(Breaker)가 각 단자 블록마다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공사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인이 각종 전기기기나 전동기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브레이커가 연결된 단자블록의 출력단에 전원코드를 연결하여 작업하는 중 흔한 일은 아니지만 불의하게 지나친 과부하로 인하여 브레이커가 파열되면서 파편이 확산되는 경우가 있다. 또 브레이커 출력단자가 항상 노출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기 출력단자에 연결된 분전반의 단자블록에 전기기기나 전동기구의 전원코드를 연결할 때 공구 등의 금속물체가 브레이커의 출력단자에 접촉될 위험이 있었다.
또 공사장에는 사방에 위험요소가 산재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중요하며, 브레이커에도 할 수만 있으면 많은 안전수단이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분전반에 배치된 과전류 차단기의 안전성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브레이커(breaker)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강화 합성수지판으로 된 커버를 형성하고 커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커버를 부착하기 위한 클립편을 형성하며, 커버의 중앙부에 스위치 구멍과 테스트 버튼 구멍을 형성하고 커버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된 ㄱ 자형의 경첩고리에 출력단자를 덮는 덮개의 양측에 형성된 경첩핀을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본 고안은 탄성의 클립편을 브레이커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끼워 브레이커 전면에 커버를 부착한다. 이때 커버의 하단부에 결합된 덮개가 브레이커의 출력 단자를 덮는다. 분전반을 사용하는 중 혹 과부하가 걸리면 대개의 경우 브레이커가 전류를 차단한다. 흔한 일은 아니나 지나친 과부로 인하여 해당 브레이커k 파열되는 경우 브레이커에 부착된 커버에 의해서 파편의 확산을 방지한다. 또 브레이커의 출력단자에 덮개가 덮여 있기 때문에 분전반의 단자불럭에 전기기기나 전동기구의 전원코드를 연결할 때 공구나 철사 등의 금속물체가 브레이커의 출력단자에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또 분전반에 배치된 브레이커는 분전반의 문짝이 닫혀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브레이커의 안전성이 유지되고 있지만 브레이커에 부착된 커버 에 의하여 안전성이 한층 더 강화되어 각종 공사장에서 본 고안의 브레이커가 배치된 분전반을 보다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과전류를 차단하는 브레이커(breaker)(B)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태의 강화 합성수지판으로 된 커버(1)를 형성하고 커버(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커버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의 클립편(2)을 일체로 절곡 형성하며, 커버(1)의 중간면에는 브레이커(B)의 스위치(S)가 노출되는 구멍(H1)과 테스트 버튼(b)이 노출되는 복수개의 구멍(H2)을 형성한다. 커버(1)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된 ㄱ 자형의 경첩고리(3)에 출력단자(T)를 덮는 덮개(4)의 양측에 형성된 경첩핀(5)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1의 브레이커(B)는 전면이 3단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1)도 3단으로 절곡되어 있으나 브레이커(B)의 전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판상의 커버(1)로 형성되고 브레이커의 전면 형태에 따라 커버의 전면 형태가 정해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2 및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커버(1)의 탄성의 클립편(2)을 브레이커(B)의 상하 양단부측에 끼워 커버(1)를 브레이커(B)의 전면에 부착한다. 이때 커버에는 별도의 체결나사를 체결함이 없이 부착된다. 커버(1)에 결합된 덮개(4)는 브레이커(B)의 출력단자(T)를 덮는다. 덮개(4)의 경첩핀(5)은 경첩고리(3)에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4)가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탄성적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또 커버(1)의 구멍(H2)으로 돌출된 테스트 버튼(b)으로 브레이커(B)를 테스 트 할 수 있고 과전류에 의하여 스위치(S)가 아래로 제처지면 과부하의 원인을 해소한 다음 커버(1)에 형성된 구멍(H1)을 통하여 스위치(S)를 복귀시킬 수 있다. 또 사용 중 흔한 일은 아니지만, 지나친 과부하로 인하여 브레이커(B)가 파열되는 경우, 커버(1)에 의해 파편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브레이커의 출력단자는 덮개(4)로 항상 덮여 있기 때문에 단자블록에 전기기기나, 전동기구의 전원 코드를 단자블록의 출력단에 연결하는 경우에도 브레이커 출력단자에 금속물체가 접촉될 위험이 없다.
본 고안은 브레이커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된 커버를 형성하여 커버의 상하 양단부에 형성된 클립에 의해 브레이커의 전면에 부착할 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커버의 부착이 용이하다.
또 분전반을 통하여 전력을 사용하는 중 혹 과부하로 인하여 어느 브레이커가 파열되어도 커버에 의해서 파편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브레이커의 출력단자는 덮개에 의하여 항상 덮여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보호되어 외부의 어떤 물체의 접촉을 방지하여 출력단자의 전류가 단락될 염려가 없다.
또 분전반에 배치된 브레이커는 분전반의 문짝이 닫혀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브레이커의 안전성이 유지되지만, 브레이커에 부착된 커버에 의하여 브레이커의 안전성이 더욱 강화되어 각종 공사장에서 본 고안의 브레이커가 배치된 분전기를 보다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과전류를 차단하는 브레이커(breaker)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태의 강화 합성수지판으로 된 커버(1)를 형성하고 커버(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커버를 부착하는 탄성의 클립편(2)을 형성하며, 커버(1)의 중간부에는 스위치 구멍(H1)과 테스트 버튼의 구멍(H2)을 형성하며 커버(1)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된 ㄱ 자형의 경첩고리(3)에 출력단자를 덮는 덮개(4)의 양측에 형성된 경첩핀(5)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덮개를 가진 브레이커 커버.
KR2020060023823U 2006-09-05 2006-09-05 단자덮개를 가진 브레이커 커버 KR200431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823U KR200431095Y1 (ko) 2006-09-05 2006-09-05 단자덮개를 가진 브레이커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823U KR200431095Y1 (ko) 2006-09-05 2006-09-05 단자덮개를 가진 브레이커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095Y1 true KR200431095Y1 (ko) 2006-11-14

Family

ID=4177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823U KR200431095Y1 (ko) 2006-09-05 2006-09-05 단자덮개를 가진 브레이커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0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282B1 (ko) * 2010-08-12 2012-05-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단자커버 장치
KR101462817B1 (ko) * 2013-12-30 2014-11-21 박동윤 자가형 누전 차단기구
KR102310575B1 (ko) 2021-01-25 2021-10-08 주식회사 한국엠엘 파편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282B1 (ko) * 2010-08-12 2012-05-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단자커버 장치
KR101462817B1 (ko) * 2013-12-30 2014-11-21 박동윤 자가형 누전 차단기구
KR102310575B1 (ko) 2021-01-25 2021-10-08 주식회사 한국엠엘 파편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1095Y1 (ko) 단자덮개를 가진 브레이커 커버
KR200388334Y1 (ko) 차단기가 구비된 전력량계
US6551135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with case cover
KR200431096Y1 (ko) 단자블록의 커버장치
DK1685578T3 (da) Afbryder-beskyttelsesindretning, som omfatter en sikring
KR20100005774U (ko) 분전반의 단자 커버
CN210692832U (zh) 一种配电终端插座
US9842715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train relief assembly therefor
KR20110008576U (ko) 다중 소켓 전등케이블
KR200465241Y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차단기
KR101161714B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차단기 받침대
CN110911207A (zh) 一种电力配电器件闸刀开关
KR200342997Y1 (ko) 차단기가 결합된 매립형 콘센트
RU207828U1 (ru) Корпус выключате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KR101658442B1 (ko) 단자부 안전 커버를 구비한 릴레이 소켓
DE112005000632A5 (de) Sicher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das Absichern eines Kabelstranges
KR200300594Y1 (ko) 배선용 차단기와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
KR200299430Y1 (ko) 전기코드 안전 접속구
KR101345260B1 (ko) 전선의 접속 단자
KR101817985B1 (ko) 릴레이 소켓용 복합 보호커버 구조
CN219937425U (zh) 一种一位13a带制rcd插座
KR200162241Y1 (ko) 플러그가 장착된 누전차단기
KR20090004228U (ko) 전기, 전자제품의 전원코드 고정구조
AU2005100761A4 (en) A Power Lead
KR200383042Y1 (ko) 분전반용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