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867Y1 -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867Y1
KR200428867Y1 KR2020060020589U KR20060020589U KR200428867Y1 KR 200428867 Y1 KR200428867 Y1 KR 200428867Y1 KR 2020060020589 U KR2020060020589 U KR 2020060020589U KR 20060020589 U KR20060020589 U KR 20060020589U KR 200428867 Y1 KR200428867 Y1 KR 200428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tate detection
slides
detection uni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일
Original Assignee
박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일 filed Critical 박정일
Priority to KR2020060020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8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8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휴대폰이나 PDA과 같은 휴대용단말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및 요지
본 고안은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입력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것으로, 기존의 슬라이드형 휴대용단말기를 개량한 2단 슬라이드형 휴대용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면서 사용자인터페이스 실장을 위한 면적을 충분히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이용된다.
슬라이드, 휴대폰, 단말기.

Description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2-step sliding portable terminal}
도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닫힌 상태의 사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1단 열린 상태의 사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2단 열린 상태의 사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열린 상태의 사진이다.
도7 및 8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24515호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몸체 200 : 제2몸체
300 : 제3몸체
본 고안은 휴대폰이나 PDA(Portable Digital Assistance),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MP3플레이어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 개의 몸체로 구성되어 2단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모양은 바타입 단말기, 전화버튼을 보호하기 위한 플립형 단말기, 힌지를 통해 절반이 접힐 수 있도록 된 폴더형 단말기, 모듈을 통해 2개의 몸체가 슬라이딩 되는 1단슬라이드형 단말기로 변천되어 왔다. 이러한 변천의 주목적은 휴대의 간편성과 사용자 인터페이싱을 위한 실장 표면적의 확대에 있었다.
특히,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1단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폴더형에 비하여 표시부(LCD)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폴더형의 단점인 2중 표시부(내부 및 외부 표시부)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복합단말기화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능키 실장이 요구되고 있지만 1단 슬라이드형 단말기도 충분한 실장면적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실질적으로 1단슬라이드 단말기는 구조적인 안전성을 위해서 길이를 기준으로 40%에서 50%정도 늘어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길이가 10Cm인 단말기가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의 길이는 14Cm에서 15Cm의 길이를 가지게 된다. 즉, 실장 면적의 산술적 증가는 폴더형이 80%, 슬라이드형이 50%가 증가 되기 때문에 폴더형에 비교하여 실장 면적인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펼친 상태가 18Cm 내외로 길이가 길어지는 폴더형과 비교하면 슬라이드형의 휴대 간편성이 폴더형보다 떨어지고 콤팩트한 크기로 단말기를 줄이지는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귀에 스피커를 위치시키는 통화스타일을 감안하면 슬라이드형은 폴더형과 비교하여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이 미약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보완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휴대폰이 다기능화되면서 각종 기능키들이 단말기의 좌우 및 전후면 등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단말기 디자인에 많은 제약사항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모드에 따라 다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멀티기능키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별도로 모드를 선택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통신 방식의 발달로 최근에는 화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화상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단말기를 귀에 대고 통화할 수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으로 단말기를 앞으로 내민 상태에서 단말기의 표시부를 눈으로 보면서 통화를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음성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되어 있어 제3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어폰을 사용하여 통화를 할 수도 있겠으나 전화가 오면 이어폰을 찾아서 단말기에 설치하고 통화를 한다는 것도 사용자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고 콤팩트 한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화시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신장 가능한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선택 없이 다양한 기능의 멀티기능키를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통화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면에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하면과 상면이 접하여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하면과 상면이 접하여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3몸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도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닫힌 상태의 사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1단 열린 상태의 사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2단 열린 상태의 사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열린 상태의 사진이며, 도7 및 8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24515호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예이 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는 도3 내지 도6에 도시됨과 같이 상면에는 LCD나 OLED 등을 이용한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1몸체(100)와, 제1몸체(100)의 하면과 상면이 접하여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된 제2몸체(200) 및, 제2몸체(200)의 하면과 상면이 접하여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된 제3몸체(30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몸체(100, 200, 300) 상호간의 결합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24515호(도6 참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하여 결합 될 수 있다.
특허 제524515호의 등록공보에 따르면, 도7 및 도8에 도시됨과 같이 두개의 몸체(10, 20이 각각 결합된 몸체)로 분리되어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에 있어서, 탄성체(1)와, 탄성체(1)를 지지하는 베어링(2)과, 베어링(2)이 슬라이드되는 홈으로 탄성체(1)의 복원력을 유도하기 위해 제 1몸체(10)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홈(3)과, 슬라이딩 레일홈(3)의 변위에 따라 베어링(2)이 좌우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제 2몸체(20)에 설치되는 베어링 가이드홈(4)을 구비하고 있다. 탄성체(1)는 압축 탄성력(a)을 가지는 부재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축력에 대해 탄성력(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되며, 이러한 탄성체(1)로는 압축력을 미리 가한 철심 또는 스프링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베어링(2)은 탄성체(1)를 양 끝에서 고정하며 베어링 가이드홈(4)에 조립되어 슬라이드 레일홈(3)에 끼워져 슬라이드되어 진다. 슬라이드 레일홈(3)은 종축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포물선 형상으로, 제 1변곡점(A)에서 그 사이 간격이 최단거리가 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2몸체(20)가 최대 압축력을 받게 되는 제 1 변곡점(A)을 기점으로 탄성체(1)의 복원력에 의해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때, 슬라이드 레일홈(3)은 제 1, 제2 몸체(10, 20)를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일측 끝단부가 외부로 오픈되되,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물선 형상의 일측 하단부에서 제 2 및 제 3변곡점(B, 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2단슬라이드 단말기도 위 기술을 채용하여 상호 몸체가 분리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524515호의 분리형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하여 결합될 경우 각각의 몸체(100, 200, 300)는 상호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고, 각각의 몸체간(100, 200, 300) 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이나 블루투스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현됨으로 인해 화상통화시에 사용자가 표시부가 구비된 몸체(100)를 분리하여 화면을 보고 또 다른 몸체(200 또는 300)는 귀에 대고 청취를 하면서 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본 고안과 무관한 여타의 일반적인 단말기의 구성요소 설명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제어부(100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하며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몸체(100, 200, 300)의 슬라이드 상태에 따라 단말기에 구비된 키입력부(1300, 1400, 1500)의 입력모드를 자동 변환하여 제어한다.
제1상태검출부(1100)는 제2몸체(200)의 슬라이드 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1000)로 전달한다.
제2상태검출부(1200)는 제3몸체(300)의 슬라이드 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1000)로 전달한다.
제1 내지 제3키입력부(1300, 1400, 1500)는 각각의 몸체(100, 200, 300)의 상면이나 측면 등에 구비된 기능키이며, 제1몸체(100)의 경우 표시부가 전체면적을 차지한다면 측면 등에 키가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키입력부(1300)는 예를들어 측면에 위치하여 표시부의 백라이트(도시하지 않음)를 온시키는 기능키가 될 수 있다.
제2키입력부(1400 : 도4참조)는 예를 들어 도4의 사진과 같이 1단만 슬라이드된 경우 단말기가 구비하고 있는 MP3 플레이어의 플레잉키(정지, 플레이, 포즈, 포워드,리워드키 등)나 게임소프트웨어의 플레잉키, DMB(디지털이동방송) 단말기의 시청을 위한 플레잉키가 될 수 있다.
제3키입력부(1500 : 도5참조)는 예를 들어 도5의 사진과 같이 2단만 슬라이드된 경우 계산 기능의 숫자키,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키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도2의 510 단계에서 제1 및 제2상태검출부(1100, 1200)를 통해 검출한 단말기의 상태가 도3과 같이 모든 몸체(100, 200, 30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511 단계로 이동하여 키입력부(1300, 1400, 1500)를 제1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한다.
520 단계에서 제1 및 제2상태검출부(1100, 1200)를 통해 검출한 단말기의 상태가 도4와 같이 제2몸체(200)만 열린 상태이면 521 단계로 이동하여 키입력 부(1300, 1400, 1500)를 제2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한다.
530 단계에서 제1 및 제2상태검출부(1100, 1200)를 통해 검출한 단말기의 상태가 도5와 같이 제3몸체(200)만 열린 상태이면 531 단계로 이동하여 키입력부(1300, 1400, 1500)를 제3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한다.
541 단계는 제1 및 제2상태검출부(1100, 1200)를 통해 검출한 단말기의 상태가 도6과 같이 완전히 슬라이드된 상태이면 541 단계로 이동하여 키입력부(1300, 1400, 1500)를 제4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한다.
위의 실시예에서 제1모드는 제2 및 제2키입력부의 상면에 위치한 키를 디스에이블 하고 제1키입력부(1300)이나 측면에 위치한 키만을 동작시키도록 한다. 제1키입력부(1300) 또는 측면의 키는 통상의 볼륨조정이나 백라이트 온을 위한 기능키로 동작하도록 한다.
위의 실시예에서 제2모드는 제3키입력부(1500)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제2키입력부(1400)의 키를 플레잉키로 동작하도록 한다.
위의 실시예에서 제3모드는 제2키입력부(1400)의 키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제3키입력부를 숫자입력이나 문자입력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위의 실시예에서 제4모드는 제2키입력부(1400)의 키를 네비게이션키(커서의 상하좌우이동)로 동작하도록 하고, 제3키입력부(1500)의 키는 숫자입력이나 문자입력, 통화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2단으로 단말기가 슬라이드 되도록 하고, 어느 하나의 몸체(100, 300)가 여타와 분리되도록 하며, 슬라이드 상태에 따라 실장된 키입력부의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하여 줌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콤팩트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고, 통화시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신장 가능하며, 사용자가 별도의 모드 선택 없이 다양한 기능의 멀티기능키를 사용할 수 있고, 화상통화를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면에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하면과 상면이 접하여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하면과 상면이 접하여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3몸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드 여부를 검출하는 제1상태검출부;
    상기 제3몸체의 슬라이드 여부를 검출하는 제2상태검출부; 및,
    상기 제1 및/또는 제2상태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제1몸체나 제2몸체 또는 제3몸체에 구비된 키입력부의 모드를 변경시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드 여부를 검출하는 제1상태검출부;
    상기 제3몸체의 슬라이드 여부를 검출하는 제2상태검출부; 및,
    상기 제1상태검출부에 의해 제2몸체가 슬라이드된 상태이면 상기 제2몸체에 구비된 키를 플레잉키로 제어하고, 상기 제2상태검출부에 의해 제2몸체가 슬라이드된 상태이면 상기 제2몸체에 구비된 키입력부를 네비게이션키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슬라이드 여부를 검출하는 제1상태검출부;
    상기 제3몸체의 슬라이드 여부를 검출하는 제2상태검출부; 및,
    상기 제1 및/또는 제2상태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제1몸체나 제2몸체 또는 제3몸체에 구비된 키입력부의 모드를 제1내지 제4의 모드로 구분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5. 청구항 1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3몸체가 상기 제2몸체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3몸체는 분리형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상기 제2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KR2020060020589U 2006-07-31 2006-07-31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KR200428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89U KR200428867Y1 (ko) 2006-07-31 2006-07-31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89U KR200428867Y1 (ko) 2006-07-31 2006-07-31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867Y1 true KR200428867Y1 (ko) 2006-10-16

Family

ID=4177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589U KR200428867Y1 (ko) 2006-07-31 2006-07-31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8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179B1 (ko) * 2008-03-20 2010-06-24 삼광공업(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179B1 (ko) * 2008-03-20 2010-06-24 삼광공업(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418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KR100678162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KR100678200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JP2008141687A (ja) 携帯端末機器
JP2011023795A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10354B1 (ko) 게임 겸용 휴대 단말기
US200702909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bling a user interface
US8275425B2 (en)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KR20050117204A (ko) 이동성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28867Y1 (ko) 2단 슬라이드 휴대용 단말기
JP3862724B2 (ja) 携帯端末装置
JP3746284B2 (ja) 携帯電話機
KR100378120B1 (ko) 폴더형 휴대폰
KR100719002B1 (ko) 양방향 멀티슬라이드 휴대단말기
KR10107564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JP4480545B2 (ja) 携帯通信端末
KR20060115002A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
JP4162688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648649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JP2004357117A (ja) 携帯情報端末
KR100901189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200299190Y1 (ko) 키 인터페이스 커넥터 내장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US20100124944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and pivotable screen
KR20040070897A (ko) 카메라가 장착된 슬라이드형 휴대폰
KR20050021818A (ko) 스테레오 사운드를 위한 양방향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