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296Y1 -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296Y1
KR200429296Y1 KR2020060020572U KR20060020572U KR200429296Y1 KR 200429296 Y1 KR200429296 Y1 KR 200429296Y1 KR 2020060020572 U KR2020060020572 U KR 2020060020572U KR 20060020572 U KR20060020572 U KR 20060020572U KR 200429296 Y1 KR200429296 Y1 KR 200429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dust
collection box
guide plat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이구
Original Assignee
최이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이구 filed Critical 최이구
Priority to KR2020060020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2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carried by a pivoted lever
    • B23D45/04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carried by a pivoted lever with the saw blade carried by a pivote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16Hand-held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9/00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3D59/006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for removing or collecting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절단기의 커터를 통해 금속재를 절단할 경우 발생되는 불꽃분진을 수거하는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거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거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상자형의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절단기의 커터 날부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불꽃분진을 수거함의 수거공간으로 안내하는 안내판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분진수거장치를 통해 불꽃분진의 비산방지 및 수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른 청소가 용이하고, 작업공간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절단기, 분진, 수거함, 안내판

Description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DUST REMOVAL DEVICE FOR CUTTING MACHINES}
도 1은 종래의 절단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거함 110 : 수거공간
111 : 통공 120 : 도어
121 : 경첩 122 : 잠금수단
130 : 버클
200 : 안내판 210 : 바닥면
211 : 장홀
300 : 볼트
400 : 내열지
본 고안은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기를 통해 공작물을 절단할 경우 발생되는 분진이 수거함에 수거되도록 안내하는 분진처리가 용이한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단기는, 단단한 금속을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를 통해 절단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1)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11a)가 설치된 절단부(11)와, 상기 공작물(1)을 고정함과 동시에 절단부(11)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2)와, 상기 베이스부(12)와 절단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절단부(11)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내부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공작물을 절단하는 커터(11a)와, 상기 프레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프레임손잡이와, 상기 프레임손잡이에 장착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2)는 베이스와, 공작물(1)을 고정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장착된 바이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는 일측이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절단부와 힌지로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의 일측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탄력적으로 회동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절단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을 바이스에 고정한 상태에서 프레임손잡이에 장착된 스위치를 온(ON)시키면 모터가 구동하고, 이러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커터(11a)가 회전을 한다.
이후, 상기 프레임손잡이를 하방으로 누르면 프레임은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회동을 하면서 회전하는 커터(11a)에 의해 상기 공작물을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회전하는 커터(11a)에 의해 공작물(1)이 연삭 또는 절단될 때 불꽃분진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불꽃분진은 커터(11a)의 회전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비산되고 작업장 지면에 수거되어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타인에게 화상을 줄 수 있고, 더불어 작업장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절단기의 커터 부분에 불꽃분진을 안내하는 안내판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판의 하단에 안내되는 불꽃분진을 수거하는 수거함으로 이루어지는 고속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진수거장치의 안내판과 수거함을 착탈가능하게 형성하여 사용상의 용이성 및 세척시 용이성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수거함의 상면에 안내판을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절단기의 숫돌에 안내판이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절단기와 수거함을 버클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형성하여 수거함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불꽃분진이 접지되는 안내판의 내측에 내열지를 설치하여 불꽃분진이 안내판의 내측에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수거함의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밀폐되게 형성하여 불꽃분진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는, 절단기의 커터를 통해 금속재를 절단할 경우 발생되는 불꽃분진을 수거하는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거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거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상자형의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절단기의 커터 날부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불꽃분진을 수거함의 수거공간으로 안내하는 안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거함과 안내판은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판의 바닥면에는 절단기 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가 상기 안내판의 장홀을 통과한 후 수거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거함의 측부에는 상기 절단기의 측부에 형성된 돌기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버클이 설치되며, 상기 버클을 통해 상기 절단기에 수거함을 결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거함은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밀폐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판의 내측벽에는 내열지가 설치되며, 상기 내열지는 상기 수거함의 수거공간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절단기(10)는 공작물(1)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11a)가 설치된 절단부(11)와, 상기 공작물(1)을 고정함과 동시에 절단부(11)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2)와, 상기 베이스부(12)와 절단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베이스부(12)에 공작물(1)을 고정한 상태에서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절단부(11)의 커터(11a)를 회전시킨 다음, 상기 절단부(11)를 상기 연결부(13)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전하는 커터(11a)에 의해 공작물(1)이 점차적으로 절단되면서 후방으로 불꽃분진 비산되며, 지면에 수거된다.
여기서, 상기 절단기의 후방으로 불꽃분진이 비산되고, 지면에 수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단기의 후방측에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를 설치하게 된 다.
본 고안의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기(10)의 커터를 통해 공작물(1)을 절단할 경우 발생되는 불꽃분진의 비산방지 및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 불꽃분진이 수거될 수 있도록 수거공간을 가지는 수거함(100)과, 상기 절단부(11)의 커터(11a)에 의해 발생되는 불꽃분진을 상기 수거함(100)에 수거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20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커터(11a)에 의해 공작물(1) 절단시 발생되는 불꽃분진은 상기 커터(11a)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안내판(200)에 의해 비산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판(200)의 경사면에 의해 하향으로 안내된 후 상기 수거함(100)의 수거공간(110)으로 수거된다.
상기 수거함(100)은 불꽃분진을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자형으로 내부에 수거공간(110)을 가지며, 상기 수거공간(110)은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밀폐구조를 가지고, 도어(120)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수거함(10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수거공간(110)과 연통되게 통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11)의 외측에는 그와 연통되게 안내판(2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거함(100)의 측부에는 상기 절단기(10)의 측부에 형성된 돌기부(10a)에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버클(130)이 설치되며, 상기 버클(130)을 통해 상기 절단기(10)에 수거함(100)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수거공간(110)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 로, 상기 수거함(100)의 상면에 설치되며, 일단은 경첩(121)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는 잠금수단(122)을 통해 선택적으로 잠금기능을 갖고, 상면에는 손잡이(123)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판(200)은 비산되는 불꽃분진을 상기 수거함(100)에 수거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하단은 상기 통공(11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선단은 "ㄷ"자로 절곡 형성되고 소정각도 경사지게(여기서는 커터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형성되어 양측벽이 상기 절단부(11)의 커터(11a) 날부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즉, 상기 커터(11a)에 의해 비산되는 불꽃분진은 상기 안내판(200)의 선단 양측벽에 의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 후 내측 경사면에 의해 하향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수거함(100)의 통공(111)을 통해 수거공간(110)에 수거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판(200)은 상기 수거판(100)에 볼트(300)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안내판(200)의 바닥면(210)에는 일측방향으로 장홀(211)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볼트(300)가 상기 안내판(200)의 장홀(211)을 통과한 후 수거함(200)의 통공(111) 외측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장홀(211) 내에서 상기 안내판(200)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기때문에 커터(11a)의 위치에 따라 안내판(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판(200)과 수거함(100)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수거함(100)의 설치 및 해체, 세척이 용이하고, 상기 안내판(200)만을 이용하여 불 꽃분진이 하향으로 안내하는 비산방지용 안내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판(200)의 내측벽에는 내열지(400)가 설치되며, 상기 내열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거함(100)의 수거공간(110)까지 연장 형성되어 불꽃분진이 상기 안내판(200)의 내측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판(200)의 내측벽에 설치된 내열지(400)의 끝단은 상기 수거함(100)의 수거공간(110)에 수용된 물과 접촉되어 상향으로 물을 흡수하게 되며, 상기 흡수되는 물에 의해 불꽃분진이 안내판(200)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거함(100)을 절단기(10)의 후방측에 배치시킨 다음, 상기 수거함(100)의 버클(130)을 상기 절단기(10)의 돌기부(10a)에 걸림시킨 상태에서 후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절단기(10)에 수거함(1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수거함(100)의 통공(111) 외측에 안내판(200)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볼트(300)을 바닥면(210)의 장홀(211)을 통과하여 수거함(100)에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안내판(200)이 절단부(11)의 커터(11a) 날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장홀(211) 내에서 상기 안내판(200)을 전후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다.
이후, 상기 안내판(200)의 내측벽에 내열지(400)의 선단을 접착제 또는 고정 수단을 통해 부착시킨 다음 상기 내열지(400)의 끝단은 상기 통공(111)을 통해 수거함(100)의 수거공간(110)에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수거함(100)의 도어(120)을 개방하여 그 내부에 물을 소정높이까지 공급시키게 되면, 상기 내열지(400)는 물을 흡수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절단기(10)의 상기 베이스부(12)에 공작물(1)을 고정한 상태에서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절단부(11)의 커터(11a)를 회전시킨 다음, 상기 절단부(11)를 상기 연결부(13)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전하는 커터(11a)에 의해 공작물(1)이 점차적으로 절단되면서 후방으로 불꽃분진이 발생되며, 상기 불꽃분진은 안내판(200)에 의해 비산이 방지된 상태로 하향으로 안내되고, 상기 통공(111)을 통해 수거공간(110)에 수거된다.
이때, 상기 수거공간(110)에 수거되는 불꽃분진은 물에 의해 분산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안내판(200)에 부착된 내열지(400)에 의해 불꽃분진이 안내판(200)의 내측에 수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절단기(10)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볼트(300)을 통해 상기 안내판(200)과 수거함(100)을 분리시킨 다음, 수거함(100)만을 세척장소로 이동시켜 수거공간(110)에 수거된 분진을 제거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항으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 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절단기의 커터 부분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에 의해 안내되는 불꽃분진을 수거하는 수거함으로 이루어지는 고속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불꽃분진의 비산방지 및 수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른 청소가 용이하고, 작업공간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진수거장치의 안내판과 수거함을 착탈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상의 용이성 및 세척시 용이성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거함의 상면에 안내판을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절단기의 커터 위치에 따라 상기 안내판을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기와 수거함을 버클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수거함을 절단기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꽃분진이 접지되는 안내판의 내측에 내열지를 설치함으로써, 불꽃분진이 안내판의 내측에 수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거함의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밀폐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거함의 수거공간에 수용되는 불꽃분진의 분산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되게 수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절단기의 커터를 통해 금속재를 절단할 경우 발생되는 불꽃분진을 수거하는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거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거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상자형의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선단이 상기 절단기의 커터 날부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불꽃분진을 수거함의 수거공간으로 안내하는 안내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과 안내판은 볼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의 바닥면에는 절단기 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가 상기 안내판의 장홀을 통과한 후 수거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의 측부에는 상기 절단기의 측부에 형성된 돌기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버클이 설치되며, 상기 버클을 통해 상기 절단기에 수거함을 결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은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밀폐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의 내측벽에는 내열지가 설치되며, 상기 내열지는 상기 수거함의 수거공간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KR2020060020572U 2006-07-31 2006-07-31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KR200429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72U KR200429296Y1 (ko) 2006-07-31 2006-07-31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72U KR200429296Y1 (ko) 2006-07-31 2006-07-31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296Y1 true KR200429296Y1 (ko) 2006-10-19

Family

ID=4177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572U KR200429296Y1 (ko) 2006-07-31 2006-07-31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2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210B1 (ko) 2013-07-08 2014-08-25 김진국 가공기기용 스크랩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210B1 (ko) 2013-07-08 2014-08-25 김진국 가공기기용 스크랩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1771B2 (ja) ノコギリ用のダスト収集ポート
US4750536A (en) Router vacuum attachment
WO2012099207A1 (ja) 手持ち式電動切断機
JP2010162893A (ja) カッター組立体及び電動鉛筆削り機
US20120103156A1 (en) Guard assembly for a saw blade
EP2123385B1 (en) Air Deflector Assemblies for Miter Saws
WO2011058942A1 (ja) 切断機の集塵装置
JP5087113B2 (ja) 携帯用切削工具及び集塵構造体
KR200429296Y1 (ko) 절단기용 분진수거장치
JPH08258034A (ja) 石材用切断機
KR20190118350A (ko) 불티 비산방지장치
JP2018134726A (ja) 携帯用切断機
JP4790229B2 (ja) 切削装置
JP2008188715A (ja) 直条部材の切断装置
JP5465556B2 (ja) 切断工具の集塵構造
JP5666964B2 (ja) 切断機
WO2011086736A1 (ja) 切断機
JP7438828B2 (ja) 携帯用切断機
JP4195474B2 (ja) 切断機
JP2017024116A (ja) 加工機
JP2523615Y2 (ja) 防塵丸鋸
KR100715875B1 (ko) 코크스 오븐 도어 클리너
JP3674372B2 (ja) 卓上切断機
JP7210226B2 (ja) 携帯用切断機
KR102573124B1 (ko)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분진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