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409Y1 -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409Y1
KR200427409Y1 KR2020060015549U KR20060015549U KR200427409Y1 KR 200427409 Y1 KR200427409 Y1 KR 200427409Y1 KR 2020060015549 U KR2020060015549 U KR 2020060015549U KR 20060015549 U KR20060015549 U KR 20060015549U KR 200427409 Y1 KR200427409 Y1 KR 200427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phone
earphone
earphone set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서오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오텔레콤(주) filed Critical 서오텔레콤(주)
Priority to KR2020060015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4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터미널에 의해 휴대폰 몸체와 고리줄이 분리가능케 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고리줄(22)의 단부에는 플러그 형태의 제1터미널(2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 몸체(30)에는 상기 제1터미널(26)이 직접 끼워져 걸리는 한편 신호가 전달되는 제2터미널(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리줄이 분리되면 간단히 휴대폰 몸체가 깔끔하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노출된 줄로 인한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ear-phone set for handphone}
도1은 종래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도1에서 수용부에 분리터미널이 수용된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와 이어폰 세트를 나타내는 결합 구성도,
도4는 도3의 휴대폰 몸체와 이어폰 세트의 분리 구성도,
도5는 도4의 휴대폰 몸체와 이어폰 세트의 연결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도4의 이어폰 세트의 제1단자부의 단부 평면도,
도7은 도3의 측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고안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의 제2단자부에 연결되는 밧데리 충전기 및 그 단자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이어폰 세트 22 : 고리줄
24, 24' : 이어폰 26 : 제1터미널
28, 28' : 분기 코드 30 : 휴대폰 몸체
32 : 제2터미널 62 : 제1단자부
64 : 걸이부재 66 : 누름버튼
68 : 홀딩부 72 : 제2단자부
74 : 걸림부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느 장소에서나 타인과 연락을 취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인해 휴대폰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시에는 휴대폰을 사용자의 귀에 밀착시켜야 하는데, 상기 휴대폰에서는 유해한 전자파가 발생되므로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시에 사용자가 유해한 전자파에 장시간 노출되어 사용자의 뇌파가 교란되고, 전자파의 열적에너지가 사용자에게 가해져 인체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메일(E-mail), DMB(TV) 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단말기를 일정거리로 유지하여야 하므로 이어폰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어폰의 필요성에 의해, 목에 거는 고리줄을 휴대폰 몸체에 연결하고, 이 고리줄을 통하여 이어폰 코드를 결합하여, 플러그를 휴대폰 몸체에 연결하여 고리줄에 연결된 이어폰을 귀에 대고 통화음을 듣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이어폰 세트의 예로서, 휴대폰 몸체와 고리줄을 분리하여 휴대폰을 휴대할 경우에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가 한국특허공개번호 2002-0041120호 등으로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어폰 세트(특허공개번호 2002-0041120호 등)는 분리 터미널을 이어폰 터미널에서 분리시키게 되면 걸이줄에 달린 분리 터미널이 걸리적거릴 뿐만 아니라 분리 터미널의 접속단자부가 노출되어 빗물이나 마찰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염되어 고장을 유발하거나 통화의 질이 나빠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특허가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573956호로 개시된 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10-0573956호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몸체(2)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는 고리줄(4)과, 상기 휴대폰 몸체(2)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플러그(6)와 사용자의 귀에 꽂는 이어폰(8)(8')이 상기 고리줄(4)의 내부를 통해 이어지는 이어폰 코드(10)를 가지는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로서, 상기 고리줄(4)에는 이어폰 터미널(12)이 결합되고, 이어폰 세트는 상기 이어폰 터미널(12)에 착탈가능케 접속되는 분리 터미널(14)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되, 이어폰 세트의 고리줄 측에는 상기 이어폰(8)(8')이 연결되고, 이어폰 코드의 휴대폰 측에는 플러그 코드(15)에 의해 상기 플러그(6)가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휴대폰 몸체(2)에 거는 걸이줄(16)이 연결되며, 상기 휴대폰 몸체(2)에는 상기 고리줄(4)에서 분리된 분리 터미널(14)이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18)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이어폰 세트에서, 분리 터미널(14)을 이어폰 터미널(12)에서 분리시켰을 때는 그 분리 터미널(14)을 상기 수용부(18)에 삽입하여, 걸리지 않게 한다.
그런데, 종래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특허등록 제10-0573956호)에서는, 휴대폰측에 달린 플러그 코드(15)와 걸이줄(16)로 인해 고리줄(4)을 분리한 후에 코드와 걸이줄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걸이줄(16)에 달린 분리터미널(14)을 수용부(18)에 삽입하더라도 코드 및 줄의 중간부가 걸리적거리게 코드 및 걸이줄을 후처리 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리줄이 분리되면 간단히 휴대폰 몸체가 깔끔하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노출된 줄로 인한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는, 터미널에 의해 휴대폰 몸체와 고리줄이 분리가능케 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고리줄의 단부에는 플러그 형태의 제1터미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 몸체에는 상기 제1터미널이 직접 끼워져 걸리는 한편 신호가 전달되는 제2터미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터미널은 상기 이어폰에 신호선이 연결된 제1단자부와, 상기 제1단자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2터미널에 걸리게 된 걸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터미널은 상기 휴대폰 몸체에 신호선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1단자부가 끼워지는 제2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재가 걸리게 된 걸림부 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이부재에는 이 걸이부재를 눌러 상기 제1터미널을 분리하도록 누름버튼이 결합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는 본 고안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와 이어폰 세트를 나타내는 결합 구성도이고, 도4는 도3의 휴대폰 몸체에서 이어폰 세트가 분리된 상태도이며, 도5는 휴대폰 몸체와 이어폰 세트의 연결부의 내부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몸체(30)에는 사용자의 목에 거는 고리줄(22)과 이어폰(24)을 가진 이어폰 세트(20)가 결합된다. 상기 고리줄(22)의 단부에는 플러그 형태의 제1터미널(2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 몸체(30)에는 상기 제1터미널(26)이 직접 끼워져 걸리는 한편 신호가 전달되는 제2터미널(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리줄(22)에는 상기 분기 코드(28 : 이어폰 코드)가 분기하여 연결되고. 이 분기 코드(28)의 단부에는 상기 이어폰(24)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기 코드(28)의 중간에는 마이크(29)가 결합된다. 상기 마이크는 상기 고리줄(2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고리줄(22)은 사용자의 목에 걸 정도의 크기로, 그 재질은 섬유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고, 고리줄(22)에는 상기 이어폰 세트를 휴대폰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 상기 휴대폰의 제어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소자(4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진동소자(42)는 사용자가 고리줄(22)을 목에 걸었을 경우에 사용자의 목 덜미에 닿게 된다. 상기 진동소자(42)는 공공장소에서 벨소리 소음공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기 코드(28)는 상기 고리줄(22)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터미널(2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29)에는, 통화개시 및 통화종료를 휴대폰에 알리도록 통화버튼(56)이 결합된다.
상기 제1터미널(26)은 상기 이어폰(24)에 신호선이 연결된 제1단자부(62)와, 상기 제1단자부(62)의 외측에서 상기 제2터미널(32)에 걸리게 된 걸이부재(6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터미널(32)은 상기 휴대폰 몸체(30)에 신호선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1단자부(62)가 끼워지는 제2단자부(72)와, 상기 제2단자부(72)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재(64)가 걸리게 된 걸림부(7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이부재(64)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홀딩부(68)에 걸리어 결합된 탄력성을 가진 판형태의 부재로서, 걸이부재(64)의 중간부에는 이 걸이부재(64)를 눌러 제1터미널(26)을 제2터미널(32)에서 분리하도록 누름버턴(66)이 결합되고, 걸이부재(64)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부(74)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버턴(66)은 상기 제1터미널(26)의 케이스의 측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74)는 상기 제2단자부(72)의 내벽에 형성된 구멍으로 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재와 걸림부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7은 휴대폰 몸체(30)에 이어폰 세트(20)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일부)을 나타낸다. 상기 제2터미널(32)의 제2단자부(72)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밧데리 충전기(80)의 코드(82)의 단부에 결합된 터미널 단자(126)를 삽입하여 휴대폰을 충 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자부(72)에는 이메일 데이터 케이블의 잭, 각종 송수신용의 잭 등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적용된 휴대폰에서, 이어폰 세트(20)의 제1터미널(26)이 휴대폰 몸체(30)의 제2터미널(32)에 연결된 상태에서 고리줄을 목에 걸고 다닐 때에 휴대폰에 전화가 걸려오면, 고리줄의 마이크 및 이어폰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통화하게 된다.
제1터미널(26)을 제2터미널(32)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누름버튼(66)을 눌러 걸이부재(64)를 걸림부(74)에서 이탈시켜 당기면 간단히 분리되고, 휴대폰 몸체(30)에 달려 있는 줄이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에 의하면, 고리줄이 분리되면 간단히 휴대폰 몸체가 깔끔하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노출된 줄로 인한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터미널에 의해 휴대폰 몸체와 고리줄이 분리가능케 된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리줄(22)의 단부에는 플러그 형태의 제1터미널(2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 몸체(30)에는 상기 제1터미널(26)이 직접 끼워져 걸리는 한편 신호가 전달되는 제2터미널(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26)은, 상기 이어폰에 신호선이 연결된 제1단자부(62)와, 상기 제1단자부(62)의 외측에서 상기 제2터미널(32)에 걸리게 된 걸이부재(6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터미널(32)은, 상기 휴대폰 몸체(30)에 신호선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1단자부(62)가 끼워지는 제2단자부(72)와, 상기 제2단자부(72)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재(62)가 걸리게 된 걸림부(74)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62)에는 이 걸이부재를 눌러 상기 제1터미널(26)을 분리하도 록 누름버튼(66)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미널(32)에는 밧데리 충전기(80)의 터미널 단자(126)를 삽입하여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KR2020060015549U 2006-06-09 2006-06-09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KR200427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549U KR200427409Y1 (ko) 2006-06-09 2006-06-09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549U KR200427409Y1 (ko) 2006-06-09 2006-06-09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409Y1 true KR200427409Y1 (ko) 2006-09-26

Family

ID=4177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549U KR200427409Y1 (ko) 2006-06-09 2006-06-09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4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037B1 (en) Wireless phone accessory
US20040008855A1 (en) Ear clasp headset
EP0789474A3 (en) A hands-free arrangement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5096599A1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US8081789B2 (en) Microphone holder and microphone device using same
KR200427409Y1 (ko)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KR200425760Y1 (ko)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CN201369718Y (zh) 具有可缩进式传声器耳机的改进的手表式电话
KR101771845B1 (ko) 블루투스 수신기를 구비하는 안경
EP1223682A1 (en) An electronic device for a mobile radio station
KR100375810B1 (ko) 착탈식 목걸이형 송수신장치
KR100725050B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형 무선 송수신기
KR200350573Y1 (ko)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KR200233047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100573956B1 (ko)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JP3098360U (ja) 携帯電話用ハンズフリーストラップ
KR101436939B1 (ko) 이어마이크폰
KR200284358Y1 (ko) 핸드폰 매립안테나 내경에 내장된 이어폰 탄력대
JP3059555U (ja) 腕時計型携帯電話
KR200363213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100373974B1 (ko) 이어폰 세트
KR100652031B1 (ko)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JPH10257145A (ja) 携帯電話機の耳掛け具および携帯電話機
KR200200252Y1 (ko) 이어폰 일체형 목걸이
EP1083727B1 (fr) Dispositif d&#39;acquisition et de restitution de 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