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955Y1 - 유체주입통 - Google Patents

유체주입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955Y1
KR200429955Y1 KR2020060018459U KR20060018459U KR200429955Y1 KR 200429955 Y1 KR200429955 Y1 KR 200429955Y1 KR 2020060018459 U KR2020060018459 U KR 2020060018459U KR 20060018459 U KR20060018459 U KR 20060018459U KR 200429955 Y1 KR200429955 Y1 KR 200429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ose
injection
fluid injection
barre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경락
Original Assignee
손경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락 filed Critical 손경락
Priority to KR2020060018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9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주입통에 관한 것으로, 적층하여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고 유체 주입이 편리한 유체주입통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체를 보관, 이동하여 다른 곳으로 주입하는 유체주입통에 있어서, 상부에 손잡이와 유체 주입용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소정 깊이까지 표면을 따라 호스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호스수납홈의 최하단에 길이 연장관 결합을 위한 통측체결부가 형성된 통몸체 및 관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통측체결부에 대응하는 호스측체결부가 형성된 주입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체, 주입통, 기름통, 약수통, 자바라, 손잡이

Description

유체주입통{A pouring bottle for fluid}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측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측면도이다.
도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측면도이다.
도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체주입통 20: 주입호스
100,200,300,400: 유체주입통 110,210,310,410: 통몸체
112,212,312,412: 호스수납홈 120,220,320.420: 주입구 마개
130,230,330,430: 주입호스
본 고안은 유체주입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하여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고 유체 주입이 편리한 유체주입통에 관한 것이다.
유체주입통은 '석유통' 또는 '약수통' 등으로 불리며, 내부에 유체를 보관, 이동 및 다른 곳으로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8과 도9를 참조로 일반적인 유체주입통을 설명한다.
도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측면도이고, 도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주입통(10)은 속이 빈 상자형의 통몸체(12)의 상부에, 주입호스(20)와 연결하기 위한 통측체결부(18), 이동 등의 경우에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4) 및 외부로부터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6)가 형성된다. 주입호스(20)는 통측체결부(18)에 회전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체주입통(1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를 채운 뒤, 원하는 장소까지 이동한 다음, 한 손으로 손잡이(14)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유체주입통(10)의 바닥을 지지하여 주입호스(20)를 통해 외부로 유체를 내보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체주입통(10)은 손잡이(14)가 하나만 형성되어 손잡이(14)를 파지하지 않은 다른 손은 유체주입통(10)의 바닥 등에 닿아야 하기 때문에 유체가 다량 충진된 경우 무겁고 불편하며, 바닥 등에 손이 닿는 경우 위생상의 문제도 있었다.
또한, 손잡이(14), 주입구(16) 및 통측체결부(18)가 통몸체(12)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주입호스(20)가 상부에 결합되어 적층이 불가능하여 이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입호스(20)가 상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유체주입통(1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해서는 유체주입통(10)을 뒤집는 위치까지 기울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유체주입통을 기울이지 않고도 내부의 유체를 주입호스를 사용하여 외부로 주입할 수 있는 유체주입통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층이 용이하여 이동 효율성이 높은 유체주입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측부 손잡이가 형성되어 유체를 용이하게 외부로 내보낼 수 있는 유체주입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체주입통은, 유체를 보관, 이동하여 다른 곳으로 주입하는 유체주입통에 있어서, 유체주입통을 기울이지 않고도 수압 차이에 의하여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체주입통의 측면부에 주입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주입호스는 상기 유체주입통의 통몸체에 충진된 유체의 대부분을 상기 유체주입통을 기울이지 않고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통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통몸체 일측에는 상기 주입호스가 체결된 경우에도 수납 및 이동이 간편하도록 상기 주입호스가 수납되기 위한 호스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주입호스는 외부로 유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길이가 연장가능한 자바라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주입호스는 이동시 상기 주입호스로부터 유체가 임의로 유출되지 않도록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통몸체에는 상부에 손잡이와 유체 주입용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통몸체의 측부에는 측면에 통 내부로 소정 깊이 인입된 측부 손잡이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 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측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100)은 내부에 유체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통몸체(110)의 측면 모서리 부분에 상부로부터 소정 깊이까지 표면을 따라 호스수납홈(112)이 형성된다. 호스수납홈(112)의 하단에는 상부를 향하여 통측체결부(114)가 형성된다.
또한 통몸체(110)에서 호스수납홈(112)이 형성된 측부의 반대쪽 측부 하부에는 통몸체(110) 내부를 향하여 소정 깊이 들어간 부분에 측부 손잡이(126)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100)은 두 개의 손잡이(116,126)를 갖게 된다. 미설명부호 '122'는 공기통과홀로, 유체를 유체주입통(100)으로 주입하거나, 유체주입통(100)에서 외부로 유체를 주입할 경우에, 유체주입통(100)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주입호스(13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엔 배출구(132)가 형성되고, 타측엔 통측체결부(114)에 대응하는 호스측체결부(136)가 형성되며, 몸체는 길이 조 절이 가능한 자바라 구조로 형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100)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제1단계, 주입호스(130)의 호스측체결부(136)를 통측체결부(114)에 결합한다.
제2단계, 주입구 마개(120)를 주입구(118)로부터 분리한 뒤, 주입구(118)를 통해 유체를 주입하고, 주입구 마개(120)를 주입구(118)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 유체주입통(100)은 유체를 이동 및/또는 보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3단계, 유체주입통(100)에 보관된 유체를 외부에 유출하기 위하여, 주입호스(130)의 길이 연장관(134)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길이 연장관(134)은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의 연장이 자유롭다.
주입호스(130)를 기울이게 되면 몸체(110)에 수용된 유체의 수압차에 의해 유체주입통(100)을 기울이지 않고도 해당 높이 차이에 해당되는 유체가 자연적으로 외부로 유출된다.
제4단계, 몸체(110)의 바닥에 잔유된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한 손으로 상부 손잡이(116)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측부 손잡이(126)를 파지한 뒤, 유체주입통(100)을 전체적으로 기울인다. 이때의 상태가 도3에 도시된다.
이상의 단계를 통해 유체주입통(100)의 바닥을 만지지 않고서도 유체를 다른 곳으로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체주입통(100)의 상부로 주입호스(130)가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유체주입통(100)을 적층하여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호스(130)가 자바라 방식이기 때문에 주입호스(130)을 연장하여 유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안전하고 용이하다.
즉, 기존에는 예컨대 기름탱크에 기름을 유입시키는 경우 유체주입통을 들고 기름탱크에 호스 등을 삽입하고자 할 때 삽입전에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어 난방기 화재 등의 사고가 빈번하였으나, 본원 고안의 경우 유체주입통을 들지 않고 단지 주입호스(130)의 자바라만을 길게 늘여 기름탱크 등에 삽입시킨 후에 주입을 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유체를 옮길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을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사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200)은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100)에 비해, 주입호스(230)가 수납되기 위한 호스수납홈(212)이 통몸체(110) 측면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제2실시예에 의하면, 주입호스(230)가 통몸체(210)에 안정적으로 수납이 가능하다.
(제3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5와 도6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측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300)은 주입호스(330)가 통몸체(310)의 최하단 근처에 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체주입통(300)을 기울이지 않고도, 대부분의 유체를 외부로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6에 도시된다.
(제4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7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을 설명한다.
도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의 측면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4실시예에 따른 유체주입통(400)은 연결 호스(430)와 통몸체(4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 호스(430)의 종단에 커버(434)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제3실시예의 유체주입통(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연결 호스(430)와 통몸체(4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사용이 편리하고, 커버(434)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커버(434)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통측체결부(114)가 형성된 바닥이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의하면 유체주입통(100) 내부의 유체가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나갈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주입통의 측면부에 주입호스가 연결되어, 유체가 충진되어 무거운 유체주입통을 기울이지 않고도 수압 차이에 의하여 유체를 외부로 용이하게 유출시킬 수 있는 유체주입통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주입호스가 통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유체주입통의 통몸체에 충진된 유체의 대부분을 유체주입통을 기울이지 않고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통몸체 일측에는 주입호스가 수납되기 위한 호스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입호스가 체결된 경우에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로 호스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수납, 적재, 이동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된다.
또한, 주입호스는 길이가 연장가능한 자바라 형상으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호스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유체를 수용되는 다른 통 등의 높낮이에 구애되지 않고 유체를 용이하게 유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입호스는 통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제조 비용 또는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주입호스에는 구 배출구에 커버가 형성되어, 이동시 상기 주입호스로부터 유체가 임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몸체에는 상부에 손잡이와 유체 주입용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통몸체의 측부에는 측면에 통 내부로 소정 깊이 인입된 측부 손잡이가 추가로 형성되어 양손에 의한 파지가 가능하여 통몸체에 잔유된 유체를 유출시키는 경우 바닥면 등을 잡지 않고 손잡이를 잡고 편리하게 잔유 유체를 유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측면 손잡이가 통 내부로 인입되어 있으므로, 통의 적재, 거치 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유체를 보관, 이동하여 다른 곳으로 주입하는 유체주입통에 있어서,
    유체주입통을 기울이지 않고도 수압 차이에 의하여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체주입통의 측면부에 주입호스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주입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호스는 상기 유체주입통의 통몸체에 충진된 유체의 대부분을 상기 유체주입통을 기울이지 않고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통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주입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몸체 일측에는 상기 주입호스가 체결된 경우에도 수납 및 이동이 간편하도록 상기 주입호스가 수납되기 위한 호스수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주입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호스는 외부로 유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길이가 연장가능한 자바라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주입통.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호스는 이동시 상기 주입호스로부터 유체가 임 의로 유출되지 않도록 커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주입통.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주입통의 통몸체에는 상부에 손잡이와 유체 주입용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주입통의 통몸체의 측부에는 측면에 통 내부로 소정 깊이 인입된 측부 손잡이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주입통.
KR2020060018459U 2006-07-07 2006-07-07 유체주입통 KR200429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59U KR200429955Y1 (ko) 2006-07-07 2006-07-07 유체주입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59U KR200429955Y1 (ko) 2006-07-07 2006-07-07 유체주입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955Y1 true KR200429955Y1 (ko) 2006-10-31

Family

ID=4177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459U KR200429955Y1 (ko) 2006-07-07 2006-07-07 유체주입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9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304U (ko) * 2014-05-23 2015-12-02 박등희 완구수납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304U (ko) * 2014-05-23 2015-12-02 박등희 완구수납통
KR200479109Y1 (ko) 2014-05-23 2015-12-23 박등희 완구수납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951B2 (en) Liquid storage container for a painting device
US20190152679A1 (en) Tumbler having additive storage space
PT2043922E (pt) Bocal para assegurar a evacuação de um recipiente flexível
KR101723225B1 (ko)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
KR200429955Y1 (ko) 유체주입통
JP4889818B2 (ja) 液体容器
JP2010538774A (ja) 肛門洗浄システムのための容器
KR1014547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US9259014B2 (en) Food products serving and preserving device
KR20090043649A (ko)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JP4327197B2 (ja) 液体容器
KR20110139085A (ko) 펌프용기용 이중마개
KR20130059664A (ko) 배출호스용 보관홈을 갖는 저장통
KR102245542B1 (ko) 화장품 용기
JP3154944U (ja) 積み重ねタンク及びこのタンクを使用した液体注出装置
KR20000054207A (ko) 액체 저장용기
US116133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phoning a beverage into a flexible container
KR200317079Y1 (ko) 세제용기
KR20110009627U (ko) 물통
JP7403203B1 (ja) パウチ補助具
KR101987117B1 (ko) 잔여량의 사용이 가능한 액체질소통
KR200321975Y1 (ko) 물통
KR200202908Y1 (ko) 액체보관통
RU71636U1 (ru) Канистра двуустьевая
KR101104669B1 (ko) 액체의 리필이 용이한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