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653B1 - 탈착식 천정시스템 - Google Patents

탈착식 천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653B1
KR102097653B1 KR1020190134488A KR20190134488A KR102097653B1 KR 102097653 B1 KR102097653 B1 KR 102097653B1 KR 1020190134488 A KR1020190134488 A KR 1020190134488A KR 20190134488 A KR20190134488 A KR 20190134488A KR 102097653 B1 KR102097653 B1 KR 102097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xed
main
panel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13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전산볼트(앵커볼트)에 고정되는 T형 몰드바(bar)의 구조를 개량하여 철거시 분리하여 마감판넬의 손상 없이 간편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시설물의 상부를 구성하는 슬래브에 고정된 천정바들의 하부로 전산볼트로 연결되는 몰드바들과, 상기 몰드바들에 양단이 고정되면서 시설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마감판넬;들을 포함하는 탈착식 천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몰드바는, 상부에 상기 전산볼트의 볼트머리가 수용되면서 고정되는 볼트고정홈을 가지며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종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마감판넬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요홈에 끼움결속되는 주결속부를 가지는 본체바와; 상기 본체바에서 상기 주결속부가 형성된 부위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조립되도록 상기 본체바의 수직부에 면접촉하면서 고정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종단에서 상기 주결속부에 대하여 대칭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되면서 타측에 고정되는 상기 마감판넬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요홈에 끼움결속되는 보조결속부를 가지는 보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착식 천정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탈착식 천정시스템{Detachable Ceiling System}
본 발명은, 천정을 다수의 판넬들을 설치하여 마감처리하도록 천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전산볼트(앵커볼트)에 고정되는 T형 몰드바(bar)의 구조를 개량하여 철거시 분리하여 마감판넬의 손상 없이 간편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되어, 철거되는 마감판넬의 재활용은 물론, 마감판넬 재제작비용 및 폐기물 처리비용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철거작업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탈착식 천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벽면에는 전기공사로 인한 각종 배선과, 에어덕트등 각종 설치물이 배치되어 있어서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은데,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통 다수개의 마감판넬들을 설치하여 천정 전체를 가려주게 된다.
이와 같이 마감판넬들을 천정에 설치하도록 된 구조들 중의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42238호에서 예시된 구조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시설물의 상부를 구성하는 슬래브에 고정된 천정바들과, 상기 천정바들의 하부로 전산볼트로 연결되는 몰드바들과, 상기 몰드바들에 양단이 고정되면서 시설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마감판넬들을 통해 천정을 마감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몰드바들에 각종 조명설비, 공조설비, 음향설비들이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조절하도록 되며; 상기 마감판엘을 통해 천정 전체를 가려줌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19876호(명칭: 조립식 천정패널 고정장치/2004.07.1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건물의 천정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면서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앵커보울트에 연결하되, 단면에서 볼 때, 윗쪽으로 개방된 상측 T홈과, 아랫쪽으로 개방된 하측 T홈과, 외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메인 프레임을 준비한 후, 상기한 앵커보울트의 하측 나사부를 상기한 상측 T홈의 속으로 끼운 상태에서 그 상측 T홈의 내측에 위치한 너트1과 상측에 위치한 채 체결편을 개입시켜 체결한 또 다른 너트2로써 매달리도록 고정하고, 단면에서 볼 때, 상기한 하측 T홈의 속으로 끼워질 수 있는 T형 상반부와, 그 중앙에서 아래로 연장된 리브부와, 이 리브부의 아래에서 임의의 넓이로 형성된 받침부로 이루어진 보조프레임을 준비한 후, 상기한 T형 상반부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측 T홈 속으로 끼우며, 단면으로 볼 때, 측면에 임의의 폭과 깊이로 삽입홈을 가진 천정판넬을 준비한 후, 이 천정판넬의 삽입홈에 상기한 보조 프레임의 받침부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 천정패널 고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84886호(명칭: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2010.08.3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천장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볼트에 설치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하면에 삽입공간이 마련되기 위해 상기 고정바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고정바의 양측단부에 각각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클립부재가 마련된 행거유닛과; 상기 고정바의 상면에 안착 지지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하측으로 상기 고정바로부터 상기 클립부재의 하단부까지의 길이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가 마련된 구속유닛과; 상기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구가 형성된 메인판과, 상기 행거유닛에 상기 메인판이 지지되기 위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부재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재가 마련된 다수의 천장판넬과; 상기 천장판넬을 상기 구속유닛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관통구에 관통되게 삽입되며, 단부는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판넬 조립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3-0007248호(명칭: 조립식 건물천정구조/1993.04.2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브라켓트에 두개의 너트에 의해서 조립되는 것으로서, 머리부, 나사부, 그리고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 형성된 정사각단면의 회전방지돌기로 이루어져 있는 행거볼트; 상기 행거볼트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상기 행거볼트의 회전방지돌기의 폭과 동일한 폭의 개구부 및 행거볼트의 머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도 런너가 조립될 수 있도록 개구부 및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재질의 지지챤넬; 상기 지지챤넬의 하부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지지챤넬의 하부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지지챤넬의 하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하부로 돌출하여 천정판넬이 스냅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된 양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런너; 평행으로 뻗은 상기 지지챤넬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행거볼트의 나사부가 관통될 수 있고 지지챤넬 사이의 거리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너트에 의해서 지지챤넬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케링챤넬; 그리고 천정면을 이루는 것으로서, 가장 자리에 수직부가 있는 사각접시형상으로 하고 있고 마주보는 두개의 수직부의 내면상단에 라운드된 돌기가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들이 상기 런너의 양날개부 사이에 스냅식으로 삽입되어서 조립되는 천정판넬로 이루어지는 건물천정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5-0044834호(명칭: 천정판넬의 설치방법 및 그 장치/1995.11.2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앵커보울트에 의해 소정간격으로 레일서스펜숀을 설치하되, 각 레일서스펜숀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내편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단위천정판넬을 레일서스펜숀의 직각 방향으로 위치시키어 레일서스펜숀에 형성된 안내편에 단위천정판넬상에 형성한 레일홈을 끼워서 밀어주어 각 안내편에 단위천정판넬을 순차적으로 결합,부착시키어 천정판넬을 설치하며, 각 단위천정판넬 사이의 틈새에는 마감재를 끼워서 설치하도록 된 천정판넬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19876호(2004.07.1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84886호(2010.08.3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3-0007248호(1993.04.2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5-0044834호(1995.11.29.)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천정구조들은, 천정판넬의 설치 후, 특정부위 철거(또는 해체)가 필요할 때에는, 천정판넬을 파쇄하여 철거를 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시설물이 각종 생산설비가 가동되는 공장(클린룸)일 경우에는, 파쇄된 천정판넬 조각이 떨어져 생산설비에 충격을 줄 경우 설비 손상 또는 생산중단 등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파쇄된 천정판넬 조각에 의한 충격에 대비하여 생산설비를 보호 할 수 있는 사전 조치가 필요하며, 추후 철거된 부위에 새로운 천정판넬을 설치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많은 비용이 발생 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전산볼트(앵커볼트)에 고정되는 T형 몰드바(bar)의 구조를 개량하여 철거시 분리하여 마감판넬의 손상 없이 간편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되어, 철거되는 마감판넬의 재활용은 물론, 마감판넬 재제작비용 및 폐기물 처리비용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철거작업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탈착식 천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은, 시설물의 상부를 구성하는 슬래브에 고정된 천정바들의 하부로 전산볼트로 연결되는 몰드바들과, 상기 몰드바들에 양단이 고정되면서 시설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마감판넬;들을 포함하는 탈착식 천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몰드바는, 상부에 상기 전산볼트의 볼트머리가 수용되면서 고정되는 볼트고정홈을 가지며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종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마감판넬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요홈에 끼움결속되는 주결속부를 가지는 본체바와; 상기 본체바에서 상기 주결속부가 형성된 부위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조립되도록 상기 본체바의 수직부에 면접촉하면서 고정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종단에서 상기 주결속부에 대하여 대칭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되면서 타측에 고정되는 상기 마감판넬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요홈에 끼움결속되는 보조결속부를 가지는 보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은, 시설물의 천정에 설치된 전산볼트에 본체바와 보조바가 결합된 몰드바를 고정한 후, 몰드바의 양측에 본체바와 보조바의 주결속부와 보조결속부들을 각각의 마감판넬들의 고정요홈들에 각각 끼움결속하여 고정하여 천정을 시설할 수 있어, 천정시설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마감판넬들에서 특정부위의 마감판넬을 철거(또는 해체) 하고자 할 경우에는, 철거하고자 하는 마감판넬의 일단이 결속된 보조바를 본체바에서 분리하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선택된 마감판넬을 철거할 수 있어 철거작업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더불어, 철거시 분리하여 마감판넬에 대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시설공간의 환경을 해치치 않게 되어, 마감판넬 재제작비용 및 폐기물 처리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이익이 구현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을 보인 일부 절췌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을 구성하는 몰드바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을 구성하는 몰드바의 사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을 구성하는 마감판넬의 단부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에서의 마감판넬의 철거상태를 보인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을 구성하는 몰드바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을 구성하는 몰드바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1)은, 시설물의 상부를 구성하는 슬래브에 고정된 천정바(미 도시됨)들의 하부로 전산볼트(10)로 연결되는 몰드바(2)들과, 상기 몰드바(2)들에 양단이 고정되면서 시설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마감판넬(P);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시설물의 천정을 청결하게 마감처리함은 물론, 특정부위의 상기 마감판넬(P)을 철거(또는 해체)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마감판넬(P)을 파손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마감판넬(P)에 대한 충격 및 상기 마감판넬(P)의 파괴를 위한 별도의 전동공구 사용이 불필요하고, 진동이 거의 없어, 파티클의 발생 및 각종 생산설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됨에 따라, 작업효율의 향상은 물론, 상기 마감판넬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폐기물 발생 없어, 친환경적인 천정시스템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1)에서, 상기 몰드바(2)는, 상부에 상기 전산볼트(10)의 볼트머리가 수용되면서 고정되는 볼트고정홈(31)을 가지며 고정부(32)와, 상기 고정부(32)의 하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는 수직부(33)와, 상기 수직부(33)의 종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마감판넬(P)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요홈(PH)에 끼움결속되는 주결속부(34)를 가지는 본체바(3)와; 상기 본체바(3)에서 상기 주결속부(34)가 형성된 부위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조립되도록 상기 본체바(3)의 수직부(33)에 면접촉하면서 고정되는 결합부(41)와, 상기 결합부(41)의 종단에서 상기 주결속부(34)에 대하여 대칭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되면서 타측에 고정되는 상기 마감판넬(P)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요홈(PH)에 끼움결속되는 보조결속부(42)를 가지는 보조바(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시설물의 천정에 설치된 상기 전산볼트(10)에 상기 본체바(3)와 상기 보조바(4)가 결합된 상기 몰드바(2)를 고정한 후, 상기 몰드바(2)의 양측에 상기 본체바(3)와 상기 보조바(4)의 상기 주결속부(34)와 상기 보조결속부(42)들을 각각의 상기 마감판넬(P)들의 상기 고정요홈(PH)들에 각각 끼움결속하여 고정하여 천정을 시설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넬(P)들에서 특정부위의 상기 마감판넬(P)을 철거(또는 해체)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철거하고자 하는 상기 마감판넬(P)의 일단이 결속된 상기 보조바(4)를 상기 본체바(3)에서 분리하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선택된 상기 마감판넬(P)을 철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판넬(P)의 철거시 분리하여 상기 마감판넬(P)에 대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시설공간의 환경을 해치치 않게 되어, 상기 마감판넬(P)의 재사용으로 인한 제작비용 및 폐기물 처리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이익이 구현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판넬(P)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서 들어내면, 상기 본체바(3)에 상기 보조바(4)가 들려짐과 동시에 분리가 이루어져 분리작업이 더욱 손쉽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고정부(32)에는, 상기 보조바(4)의 상단이 안내되면서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된 경사면(35)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바(3)에 대한 상기 보조바(4)의 분리작업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1)에서, 상기 본체바(3)의 수직부(33)에는, 상기 보조바(4)측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된 걸림돌부(36)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바(4)의 결합부(41)에는, 상기 걸림돌부(36)가 수용되면서 결속되는 걸림요부(43)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요부(43)에 상기 걸림돌부(36)가 끼움되면서 결속되어 상기 본체바(3)와 상기 보조바(4)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걸림돌부(36)는, 종단에 상부로 돌출되면서 형성된 걸림돌기(37)가 형성된 '
Figure 112019109922164-pat00001
'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바(4)의 상단은, 상기 걸림요부(43)를 형성하면서 종단이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44)이 형성된 '
Figure 112019109922164-pat00002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돌부(36)에 상기 보조바(4)의 걸림요부(43)가 걸림되면서 결속되어 상기 마감판넬(P)을 통해 하측방향으로 하중을 받도록 된 상기 보조바(4)가 안정적으로 상기 본체바(3)에 걸림결속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하도록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림돌기(37)와 상기 걸림턱(44)이 서로 엇갈림되면서 결속되어,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하여 무단분리되지 않아 안정성을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1)에서, 상기 주결속부(34) 및 상기 보조결속부(42)의 종단에는, 상부로 연장되면서 돌출형성된 본체저지돌부(38) 및 보조저지돌부(45)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마감판넬(P)의 고정요홈(PH)의 상측종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PHB)가 서로 맞물리면서 결속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저지돌부(38) 및 상기 보조저지돌부(45)들이 상기 고정돌기(PHB)들과 각각 엇갈람되면서 맞물이도록 결합되어, 상기 몰드바(2)에 대한 상기 마감판넬(P)들의 수평방향에 대한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고정돌기(PHB)가 상기 본체저지돌부(38) 및 상기 보조저지돌부(45)들에 의해 각각 이탈이 저지되어, 무단으로 해체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더욱 확보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1)에서, 상기 마감판넬(P)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와 넓이를 가지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판넬본체(P1)와; 상기 판넬본체(P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외측면에 상기 고정요홈(PHB)이 형성된 마감프레임(P2)과; 상기 판넬본체(P1)와 상기 마감프레임(P2)의 상부면과 상기 마감프레임(P2)의 양측단부의 상측테두리부위를 감싸면서 적층결합되는 상판(P3)과; 상기 판넬본체(P1)와 상기 마감프레임(P2)의 저면과 상기 마감프레임(P2)의 양측단부의 하측테두리부위를 감싸면서 적층결합되는 하판(P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1)은, 상기 마감판넬(P)의 양단부의 상면과 면접촉하면서 밀착되고 결속볼트(51)를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52)와, 상기 체결부(52)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본체바(3)의 수직부(33) 및 상기 보조바(4)의 결합부(41)의 외측면과 면접촉하면서 밀착되고 결속볼트(51)를 통해 체결되는 고정부(53)를 가지는 '
Figure 112019109922164-pat00003
' 형상을 가지는 보조지지대(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바(3)와 상기 보조바(4)의 양측에서 한 쌍의 상기 보조지지대(5)를 통해 상기 마감판넬(P)의 상면과 상기 본체바(3)와 상기 보조바(4)와의 결속상태를 더욱 확고히 하도록 되어 안정성을 더욱 구현하게된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1)을 구성하는 상기 몰드바(2)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주결속부(34)의 하부 및 상기 보조결속부(42)의 하부에는, 상단이 상기 주결속부(34)에 고정되면서 구비되며 상기 주결속부(34)의 하부 및 상기 보조결속부(42)의 하부와 상기 마감판넬(P)들의 각각의 고정요홈(PHB)의 바닥면들과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절곡되면서 형성된 탄성지지판(6)들이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지지판(6)을 통해 상기 본체바(3)와 상기 보조바(4)에 상기 마감판넬(P)이 더욱 확고히 고정되어, 지진 등과 같은 충격하중이 인가되더라도 무단으로 해체되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안전성이 확보된다.
상기에서 탄성지지판(6)은, 중앙에 절곡부를 가지어 자체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탈착식 천정시스템(1)을 구성하는 상기 몰드바(2)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 탄성지지편(6)의 일 부위에는, 절개되면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길이와 넓이를 가지는 진동편(6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지지판(6)의 일 위에 절개된 절개공간(62)과 상기 진동편(61)이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동에너지를 상기 절개공간(62)과 상기 진동편(61)을 통해 상쇄하여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천정시스템 10 : 전산볼트
2 : 몰드바 3 : 본체바
31 : 볼트고정홈 32 : 고정부
33 : 수직부 34 : 주결속부
35 : 경사면 36 : 결림돌부
37 : 걸림돌기 38 : 본제저지돌부
4 : 보조바 41 : 결합부
42 : 보조결속부 43 : 걸림요부
44 : 걸림턱 45 : 보조저지돌부
5 : 보조지지대 51 : 결속볼트
52 : 체결부 53 : 고정부
6 : 탄성지지판 61 : 진동편
62 : 절개공간 P : 마감판넬
PH : 고정요홈 PHB : 고정돌기
P1 : 판넬본체 P2 : 마감프레임
P3 : 상판 P4 : 하판

Claims (1)

  1. 시설물의 상부를 구성하는 슬래브에 고정된 천정바들의 하부로 전산볼트(10)로 연결되는 몰드바(2)들과; 상기 몰드바(2)들에 양단이 고정되면서 시설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마감판넬(P);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몰드바(2)는, 상부에 상기 전산볼트(10)의 볼트머리가 수용되면서 고정되는 볼트고정홈(31)을 가지며 고정부(32)와, 상기 고정부(32)의 하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는 수직부(33)와, 상기 수직부(33)의 종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마감판넬(P)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요홈(PH)에 끼움결속되는 주결속부(34)를 가지는 본체바(3)와; 상기 본체바(3)에서 상기 주결속부(34)가 형성된 부위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조립되도록 상기 본체바(3)의 수직부(33)에 면접촉하면서 고정되는 결합부(41)와, 상기 결합부(41)의 종단에서 상기 주결속부(34)에 대하여 대칭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되면서 타측에 고정되는 상기 마감판넬(P)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요홈(PH)에 끼움결속되는 보조결속부(42)를 가지는 보조바(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착식 천정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주결속부(34)의 하부 및 상기 보조결속부(42)의 하부에는,
    상단이 상기 주결속부(34)에 고정되면서 구비되며 상기 주결속부(34)의 하부 및 상기 보조결속부(42)의 하부와 상기 마감판넬(P)들의 각각의 고정요홈(PHB)의 바닥면들과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절곡되면서 형성된 탄성지지판(6)들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탄성지지판(6)은,
    중앙에 절곡부를 가지어 자체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천정시스템.
KR1020190134488A 2019-10-28 2019-10-28 탈착식 천정시스템 KR102097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488A KR102097653B1 (ko) 2019-10-28 2019-10-28 탈착식 천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488A KR102097653B1 (ko) 2019-10-28 2019-10-28 탈착식 천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653B1 true KR102097653B1 (ko) 2020-04-06

Family

ID=7028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488A KR102097653B1 (ko) 2019-10-28 2019-10-28 탈착식 천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3192A (zh) * 2021-06-08 2021-10-19 安徽长安专用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组装式方舱结构及安装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248A (ko) 1991-09-26 1993-04-22 강진구 순차적인 채널 록킹 회로 및 방법
JPH07279298A (ja) * 1992-05-13 1995-10-24 Guy Hosteing 吊り天井または吊り壁の支持部材および前記支持部材に使用される支持スペーサ
KR20090005267U (ko) * 2007-11-28 2009-06-02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천장패널 고정장치
KR20100084886A (ko) 2009-01-19 2010-07-28 한미홀딩스 주식회사 면역글로불린 Fc 단편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결합체
KR200466621Y1 (ko) * 2012-09-25 2013-04-26 신일공영(주) 천장판넬 조립장치
KR101580972B1 (ko) * 2015-04-14 2015-12-30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248A (ko) 1991-09-26 1993-04-22 강진구 순차적인 채널 록킹 회로 및 방법
JPH07279298A (ja) * 1992-05-13 1995-10-24 Guy Hosteing 吊り天井または吊り壁の支持部材および前記支持部材に使用される支持スペーサ
KR20090005267U (ko) * 2007-11-28 2009-06-02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천장패널 고정장치
KR20100084886A (ko) 2009-01-19 2010-07-28 한미홀딩스 주식회사 면역글로불린 Fc 단편을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결합체
KR200466621Y1 (ko) * 2012-09-25 2013-04-26 신일공영(주) 천장판넬 조립장치
KR101580972B1 (ko) * 2015-04-14 2015-12-30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개선된 구조의 천정패널 고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3192A (zh) * 2021-06-08 2021-10-19 安徽长安专用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组装式方舱结构及安装方法
CN113513192B (zh) * 2021-06-08 2024-04-30 安徽博微长安电子有限公司 一种组装式方舱结构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4625C2 (ru) Потолок со скрытой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со снимаемыми вниз панелями
US8925258B1 (en) Wall and door panel adjustment device
KR101565601B1 (ko) 천정 마감용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천정 마감장치
KR101609382B1 (ko) 디자인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한 방음벽 리모델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097653B1 (ko) 탈착식 천정시스템
KR100635384B1 (ko) 지주은폐형 탈,부착식 투명방음벽 및 이 투명 방음벽의시공방법
KR20180040222A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EP3587693B1 (en) Connection clip for securing a panel to a support grid
JP4845226B2 (ja) せき板取付枠及び型枠工法
KR102250444B1 (ko) 내진형 다기능 방음벽
KR20130131153A (ko) 천정재 고정 시스템
EP2904169B1 (en) Divider wall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CN108867979B (zh) 一种天花隔断一体系统
JP6145380B2 (ja) 天井構造
KR102485937B1 (ko) 상측 보강구조의 슬래브 연결형 칸막이 벽체
EP2196590B1 (en) Suspended ceiling structure connected to a construction element and method of mounting a construction element to a suspended ceiling structure
JP2007031935A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JP2008008112A (ja) 間仕切壁
JP3004736U (ja) 間仕切壁
JP2005179951A (ja) 建造物用の被覆構造体
KR102647500B1 (ko) 교체 용이성을 갖는 방음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JP2008163635A (ja) システム天井
KR200261831Y1 (ko) 철판 판넬 시설물용 콘센트 박스
KR200352245Y1 (ko) 실내 마감패널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