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586Y1 - 농작물 지지대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586Y1
KR200429586Y1 KR2020060021230U KR20060021230U KR200429586Y1 KR 200429586 Y1 KR200429586 Y1 KR 200429586Y1 KR 2020060021230 U KR2020060021230 U KR 2020060021230U KR 20060021230 U KR20060021230 U KR 20060021230U KR 200429586 Y1 KR200429586 Y1 KR 200429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ipper
crops
gripping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이식
조오제
Original Assignee
조오제
남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오제, 남이식 filed Critical 조오제
Priority to KR2020060021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5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지지대(10)에 파지구(20)를 설치할 수 있고, 또 파지구(20)의 파지링(21) 펼침 만으로 농작물을 지지대(10)에 신속, 용이하게 파지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파지 및 분리 작업으로 인한 농작물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대(10)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더라도 수명이 오래가는 지지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하단에 타격머리부(11)와 끝이 뾰족하게 되는 삽지봉(12)이 형성되고, 지지대(10) 일측면 상,하에는 파지구(20)가 설치되는 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를 합성수지로 단면이 정사각형이 되도록 형성하면서 지지대(10) 상,하에 설치공(13)을 형성하여 이 설치공(13)에 파지구(20)의 끼움부(22)을 끼워 파지구(20)가 지지대(10)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파지링(21) 전방에 소용돌이 형으로 감겨 지는 판스프링 형태의 파지링(21)을 형성하고, 파지구(20) 후단부에는 설치공(13) 외면에 걸려지는 걸림대(23)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0)의 타격머리부(11)에는 금속 커버(30)를 피복한 것이다.
농작물, 지지대, 파지구, 파지링, 판스프링

Description

농작물 지지대{The crops support}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2의 A-B선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파지구 작용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대 11 : 타격머리부
12 : 삽지봉 13 : 설치공
20 : 파지구 21 : 파지링
22 : 끼움부 23 : 걸림대
30 : 커버
본 고안은 농작물(고추 모종, 오이 모종 등)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농작물과의 파지 및 분리를 신속·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재사용이 가능한 일체형의 지지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지지대라 함은 농작물이 바람에 넘어지지 않게 하는 것으로 농작물과 근접되는 위치에 세워진 후 농작물을 파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지지대와 농작물의 파지를 대부분 끈을 묶는 방식이 적용되어 있는데, 이러한 파지 방식은 지지대에 농작물의 파지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인력의 낭비도 심했으며, 나아가 농작물에서 지지대를 분리할 때에도 파지하는 시간 보다 더 걸리는 문제점(묶여진 끈을 풀어야 했기 때문)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묶여진 끈을 절단하여야 하므로 이는 농작물에 끈 일부가 남겨 지는 문제점을 유발시켰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지지대 자체에 파지용 끈을 대신할 수 있는 원형링을 채용하거나 혹은 반원형의 고리를 장치하여 클립 혹은 고리에 농작물 줄기가 관통되도록 하여 지지대에 농작물이 지지 되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지만, 원형링을 이용한 농작물 파지 방식은 클립을 농작물 줄기를 삽입할 때 농작물 최상단부터 원형링을 통과시켜야 하므로 불가피하게 농작물을 손으로 잡아 구부려야 하는 작업이 필수이어서 이 역시 농작물 파지 작업이 오래 걸림과 아울러 파지 및 분리 과정에서 농작물이 손상을 입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 되었으며, 또 반원형으로 고리를 이용한 농작물 파지방식은 원형링 파지방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으나, 파지력이 약해 즉, 농작물 줄기가 고리에 단순히 걸려지는 형태이어서 바람 등에 의해 지지대 또는 농작물이 흔들릴 경우 상호 분리가 쉽게 발생하게 되고, 이를 막기 위해서는 끈 및 클립 등을 이용한 2차적 파지작업이 필요한 결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금속 지지대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근래에는 금속 지지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합성수지 지지대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위 금속 지지대는 지지대를 지면에 삽지할 때 지지대 타격머리부의 파손 염려가 없는 반면에 합성수지 지지대는 타격머리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종래의 지지대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결점 등을 한꺼번에 해결하기 위함에 그 기술적인 과제를 두고 고안된 것으로서 특히, 지지대에 탄성을 가진 파지링을 채용하여 농작물의 파지 및 분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또 지지대를 지면에 삽지할 때 머리부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한 합성수지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단에 타격머리부(11)와 끝이 뾰족하게 되는 삽지봉(12)이 형성되고, 지지대(10) 일 측면 상,하에는 파지구(20)가 설치되는 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를 합성수지로 단면이 정사각형이 되도록 형성하면서 지지대(10) 상,하에 설치공(13)을 형성하여 이 설치공(13)에 폴리에틸렌(PE) 수지로 성형되는 파지구(20)의 끼움부(22)을 끼워 파지구(20)가 지지대(10)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파지링(21) 전방부에 소용돌이 형으로 감겨지는 판스프링 형태의 파지링(21)을 형성하고, 파지구(20) 후단부에는 설치공(13) 외면에 걸려지는 걸림대(23)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0)의 타격머리부(11)에는 금속 커버(30)를 피복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지지대(10) 상,하의 설치되는 파지구(20) 전 방에 형성되는 파지링(21)이 소용돌이 형으로 감겨지는 판스프링 형태이기 때문에 파지링(21)은 첨부도면 도 4의 (가)에서와 같이 별도의 힘에 의해 강제로 펼쳐질 수 있음은 물론 그 힘을 제거하면 첨부도면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원래의 형태인 링 형태로 복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파지구(20) 후단에 설치공(13) 외면에 걸려지는 걸림대(23)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설치공(13)에 파지구(20)의 끼움부(22)를 끼울 수 있으며, 이렇게 설치공(13)에 파지구(20)의 끼움부(22)를 끼운 다음 펼쳐진 파지링(21)을 놓으면(강제력을 제거하면) 파지링(21)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래의 형태로 원상복귀하므로 설치공(13)에 끼움부(22)가 끼워진 파지구(20)는 전방의 파지링(21)과 후단의 걸림대(23)에 의해 자유로운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그 설치도 견고하게 되며, 또 상기와 같이 파지링(21)이 펼쳐지고 원상복귀 할 수 있으므로 지지대(10)를 첨부도면 도 5에서와 같이 농작물의 근접 위치에 세운 후 파지링(21)을 펼쳐놓기만 하면 농작물을 지지대(10)에 신속,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지지대(10)에서 농작물을 흔적을 남기지 않고 분리할 수 되고, 여기서 흔적이라 함은 종래와 같이 농작물에 파지용 끈이 잔존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은 지지대(10)의 타격머리부(11)에 금속 커버(30)가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대(10)를 지면에 삽지 하기 위해 타격머리부(11)를 타격하더라도 그 타격으로 인한 타격머리부(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지지대(10)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더라도 수명이 오래가는 지지대(1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10) 일측면에 설치되는 파지구(20)의 자유로운 이탈이 방지되므로 지지대(10) 사용시 파지구(20)의 유실을 막을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파지구(20)를 전방의 파지링(21)과 후단의 걸림대(23) 만으로 지지대(10)의 설치공(13)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파지구(20)의 견고한 설치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고, 또 파지구(20)의 파지링(21) 펼침만으로 농작물을 지지대(10)에 신속,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파지로 인한 농작물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파지를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인건비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한편 지지대(10)에서 농작물을 분리하는 작업도 파지링(21)을 펼치기만 하면 달성할 수 있게 되어 그 작업 역시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 농작물에 파지 흔적도 남기지 않으므로 2차적 작업(농작물에 흔적을 없애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도 있으며, 또한 지지대(10)의 타격머리부(11)에 금속 커버(30)를 피복 함으로써 수명이 오래가는 합성수지 지지대(10)를 얻을 수 있어 지지대(10)를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들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하단에 타격머리부(11)와 끝이 뾰족하게 되는 삽지봉(12)이 형성되고, 지지대(10) 일측면 상,하에는 파지구(20)가 설치되는 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를 합성수지로 단면이 정사각형이 되도록 형성하면서 지지대(10) 상,하에 설치공(13)을 형성하여 이 설치공(13)에 파지구(20)의 끼움부(22)을 끼워 파지구(20)가 지지대(10)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파지링(21) 전방에 소용돌이 형으로 감겨지는 판스프링 형태의 파지링(21)을 형성하고, 파지구(20) 후단부에는 설치공(13) 외면에 걸려지는 걸림대(23)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0)의 타격머리부(11)에는 금속 커버(30)를 피복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KR2020060021230U 2006-08-08 2006-08-08 농작물 지지대 KR200429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30U KR200429586Y1 (ko) 2006-08-08 2006-08-08 농작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30U KR200429586Y1 (ko) 2006-08-08 2006-08-08 농작물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586Y1 true KR200429586Y1 (ko) 2006-10-24

Family

ID=4177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230U KR200429586Y1 (ko) 2006-08-08 2006-08-08 농작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5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49B1 (ko) 2015-06-26 2016-09-09 김순배 농작물용 다기능 생육 보호대
KR102650885B1 (ko) 2023-01-27 2024-03-22 조인환 작물고정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49B1 (ko) 2015-06-26 2016-09-09 김순배 농작물용 다기능 생육 보호대
KR102650885B1 (ko) 2023-01-27 2024-03-22 조인환 작물고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149B2 (en) Moveable towel clip for golf bag
US7112153B1 (en) Retrieval device
KR200429586Y1 (ko) 농작물 지지대
US1317903A (en) Beteb whimsteb
US7444779B2 (en) Fish handling device
US8230765B1 (en) Tree step installation tool
KR100816652B1 (ko) 식물 고정용 집게
US20140352196A1 (en) Fishing rod holder
CN205377159U (zh) 一种用于线卡装订的装置
KR101010399B1 (ko) 작물의 덩굴 지지구
JP2007295843A (ja) 誘引紐吊り具
US20120305721A1 (en) Multifunction Peg
JP3135806U (ja) 結束バンド携帯具
JP2007162841A (ja) 吊下フック
KR200384465Y1 (ko) 낚시대 유실방지구
US3310121A (en) Combination root cutter and plant puller
KR200254088Y1 (ko) 텐트용 고리
US2932117A (en) Fish hook removers
JP3120971U (ja) ゴルフクラブ用カバー
JP3139647U (ja) 刃形のl字型平鋼猿撃退具
US983353A (en) Weedless hook.
KR200430839Y1 (ko) 작물지지대
JPH072614U (ja) 止め具
US10611005B2 (en) Power tool accessory for preventing fastener falls during fastener removal or installation operations
US1716959A (en) Animal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