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956B1 -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956B1
KR100573956B1 KR1020040011805A KR20040011805A KR100573956B1 KR 100573956 B1 KR100573956 B1 KR 100573956B1 KR 1020040011805 A KR1020040011805 A KR 1020040011805A KR 20040011805 A KR20040011805 A KR 20040011805A KR 100573956 B1 KR100573956 B1 KR 100573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terminal
phone body
earphone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317A (ko
Inventor
김한석
Original Assignee
김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석 filed Critical 김한석
Priority to KR102004001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95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 B65D83/756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comprising connectors, e.g. for tyre valves, or actuators connected to the aerosol container by a flexibl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리터미널에 의해 휴대폰 몸체와 고리줄이 분리가능케 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몸체(30)에는 상기 고리줄(38)에서 분리된 분리 터미널(34)이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7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휴대폰 몸체의 분리 터미널이 고리줄에서 분리되었을 시에 분리 터미널의 손상과 오염 및 걸리적거림을 방지하고 통화의 질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a separate terminal of handphone}
도1은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와 이어폰 세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결합 구성도,
도3은 도2의 휴대폰 몸체에서 이어폰 세트가 분리된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의 일 예를 나타낸 후면도 및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와 이어폰 세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결합구성도,
도6은 도5의 휴대폰 몸체에서 이어폰 세트가 분리된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후면도 및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후면도 및 평면도(수용부의 커버가 닫힌 상태),
도9는 도8에서 분리 터미널이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의 후면도 및 평면도(수용부의 커버가 열린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휴대폰 몸체 32 : 걸이줄
34 : 분리 터미널 35 : 플러그(또는 잭)
36 : 플러그 코드 38 : 고리줄
40 : 이어폰 터미널 44, 44' : 분기 코드(이어폰 코드)
46, 46' : 이어폰 48 : 마이크
60 : 메모등 62 : 호출 표시등
64, 64' : 누름버튼 66 : 메모등 스위치
68 : 통화버튼 70 : 수용부
본 발명은 휴대폰의 분리터미널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느 장소에서나 타인과 연락을 취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인해 휴대폰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시에는 휴대폰을 사용자의 귀에 밀착시켜야 하는데, 상기 휴대폰에서는 유해한 전자파가 발생되므로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시에 사용자가 유해한 전자파에 장시간 노출되어 사용자의 뇌파가 교란되고, 전자파의 열적에너지가 사용자에게 가해져 인체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목에 거는 고리줄을 휴대폰 몸체에 연결하고, 이 고리줄을 통하여 이어폰 코드를 결합하여, 플러그를 휴대폰 몸체에 연결하 여 고리줄에 연결된 이어폰을 귀에 대고 통화음을 듣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이어폰 세트의 예로서, 휴대폰 몸체와 고리줄을 분리하여 휴대폰을 휴대할 경우에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가 특허공개번호 2002-0041120호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번호 2002-0041120호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몸체(2)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는 고리줄(4)과, 상기 휴대폰 몸체(2)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플러그(6)와 사용자의 귀에 꽂는 이어폰(8)이 상기 고리줄(4)의 내부를 통해 이어지는 이어폰 코드(10)를 가지는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로서, 상기 고리줄(4)에는 이어폰 터미널(12)이 결합되고, 상기 이어폰 코드(10)는 상기 이어폰 터미널(12)에 착탈가능케 접속되는 분리 터미널(14)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되, 상기 이어폰 코드(10)의 고리줄 측에는 상기 이어폰(8)이 연결되고, 상기 이어폰 코드(10)의 휴대폰측에는 상기 플러그(6)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휴대폰 몸체(2)에 거는 걸이줄(16)이 연결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에서 휴대폰 몸체(2)만 휴대하거나 휴대폰 몸체(2)를 통해서만 통화를 할 경우에는 상기 분리 터미널(14)을 이어폰 터미널(12)에서 빼내어 휴대폰 몸체(2)와 고리줄(4)을 분리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에서 분리 터미널(14)을 이어폰 터미널(12)에서 분리시키게 되면 걸이줄(16)에 달린 분리 터미널(14)이 걸리적거릴 뿐만 아니라 분리 터미널(14)의 접속단자부가 노출되어 빗물이나 마찰에 의해 손상 되거나 오염되어 고장을 유발하거나 통화의 질이 나빠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몸체의 분리 터미널이 고리줄에서 분리되었을 시에 분리 터미널의 손상과 오염 및 걸리적거림을 방지하는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는, 분리 터미널에 의해 휴대폰 몸체와 고리줄이 분리가능케 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몸체에는 상기 고리줄에서 분리된 분리 터미널이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에 분리 터미널이 끼워지지 않을 시에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용부를 덮는 커버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휴대폰 몸체의 후면에 형성되거나 휴대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휴대폰 몸체에 결합된 밧데리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와 이어폰 세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결합 구성도이고, 도3은 도2의 휴대폰 몸체에서 이어폰 세트가 분리된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몸체(30)에는 걸이줄(32)이 연결되고, 상기 걸이줄(32)의 단 부에는 후술하는 이어폰 터미널에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분리 터미널(34)이 연결된다. 상기 분리 터미널(34)에는 휴대폰의 잭 구멍에 끼워지는 플러그 또는 잭(35)에 이어지는 플러그 코드(36)가 연결된다.
한편, 사용자의 목에 거는 고리줄(38)에는 상기 분리 터미널(34)이 수용되어 접속되는 이어폰 터미널(40)이 결합되어 있다. 고리줄(38)에는 상기 분기 코드(44, 44' : 이어폰 코드)가 분기하여 연결되고. 이 분기 코드(44, 44')의 단부에는 이어폰(46, 46')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기 코드(44)의 중간에는 마이크(48)가 결합된다. 상기 마이크는 상기 고리줄(38)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줄(32)은, 그 일단이 상기 휴대폰 몸체의 고리 또는 홈에 끼워져 매어지고 그 타단은 상기 분리터미널(34)에 고정되거나 매어진 섬유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다.
상기 분리 터미널(34)은 플러그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구멍으로 된 접속단자부(34a)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그 좌우측면에는 상기 이어폰 터미널(40)의 후술하는 수용홈에 끼워져 걸리도록 탄성걸이부(34b)(34b')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리줄(38)은 사용자의 목에 걸 정도의 크기로, 그 재질은 섬유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고, 고리줄(38)에는 고리줄의 고리크기를 조정하도록 조정슬라이더(50)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이어폰 세트를 휴대폰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 상기 휴대폰의 제어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소자(5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진동소자(52)는 사용자가 고리줄(38)을 목에 걸었을 경우에 사용자의 목덜미에 닿도록 상기 이어폰 터미널(40)과 대향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진동소자(52)는 공공장소에서 벨소리 소음공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어폰 터미널(40)은 둥글고 납작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상기 분리터미널(34)을 수용하는 수용홈(도시안됨)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단자부(34a)에 끼워지는 접속단자부(도시안됨)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어폰 터미널(40)의 중심부에는 어두운 곳에서 글씨를 용이하게 보도록 메모등(60)이 결합되어 있고, 이어폰 터미널(40)의 가장자리부에는 휴대폰에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호출 표시등(62)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 터미널(40)의 측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탄성걸이부(34b)(34b')를 눌러 상기 분리 터미널(34)을 분리하게 하도록 누름버튼(64)(64')이 결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메모등(60)을 온/오프하도록 메모등 스위치(66)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어폰 터미널(40)의 내부에는 휴대폰 몸체(30)의 내부에 결합된 제어부와는 별도의 터미널 제어부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분기 코드(44, 44')는 상기 고리줄(38)의 내부를 통해 상기 이어폰 터미널(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마이크(48)에는, 통화개시 및 통화종료를 휴대폰에 알리도록 통화버튼(68)이 결합된다.
도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의 일 예를 나타낸 후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 몸체(30)의 후면에는 상기 고리줄(38)에서 분리된 분리 터미널(34)이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휴대폰 몸체(30)에는 밧데리가 결합되는데, 상기 수용부(70)는 상기 밧테리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70)는 상기 휴대폰 몸체(30)의 측면이나 상면 등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 몸체 또는 밧데리에는 분리 터미널(34)이 수용부에 끼워지지 않을 시에 상기 수용부(70)에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용부(70)에 여닫히는 커버(도8 및 도9에 도시)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 터미널(40)에서 분리 터미널(34)이 분리되어, 휴대폰 몸체(30)와 고리줄(38)이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는 플러그(35)가 휴대폰 몸체(30)의 잭 구멍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휴대폰에 전화가 걸려오면, 휴대폰 몸체(30)의 내부에 결합된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공지의 방법으로 통화하게 된다. 이때, 분리터미널(34)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70)에 끼워져 분리 터미널의 손상과 오염 및 걸리적거림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터미널(34)을 이어폰 터미널(40)에 연결하여, 휴대폰을 목에 걸고 다닐 경우에는 휴대폰에 전화가 걸려오면 이어폰 터미널(40)의 내부에 결합된 터미널 제어부로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호출표시등(62)이 점멸하게 되어, 사용자는 통화버튼(68)을 누르고 마이크(48)와 이어폰(46)을 통해 통화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메모등 스위치(66)를 누르면 메모등(60)이 점등되므로, 어두운 곳에서 전화번호 등을 용이하게 필기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와 이어폰 세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결합 구성도이고, 도6은 도5의 휴대폰 몸체에서 이어폰 세트가 분리된 상태도이다.
도5 및 도6에서는 걸이줄(32)과 플러그 코드(36)가 동시에 휴대폰 몸체(30)의 한 위치에 연결되므로 별도의 플러그 및 잭 구멍이 불필요한 구성이다. 나머지 구성은 도2 및 도3의 휴대폰 몸체 및 이어폰 세트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7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폰 몸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후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 몸체(30)의 후면에 형성된 수용부(70)의 구성은 도4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수용부(70)가 밧데리에 형성되거나 상기 휴대폰 몸체(30)의 측면이나 상면 등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8은 휴대폰 몸체의 상면에 수용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후면도 및 평면도이다. 평면도는 수용부의 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데, 분리 터미널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몸체(130)의 상면에는 홈형태의 수용부(170)가 형성되고, 분리 터미널(34)이 수용부에 끼워지지 않을 시에 수용부를 덮는 커버(171)가 휴대폰 몸체(130)에 결합되어 있다.
도9는 도8에서 분리 터미널(34)이 수용부(170)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커버(171)를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70)에서 열고, 분리 터미널(34)을 수용부(170)에 끼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에 의하면,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에서 분리 터미널을 이어폰 터미널에서 분리시켰을 때 분리 터미널을 수용부에 끼워 보호함으로써, 분리 터미널이 걸리적거림을 방지하고, 분리 터미널이 손상되거나 오염됨을 방지하고 통화의 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분리 터미널에 의해 휴대폰 몸체와 고리줄이 분리가능케 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몸체에는 상기 고리줄에서 분리된 분리 터미널이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분리 터미널이 끼워지지 않을 시에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용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휴대폰 몸체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휴대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휴대폰 몸체에 결합된 밧데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KR1020040011805A 2004-02-23 2004-02-23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KR100573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805A KR100573956B1 (ko) 2004-02-23 2004-02-23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805A KR100573956B1 (ko) 2004-02-23 2004-02-23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644U Division KR200350573Y1 (ko) 2004-02-23 2004-02-23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317A KR20050083317A (ko) 2005-08-26
KR100573956B1 true KR100573956B1 (ko) 2006-04-27

Family

ID=3726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805A KR100573956B1 (ko) 2004-02-23 2004-02-23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9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317A (ko) 200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8253A1 (en) Neck-strap type earphone
KR100693454B1 (ko) 휴대형 전자기기용 홀더
CA2811038C (en) Sports musicom headset
JP4231525B2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US20040204207A1 (en) Hat for hands-free telephone operation
US9742890B2 (en) System for control and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WO2000072628A1 (fr) Emetteur-recepteur comportant un haut-parleur a conduction osseuse
US10165101B2 (en)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KR100573956B1 (ko)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US11038999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control
KR200350573Y1 (ko) 휴대폰의 분리 터미널 보호장치
EP1223682B1 (en) An electronic device for a mobile radio station
FR2516735A1 (fr) Vetement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production du son
CN101783984A (zh) 可缩进式传声器耳机单元及具有该耳机单元的手表式电话
KR200233047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100317903B1 (ko) 벨트와일체로결합된핸드폰
KR200427409Y1 (ko)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KR200425760Y1 (ko)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KR200284358Y1 (ko) 핸드폰 매립안테나 내경에 내장된 이어폰 탄력대
CN212696188U (zh) 一种蓝牙耳机充电盒保护套
CN214154794U (zh) 头戴式耳机保护套
KR100619090B1 (ko) 활 타입 이어 후크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KR200315210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200282058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가 내장된 핸드폰 휴대장치
KR100652031B1 (ko)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