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710Y1 - 스크린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스크린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710Y1
KR200430710Y1 KR2020060023138U KR20060023138U KR200430710Y1 KR 200430710 Y1 KR200430710 Y1 KR 200430710Y1 KR 2020060023138 U KR2020060023138 U KR 2020060023138U KR 20060023138 U KR20060023138 U KR 20060023138U KR 200430710 Y1 KR200430710 Y1 KR 200430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screen
release film
screen protector
pee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어 쿠오
Original Assignee
잔-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잔-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잔-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60023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7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7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3Arrangements to protect the display from incident light, e.g. ho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착층이 적용된 접착면을 가지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상기 접착면 위를 덮고, 상기 보호 필름의 상기 접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박리부가 있어 상기 보호 필름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는 릴리스 필름; 및 상기 박리부의 가장자리와 평면으로 이어진 제 1 단부 및 상기 박리부와 마주보는 상기 릴리스 필름의 가장자리와 평면으로 연결된 상기 제 1 단부와 마주보는 제 2 단부를 가지는, 상기 릴리스 필름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가이드 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테이프는 상기 가이드 테이프에 대응하는 상기 릴리스 필름의 부분을 자르고 벗겨내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보호 필름을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눈다. 이것은 상기 보호 필름이 오염되지 않고 또한 기포를 생성하는 것 없이 스크린에 부착되게 한다.
릴리스 필름, 보호 필름, 가이드 테이프

Description

스크린 프로텍터{Screen Protector}
도 1은 일 예에 따른 종래 스크린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텍터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다른 예에 따른 종래 스크린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텍터의 조립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텍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텍터의 조립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텍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스크린 프로텍터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V 형태의 노치(notches)를 가지는 본 고안의 스크린 프로텍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 : 스크린 프로텍터 41 : 보호 필름
42 : 릴리스 필름 43 : 가이드 테이프
421 : 박리부 422 : 절선
본 고안은 스크린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 릴리스 필름의 일부를 자르고 벗기는 가이드 테이프(guiding tape)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릴리스 필름 아래의 보호 필름을 여러 영역으로 나누어 스크린(screen)과 보호 필름 사이에 기포를 만들지 않도록 하거나 지문 또는 먼지의 오염이 없이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스크린에 부착되도록 하는 스크린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자 제품은 그래프와 그림을 보여주거나 지금 수행되는 기능 또는 현재 동작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스크린을 갖추고 있다. 먼지와 지문은 종종 스크린을 오염 시키고 스크린의 시각적인 효과에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오염으로부터 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해 전자분야에서 개발되어진 스크린 프로텍터가 있다.
도 1은 일예에 따른 종래의 스크린 프로텍터(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일예에 따른 종래의 스크린 프로텍터(1)의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프로텍터(1)는 점착층(adhesive layer)이 있는 접착면(111)을 가지는 보호 필름(11); 및 보호 필름(11)의 접착면(111)에 대응하여 부착된 릴리스 필름(12);을 포함한다.
보호 필름(11)을 스크린에 부착하기 위하여, 먼저 보호 필름(11)의 접착면(111)을 드러내기 위해 릴리스 필름(12)의 모퉁이를 들어올리고 스크린 프로텍터(1)로부터 전체 릴리스 필름(12)을 벗겨낸다. 상기 과정을 할 때, 사용자는 보통 보호 필름(11)을 두 손가락으로 집고 접착면(111)에 지문을 남겨서 결국 보호 필름(11)을 오염시키고, 접착면(111) 위의 지문은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지문이 묻은 보호 필름(11)은 먼지로부터 스크린을 보호하는 기능을 잃게 된다. 게다가 종래의 스크린 프로텍터(1)는 전체가 하나의 시트(sheet)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접착면(111)과 스크린 사이에 기포를 만들지 않고 보호 필름(11)을 스크린에 완벽하게 부착하기 위해 뛰어난 기술이 필요하다. 사용자는 종종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시도로써 붙였던 보호 필름(11)을 들어올려 다시 재부착해야 한다. 그러나 바람직하지 않게도 접착면(111) 위의 점착층(adhesive layer)의 스트리크(streak)가 스크린 위에 남게 되고, 보호 필름(11)이 스크린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때 스크린을 더럽힌다.
상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보다 개선된 종래의 스크린 프로텍터(2)가 개발되어졌다. 도 3은 다른 예에 따른 종래의 스크린 프로텍터(2)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다른 예에 따른 종래의 스크린 프로텍터(2)의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스크린 프로텍터(2)는 점착층이 있는 접착면(211)을 가지는 보호 필름(21); 및 보호 필름(21)의 접착면(211)에 대응하여 부착된 릴리스 필름(22);을 포함한다.
다수의 풀 스트립(221, pull strip)이 릴리스 필름(22)의 같은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진다. 릴리스 필름(22)이 보호 필름(21) 위에 덮여진 후에 레이저(laser)나 다른 적당한 수단을 채택하여 균일한 간격을 가지는 여러 개의 분할선(222)이 릴리스 필름(22) 위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래서 전체가 하나로 된 릴리스 필름(22) 시트(sheet)를 여러 개의 작은 시트로 나눈다. 풀 스트립(221)은 릴리스 필름(22)의 작은 시트들 각각의 하나의 측면 부 근처에 개별적으로 위치 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스크린 프로텍터(2)를 스크린(3)에 부착하기 위해 먼저 손가락으로 풀 스트립(221) 중 하나를 위로 당기고 분할선(222)을 따라 릴리스 필름(22)의 작은 시트 중 풀 스트립(221)에 대응하는 시트를 벗겨 보호 필름(21)의 접착면(211)의 일부를 드러낸다.
그리고 나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노출된 보호 필름(21)을 스크린(3) 위의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한다. 릴리스 필름(22)의 남아 있는 시트들은 보호 필름(21)의 다른 부분들을 스크린(3)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기술한 방법대로 순차적으로 떼어내어 진다.
풀 스트립(221)과 분할선(222)이 있어서, 어떠한 지문도 보호 필름(21) 위에 남겨지지 않고, 접착면(211)과 스크린(3) 사이에 어떠한 기포도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풀 스트립(221)과 분할선(222)은 추가적인 가공 절차를 통해 종래의 스크린 프로텍터(2) 위에 준비되어 지며, 이것은 스크린 프로텍터의 제조 비용을 필연적으로 증가시킨다. 게다가, 많은 양의 스크린 프로텍터(2)를 저장 공간 또는 창고에 쌓는 경우 먼지가 릴리스 필름(22) 위의 분할선(222)을 통하여 보호 필름(21)으로 들어오게 된다. 또는, 보호 필름(21)의 접착면(211) 위의 점착성 물질은 많이 쌓여진 스크린 프로텍터(2)의 무게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분할선(222)으로 흘러나와 각각 특정 두께를 가지는 점착성 라인(adhesive line)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두꺼운 점착성 라인은 릴리스 필름(22)이 떼어질 때 상기 보호 필름(21) 위에 점착성 스트리크(adhesive streak)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이와 같은 점착성 스트리크가 있는 보호 필름(21)은 스크린(3)을 오염시키고 스크린(3)의 시각 효과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스크린 프로텍터(2)는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릴리스 필름의 일부를 자르고 떼어내는 가이드 테이프를 사용하는 스크린 프로텍터를 개발하는 것이 발명자에 의해 시도되었고, 릴리스 필름 아래의 보호 필름을 여러 부분으로 분리하여 상기 보호 필름을 순차적으로 스크린에 부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보호 필름이 지문, 먼지, 점착성 스트리크에 의해 오염되지 않게 스크린에 부착되게 하고 또한 보호 필름과 스크린 사이에 기포를 만들지 않고도 보호 필름이 스크린에 부착되게 한다.
상기 문제 및 다른 문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프로텍터는 점착층이 제공되는 접착면을 가지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상기 접착면 위 를 덮고, 상기 보호 필름의 상기 접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박리부가 있어 상기 보호 필름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는 릴리스 필름; 및 상기 박리부의 가장자리와 평면으로 이어진 제 1 단부와 상기 박리부와 마주보는 상기 릴리스 필름의 가장자리와 평면으로 연결된 상기 제 1 단부와 마주보는 제 2 단부를 가지는, 상기 릴리스 필름의 외부 표면에 덧붙여진 가이드 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테이프는 상기 가이드 테이프와 대응하는 상기 릴리스 필름을 자르고 떼어내기 위해 사용되고 보호 필름을 여러 부분으로 분리시킨다. 보호 필름은 순차적으로 스크린에 부착되며 상기 보호 필름이 먼지나 지문에 의한 오염도 없고 또한 스크린과 보호 필름 사이에 기포를 만들지 않고 스크린에 부착된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되어 지는 구조 및 기술적 방법들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대한 후술하는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로텍터(4)의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프로텍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면에 점착층(adhesive layer)이 적용된 접착면(411)이 있는 보호 필름(41); 상기 보호 필름(41)의 면적보다 크고 박리부(421)를 형성하기 위해 보호 필름(41)의 접착면(411)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있으며 대응하는 보호 필름(41)의 접착면(411)을 덮고 있고,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oriented polypropylene) 및 트리페닐 인산(TPP, triphenyl phosphate)으로 구성된 그룹(group)으로부터 선택되어 지는 릴리스 필름(42); 및 박리부(421)의 가장자리(edge)와 평면으로 이어진 제 1 단부와 박리부(421)에 마주보는 릴리스 필름(42)의 가장자리와 평면으로 연결된 상기 제 1 단부와 마주보는 제 2 단부를 가지는, 릴리스 필름(42)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가이드 테이프(43);를 포함한다.
릴리스 필름(42) 위에 구비되는 가이드 테이프(43)의 수는 스크린 프로텍터(4)의 실제 크기에 의존한다. 즉, 큰 사이즈의 스크린 프로텍터(4)에서는 릴리스 필름(42)을 차례로 떼어낼 수 있는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가이드 테이프(43)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스크린 프로텍터(4)가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직 하나의 가이드 테이프(43)가 릴리스 필름(42)의 중앙에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박리부(421)는 두 개의 절선(422)이 있으며 가이드 테이프(43)의 양쪽 측면에 상응하는 위치에 대칭적으로 제공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서, 오직 하나의 가이드 테이프(43)가 릴리스 필름(42)의 왼쪽 끝 또는 오른쪽 끝에 각각 부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릴리스 필름(42)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 모두에 각각 하나의 가이드 테이프(43)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선(422)은 가이드 테이프(43)의 내부 가장자리에서 박리부(421) 위에 준비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는 스크린 프로텍터(4)에서, 두 개의 가이드 테이프(43)가 릴리스 필름(42)의 중앙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어 적당히 배치되고 릴리스 필름(42)을 세 개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절선(422)은 두 개의 가이드 테이프(43) 각각의 양쪽 측면에 구비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박리부(421)와 이에 부착된 가이드 테이프(43)의 쉽고 편리한 벗김을 위해 절선(422)은 브이 형태(V-shaped)의 노치(423, notch)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절선(422)은 브이 형태의 노치(423)에 제한하지 않고, 브이 형태의 노치(423)는 절선(422)의 많은 유용한 예 중에 단지 하나의 예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를 선택한다면, 본 고안의 스크린 프로텍터(4)가 사용될 때, 사용자는 가이드 테이프(43)의 제 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박리부(421)를 들어올리기 위해 가이드 테이프(43)의 양쪽 측면에서 절선(422)을 이용한다. 그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부(421)와 거기에 부착된 가이드 테이프(43)가 동시에 보호 필름(41)으로부터 떼어진다.
릴리스 필름(42)과 거기에 부착된 가이드 테이프(43)는 필수 요소이기 때문에 가이드 테이프(43)의 양쪽 측면의 가장자리는 릴리스 필름(42) 위에 간접적인 분할선을 형성한다.
가이드 테이프(43)와 릴리스 필름(42)의 중앙부는 두 개의 분할선을 따라서 벗겨질 때 가이드 테이프(43)의 양쪽 측면에 있는 릴리스 필름(42)의 남은 부분은 두 개의 조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나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릴리스 필름(42)이 떼어진 보호 필름(41)의 일부를 정확히 스크린(3) 위에 대응하는 영역에 부착한다.
최종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쉽게 순차적으로 두 개의 남아있는 릴리스 필름(42)을 벗겨낸다.
본 고안에서 가이드 테이프(43)는 릴리스 필름(42)을 자르고 릴리스 필름(42)의 나머지 부분을 떼어내기 위해 사용되며 잔류의 점착성 스트리크(adhesive, streak), 먼지 등이 스크린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해결한다. 게다가 릴리스 필름(42) 위에 준비된 박리부(421)가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직접 보호 필름(41)을 만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보호 필름(41) 위에 지문이 남겨 지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보호 필름(41)이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차례로 스크린(3)에 부착되기 때문에 보호 필름(41)과 스크린(3) 사이에 형성되는 기포 문제를 해결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 프로텍터는 가이드 테이프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을 여러 영역으로 나누고 순차적으로 스크린에 부착되게 함으로써 지문이나 먼지 등으로 스크린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크린과 보호 필름 사이에 기포가 생 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수반한다.

Claims (8)

  1. 한쪽 면이 점착층이 적용된 접착면인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상기 접착면 위를 덮고, 상기 보호 필름의 상기 접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박리부가 있어 상기 보호 필름의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는 릴리스 필름; 및
    상기 박리부의 가장자리와 평면으로 이어진 제 1 단부 및 상기 박리부에 마주보는 상기 릴리스 필름의 가장자리와 평면으로 연결된 상기 제 1 단부와 마주보는 제 2 단부를 가지는, 상기 릴리스 필름의 외부 표면에 덧붙여진 가이드 테이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로텍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는,
    상기 가이드 테이프의 한쪽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절선을 가지고 구비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로텍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는,
    상기 가이드 테이프의 양쪽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각 절선을 가지고 구비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로텍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필름은,
    두 개의 상기 가이드 테이프가 부착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로텍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는,
    상기 두 개의 가이드 테이프의 각각 한쪽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절선을 가지고 구비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로텍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는,
    상기 두 개의 가이드 테이프의 각각 양쪽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각각 절선을 가지고 구비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로텍터.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는 V 형태의 노치가 각각 상기 가이드 테이프 한쪽 측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로텍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필름은,
    폴리프로필렌(PP),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및 트리페닐 인산(TPP)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로텍터.
KR2020060023138U 2006-04-26 2006-08-29 스크린 프로텍터 KR200430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138U KR200430710Y1 (ko) 2006-04-26 2006-08-29 스크린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207066 2006-04-26
KR2020060023138U KR200430710Y1 (ko) 2006-04-26 2006-08-29 스크린 프로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710Y1 true KR200430710Y1 (ko) 2006-11-13

Family

ID=4177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138U KR200430710Y1 (ko) 2006-04-26 2006-08-29 스크린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7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540B1 (ko) 2006-04-05 2007-08-29 주식회사 신양엔지니어링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540B1 (ko) 2006-04-05 2007-08-29 주식회사 신양엔지니어링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4275U (ja) モニター保護シート
US4159586A (en) Multilayered labeling system
US7913870B2 (en) Tamper evident container
KR930001391Y1 (ko) 전선인식 테이프 패드
US2767495A (en) Label assembly
TWI529062B (zh) 多層膜
SK279070B6 (sk) Plošný, ohybný obalový a nosičový materiál
KR101496406B1 (ko) 점착 테이프
US20070187949A1 (en) Sheet-backed label assembly
US20060222801A1 (en) Protective film
US20180314298A1 (en) Screen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EP3406681A1 (en) Tape with quick and neat removal from package box cover seal
KR200430710Y1 (ko) 스크린 프로텍터
WO2015159452A1 (ja) ディスプレイ用保護フィルム
JP6335604B2 (ja) ディスプレイ用保護フィルム
US20130243994A1 (en) Protection film for lens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7314622A (ja) 両面粘着シート
KR101407498B1 (ko) 기판용 테이프의 이형필름 구조체
JP2000284695A (ja) ラベルシート
KR102091577B1 (ko) 자동화용 롤테이프의 제조 방법
JP6179029B2 (ja) 内装パネル
US10519348B2 (en) Protective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with separator
CN218969136U (zh) 一种离型膜组、显示模组及电子设备
JPH0623066U (ja) ラベル構造
JP3125351U (ja) 電子部品等の固定用接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