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653Y1 -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 Google Patents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653Y1
KR200427653Y1 KR2020060013960U KR20060013960U KR200427653Y1 KR 200427653 Y1 KR200427653 Y1 KR 200427653Y1 KR 2020060013960 U KR2020060013960 U KR 2020060013960U KR 20060013960 U KR20060013960 U KR 20060013960U KR 200427653 Y1 KR200427653 Y1 KR 200427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liquid
vehicle
attached
decorative frame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화섭
Original Assignee
(주)황소와 나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황소와 나비 filed Critical (주)황소와 나비
Priority to KR2020060013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6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6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4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using tubes or the like filled with liquid, e.g. bubbl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quids, e.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F21V9/12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with liquid-filled chamb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4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strings, straps, chains, or w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6Ornamental or decora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에 관한 것으로, 육각프레임의 내부에 충진 액체를 저장하고, 그 충진 액체의 내부에 사진이나 각종 문자부착판을 충진 액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수장하고, 그 내면판에 박막의 그림 도안판을 부착하고, 그 그림 도안판의 후면에 다수의 LED를 부착함으로써 야간에 LED 발광시 그 조사광이 충진 액체에 의해 반사 및 굴절됨으로써 인테리어 장식 효과를 높이며, 문자 및 그림 도안판 등의 차량 실내에 부착된 부착물을 단일되게 통합시킴으로써 운전자 시야를 혼동시키지 않도록 한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아크릴 등의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장식장 프레임(4)이 육각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며, 그 장식장 프레임(4)의 내부에는 충진 액체(6)가 저장되어져 있고,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내부에 저장된 충진 액체(6)의 내부에 그 일부만 충진 액체(6)의 상면으로 노출되게 수장된 문자부착판(8)이 제공되어져 차량의 주행에 따라 흔들릴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문자부착판(8)의 전면에는 글자도안(10)이 부착되고,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배면에는 그림도안필름(14)이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그림 도안필름(14)의 배면에는 LED 구동패널(16)이 부착되고, 그 LED 구동패널(16)의 전면에는 상기 그림 도안필름(14)으로 투광되게 발광되는 LED(20)가 다수개 설치되어져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차량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장식장 프레임의 내부 충진 액체에 수장된 문자부착판이 투명끈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그 충진액체의 움직임과 동조되어 움직이게 되므로 장식적 효과가 높으며, 그 문자부착판의 전면에 각종 글귀가 포함되어 부착된 글자도안을 주목할 수 있으므로 주목성이 우수해지고, 장식장 프레임의 내벽면에 부착된 그림도안필름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시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야간에는 상기 그림도안필름의 배면에 부착된 LED의 발광에 의해 은은한 조명이 제공되므로 인테리어 효과가 높게 된다.

Description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Decorating case of vehicle with a floating display fun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4:장식장 프레임, 6:충진액체,
8:문자부착판, 10:글자도안,
12:투명끈, 14:그림도안필름,
16:LED구동패널, 20:LED.
본 고안은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육각프레임의 내부에 충진 액체를 저장하고, 그 충진 액체의 내부에 사진이나 각종 문자부착판을 충진 액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수장하고, 그 내면판에 박막의 그림 도안판을 부착하고, 그 그림 도안판의 후면에 다수의 LED를 부착함으로써 야간에 LED 발광시 그 조사광이 충진 액체에 의해 반사 및 굴절됨으로써 인테리어 장식 효과를 높이며, 문자 및 그림 도안판 등의 차량 실내에 부착된 부착물을 단일되게 통합시킴으로써 운전자 시야를 혼동시키지 않도록 한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차량의 보급이 1300만대를 돌파하면서, 자동차는 더 이상 운송수단으로서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차량에서 소요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자동차 문화의 개념으로 정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단지 운행하는 차량보다는 차량 소유주는 차량의 인테리어 및 아웃테리어 등에 매우 민감하며, 차량의 판매고도 역시 차량의 외관 및 내관의 미려함에 초점이 맞춰져 증가 또는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현 시대의 차량은 다목적 차량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은 단순 운행수단의 개념을 훨씬 뛰어넘어 각종 광고 및 표시, 인테리어 등의 복합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 소유주가 차량의 내부에 네온등을 설치하여 야간에 미려한 실 내 인테리어를 구현하고 있으며, 또한 차량내부에 사진이나 각종 문구부착판(예컨대, 반갑습니다. 안전운행. 아빠 천천히 등)이 차량의 운행에 따라 흔들림으로써 운전자의 주목성을 높이도록 부착되어져 있다.
또한, 차량 운행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바닷가 그림 등의 수려한 경관의 사진을 부착하여 운전자가 신호 대기중이나 차내에서 휴식을 취할 때,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그림판을 차내에 부착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각종 차량의 인테리어 제품이나 사진판, 문자판 또는 광고판 등은 각각 별개로 제작되어 시판되므로, 차내의 시야가 오히려 복잡해질 수 있고, 이러한 실내 환경은 운전자에게 운전의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역기능을 유발하게 되므로 효과보다는 폐해가 우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네온등은 별도의 반사체가 없이 단순히 발광만을 수행하였으므로 차내의 인테리어를 고급스럽게 상승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육각프레임의 내부에 충진 액체를 저장하고, 그 충진 액체의 내부에 사진이나 각종 문자부착판을 충진 액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수장하고, 그 내면판에 박막의 그림 도안판을 부착하고, 그 그림 도안판의 후면에 다수의 LED를 부착함으로써 야간에 LED 발광시 그 조사광이 충진 액체에 의해 반사 및 굴절됨으로써 인테리어 장식 효과를 높이며, 문자 및 그림 도안판 등의 차량 실내에 부착된 부착물을 단일되게 통합시킴으로써 운전자 시야를 혼동시키지 않도록 한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크릴 등의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장식장 프레임(4)이 육각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며, 그 장식장 프레임(4)의 내부에는 충진 액체(6)가 저장되어져 있고,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내부에 저장된 충진 액체(6)의 내부에 그 일부만 충진 액체(6)의 상면으로 노출되게 수장된 문자부착판(8)이 제공되어져 차량의 주행에 따라 흔들릴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문자부착판(8)의 전면에는 글자도안(10)이 부착되고,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배면에는 그림도안필름(14)이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그림 도안필름(14)의 배면에는 LED 구동패널(16)이 부착되고, 그 LED 구동패널(16)의 전면에는 상기 그림 도안필름(14)으로 투광되게 발광되는 LED(20)가 다수개 설치되어져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문자부착판(8)은 그 하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바닥면에 연결된 투명끈(12)이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LED 구동패널(16)은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상면에 부착되고, 그 전면에 설치된 LED(20)는 상기 충진액체(6) 방향으로 발광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2)은 육각프레임의 내부에 충진 액체를 저장하고, 그 충진 액체의 내부에 사진이나 각종 문자부착판을 충진 액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수장하고, 그 내면판에 박막의 그림 도안판을 부착하고, 그 그림 도안판의 후면에 다수의 LED를 부착함으로써 야간에 LED 발광시 그 조사광이 충진 액체에 의해 반사 및 굴절됨으로써 인테리어 장식 효과를 높이며, 문자 및 그림 도안판 등의 차량 실내에 부착된 부착물을 단일되게 통합시킴으로써 운전자 시야를 혼동시키지 않도록 한 장식장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2)은 아크릴 등의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장식장 프레임(4)이 육각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며, 그 장식장 프레임(4)의 내부에는 충진 액체(6)가 저장되어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2)은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내부에 저장된 충진 액체(6)의 내부에 그 일 부만 충진 액체(6)의 상면으로 노출되게 수장된 문자부착판(8)이 제공되어져 차량의 주행에 따라 충진 액체(6)가 흔들리면, 그 움직임에 따라 문자부착판(8)이 흔들릴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문자부착판(8)의 하단은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바닥면과 투명끈(12)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다. 그 투명끈(12)은 일정길이로 구성되어 상기 문자부착판(8)이 충진 액체(6)의 내부에 수장된 상태로 충진 액체(6)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릴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문자부착판(8)의 전면에는 글자도안(10)이 부착되는 바, 그 글자도안(10)은 "어서오십시오. 반갑습니다. 안전운행하세요." 등의 운전자가 주목할 수 있는 문자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배면에는 바닷가 그림이나 파도그림, 산 그림 등의 그림도안필름(14)이 부착되어져 있는 바, 차량의 운행중에 받은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그림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장식장 프레임(4)은 투명 아크릴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운전자의 시야가 그 그림 도안필름(14)의 그림이 장식장 프레임(4)을 통과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배면(22)에 부착된 그림 도안필름(14)의 배면에는 LED 구동패널(16)이 부착되는 바, 그 LED 구동패널(16)의 전면에는 상기 그림 도안필름(14)으로 투광되게 발광되는 LED(20)가 다수개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LED 구동패널(16)은 전선(26)을 매개로 시거잭(24)과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차량의 전원포트(미도시)에 접속하여 LED(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원 을 인가받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2)은 차량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내부 충진액체(6)에 수장된 문자부착판(8)이 투명끈(12)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그 충진액체(6)의 움직임과 동조되어 움직이게 되므로 장식적 효과가 높으며, 그 문자부착판(8)의 전면에 각종 글귀가 포함되어 부착된 글자도안(10)을 주목할 수 있으므로 주목성이 우수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2)은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내벽면에 부착된 그림도안필름(14)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시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야간에는 상기 그림도안필름(14)의 배면에 부착된 LED(20)의 발광에 의해 은은한 조명이 제공되므로 인테리어 효과가 높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2')은 아크릴 등의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장식장 프레임(4)이 육각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며, 그 장식장 프레임(4)의 내부에는 충진 액체(6)가 저장되어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2')은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내부에 저장된 충진 액체(6)의 내부에 그 일부만 충진 액체(6)의 상면으로 노출되게 수장된 문자부착판(8)이 제공되어져 차량의 주행에 따라 충진 액체(6)가 흔들리면, 그 움직임에 따라 문자부착판(8)이 흔들릴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문자부착판(8)의 하단은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바닥면과 투명끈(12)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다. 그 투명끈(12)은 일정길이로 구성되어 상기 문자부착판(8)이 충진 액체(6)의 내부에 수장된 상태로 충진 액체(6)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릴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문자부착판(8)의 전면에는 글자도안(10)이 부착되는 바, 그 글자도안(10)은 "어서오십시오. 반갑습니다. 안전운행하세요." 등의 운전자가 주목할 수 있는 문자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배면에는 바닷가 그림이나 파도그림, 산 그림 등의 그림도안필름(14)이 부착되어져 있는 바, 차량의 운행중에 받은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그림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장식장 프레임(4)은 투명 아크릴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운전자의 시야가 그 그림 도안필름(14)의 그림이 장식장 프레임(4)을 통과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상면에는 LED 구동패널(16)이 부착되는 바, 그 LED 구동패널(16)은 상기 충진액체(6) 방향으로 발광되는 LED(20)가 다수개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LED 구동패널(16)은 전선(26)을 매개로 시거잭(24)과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차량의 전원포트(미도시)에 접속하여 LED(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원 을 인가받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은 차량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장식장 프레임의 내부 충진액체에 수장된 문자부착판이 투명끈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그 충진액체의 움직임과 동조되어 움직이게 되므로 장식적 효과가 높으며, 그 문자부착판의 전면에 각종 글귀가 포함되어 부착된 글자도안을 주목할 수 있으므로 주목성이 우수해지고, 장식장 프레임의 내벽면에 부착된 그림도안필름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운행시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야간에는 상기 그림도안필름의 배면에 부착된 LED의 발광에 의해 은은한 조명이 제공되므로 인테리어 효과가 높게 된다.

Claims (3)

  1. 아크릴 등의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장식장 프레임(4)이 육각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며, 그 장식장 프레임(4)의 내부에는 일부 공간을 두고 충진 액체(6)가 저장되어져 있고,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내부에 저장된 충진 액체(6)의 내부에는 그 일부만 충진 액체(6)의 상면으로 노출되게 수장된 문자부착판(8)이 끈과 같은 결합수단에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에 따라 흔들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문자부착판(8)의 전면에는 글자도안(10)이 부착되고,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배면에는 그림도안필름(14)이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그림 도안필름(14)의 배면에는 LED 구동패널(16)이 부착되고, 그 LED 구동패널(16)의 전면에는 상기 그림 도안필름(14)으로 투광되게 발광되는 LED(20)가 다수개 설치되어져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부착판(8)은 그 하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바닥면에 연결된 투명끈(12)이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구동패널(16)은 상기 장식장 프레임(4)의 상면에 부착되고, 그 전면에 설치된 LED(20)는 상기 충진액체(6) 방향으로 발광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 장.
KR2020060013960U 2006-05-24 2006-05-24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KR200427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960U KR200427653Y1 (ko) 2006-05-24 2006-05-24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960U KR200427653Y1 (ko) 2006-05-24 2006-05-24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628A Division KR20060057549A (ko) 2006-04-13 2006-04-13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653Y1 true KR200427653Y1 (ko) 2006-09-28

Family

ID=4177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960U KR200427653Y1 (ko) 2006-05-24 2006-05-24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6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3094B2 (ja) 計器パネルアセンブリ
US7834752B2 (en) Brake-actuated message device
US20070124970A1 (en) Transversely-illuminated display
CN106996535A (zh) 用于机动车辆的包括乳光遮罩的照明或信号光学单元
WO2008120878A1 (en) Advertizing signboard with a frame emitting color light
JP2008105556A (ja) 自動車用表示装置
US20110239495A1 (en) Curved Motorcycle License Plate Frame, Illuminated From Behind The Frame
JP2009080982A (ja) 面発光装置
KR20060057549A (ko)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JP5334268B2 (ja) 車両外装ガーニッシュ
KR200427653Y1 (ko)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JP2007504982A (ja) 昼光発光パネル
US7726829B2 (en) Lighted background for fish tanks and the like
KR200424057Y1 (ko)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KR100741043B1 (ko) 부구식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장식장
US10896632B1 (en) Lamp assembly
JP2019131029A (ja) 乗物用照明装置
JP6210425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1000906A (ja) 乗物用内装材
JP2007203823A (ja) 照明装置
JP6886671B2 (ja) 車両用表示灯
CN106663399B (zh) 发光装置
KR200385237Y1 (ko) 발광부가 구비된 자동차용 수납박스
KR200415900Y1 (ko) 자동차 유리에 부착되는 표시램프
JP2012011821A (ja) スライド式カップホルダ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