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287Y1 -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287Y1
KR200430287Y1 KR2020060015761U KR20060015761U KR200430287Y1 KR 200430287 Y1 KR200430287 Y1 KR 200430287Y1 KR 2020060015761 U KR2020060015761 U KR 2020060015761U KR 20060015761 U KR20060015761 U KR 20060015761U KR 200430287 Y1 KR200430287 Y1 KR 200430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pport frame
ceiling board
ceil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광성티앤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티앤엠(주) filed Critical 광성티앤엠(주)
Priority to KR2020060015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2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1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2009/062Caps covering visible surfac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 보드 고정용으로 구비되는 고정 금속구 일측 나사 결합구가 상단 측으로 절결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타측에 결합된 고정 볼트의 제거만으로 일개의 고정 금속구가 개별 착탈되게 한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천장 보드의 상기 틈에 삽입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고정하는 수직판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판의 상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나사결합홀을 형성한 고정 금속구와, 상기 고정 금속구의 상기 나사결합홀과 고정 볼트를 통해 결합되며, 천장과 일정 높이를 갖게 고정되는 지지 골조로서, 상기 나사결합홀 중 일개의 상기 고정 볼트를 제거하여 상기 지지 골조에 고정된 상기 고정 금속구의 개별 착탈 가능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장 보드, 지지 골조, 고정 금속구, 고정 볼트

Description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A board coupler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천장 보드 결합장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의 시공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중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중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중 커버 프레임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중 고정 금속구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 금속구 11: 수직판
12A, 12B: 나사 결합홀 13: 절결부
14: 지지판 20: 지지 골조
20A: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 20B: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
21: 관통부 22: 고정판
23A, 23B: 나사 결합홀 24: 개구부
30: 커버 프레임 31: 평판
32: 격판 B: 고정 볼트
G: 틈
본 고안은 천장 보드 간에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고정구와 지지 골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수의 층이 형성된 천장 보드의 측면 틈에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판을 구비한 고정 금속구와, 상기 고정 금속구를 다수 고정하여 천장에서 일정 높이를 갖게 고정하는 지지 골조로서, 상기 고정 금속구와 상기 지지 골조의 결합시 사용되는 고정 볼트 및 나사 결합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금속구 일측 나사 결합구가 상단 측으로 절결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타측에 결합된 고정 볼트의 제거만으로 일개의 고정 금속구가 개별 착탈되게 한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 시공 중 천장 보드를 시공하는 공사 공법에 있어서, 좌우로 길이를 갖는 메인-바, 즉 T자형으로 형성된 티-바(T-Bar)를 사용하여 시공해 오던 것으로, 이는 천장 보드의 설치 공간에 격자형태로 설치한 후, 상기 티-바에 천장 보드를 안착시키는 공법으로 시공되어 오고 있다.
이는 열십자 형태로 무수히 많은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이들 각각에 일정 크기의 천장 보드를 안착하게 되는데 이때 천장 보드 저면으로 상기 티-바가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고, 이를 가리기 위한 마감재를 사용하는 등 이중 시공을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다수의 층(110)을 구비한 천장 보드(100)와, 상기 층(110) 간에 삽입되는 지지판(210)을 구비한 고정 금속구(200)와 이를 고정하는 지지 골조(300)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개선된 고정 금속구(200)는 상기 층(110) 간에 삽입되는 지지판(210)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중심측에 수직판(220)을 형성하여 일정 높이를 갖게 한 것으로, 상기 수직판(220) 끝단에 일정 두께의 돌출부(230)가 형성된다.
이를 천장에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지지 골조(300)는 그 하단에 상기 돌출부(230)가 외삽되는 일정 크기의 요홈(310)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요홈(31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게 한 것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상기 고정 금속구(200)는 좌우로 길이를 갖는 길이재로서, 천장의 폭과 길이에 따라 무수히 많은 량의 자재가 소모되고, 이로 인해 시공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를 앉고 있으며, 또한 유지 보수를 위한 천장 보드의 개별 교체 시 낱개의 착탈이 어려워 교체를 요하는 천장 보드 주위의 천장 보드도 함께 착탈되어야 하던 문제가 있어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상기 요홈(310)과 상기 돌출부(230) 간의 결합이 노후화되어 그 고정력이 약해지게 되면 천장 보드가 떨어지게 되어 각종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천장 보드를 시공함에 있어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고정 금속구 및 지지 골조의 구조를 개선하여 원가를 줄임과 동시에 지지고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지지 골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천장 보드를 시공한 후, 유지 보수를 위해 착탈을 요할 시, 유지 보수 대상만의 개별 착탈이 가능한 고정 금속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천장 보드의 지지 골조의 구조 개선에 따른 천장 보드 간의 틈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시공의 불편함을 줄이고, 부가적으로 천장 측 먼지나 이물질이 건물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 간격 이격되는 틈이 형성되는 천장 보드를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천장 측에 고정시키는 지지 골조로 구성된 천장 보드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하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측 좌우로 2개의 나사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 결합홀 중 일 측에 상단으로 절결되는 절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 하측에 상하로 평행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는 3개의 지지판을 구비하는 천장 보드 고정 금속구와;
상측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하측 외주면 중심 측에 하향되는 일정 길이의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 상측 외주면과 상 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나사 결합홀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상기 나사 결합홀과 상기 고정 금속구의 상기 나사 결합홀이 고정 볼트를 통해 상기 고정판 전후면 측 한 쌍으로 결합 고정하는 지지 골조 및;
천장 보드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 금속구 간의 간격을 연결하는 일정 길이의 평판과, 상기 평판의 중심 측에 형성되어 길이를 갖는 2개의 격판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구비한 커버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상기 지지 골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일면에 상기 고정 금속구가 좌우로 2개 결합되는 폭을 갖고, 상기 고정판에 고정된 상기 고정 금속구 간에 일정 틈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부의 일 측면에 일정 크기의 개구부를 구비한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골조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고정판에 상기 고정 금속구가 일면에 1개 결합되는 폭으로 형성된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목적과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이점과 특징들은 양호한 실시 예의 첨부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른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첨부 도시된 도면에 있어서, 도 2는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의 시공 예를 보인 것으로, 다수의 천장 보드(100)의 결합시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와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20B)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중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 하측으로 결합되는 고정 금속구(10)의 결합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중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중 커버 프레임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중 고정 금속구의 사용 예를 보인 것으로,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 중 일측의 상기 고정 금속구(10)가 제거되는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층(110)을 통해 일정 틈(120)을 측면 두께에 형성시킨 천장 보드(100)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천장 보드(100) 간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고정 금속구(10)와, 상기 고정 금속구(10)를 고정하며 연결볼트(200)를 통해 천장과 일정 높이를 갖게 고정하는 지지 골조(20)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 금속구(10)는, 상하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수직판(11)과, 상기 수직판(11)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천장 보드(100)의 상기 층(110) 간에 형성되는 일정 틈(120)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판(14)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직판(11) 상측에 지지 골조(20)와 결합되는 일정 크기의 나사 결합홀(12A,12B)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나사 결합홀(12A,12B) 중 일 측에 상단으 로 절결되는 절개부(13)를 형성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 금속구(10)의 상기 나사 결합홀(12A,12B)에 상응되는 나사 결합홀(23B)이 형성되어 고정 볼트(B)를 통해 상기 고정 금속구(10)를 전후면 한 쌍으로 고정하는 상기 지지 골조(20)는, 상측에 좌우로 관통되는 관통부(21)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21)의 외주면 중심 측에서 하향되는 길이를 갖는 고정판(22)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 골조(20)는 사용 위치에 따라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와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20B)로 구분되는 것으로, 상기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는 상기 고정 금속구(10)가 상기 고정판(22)의 일면에 좌우로 2개 결합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22) 일면에 고정된 상기 고정 금속구(10) 간에 일정 틈(G)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관통부(21)의 일측면에 일정 크기를 갖는 개구부(2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20B)는 상기 고정 금속구(10)가 일면에 1개 결합되는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천장 보드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 금속구(10) 간의 간격을 연결하는 일정 길이의 평판(31)과, 상기 평판(31)의 중심 측에 형성되어 길이를 갖는 2개의 격판(32)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구비한 커버 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는, 도 2 도시와 같이 상기 고정 금속구(10)와 상기 지지 골조(20)가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사용 위치에 따라 상기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 또는 상기 맞대기 보강 용 지지 골조(20B)로 상기 지지 골조(20)가 변형 실시된다.
상기 지지 골조(20)에 상기 고정 금속구(10)를 결합함에 있어서, 전 후면측 상기 고정 금속구(10)의 상기 절결부(13)가 서로 엇갈리게 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전면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 금속구(10)의 상기 절결부(13)를 고정하는 상기 고정 볼트(B)가 후면측 상기 고정 금속구(10)의 상기 나사 결합홀(12A,12B) 중 절결되지 않는 측에 관통 결합되게 한 것이다.
상기 지지 골조(20) 중 상기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3 도시와 같이 2개 이상의 상기 천장 보드(100)의 일 측면이 맞닿게 이음될 시, 일 측에 위치된 2개의 상기 천장 보드(100)의 양측 단에 절반 삽입되며, 비삽입부는 상기 천장 보드(100)와 연속선상에 위치한 다른 상기 천장 보드(100)의 측단에 삽입되게 된다.
즉, 서로 수평/수직 교차되는 4개의 천장 보드(100)의 교차점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4개의 상기 천장 보드(100)를 각각 지지하는 상기 고정 금속구(10)가 일면에 2개씩, 전 후면으로 총 4개의 상기 고정 금속구(10)가 결합되어, 상기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는 상기 고정 금속구(10)를 일면에 2개씩 구비하기 위한 일정 폭으로 갖는다.
또한, 상기 관통부(21)의 중심측을 관통하는 상기 나사결합홀(23A)을 통해 천장에 지지고정 하기 위해 상기 고정 볼트(B) 결합을 시킴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홀(23A)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관통부(21)의 측면에 일정 크기의 상기 개구부(24)를 구비시킨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고정 볼트(B)의 하측단이 상기 나사결 합홀(23A)에 삽입된 후, 상기 관통부(21)로 관통 삽입된 상기 고정 볼트(B)의 하측단에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21) 상측에 위치한 상기 나사결합홀(23A)을 통해 삽입 체결되는 상기 고정 볼트(B)의 길이에 따라 자유롭게 상기 천장 보드(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20B)는, 도 4 도시와 같이 상기 천장 보드(100)의 양측 단에 위치되는 상기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 간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천장 보드(100)의 중간 측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천장 보드(100)의 고정력 강화 및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장 보드(100) 간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 금속구(10) 및 상기 지지 골조(20)의 두께로 인해 상기 천장 보드(100)에 일정 틈(G)이 형성되는 데, 이는 천장 보드(100) 맞대기 이음 방식으로 인해 수평/수직의 격자형을 띄게 된다.
따라서, 도 5 도시와 같이 상기 틈(G)에 삽입되는 2개의 격판(32)이 형성된 상기 커버 프레임(30)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2개의 격판(32)는 상기 틈(G)의 간격과 일치되는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틈(G)에 밀착 삽입된다.
상기 커버 프레임(30)으로 인해 상기 고정 금속구(10) 및 상기 지지 골조(20) 균일한 시공을 위해 상기 천장 보드(100)의 상기 틈(G)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줌으로 상기 고정 금속구(10)를 장착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커버 프레임(30)을 상기 고정 금속구(10) 간에 삽입하여 상기 천장 보드(10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맞추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30)의 상기 평판(31)을 통해 천장 상측에서 유입되는 미세 먼지 등이 상기 틈(G)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틈(G)의 상면을 일정 폭으로 덮어 완전 밀폐하고, 상기 천장 보드(100)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틈(G)의 경우, 이를 마감하기 위한 실링 시공을 하여 미세 먼지 등이 상기 천장 보드(100)의 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상하 측 상기 틈(G)을 이중 밀폐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천장 보드(100)를 상기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와 상기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20B) 및 상기 커버 프레임(30)으로 설치되므로, 그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이는 이하의 실시 예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천장 보드의 개별 교체 시공 시
유지 보수가 필요한 낱개의 상기 천장 보드(100) 주위의 상기 틈(G) 저면에 실링된 실링부를 커팅하여 주위의 다른 상기 천장 보드(100)와 단락시키고, 상기 천장 보드(100) 일측에 구비되는 유지 보수용 개폐구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천장 보드(100) 상면 측으로 투입된다.
한편, 상기 천장 보드(100) 상면 측으로 투입된 작업자가 교체 대상의 천장 보드(100)로 이동한 후, 교체 대상 천장 보드(100) 측으로 내삽되어 지지되는 4곳의 상기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와 천장 보드(100)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상기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20B)의 상기 고정 금속구(10)를 고정하는 일개의 상기 고정 볼트(B)를 풀어 하향 제거한다.
이때 제거되는 상기 고정 볼트(B)는 도 6 도시와 같이 상기 절결부(13)가 형성되지 않은 측의 상기 고정 볼트(B)만을 제거하는 것으로, 일개의 상기 고정 볼트(B)를 제거하면 타측은 상기 절결부(13)를 통해 상기 고정 볼트(B)의 제거 없이 하측방으로 제거된다.
이로 인해 엇갈리는 형태로 이면에 한 쌍으로 고정되는 상기 고정 금속구(10)는, 결과적으로 상기 절결부(13)가 형성된 측의 상기 고정 볼트(B)만 제거되는 것이므로, 타측의 상기 고정 볼트(B)로 이면의 상기 고정 금속구(10)의 유지가 가능케 되어 제거를 원하는 상기 천장 보드(100) 측을 지지하는 상기 고정 금속구(10) 만을 제거할 수 있어 개별 착탈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와 상기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20B)를 통해 상기 천장 보드(100)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착탈을 원하는 측의 상기 고정 금속구(10) 만을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 상기 천장 보드(100)의 개별 교체가 가능케 하고, 또한 상기 지지 골조(20)의 길이를 짧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 골조(20)가 없는 상기 틈(G)에 상기 커버 프레임(30)을 밀착 고정시킨 천장 보드 결합장치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의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의 사용으로, 천장의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구비되는 지지 골조와 고정 금속구를 통해 천장 보드의 지지 고정하기 위한 원가를 낮추고, 또한 시공이 간편해서 시공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지 보수가 용이한 것으로, 이는 불필요한 천장 보드의 착탈 없이 보수를 요하는 개별 천장 보드만을 제거함으로 전체적인 유지 보수 시간 단축 및 작업 능률을 효과적으로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천장 보드 간의 틈을 통해 유입되는 미세먼지 등의 유입을 상측의 커버 프레임과, 하측면의 실링을 통해 이중으로 마감되어 방음 및 정밀 작업을 위한 클린실 등에 적용되어 사용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6)

  1. 일정 간격 이격되는 틈(120)이 형성되는 천장 보드(100)를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천장 측에 고정시키는 지지 골조로 구성된 천장 보드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장 보드(100)의 상기 틈에 삽입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판(14)과 상기 지지판(14)을 고정하는 수직판(11)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판(11)의 상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나사결합홀(12A,12B)을 형성한 고정 금속구(10)와;
    상기 고정 금속구(10)의 상기 나사결합홀(12A,12B)과 고정 볼트(B)를 통해 결합되며, 천장과 일정 높이를 갖게 고정되는 지지 골조(20)로서, 상기 나사결합홀(12A,12B) 중 일개의 상기 고정 볼트(B)를 제거하여 상기 지지 골조(20)에 고정된 상기 고정 금속구(10)의 개별 착탈 가능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금속구(10)는 상기 수직판(11)의 상측 좌우로 2개의 나사 결합홀(12A,12B)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 결합홀(12A,12B) 중 일 측에 상단으로 절결되는 절결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11) 하측에 상하로 평행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는 3개의 지지판(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골조(20)는 상측에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21)와, 상기 관통부(21)의 하측 외주면 중심 측에 하향되는 일정 길이의 고정판(22)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21) 상측 외주면과 상기 고정판(22)을 관통하는 나사 결합홀(23A,23B)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22)에 형성된 상기 나사 결합홀(23B)과 상기 고정 금속구(10)의 상기 나사 결합홀(12A,12B)이 고정 볼트(B)를 통해 상기 고정판(22) 전후면 측 한 쌍으로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골조(20)는 상기 고정판(22)에 상기 고정 금속구(10)가 전후 및 좌우로 총 4개 결합되는 폭을 갖고, 상기 관통부(21)의 일 측에 내측으로 관통되는 일정 크기의 개구부(24)를 구비한 교차 맞대기용 지지 골조(2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골조(20)는 상기 고정판(22)에 상기 고정 금속구(10)가 전후면 각각 1개씩 결합되는 폭으로 형성된 맞대기 보강용 지지 골조(2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보드(100)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 금속구(10) 간의 간격을 연결하는 일정 길이의 평판(31)과;
    상기 평판(31)의 중심 측에 형성되어 길이를 갖는 2개의 격판(32)을 일정 폭으로 이격시킨 커버 프레임(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보드 결합장치.
KR2020060015761U 2006-06-12 2006-06-12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KR200430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761U KR200430287Y1 (ko) 2006-06-12 2006-06-12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761U KR200430287Y1 (ko) 2006-06-12 2006-06-12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527A Division KR100757021B1 (ko) 2006-06-12 2006-06-12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287Y1 true KR200430287Y1 (ko) 2006-11-13

Family

ID=4177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761U KR200430287Y1 (ko) 2006-06-12 2006-06-12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2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972B1 (ko) * 2015-04-14 2015-12-30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KR101613697B1 (ko) * 2015-07-21 2016-04-20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개별 분리가 가능한 천정패널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972B1 (ko) * 2015-04-14 2015-12-30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KR101613697B1 (ko) * 2015-07-21 2016-04-20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개별 분리가 가능한 천정패널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3649B2 (ja) 太陽電池パネル支持装置
KR101237333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KR100757021B1 (ko)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KR200430287Y1 (ko)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KR20150088967A (ko) 용골용 플로어링 지지대
KR101058428B1 (ko) 관람석 의자용 좌석 지지구와 레일의 결합구조
KR20040083351A (ko)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JP2010150779A (ja) デッキ材取付構造
JP2005042411A (ja) 電算機の床面固定構造体
JP2007032876A (ja) 枠状据付台
CN111746712A (zh) 一种船舶上的地板支架
JP2010090647A (ja) 化粧用プレート部材兼用型枠構造
KR200405229Y1 (ko)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패널을 지지하는 각재의고정클램프
KR101302977B1 (ko) 족장 고정장치
CN217918930U (zh) 一种石材地板保护托盘
JP4295705B2 (ja) 二重床
CN210460185U (zh) 一种市政工程建筑施工围板
KR101091767B1 (ko) 접합유리 방음벽
KR101686122B1 (ko) 슬래브 시공용 탈형 데크 가설 소켓형 동바리 받침폼
JP7320396B2 (ja) 壁繋ぎ構造
CN212200068U (zh) 一种具有承重形变结构的桥梁
JP5133184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架台
CN202768546U (zh) 一种板材连接件
KR20110011125A (ko) 콘크리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장치가 구비된 거푸집
KR20120061120A (ko) 천장판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