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889Y1 - 3d 모듈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3d 모듈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889Y1
KR200430889Y1 KR2020060021568U KR20060021568U KR200430889Y1 KR 200430889 Y1 KR200430889 Y1 KR 200430889Y1 KR 2020060021568 U KR2020060021568 U KR 2020060021568U KR 20060021568 U KR20060021568 U KR 20060021568U KR 200430889 Y1 KR200430889 Y1 KR 200430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mage
barrier
modul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호
김학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텍
Priority to KR2020060021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8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패널의 전방에 투명 슬릿과 불투명 슬릿이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배리어 패널을 배치하고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얼라인하고 접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듈을 제조하며, 얼라인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접합하는 3D 모듈 접합 장치(100)를 포함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3D 모듈 접합 장치(100)가, 복수의 얼라인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적재 및 이송하는 인덱스 테이블(60), 인덱스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되어,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에 접합액을 주입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펜서(64, 65) 및 접합액을 경화시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접합시키는 경화장치(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D 모듈; 배리어 패널; TFT 패널; TN 패널; XY 스테이지

Description

3D 모듈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3D MODU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얼라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얼라인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접합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접합 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플레이트 11, 12, 13 : XYθ 스테이지
20 : 지그 30 : 카메라
40 : 디스플레이부 50 : 3D 모듈 얼라인 장치
60 : 인덱스 테이블 61, 71 : 패널 적재부
62 : XYZ 스테이지 63 : XYZθ 스테이지
64, 65 : 디스펜서 70 : 컨베이어 벨트
72 : 경화장치 100 : 3D 모듈 접합 장치
본 고안은 3D 모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고 접합함으로써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듈을 제조할 수 있는 3D 모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영상은 사람의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두 눈이 65mm 가량 떨어져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양안 시차는 입체감을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즉, 좌우의 눈이 각기 서로 다른 2차원 영상을 보고,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인식하여 본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제감을 재생하게 된다.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듈은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투명 슬릿과 불투명 슬릿이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배리어 패널(barrier panel)을 영상 패널의 전방에 배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배리어 패널의 투명 슬릿을 통해 영상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게 되는데,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은 동일한 투명 슬릿을 통하여 보더라도 각기 영상 패널의 다른 영역을 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이 투명 슬릿을 통해 보게 되는 각기 다른 영역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입체감을 느끼도록 한다.
이러한 3D 모듈을 제작하기 위하여는 영상 패널의 전방에 배리어 패널을 접합하여야 하는데, 정확한 입체 영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각 픽셀에 따라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 접합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고 접합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 어 3D 모듈의 제작이 매우 곤란하였으며, 제작된 3D 모듈의 품질이 크게 떨어져 3차원 입체 영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고 접합함으로써 3D 모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3D 모듈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제조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패널의 전방에 투명 슬릿과 불투명 슬릿이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배리어 패널을 배치하고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얼라인하고 접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듈을 제조하며, 얼라인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접합하는 3D 모듈 접합 장치(100)를 포함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로서, 3D 모듈 접합 장치(100)가, 복수의 얼라인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적재 및 이송하는 인덱스 테이블(60), 인덱스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되어,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에 접합액을 주입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펜서(64, 65) 및 접합액을 경화시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접합시키는 경화장치(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패널로 TFT(Thin Film Transistor) 패널 및 LTPS (Low Temperature Poly-Silicon)패널을 사용하고 배리어 패널로 TN(Twisted Nematic) 패널을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인덱스 테이블(60)의 평면에는 각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적재하는 다수의 패널 적재부(61)를 방사형으로 배치하고, 인덱스 테이블(60)이 횡방향 중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디스펜서(64, 65)는, 얼라인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 중 일부에 접합액을 주입하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가(假) 접합하는 제 1 디스펜서(64) 및 가(假) 접합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 전체에 접합액을 주입하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본(本) 접합하는 제 2 디스펜서(65)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3D 모듈 접합 장치(100)는, 제 1 디스펜서(64)를 움직이는 XYZ 스테이지(62) 및 제 2 디스펜서(65)를 움직이는 XYZθ 스테이지(63)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D 모듈 접합 장치(100)가, 접합액이 주입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이송하여 배출하는 컨베이어 벨트(70)를 더 포함하고, 경화장치(72)는 컨베이어 벨트(70) 상에 배치하도록 한다. 컨베이어 벨트(70)는 접합액이 주입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적재하는 다수의 패널 적재부(71)를 포함하도록 하며, 3D 모듈 접합 장치(100)는 접합액이 주입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패널 적재부(71)로 이송하는 XYZθ 스테이지(63)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XYZθ 스테이지(63)는 접합액이 주입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흡착하는 흡착장치를 포함하도록 한다. 접합액으로는 UV 광에 의해 경화되는 UV 액을 사용하고, 경화장치(72)로는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에 UV 광을 조사하는 UV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D 모듈 제조 장치가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얼라인 하는 3D 모듈 얼라인 장치(50)를 더 포함하도록 하며, 3D 모듈 얼라인 장치(50)는,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플레이트(10), 플레이트(10)의 위치 및 각도를 미세 조절하는 XYθ 스테이지(11, 12, 13),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 중 나머지 하나를 장착하는 지그(20), 플레이트(10) 및 지그(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30) 및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도록 한다. 3D 모듈 얼라인 장치(50)는 카메라(30)를 두 개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3D 모듈은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사람의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영상에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백라이트 유닛(BLU: Backlight Unit),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영상 패널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패널로 액티브 패널(active panel)이다. 영상 패널로는 TFT(Thin Film Transistor) 패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배리어 패널은 투명 슬릿과 불투명 슬릿이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패널로, 영상 패널의 전방에 접합되며 패시브 패널(passive panel)이다. 배리어 패널로는 TN(Twisted Nematic) 패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3D 모듈을 통해 영상을 보면 배리어 패널의 투명 슬 릿을 통해 영상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게 되므로,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은 동일한 투명 슬릿을 통하여 보더라도 각기 영상 패널의 다른 영역을 보게 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한편, 3D 모듈이 3차원 영상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는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가 정교하게 얼라인된 후 접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제조 장치는,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얼라인하는 3D 모듈 얼라인 장치 및 얼라인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접합하는 3D 모듈 접합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얼라인 장치(50) 및 3D 모듈 접합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얼러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얼라인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얼라인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얼라인 장치(50)는, 영상 패널을 장착하는 플레이트(10), 플레이트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XYθ 스테이지(11, 12, 13), 배리어 패널을 장착하는 지그(20),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촬영하는 카메라(30)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얼라인 장치(50)는 플레이트(10)에 영상 패널을 배치하고 지그(20)에 배리어 패널을 장착한 상태에서 XYθ 스테이지(11, 12, 13)를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움직여 영상 패널의 위치를 미세 조절한 후 지그를 하강하여 배리어 패 널을 영상 패널 위에 배치한다. 한편, 플레이트(10)에 배리어 패널을 배치하고 지그(20)에 영상 패널을 장착하여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플레이트(10)에 영상 패널을 배치하고 지그(20)에 배리어 패널을 장착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플레이트(10)는 얼라인할 영상 패널을 평면에 배치하고, XYθ 스테이지(11, 12, 13)에 의해 움직여 배리어 패널에 대한 영상 패널의 위치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배리어 패널과 영상 패널의 위치를 보면서 XYθ 스테이지(11, 12, 13)를 조작하면 플레이트(10)가 움직여 지그(20)에 장착된 배리어 패널에 대한 영상 패널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게 된다. XYθ 스테이지(11, 12, 13)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플레이트(10)을 X축 및 Y축으로 이동하고 θ축 각도를 조절하며, 각 축에는 레일이 부착되고 각 축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입체 영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와 각도를 미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10)는 영상 패널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평면에 별도의 흡착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흡착장치로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영상 패널의 저면을 진공 흡착하는 진공 흡착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지그(20)는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영상 패널에 얼라인할 배리어 패널을 장착한다. 지그(20)의 저면에는 배리어 패널의 평면을 흡착하는 흡착장치를 구비하도록 한다. 지그(20)에 구비되는 흡착장치 역시 흡입력으로 배리어 패널의 평면을 진공 흡착하는 진공 흡착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지그(20)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영상 패널의 상부에 배리어 패널을 배치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XYθ 스테이지(11, 12, 13)를 이용하여 플레이트(10)에 장착된 영상 패널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면, 지그(20)가 아래로 내려와 영상 패널의 평면에 배리어 패널을 배치한다. 따라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은 서로 그 위치가 얼라인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얼라인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은 별도의 접합 장치(미도시)에 의해 바로 접합되거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3D 모듈 접합 장치로 이송되어 접합 공정이 진행된다.
카메라(30)는 플레이트(10)와 지그(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영상 패널의 얼라인 과정을 촬영한다.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얼라인 장치(50)에 의해 얼라인되는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은 그 크기가 매우 작으며 정교한 작업을 요하므로, 카메라(30)에는 현미경과 동일한 렌즈를 장착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현미경으로 보는 것과 같이 정교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보면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얼라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입체 영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얼라인하기 위하여, 3D 모듈 얼라인 장치(50)는 두 개의 카메라(30)를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람의 양안으로 관찰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구현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작업자가 디스플레이부(4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면서 3차원 입체 영상이 정확하게 표현되도록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미세하게 얼라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카메라(30)를 사람의 눈과 같이 65mm 가량 이격되게 배치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얼라인 장치(50)를 이용하여 3D 모듈을 얼라인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얼라인할 영상 패널을 플레이트(10)의 평면에 배치하고, 지그(20)에 배리어 패널을 흡착하여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한다. 두 개의 카메라(30)는 배리어 패널과 영상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두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4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40)를 보면서 XYθ 스테이지(11, 12, 13)를 조작하고, 플레이트(10)가 XYθ 스테이지에 의해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영상 패널의 위치가 미세 조절된다.
배리어 패널에 대한 영상 패널의 위치가 얼라인되면, 도 2와 같이 지그(20)가 아래로 내려와 영상 패널의 평면에 배리어 패널을 배치한다. 또한, 배리어 패널을 흡착하였던 지그(20)의 흡착장치의 흡입력이 해제되고, 지그는 다시 위로 이동한다.
얼라인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은 플레이트(10) 상에서 바로 접합 장치에 의해 접합되거나, 로봇팔 등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3D 모듈 접합 장치로 이송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접합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접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접합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접합 장치(100)는, 얼라인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이 장착되는 인덱스 테이블(60),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접합하는 접합액을 주입하는 디스펜서(64, 65),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70) 및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 사이에 주입된 접합액을 경화시키는 경화장치(72)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접합 장치(100)는 인덱스 테이블(60)에 얼라인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이 투입되면 인덱스 테이블이 회전하면서 디스펜서(64, 65)를 이용하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 사이에 접합액을 주입하고, 접합액이 주입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컨베이어 벨트(70)로 이송하면서 경화장치(72)를 통해 접합액을 경화시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접합시킨다.
인덱스 테이블(60)은 얼라인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접합하기 위하여 배치하는 구성부로, 다수의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적재하는 다수의 패널 적재부(61)를 포함한다. 각 패널 적재부(61)는 인덱스 테이블(60)의 평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인덱스 테이블(60)은 얼라인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이 패널 적재부(61)에 투입되면, 도 3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 중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디스펜서(64, 65)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디스펜서(64, 65)는 인덱스 테이블(60)의 주변에 배치되어 패널 적재부(61)에 적재되어 이송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 사이, 구체적으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 사이에 접합액을 주입한다. 접합액으로는 UV 액을 사용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가(假) 접합하고 본(本) 접합하는 두 개의 디스펜서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가(假) 접합하는 디스펜서를 '제 1 디스펜서(64)'라 하고 본(本) 접합하는 디스펜서를 '제 2 디스펜서(65)'라 한다. 제 1 디스펜서(64)는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 중 일부에 접합액을 주입하여 1차적으로 접합, 즉 가(假) 접합한다. 또한, 제 2 디스펜서(65)는 가(假) 접합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 전체에 접합액을 주입하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완전 접합시킨다. 따라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한 번의 공정으로 접합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정교하게 접합할 수 있다.
제 1 디스펜서(64)는 XYZ 스테이지(62)에 의해 움직이고, 제 2 디스펜서(65)는 XYZθ 스테이지(63)에 의해 움직인다. 구체적으로, 인덱스 테이블(60)이 회전하여 가(假) 접합할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이 제 1 디스펜서(64)의 전방에 위치하면, XYZ 스테이지(62)는 작업자의 제어에 의해 레일을 따라 동작하여 제 1 디스펜서를 Z축으로 하강시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수평 연장선상에 배치한 후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에 접합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제 1 디스펜서를 X축 및 Y축으로 움직인다. 또한, 인덱스 테이블(60)이 회전하여 가(假) 접합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이 제 2 디스펜서(65)의 전방에 위치하면, XYZθ 스테이지(63)가 작업자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여 제 2 디스펜서를 Z축으로 하강시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수평 연장선상에 배치하고 제 2 디스펜서를 X축 및 Y축으로 움직이고 θ축 각도를 조절하여 제 2 디스펜서가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 사이에 접합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XYZ 스테이지(62)와 XYZθ 스테이지(63) 역시 각 축에 레일이 부착되고 각 축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디스펜서(65)에 의해 접합액의 주입이 완료되면 XYZθ 스테이지(63)는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컨베이어 벨트(70)로 이송한다. 바람직하게는, XYZθ 스테이지(63)가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흡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흡착장치를 구비하도록 한다.
컨베이어 벨트(70)는 접합액이 주입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이송하여 배출하는 구성부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적재하는 다수의 패널 적재부(71)를 평면에 포함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70)의 상부에는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에 주입된 접합액을 경화시키는 경화장치(72)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경화장치(72)로 UV 램프를 사용하도록 한다. UV 램프는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에 UV 광을 조사하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에 주입된 접합액(UV 액)을 경화시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견고하게 접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접합액이 주입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이 XYZθ 스테이지(63)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70)의 패널 적재부(71)에 적재되면, 컨베이어 벨트가 움직이면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경화장치(72)의 하부로 통과시켜 접합액을 경화시킨 후 배출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접합 장치(100)를 이용하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 널을 접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이 얼라인된 상태로 로딩 위치(66)에서 인덱스 테이블(60)의 각 패널 적재부(61)에 적재된다.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3D 모듈 얼라인 장치(50)에 의해 얼라인된 후 이송되어 인덱스 테이블(60)에 적재된다. 또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에 얼라인을 위한 표시를 마킹하고 마킹된 표시에 맞추어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얼라인하여 인덱스 테이블(60)에 적재할 수도 있다.
인덱스 테이블(60)은 얼라인된 다수의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각 패널 적재부(61)에 적재한 상태로,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제 1 디스펜서(64)와 제 2 디스펜서(65)의 전방으로 이송한다.
인덱스 테이블(60)에 의해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이 제 1 디스펜서(64)의 전방, 즉 가(假) 접합 위치(67)로 이송되면, XYZ 스테이지(62)는 제 1 디스펜서(64)를 Z축을 따라 아래로 움직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수평 연장선상에 제 1 디스펜서를 배치하고, X축 및 Y축으로 움직이면서 제 1 디스펜서를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움직인다. 제 1 디스펜서(64)는 일정 간격으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 사이에 접합액을 주입하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가(假) 접합한다.
인덱스 테이블(60)에 의해 가(假) 접합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이 제 2 디스펜서(65)의 전방, 즉 본(本) 접합 위치(68)로 이송되면, XYZθ 스테이지(63)는 제 2 디스펜서(65)를 Z축을 따라 아래로 움직여 가(假) 접합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수평 연장선상에 제 2 디스펜서를 위치한다. 또한, XYZθ 스테이지(63)는 제 2 디스펜서(65)를 X축 및 Y축으로 움직이고 θ축 각도를 조절하면서 제 2 디스펜서가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움직이도록 한다. 제 2 디스펜서(65)는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 사이에 접합액을 주입하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본(本) 접합한다.
흡착장치는 접합액의 주입이 완료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흡착하고, XYZθ 스테이지(63)는 X축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컨베이어 벨트(70)의 패널 적재부(71)에 적재한다.
컨베이어 벨트(70)는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일방향으로 움직이고, 패널 적재부(71)에 적재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은 경화장치(72)를 통과한다. 경화장치(72), 즉 UV 램프는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에 UV 광을 조사하여 접합액(UV 액)을 경화시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단단하게 접합/고정시킨다.
경화장치(72)를 통과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은 언로딩 위치(73)에서 최종적으로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제조 장치는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고 접합함으로써 3차원 입체 영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3D 모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에 따른 3D 모듈 제조 장치는,
첫째로, XYθ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므로 입체 영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정확하게 얼라인할 수 있고,
둘째로, 고배율 현미경과 동일한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작업자가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셋째로, 두 개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촬영 및 디스플레이하므로 작업자가 양안으로 입체 영상을 보는 것과 동일한 상태에서 얼라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넷째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접합함에 있어 제 1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가(假) 접합한 후 제 2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본(本) 접합하므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보다 정교하게 접합할 수 있으며,
다섯째로, UV 램프를 통해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에 UV 광을 조사하여 접합액을 경화시키므로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고,
마지막으로, 인덱스 테이블과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영상 패널과 배리어 패널을 순차적으로 접합하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 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14)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패널의 전방에 투명 슬릿과 불투명 슬릿이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배리어 패널을 배치하고 상기 영상 패널과 상기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얼라인하고 접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3D 모듈을 제조하며, 얼라인된 상기 영상 패널과 상기 배리어 패널을 접합하는 3D 모듈 접합 장치(100)를 포함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로서, 상기 3D 모듈 접합 장치(100)가,
    복수의 얼라인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적재 및 이송하는 인덱스 테이블(60);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 패널과 상기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에 접합액을 주입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펜서(64, 65); 및
    상기 접합액을 경화시켜 상기 영상 패널과 상기 배리어 패널을 접합시키는 경화장치(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패널이 TFT(Thin Film Transistor) 패널 또는 LTPS (Low Temperature Poly-Silicon)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패널이 TN(Twisted Nematic)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60)의 평면에, 상기 각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적재하는 다수의 패널 적재부(61)가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덱스 테이블(60)이 횡방향 중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64, 65)가,
    상기 얼라인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 중 일부에 상기 접합액을 주입하여 상기 영상 패널과 상기 배리어 패널을 가(假) 접합하는 제 1 디스펜서(64); 및
    상기 가(假) 접합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의 테두리 전체에 상기 접합액을 주입하여 상기 영상 패널과 상기 배리어 패널을 본(本) 접합하는 제 2 디스펜서(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듈 접합 장치(100)가,
    상기 제 1 디스펜서(64)를 움직이는 XYZ 스테이지(62); 및
    상기 제 2 디스펜서(65)를 움직이는 XYZθ 스테이지(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듈 접합 장치(100)가,
    상기 접합액이 주입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이송하여 배출하는 컨베이어 벨트(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화장치(72)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7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70)가,
    상기 접합액이 주입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적재하는 다수의 패널 적 재부(71)를 포함하고,
    상기 3D 모듈 접합 장치(100)가,
    상기 접합액이 주입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상기 패널 적재부(71)로 이송하는 XYZθ 스테이지(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XYZθ 스테이지(63)가,
    상기 접합액이 주입된 영상 패널 및 배리어 패널을 흡착하는 흡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액이 UV 광에 의해 경화되는 UV 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장치(72)가,
    상기 영상 패널 및 상기 배리어 패널에 UV 광을 조사하는 UV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듈 제조 장치가,
    상기 영상 패널과 상기 배리어 패널의 위치를 얼라인하는 3D 모듈 얼라인 장치(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듈 얼라인 장치(50)가,
    상기 영상 패널 및 상기 배리어 패널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플레이트(10);
    상기 플레이트(10)의 위치 및 각도를 미세 조절하는 XYθ 스테이지(11, 12, 13);
    상기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영상 패널 및 상기 배리어 패널 중 나머지 하나를 장착하는 지그(20);
    상기 플레이트(10) 및 상기 지그(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 패널 및 상기 배리어 패널을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30); 및
    상기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듈 얼라인 장치(50)가,
    상기 카메라(30)를 두 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모듈 제조 장치.
KR2020060021568U 2006-08-11 2006-08-11 3d 모듈 제조 장치 KR200430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68U KR200430889Y1 (ko) 2006-08-11 2006-08-11 3d 모듈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68U KR200430889Y1 (ko) 2006-08-11 2006-08-11 3d 모듈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889Y1 true KR200430889Y1 (ko) 2006-11-13

Family

ID=4177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568U KR200430889Y1 (ko) 2006-08-11 2006-08-11 3d 모듈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88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800B1 (ko) 2007-08-13 2009-09-18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WO2009116810A2 (ko) * 2008-03-19 2009-09-24 (주)마스터이미지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평 방향/수직 방향 정렬을 수행하는 접합 장치
KR100975319B1 (ko) 2009-03-11 2010-08-12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Lcd패널과 tn필름의 자동정렬방법
KR101040946B1 (ko) * 2009-02-13 2011-06-16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Lcd패널과 tn필름의 합체 장치
WO2013022190A1 (en) * 2011-08-10 2013-02-14 Masterimage 3D Asi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uto stereoscopic display panels
KR101305358B1 (ko) 2012-02-29 2013-09-06 (주)와이티에스 3d 패널 얼라인용 영상 취득장치
KR101326374B1 (ko) 2010-08-25 2013-11-11 엔엘티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마운팅 정확도 검사 방법 및 이 검사 방법을 이용한 검사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800B1 (ko) 2007-08-13 2009-09-18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 장치 및 방법
WO2009116810A2 (ko) * 2008-03-19 2009-09-24 (주)마스터이미지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평 방향/수직 방향 정렬을 수행하는 접합 장치
KR100935892B1 (ko) 2008-03-19 2010-01-07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평 방향/수직 방향 정렬을수행하는 접합 장치
WO2009116810A3 (ko) * 2008-03-19 2010-01-14 (주)마스터이미지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평 방향/수직 방향 정렬을 수행하는 접합 장치
KR101040946B1 (ko) * 2009-02-13 2011-06-16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Lcd패널과 tn필름의 합체 장치
KR100975319B1 (ko) 2009-03-11 2010-08-12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Lcd패널과 tn필름의 자동정렬방법
KR101326374B1 (ko) 2010-08-25 2013-11-11 엔엘티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마운팅 정확도 검사 방법 및 이 검사 방법을 이용한 검사 장치
WO2013022190A1 (en) * 2011-08-10 2013-02-14 Masterimage 3D Asi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uto stereoscopic display panels
KR101296688B1 (ko) 2011-08-10 2013-08-19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입체 디스플레이 패널 접합 장치 및 방법
KR101305358B1 (ko) 2012-02-29 2013-09-06 (주)와이티에스 3d 패널 얼라인용 영상 취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0889Y1 (ko) 3d 모듈 제조 장치
JP569832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側面シーリング装置
KR101476849B1 (ko) 박리 및 안착 통합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CN107682593B (zh) 双摄模组组装设备
JP4706881B2 (ja) 立体映像用ディスプレイパネル接合装置及び方法
KR101808629B1 (ko) 공작물의 정밀 접합 장치, 및 공작물의 정밀 접합 방법
KR101757718B1 (ko) 사이드 곡면을 가진 액정 패널 표면에 필름을 접합시키는 장치
KR101485385B1 (ko) 필름 첩부 장치
KR10075741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패널 접합 장치
KR100913579B1 (ko) 구동용 회로기판의 본딩장치 및 그 방법
JP5591277B2 (ja) 多層板の積層装置および多層板の積層方法
KR101364630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렌티큘라 렌즈시트 부착 장비 및 그 부착 방법
CN103424917B (zh) 用作主动偏光膜的面板及其制造方法和包括该面板的三维立体图像显示系统
KR102058364B1 (ko) 기판 본딩 접합장치
US11782289B2 (en) Display device and panel bon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90059904A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KR100915685B1 (ko)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장치 및 입체영상용디스플레이 패널 합착방법
CN109031719B (zh) 一种对组压合方法
KR101318178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20150074452A (ko) 렌티큘러 렌즈 필름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9637387A (zh) 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电子装置
CN104961360B (zh) 制造方法及制造装置
KR20140088998A (ko) 기판과 베어 글라스의 합착을 위한 정렬방법
KR20080048669A (ko) 편광필름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109760399A (zh) 一种高精度薄膜贴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