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972B1 -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972B1
KR101580972B1 KR1020150052659A KR20150052659A KR101580972B1 KR 101580972 B1 KR101580972 B1 KR 101580972B1 KR 1020150052659 A KR1020150052659 A KR 1020150052659A KR 20150052659 A KR20150052659 A KR 20150052659A KR 101580972 B1 KR101580972 B1 KR 10158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astening
ceiling
support
ceil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렬
Original Assignee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대합실이나 지하 통로 또는 냉장 및 냉동창고 시설 등의 천정 마감을 위한 천정패널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대 고정구의 구조를 개선하고 상기 지지대 고정구에 결합되는 패널지지대의 구조를 상기 지지대 고정구와 대응하도록 개선하되, 이들 지지대 고정구 및 패널지지대가 지지대 고정구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삽입된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의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천정패널을 이용하여 마감된 상태에서 천정패널에 대한 부분적인 교체 혹은 분리 또는 제거가 필요한 경우 해당의 천정패널을 패널지지대와 함께 지지대 고정구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고 지지대 고정부와 패널지지대 간의 체결볼트를 분리시키지 않고 끼워놓은 상태에서 천정패널을 분리시킬 수 있어 체결볼트의 낙하 또는 분실로 인한 작업 지연이 방지되는 것이고, 분리된 천정패널을 재조립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체결볼트를 그대로 밀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천정패널의 재설치가 매우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일측의 천정패널이 분리되더라도 이웃하는 주변의 천정패널의 고정력이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므로 최초 시공된 수평 상태의 천정면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Ceiling panel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실내 대합실이나 지하 통로 또는 냉장 및 냉동창고 시설 등의 천정 마감을 위한 천정패널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천정패널을 천정 슬래브로부터 고정하기 위한 패널 고정부의 개선을 통해 천정패널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거나 교체 혹은 재조립하는 과정에서 천정패널의 빠르고 간단한 분리는 물론 주변 천정패널의 체결상태 및 수평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분리된 천정패널을 빠르게 재설치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실내 공간 중 천정부에는 그 천정부를 마감하기 위한 천정패널이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천정패널은 대표적으로 전철이나 지하철의 대합실 또는 통로 등의 벽면이나 천정에 반복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고, 각종 냉장 및 냉동창고 시설을 설치하기 위해서도 천정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의 천정패널은 통상적으로 도 1의 도시와 같이 천정 슬래브에 하향 고정 설치되는 행거볼트의 하단에 장방향 압출물인 채널(100)을 고정 형성하고, 상기의 채널(100) 하단으로부터 매달림대(110)를 통해 별도의 티바(120;T-bar)를 교차 방향으로 고정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의 티바(120)를 이용하여 금속재 천정패널(130)(130')을 고정 설치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대합실이나 통로 등의 천정부에는 천정패널에 의한 천정 마감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고, 천정패널과 천정슬래브 사이에는 각종 공조파이프에 대한 배관 및 전기 및 통신을 위한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천정패널은 통상적으로 금속판재의 끝단을 상향 절곡하여서 상기의 절곡부에 의해서는 티바와 결합되게 하는 것이고, 하측 넓은 면은 실내로 노출되게 하여서 실내 측으로부터 미려한 장식성을 연출하는 동시에 경량으로 인한 시공상의 편리함과 함께 재질적 특성에 따른 내화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천정패널을 이용한 천정 마감구조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2797호(2006.02.09 공개)와 등록특허 제10-0794261호(2008.01.07 등록)와 같이 천정슬래브로부터 하향 고정된 행거볼트와 채널 및 티바를 이용하여 평면상 사각 형태로 된 천정패널을 반복하여 고정 설치하는 구조가 개시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근자의 천정패널 고정 설치구조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매달림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대 고정구(121)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 고정구(121)를 이용하여 양측으로 분할 형성된 패널지지대(120)를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 형성하여 상기 패널지지대(120)의 측부로부터 천정패널의 측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때의 패널지지대(120)에는 하나의 지지대 고정구(121)에 대응하는 한 쌍의 관통공(122)과 개구홈(1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 관통공(122)과 개구홈(123)으로 체결볼트(124)를 삽입하여 타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124)에 체결너트(125)를 나사 결합함에 따라 상기 패널지지대(120)와 지지대 고정구(121)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천정패널(130)(130')의 끝단에 패널지지대(120)를 삽입한 후 상기 패널지지대(120)를 지지대 고정구(121)에 체결시킴에 따라 천정패널(130)(130')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천정패널(130)(130')을 교체하거나 부분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 고정구(121)로부터 패널지지대(120)를 분리시켜 패널지지대(120)를 포함한 천정패널(130)(130')이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천정패널 고정 설치구조는 천정패널에 대한 부분적인 교체 혹은 제거가 필요한 경우 혹은 천정 내부 작업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분리시켜야 하는 경우 패널지지대를 고정하고 있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를 모두 풀어내어야 하므로 이와 같은 과정에서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의 낙하로 인한 작업지연 혹은 분실로 인한 작업 지연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천정패널을 실내측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지지대 고정구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를 모두 풀어내야 하는 것인데 이들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를 모두 풀어 제거하면 원하는 천정패널 뿐만 아니라 이웃하고 있는 천정패널이 모두 분리되기 때문에 지지대 고정구로부터 체결볼트는 그대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체결너트 만을 풀어 패널지지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홈 부분에서는 체결볼트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도 패널지지대의 하향 분리가 이루어질 것이고 체결공 부분에서는 상기의 체결볼트를 후퇴시켜 분리시키고자 하는 패널지지대와 간섭되지 않도록 조정함에 따라 원하는 천정패널 및 패널지지대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의 분리 및 패널지지대의 분리 과정에서 상기의 하나의 체결볼트는 후퇴하여 분리하고자 하지 않는 측의 천정패널이 삽입된 패널지지대를 지지대 고정구로부터 지지하고 있게 되는데, 체결볼트와 지지대 고정구 간의 계지면적은 지지대 고정구의 단면 두께에 불과하므로 결국 체결볼트가 제거된 상태의 체결볼트는 지지대 고정구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 또는 크게 기울어지면서 작업상의 지연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지지대 고정구 및 패널지지대의 연결부는 천정패널을 부분적으로 교체하거나 제거 혹은 분리하는데 상당한 번거로움을 갖고 있는 것이고,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가 낙하하여 작업 지연을 초래하고 있으며, 분리 혹은 교체될 천정패널을 재조립하는 과정에서도 지지대 고정구와 패널지지대 간의 체결공 위치가 빠르게 일치되지 못하므로 작업이 상당히 지연되는 것은 물론 인접된 천장패널의 수평도가 고르게 유지되지 못하므로 천정면이 울퉁불퉁해지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지지대 고정구의 구조를 개선하고 상기 지지대 고정구에 결합되는 패널지지대의 구조를 상기 지지대 고정구와 대응하도록 개선하되, 이들 지지대 고정구 및 패널지지대가 지지대 고정구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삽입된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의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천정패널을 분리하거나 제거 또는 재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지대 고정구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볼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웃하고 있는 천정패널에 대한 체결위치 및 높이가 변경되는 것을 억제함에 따라 천정패널의 제거 및 교체가 간편하고 천정의 수평면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한 특징을 갖는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정 슬래브로부터 하향 고정된 반복의 매달림대 하단에 지지대 고정구가 각기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 고정구의 양측에는 지지대 고정구를 연결하는 패널지지대가 결합 형성되며, 상기 패널지지대에는 천정패널이 결합 고정되게 한 천정패널 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고정구는 하부 양측 중앙부에 유격홈을 횡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유격홈에는 한 쌍의 체결공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하며, 상기 패널지지대는 일측으로 패널끼움부가 상,하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고 패널지지대의 상부에는 체결판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판부에는 지지대 고정구의 체결공과 대응하는 관통의 조립공과 상향 개구된 조립홈을 각기 형성하여,
연속하여 설치되는 지지대 고정구의 하부 양측으로 패널지지대의 체결판부가 밀착되고 체결판부의 조립홈은 지지대 고정구의 체결공에 대하여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하며, 서로 엇갈려 배치된 조립홈으로부터 별도로 구비된 체결볼트를 각기 삽입하여 상기 체결볼트가 일측 체결판부 및 지지대 고정구를 관통하여 타측 체결판부의 조립공으로 돌출됨에 따라 돌출된 체결볼트에 체결너트를 나사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정패널을 이용하여 마감된 상태에서 천정패널에 대한 부분적인 교체 혹은 분리 또는 제거가 필요한 경우 해당의 천정패널을 패널지지대와 함께 지지대 고정구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고 지지대 고정부와 패널지지대 간의 체결볼트를 분리시키지 않고 끼워놓은 상태에서 천정패널을 분리시킬 수 있어 체결볼트의 낙하 또는 분실로 인한 작업 지연이 방지되는 것이고, 분리된 천정패널을 재조립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체결볼트를 그대로 밀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천정패널의 재설치가 매우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일측의 천정패널이 분리되더라도 이웃하는 주변의 천정패널의 고정력이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므로 최초 시공된 수평 상태의 천정면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정패널을 이용한 천정 마감구조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에 의한 천정패널 설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부에서의 패널 분리 과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부에서의 패널 분리 과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부에서의 패널 분리 과정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 설치부에 의한 천정패널 설치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정패널 고정 및 설치구조는 각종 건축물의 천정 슬래브를 이용하여 천정 슬래브의 하측에 천정패널이 무수히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천정 슬래브로부터 일정 간격을 갖고 연속하여 하향 고정 설치되는 매달림대(10)를 이용하여 천정패널(40)(40')이 반복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매달림대(10)는 금속 봉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하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있고 상단은 천정 슬래브에 직접 혹은 천정 슬래브로부터 격자 형태로 배치된 채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매달림대(10) 하단에는 지지대 고정구(20)(2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지지대 고정구(20)(20')는 각각의 매달림대(10) 마다 체결되어 있어 이들 지지대 고정구(20)(20')를 종,횡방향으로 별도의 패널지지대(30)(30')를 통해 연결 형성함에 따라 천정패널(40)(40')에 대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천정패널(40)(40')은 평면상 정사각 혹은 직사각의 형태를 갖고 있는 패널부재로서 상기 천정패널(40)(40')의 각 끝단부에 압출 성형의 패널지지대(30)(30')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패널지지대(30)(30')는 지지대 고정구(20)(2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천정패널(40)(40')에 대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하나의 지지대 고정구(20)(20')에는 양측으로 패널지지대(30)(30')를 포함한 천정패널(40)(40')이 위치하게 되므로 결국 서로 이웃하고 있는 천정패널(40)(40')의 사이에 상기의 지지대 고정구(20)(20')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매달림대(10)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배치된 지지대 고정구(20)(20')로부터 상기 패널지지대(30)(30')를 분리시키면 천정패널(40)(40')이 분리 및 해체되는 것이고 천정패널(40)(40')의 끝단에 결합된 패널지지대(30)(30')를 상기 지지대 고정구(20)(20')에 결합함에 따라 천정패널(40)(40')에 대한 고정 및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지지대 고정구(20)(20')는 매달림대(10)의 하단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부 양측에는 횡방향 즉, 패널지지대(30)(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격홈(2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격홈(21)(21')에는 관통의 체결공(22)(22')이 이격된 형태를 갖고 한 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 체결공(22)(22')은 체결볼트(50)(50')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유격홈(21)(21')은 체결공(22)(22')으로 삽입된 체결볼트(50)(50')의 끝단이 위치하여 유동할 수 있는 간격부에 해당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 고정구(20)(20')의 하부 선단에는 유격홈(21)(21')의 상부에 위치하는 계지홈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계지홈부(23)는 하향 개방된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기 지지대 고정구(20)(20')의 저면에는 상향의 끼움홈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패널지지대(30)(30')는 연속하여 배치된 전기한 지지대 고정구(20)(20')의 측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압출 성형을 통해 필요 길이만큼 절단 사용되는 것이고, 일측으로는 2단 또는 3단으로 돌출된 패널끼움부(31)(3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전기한 지지대 고정구(20)(20')의 측면으로 밀착되는 체결판부(32)가 상향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체결판부(32)에는 전기한 지지대 고정구(20)(20')와 대응하는 한 쌍의 조립공(33)과 조립홈(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 조립공(33)과 조립홈(34)은 지지대 고정구(20)(20')의 설치 간격과 일치하여 지지대 고정구(20)(20')에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조립공(33)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반면 상기 조립홈(34)은 상향 개구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판부(32)의 일측으로는 상향 돌출된 끼움돌부(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체결판부(32)는 지지대 고정구(20)(20')의 계지홈부(23)(23')로 삽입되는 반면 상기 끼움돌부(35)는 지지대 고정구(20)(2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부(24)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의 지지대 고정구(20)(20')에 대하여 양측으로부터 한 쌍의 패널지지대(30)(30')를 밀착시켜 고정하되, 각 패널지지대(30)(30')의 체결판부(32)는 지지대 고정구(20)(20')의 양측 계지홈부(23)(23')로 각기 삽입되고 각 패널지지대(30)(30')의 끼움돌부(35)는 지지대 고정구(20)(20')의 끼움홈부(24)에 동시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 고정구(20)(20')의 체결공(22)(22')과 대응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패널지지대(30)의 조립공(33)과 조립홈(34)은 각기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하는 것인데, 하나의 체결공(22)(22')에 대하여 일측 패널지지대(30)는 조립공(33)이 위치하고 타측 패널지지대(30')는 조립홈(34)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조립공(33)과 조립홈(34)이 서로 엇갈려 체결공(22)(22')과 대응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홈(34)의 방향에서 별도로 구비된 체결볼트(50)(50')를 각기 체결하여 상기 조립홈(34)과 체결공(22)(22') 및 타측의 조립공(33)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돌출된 체결볼트(50)(50')에 체결너트(60)를 나사 결합함에 따라 이들 지지대 고정구(20)(20')와 패널지지대(30)(30')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 고정구(20)(20')의 하부 양측으로는 패널지지대(30)(3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패널지지대(30)(30')는 한 상의 체결볼트(50)(50')와 체결너트(6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체결볼트(50)(50')는 각기 서로 다른 방향에서 조립홈(34)을 통해 엇갈려 삽입되어 체결너트(60)가 결합된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패널지지대(30)(30')에는 패널끼움부(31)(31')를 이용하여 측단에 요철부를 갖고 있는 기존의 천정패널(40)(40')이 삽입된 상태인 것으로 상기 천정패널(40)(40')에 결합된 패널지지대(30)(30')를 상기 지지대 고정구(20)(20')에 결합 고정함에 따라 패널지지대(30)(30')를 포함한 천정패널(40)(40')이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립 및 설치상태에서 하나의 지지대 고정구(20)(20')에 대하여 일측의 천정패널(40)(40')을 일시 분리하거나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볼트(50)(50') 및 체결너트(60)를 풀어 제거하여야 할 것인데, 기존과 같이 체결볼트(50)(50') 및 체결너트(60)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전기한 구조 및 체결과정에 의해 체결볼트(50)(50')에 대한 해체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분리하지 않아도 되는 천정패널(40)(40')에 대한 유동 억제 및 체결볼트(50)(50') 및 체결너트(60)의 낙하 또는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9의 도시에서 우측의 천정패널(40)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우선 우측의 패널지지대(3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볼트(50)(50') 중 조립홈(34)을 통해 결합된 체결볼트(50')는 반대측의 체결너트(60)를 소폭으로 풀어 느슨하게 하면 상기 조립홈(34)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체결너트(60)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아도 체결볼트(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어, 좌측의 패널지지대(30)(30')로부터 삽입된 체결볼트(60)에 결합된 우측의 체결너트(60)를 완전히 풀어 제거한 후 상기 체결볼트(60)를 후퇴시켜 우측 패널지지대(30)의 조립공(33)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하되, 상기 체결볼트(60)는 완전히 빼내어 분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10의 도시와 같이 체결볼트(60)의 끝단이 지지대 고정구(20)(20')의 유격홈(21)(21')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우측의 패널지지대(30)(30')는 두 개의 체결볼트(50)(5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이루어지므로 도 11의 도시와 같이 실내 하측으로 그대로 하강시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고, 좌측의 천정패널(40') 및 패널지지대(30')는 분리되지 않은 두 개의 체결볼트(50)(50')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고, 천정패널(40')이 결합된 패널지지대(30)(30')가 체결판부(32)와 계지홈부(23)(23') 간의 삽입 및 끼움돌부(35)와 끼움홈부(24) 간의 삽입으로 인해 상기 좌측의 천정패널(40')은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할 수 없게 되므로 일측의 천정패널(40)이 분리되었다 하더라도 타측의 천정패널(40')이 유동하거나 수평 설치상태가 변경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반대 측의 천정패널(40')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조립홈(34)을 통해 삽입된 체결볼트(50)는 느슨하게 하고 조립공(33)을 통해 돌출된 체결볼트(50')는 체결너트(60)를 완전히 풀어 제거함에 따라 지지대 고정구(20)(20')로부터 좌측의 패널지지대(30')가 우측 패널지지대(30)의 설치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리되었던 우측의 천정패널(40)을 재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천정패널(40) 및 패널지지대(30)를 상승시켜 패널지지대(30)의 조립공(33)이 지지대 고정구(20)의 체결공(22)(22')과 일치되도록 하고 상기 조립홈(34)은 느슨한 상태인 체결볼트(50')로 끼워지도록 하여 체결너트(60)의 견고한 나사 체결을 통해 패널지지대(30)의 일차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어, 후퇴한 상태의 체결볼트(50)를 전진시켜 체결볼트(50)가 재조립이 필요한 패널지지대(30)의 조립공(33)을 통해 삽입 및 돌출되도록 함에 따라 돌출의 체결볼트(50)에 체결너트(60)를 견고하게 나사 결합하여 상기 패널지지대(30)(30') 및 천정패널(40)(40')에 대한 견고한 결합 및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패널지지대(30)(30')를 포함하고 있는 천정패널(40)(40')을 분리하거나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하나의 지지대 고정구(20)(20')에 대하여 한 상의 체결볼트(50)(50') 중 하나의 체결볼트(50)는 체결너트(60)를 풀어낸 후 후퇴시키고 나머지 하나의 체결볼트(50)는 체결너트(60)를 살짝 풀어 느슨하게 하면 분리시키고자 하는 패널지지대(30)(30')가 지지대 고정부(20)(20')로부터 분리 및 제거되므로 상기 천정패널(40)(40')을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체결볼트(50)(50')를 모두 분리 및 제거하지 않아도 천정패널(40)(40')에 대한 분리가 가능한 것이고 천정패널(50)(50')의 재설치에서도 기존의 체결볼트(50)(50')를 그대로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작업 속도의 향상은 물론 작업 편리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체결볼트 혹은 체결너트 등의 낙하나 분실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매달림대
20,20' : 지지대 고정구 21,21' : 유격홈
22,22' : 체결공 23,23' : 계지홈부
24 : 끼움홈부
30,30' : 패널지지대 31,31' : 패널끼움부
32 : 체결판부 33 : 조립공
34 : 조립홈 35 : 끼움돌부
40,40' : 천정패널
50,50' : 체결볼트
60 : 체결너트

Claims (3)

  1. 천정 슬래브로부터 하향 고정된 반복의 매달림대(10) 하단에 지지대 고정구(20)(20')가 각기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 고정구(20)(20')의 양측에는 천정패널(40)(40')이 결합되는 패널지지대(30)(30')가 결합 형성되며, 상기 패널지지대(30)(30')는 일측으로 패널끼움부(31)(31')가 상,하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고 패널지지대(30)(30')의 상부에는 체결판부(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판부(32)에는 지지대 고정구(20)(20')에 형성된 체결공(22)(22')과 대응하는 관통의 조립공(33)과 상향 개구된 조립홈(34)을 각기 형성하여, 연속하여 설치되는 지지대 고정구(20)(20')의 하부 양측으로 패널지지대(30)(30')의 체결판부(32)가 밀착되고 체결판부(32)의 조립홈(34)은 지지대 고정구(20)(20')의 체결공(22)(22')에 대하여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하며, 서로 엇갈려 배치된 조립홈(34)으로부터 별도로 구비된 체결볼트(50)(50')를 각기 삽입하여 상기 체결볼트(50)(50')가 일측 체결판부(32) 및 지지대 고정구(20)(20')를 관통하여 타측 체결판부(32)의 조립공(33)으로 돌출됨에 따라 돌출된 체결볼트(50)(50')에 체결너트(60)가 나사 결합되게 한 천정패널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고정구(20)(20')는 하부 양측 중앙부에는 전기한 체결공(22)(22')이 포함되게 한 유격홈(21)(21')을 횡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 고정구(20)(20')의 하단에는 상향의 끼움홈부(24)를 형성하며, 패널지지대(30)(3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끼움홈부(24)로 삽입되는 끼움돌부(35)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50052659A 2015-04-14 2015-04-14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KR10158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59A KR101580972B1 (ko) 2015-04-14 2015-04-14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59A KR101580972B1 (ko) 2015-04-14 2015-04-14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972B1 true KR101580972B1 (ko) 2015-12-30

Family

ID=5508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659A KR101580972B1 (ko) 2015-04-14 2015-04-14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53B1 (ko) * 2019-10-28 2020-04-06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탈착식 천정시스템
KR20230040560A (ko) 2021-09-16 2023-03-23 (주)에이치에스패널 클린룸용 천정 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085A (ja) * 1998-12-15 2000-06-27 Nippon Light Metal Co Ltd 天井パネルの固定具
KR200430287Y1 (ko) * 2006-06-12 2006-11-13 광성티앤엠(주)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9085A (ja) * 1998-12-15 2000-06-27 Nippon Light Metal Co Ltd 天井パネルの固定具
KR200430287Y1 (ko) * 2006-06-12 2006-11-13 광성티앤엠(주) 개별 착탈이 용이한 천장 보드 결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53B1 (ko) * 2019-10-28 2020-04-06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탈착식 천정시스템
KR20230040560A (ko) 2021-09-16 2023-03-23 (주)에이치에스패널 클린룸용 천정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9168C (en) Strut system and strut fitting therefor
US5313759A (en) Cleanroom ceiling system
US8628154B2 (en) Aisle containment system
US7886496B1 (en) Extruded aluminum bottom-load ceiling
US8628158B2 (en) Aisle containment system
US8628153B2 (en) Aisle containment system
US7287733B2 (en) Ceiling suspension structure
US8925258B1 (en) Wall and door panel adjustment device
US7621090B2 (en) Panel and mounting mechanism
KR101580972B1 (ko)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RU2644042C1 (ru) Охлаждаемый стеллаж
WO2016009073A1 (en) Wall panel connecting system for modular building units
KR20160071671A (ko) 마감패널 고정구
JP2003531326A (ja) 増強型カーテンウォールシステム
KR101613697B1 (ko) 개별 분리가 가능한 천정패널 설치구조
KR20130138602A (ko) 천정마감장치
KR20190064814A (ko) 댐핑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57233B1 (ko) 패널 마감용 클립 브라켓
KR20100010367U (ko) 천정 배관용 행거
KR100538280B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101125262B1 (ko) 에어컨 배관 및 배선의 천장 거치용 행거
KR101207992B1 (ko) 천정패널 취부구조
KR101728111B1 (ko) 시공이 용이한 천장패널
KR200371856Y1 (ko)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KR200426698Y1 (ko) 상품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