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817Y1 - 커넥터클립 - Google Patents

커넥터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817Y1
KR200428817Y1 KR2020060019961U KR20060019961U KR200428817Y1 KR 200428817 Y1 KR200428817 Y1 KR 200428817Y1 KR 2020060019961 U KR2020060019961 U KR 2020060019961U KR 20060019961 U KR20060019961 U KR 20060019961U KR 200428817 Y1 KR200428817 Y1 KR 200428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nector
clip
fastening hol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9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8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two resilient parts on its opposite ends in order to connect two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패널(20)의 체결공(2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장착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34)의 반대쪽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판(50)이 구비되는 클립몸체(32)와, 상기 클립몸체(32)를 둘러 형성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패널(20)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받침판(40)과, 상기 받침판(40)의 가장자리를 둘러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패널(20)과의 사이에 압착되는 시일(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34)는 상기 클립몸체(32)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공(22)을 관통하는 연결목부(36)와, 상기 연결목부(36)의 선단에서 연결목부(36)의 연장방향 반대쪽으로 비스듬히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연장되는 탄성날개(38)와, 상기 탄성날개(38)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22)의 내면에 밀착되는 걸이턱(39)과, 상기 연결목부(38)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연결목부(38)의 외면에 연결목부(38)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리브(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커넥터의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커넥터클립, 방수, 시일, 회전, 스페이서

Description

커넥터클립{Connector clip}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클립이 패널에 장착되고 커넥터를 패널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클립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클립의 연결목부와 패널의 클립공 사이의 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시일이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시일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패널 22: 체결공
24; 직선부 25: 곡선부
30: 커넥터클립 32: 클립몸체
34: 장착부 36: 연결목부
38: 탄성날개 38': 지지단
39: 걸이턱 40: 받침판
42: 시일돌기 44: 시일
46: 돌기공 48: 돌기덮개
50: 결합판
본 고안은 커넥터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를 패널에 장착시키기 위해 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클립이 패널에 장착되고 커넥터를 패널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차량 등의 패널(1)의 일측에는 클립공(3)이 천공된다. 상기 클립공(3)에 커넥터클립(5)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커넥터클립(5)은 골격을 형성하는 클립몸체(7)의 일단으로 길게 연결목부(9)가 연장된다. 상기 연결목부(9)는 횡단면이 직각사각형상으로 상기 클립공(3)을 관통한다. 상기 연결목부(9)의 선단에는 양측으로 경사지게 탄성날개(11)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날개(11)는 상기 패널(1)의 일측 표면에 그 선단이 걸어진다. 상기 탄성날개(11)의 선단 사이의 폭은 상기 클립공(3)의 폭보다는 약간 크게 형성되어 클립공(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탄성날개(11)가 탄성변형되었다가 클립공(3)을 통과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클립공(3)을 통해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클립몸체(7)중 상기 탄성날개(11)가 구비된 반대쪽에는 상기 패널(1)의 타측 외면에 선단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받침판(13)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판(13)은 대략 타원형상으로 가장자리가 패널(1) 방향으로 굽어 있으며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선단 가장자리가 패널(1)에 밀착된다.
상기 클립몸체(7)에는 상기 받침판(13) 측에 결합판(15)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판(15)은 커넥터클립(5)에 의해 패널(1)에 고정되는 커넥터(17)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판(15)은 그 형상이 상기 커넥터(17)의 대응되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설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클립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패널(1)의 클립공(3)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목부(9)가 클립공(3)의 면적보다 그 횡단면적이 작아 유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클립공(3) 내에서 상기 연결목부(9)가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클립(5)이 패널(1)에 대해 회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물론, 상기 연결목부(9)의 일측 폭이 상기 클립공(3)의 대응되는 폭과 같게 되면 회전의 정도는 줄어들기는 하지만 차량의 주행 등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면 커넥터클립(5)이 회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패널(1)의 클립공(3)에는 상기 연결목부(9)가 위치되기는 하지만 이들 사이에 틈새가 많아 클립공(3)을 통해 물이 침투할 가능성이 크다. 물론 상기 받침판(13)의 가장자리가 상기 패널(1)에 밀착되기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딱딱한 재질로 만들어진 패널(1)과 받침판(13)의 사이로는 쉽게 물이 침투할 수 있어 방수성에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클립이 패널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널에 커넥터클립이 장착되는 부분을 통해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패널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판이 구비되는 클립몸체와, 상기 클립몸체를 둘러 형성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패널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패널과의 사이에 압착되는 시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클립몸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연결목부와, 상기 연결목부의 선단에서 연결목부의 연장방향 반대쪽으로 비스듬히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연장되는 탄성날개와, 상기 탄성날개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의 내면에 밀착되는 걸이턱과, 상기 연결목부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연결목부의 외면에 연결목부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의 표면중 상기 체결공의 곡선부와 대응되는 부분은 곡면 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는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는 직선부와 곡선부가 연결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받침판의 양단부에는 일측으로 돌출되게 시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시일에는 상기 시일돌기가 삽입되는 돌기공과 상기 돌기공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어 상기 시일돌기를 감싸는 돌기덮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패널에 커넥터를 장착시키는 커넥터클립이 패널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어 회전되거나 진동하지 않게 되어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커넥터클립이 장착된 패널 부분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역시 커넥터의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클립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클립이 패널에 장착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클립의 연결목부와 패널의 클립공 사이의 관계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시일이 제거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시일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패널(20)에는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있 다. 상기 체결공(22)은 본 고안의 커넥터클립(30)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공(22)은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2군데의 직선부(24)와 곡선부(25)로 구성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클립(30)의 골격을 클립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클립몸체(3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다양한 부분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편의상, 본 고안에서 상기 클립몸체(32)의 형상을 별도로 구획하여 도시하지는 않는다.
상기 클립몸체(32)에는 장착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34)는 커넥터클립(30)을 패널(20)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장착부(34)에는 연결목부(36)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목부(36)는 상기 패널(20)의 체결공(22)을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목부(36)는 대략 상기 체결공(22)과 대응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하지만, 상기 연결목부(36)의 횡단면 형상이 반드시 상기 체결공(22)과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 외주면 형상이 대략 상기 체결공(22)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면 된다.
상기 연결목부(36)의 외면에는 연결목부(36)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 스페이서리브(37)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37)는 상기 연결목부(36)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37)의 표면중 상기 체결공(22)의 곡선부(25)와 대응되는 부분은 곡면으로 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37)의 횡단면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리브(37)는 상기 연결목부(36)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스페이서리브(37)는 상기 연결목부(36)가 상기 체 결공(2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연결목부(36)와 체결공(22)의 내면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상기 패널(20)에 대해 커넥터클립(30)이 회전되거나 진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목부(36)의 선단 양측에는 탄성날개(38)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날개(38)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목부(36)의 선단에서 연결목부(36)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된다. 상기 탄성날개(38)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날개(38)의 선단은 상기 패널(20)의 일측 표면을 향하도록 된다. 상기 탄성날개(38)의 선단은 상기 패널(20)의 일측 표면에 지지되는 지지단(38')으로 된다. 상기 지지단(38')은 상기 체결공(2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패널(20)의 일측 표면에 지지되어 커넥터클립(30)이 패널(2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날개(38)의 선단에는 각각 걸이턱(39)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단(38')보다 더 돌출되게 상기 탄성날개(38)의 선단에 걸이턱(39)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9)은 상기 패널(20)의 체결공(22)의 내측면, 특히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부(25)에 해당되는 내측면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걸이턱(39)이 체결공(22)의 내측면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탄성날개(38)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패널(20)에 상기 커넥터클립(30)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32)중 상기 장착부(34)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받침판(40)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40)은 대략 타원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받침판(40)의 가장자 리는 상기 패널(20)의 일측 표면을 향해 약간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40)중 대략 장변의 양단에 해당되는 양단 표면에는 시일돌기(4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시일돌기(42)는 아래에서 설명될 시일(44)을 받침판(4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일돌기(42)는 상기 연결목부(36)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시일(44)은 상기 받침판(4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시일(44)은 상기 받침판(40)의 가장자리 양측 표면을 덮도록 대략 타원형 도우넛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일(44)은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받침판(40)과 패널(20) 사이에 밀착되어 방수역할을 한다. 상기 시일(44)의 양단에는 상기 시일돌기(42)가 관통하는 돌기공(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공(46)은 상기 시일(44)이 상기 패널(20)에 밀착되는 반대쪽 면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공(4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돌기덮개(4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덮개(48)는 상기 시일돌기(42)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데, 돌기덮개(48)의 내면이 시일돌기(42)의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돌기공(46)과 돌기덮개(46)의 내부에는 상기 시일돌기(42)가 위치되어 받침판(40)과 시일(44)사이의 상대 이동이 없도록 한다.
상기 클립몸체(32)에는 결합판(5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판(50)은 본 실시예에서 대략 사각판상이다. 상기 결합판(50)에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판(50)의 형상은 결합되는 커넥터의 대응되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결합판(50)은 상기 클립몸체(32)중 상기 연결목부(36)의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클립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커넥터클립(30)은 상기 패널(20)의 체결공(22)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즉, 상기 탄성날개(38)가 상기 체결공(22)의 직선부(24)에 해당되는 내면에 밀착되도록 체결공(22)으로 상기 연결목부(36)를 삽입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탄성날개(38)은 선단이 상기 연결목부(36)측에 인접하도록 탄성변형된다.
하지만, 일단 상기 커넥터클립(30)의 연결목부(36)가 상기 체결공(22)을 어느 정도 관통하면 상기 탄성날개(38)가 상기 체결공(22)에서 빠져나오면서 복원된다. 이때, 상기 탄성날개(38)의 걸이턱(39)은 상기 체결공(22)의 직선부(24)에 걸어진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날개(38)가 복원되고 상기 걸이턱(39)이 체결공(22)의 직선부(24)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단(38')은 상기 체결공(2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패널(20)의 일측 외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지지단(38')이 상기 패널(20)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클립(30)이 상기 체결공(22)에서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탄성날개(38)가 상기 연결목부(36)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야만 상기 체결공(22)에서 상기 장착부(34)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리브(37)는 상기 체결공(22)의 직선부(24)와 곡선부(25)가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목부(36)가 상기 체결공(2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스페이서리브(37)가 상기 연결목부(36)와 체결공(22)의 내면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패널(20)에 대해 커넥터클립(30)이 회전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일(44)은 상기 패널(20)의 일측 표면에 밀착된다. 이는 상기 시일(44)이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40)의 가장자리가 상기 패널(20)의 일측 표면을 향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도 하지만, 상기 시일(44)이 신축성이 있는 재질이어서 받침판(40)과 패널(20)의 사이에 압착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시일(44)은 상기 받침판(40)과 패널(20) 사이에서 방수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일(44)이 상기 패널(20)의 표면에 밀착됨에 의해 상기 커넥터클립(30)이 상기 패널(20)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시일(44)이 어느 정도 신축성 있는 재질로서 상기 패널(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패널(20)에 대해 상기 받침판(40)이 상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시일(44)과 상기 받침판(40) 사이의 상대 회전은 상기 시일돌기(42)와 돌기공(46) 및 돌기덮개(48)사이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시일(44)이 받침판(40) 및 패널(20)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게 되면서 커넥터클립(30)이 패널(20)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클립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클립이 패널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커넥터클립의 연결목부와 패널의 체결공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했다. 그리고, 패널과 커넥터클립의 받침판 사이에 시일을 설치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클립이 패널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최소화되면서 커넥터를 패널이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클립의 받침판과 패널의 사이에 시일이 압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시일에 의해 상기 받침판과 패널 사이를 통해 물이 틈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패널의 체결공을 통해 물이 들어오는 것이 방지되어 커넥터가 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커넥터의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패널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의 반대쪽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판이 구비되는 클립몸체와,
    상기 클립몸체를 둘러 형성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패널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패널과의 사이에 압착되는 시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클립몸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연결목부와,
    상기 연결목부의 선단에서 연결목부의 연장방향 반대쪽으로 비스듬히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연장되는 탄성날개와,
    상기 탄성날개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공의 내면에 밀착되는 걸이턱과,
    상기 연결목부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연결목부의 외면에 연결목부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클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리브의 표면중 상기 체결공의 곡선부와 대응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클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리브는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는 직선부와 곡선부가 연결되는 위치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클립.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양단부에는 일측으로 돌출되게 시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시일에는 상기 시일돌기가 삽입되는 돌기공과 상기 돌기공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어 상기 시일돌기를 감싸는 돌기덮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클립.
KR2020060019961U 2006-07-24 2006-07-24 커넥터클립 KR200428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61U KR200428817Y1 (ko) 2006-07-24 2006-07-24 커넥터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61U KR200428817Y1 (ko) 2006-07-24 2006-07-24 커넥터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817Y1 true KR200428817Y1 (ko) 2006-10-13

Family

ID=4177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961U KR200428817Y1 (ko) 2006-07-24 2006-07-24 커넥터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8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57Y1 (ko) 2008-07-23 2012-12-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시일을 구비하는 커넥터 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57Y1 (ko) 2008-07-23 2012-12-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시일을 구비하는 커넥터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6301B2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装置
JP2006500273A (ja) ワイパー装置
JP2005508795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装置
KR200432355Y1 (ko) 커넥터클립
KR200428817Y1 (ko) 커넥터클립
JP3702420B2 (ja) サンルーフ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2634587B2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等のワイパー装置及び連結装置
KR200450292Y1 (ko) 시일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클립
JP4488424B2 (ja) ワイパ装置のヘッドカバー取付け構造
EP2815932A1 (en) Wiper blade for cleaning vehicle windows, wiper arm for a wiper blade and wiper device
KR100830696B1 (ko) 커넥터클립
KR20130057054A (ko) 방수시일
JP2007245931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4631701B2 (ja) エスカッションの取付構造
KR200464157Y1 (ko) 시일을 구비하는 커넥터 클립
KR20090004247U (ko) 커넥터클립
JP2002139014A (ja) 締結具
JP4648234B2 (ja) クリップ
JP4112435B2 (ja) 目地構造
JPH045368Y2 (ko)
TW201016947A (en) Corner connecting structure
JP3081175U (ja) ビニールハウス等の被覆シート押さえひもの止め具
JP3119070U (ja) 可動持ち羽付きピンとクリップ式保護羽付きワッシャからなるストッパー
JP7201410B2 (ja)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H081938Y2 (ja) ウィンドロアモール用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