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510Y1 - 수저통 - Google Patents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510Y1
KR200426510Y1 KR2020060016453U KR20060016453U KR200426510Y1 KR 200426510 Y1 KR200426510 Y1 KR 200426510Y1 KR 2020060016453 U KR2020060016453 U KR 2020060016453U KR 20060016453 U KR20060016453 U KR 20060016453U KR 200426510 Y1 KR200426510 Y1 KR 200426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ll member
water reservoir
bottom plate
drip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나영
Original Assignee
오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나영 filed Critical 오나영
Priority to KR2020060016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5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저통은 수저를 수납하며 바닥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저통 본체와, 상기 수저통 본체의 바닥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받아주는 물받이통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저통 본체는, 바닥이 트인 통형상의 벽부재와, 상기 벽부재의 바닥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통 본체의 벽부재에는 그 벽부재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저통에 고여있는 물이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쉽게 증발되어 세균이 수저통내에 번식하는 것을 막고, 물받이통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수저통내부를 쉽게 세척할 수 있다.
벽부재, 통기공, 물받이통

Description

수저통{Spoon case}
도 1 은 종래 수저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1 에 따른 수저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저통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 에 따른 수저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수저통 본체 20...벽부재
21...통기공 22...나사홈
30...바닥판부재 31...나사산
32...배수공 40...물받이통
41...단턱부 42...바닥면
본 고안은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저통 바닥에 고여있는 수분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수저통 몸체에 통기장치를 형성한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수저통(100)은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일단은 개구(101)되어 수저를 출입시킬 수 있으며, 그 타단은 막혀있어 수저를 그 통내부에 유지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102)을 이룬다. 이러한 종래의 수저통(101)에 수저를 꽂는 경우, 수저에 뭍어있던 물이 수저를 따라 아래 바닥면에 고이게 된다. 이러한 수저통은 폭은 좁고 깊이가 깊어서 증발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습하고 어두운 환경을 제공하는 수저통 내부에는 세균 및 기타 곰팡이가 번식하게 된다.
또한, 일체로 형성된 깊이가 깊은 통내부는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 바닥판에 형성된 곰팡이 기타 오염물질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수저통의 바닥에 고여있는 물을 쉽게 수저통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고, 바닥판의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수저통은 수저를 수납하며 바닥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저통 본체와, 상기 수저통 본체의 바닥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받아주는 물받이통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저통 본체는, 바닥이 트인 통형상의 벽부재와, 상기 벽부재의 바닥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통 본체의 벽부재에는 그 벽부재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관통 하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1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저통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로서,상기 수저통은 수저통 본체(10)와, 물받이통(4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저통 본체(10)는 벽부재(20)와 바닥판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벽부재(2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벽부재(20)에는 그 벽부재(2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통기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부재(20)의 하단 내주면에는 나사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부재(30)는 전체적으로 얇은 원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바닥판부재(30)의 바깥지름은 상기 벽부재(20)의 안지름과 동일한 정도로 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부재(30)의 평면에는 복수개의 배수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공(32)은 수저 또는 젓가락이 상기 배수공(32)을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상기 바닥판부재(30)의 외주면에 상기 벽부재(20)의 나사홈(22)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통(40)은 상기 벽부재(20)를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그 안지름이 상기 벽부재(20)의 바깥지름보다 큰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물받이통(40)의 일단은 개구되어 있고, 타단은 막혀있는 바닥면(42)을 이룬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40)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물받이통(40)으로 삽입되는 벽부재(20)의 삽입을 저지하는 단턱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수저통은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벽부재(20)와 바닥판부재(3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판부재(30)를 상기 벽부재(20)에 돌려 끼운다. 결합된 벽부재(20)와 바닥판부재(30), 즉 수저통 본체(10)를 상기 물받이통(4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수저통 본체(10)는 상기 물받이통(40)의 하단까지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물받이통(40)의 단턱부(41)가 형성된 부분까지 삽입된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수저통은 수저 또는 젓가락을 꽂을 때, 상기 수저 또는 젓가락에 뭍어 있는 물은 상기 수저 또는 젓가락을 따라 물받이통(40)으로 흘러내려가며, 이에 따라 물받이통(40)에 물이 고이게 된다. 이와 같이 물받이통(40)에 고인 물은 물받이통(40)의 상단 개구부와 상기 벽부재(20)의 통기공(21)으로 동시에 증발되어 외부로 배출되므로, 신속하게 고인물이 사라질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수저통 내부에 물이 장시간 고여 각종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는다.
또한, 수저통은 물이 고이는 바닥면(42)을 수저통 본체(10)에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 아니라, 별도의 물받이통(40)을 착탈식으로 부착시키기 때문에 세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수저통의 바닥에 남겨진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물받이통(40)을 수저통 본체(10)로부터 탈착하여 세척한 다음 다시 수저통 본체(10)에 부착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2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저통의 사시도로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바닥판부재와 물받이통을 결합하는 방식이 상이한 변형예이다.
상기 수저통에서 바닥판부재(3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진 몸체부(33)과, 상기 몸체부(33)의 상단에 작은 관통공이 복수개 형성된 배수면(35)과,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된 결합돌기(34)로 구성된다.
물받이통(40)은 상기 몸체부(33)을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그 안지름이 상기 몸체부(33)의 바깥지름보다 큰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물받이통(40)의 일단은 개구되어 있고, 타단은 막혀있는 바닥면(42)을 이룬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40)의 상단 내주면에는 결합돌기(34)를 수용하여 물받이통(40)을 바닥판부재(30)에 고정시키는 결합홈(43)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홈(43)은 결합돌기(34)의 단면형상을 가진 홈이 물받이통 내주면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이어 형성되다가 원주방향으로 꺾이는 전체적으로 "L"자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수저통은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벽부재(20)는 그 하단을 바닥판부재(30)의 상단에 돌려끼우며, 상기 물받이통(30)은 상기 바닥판부재(30)의 결합돌기(34)를 결합홈(43)에 수용하여 수직으로 눌러 끼우고, 수평방향으로 돌려 고정시킨다. 그 외 구체적인 작용 및 효과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한편, 실시예 1 및 2 에 따른 수저통은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 1 및 2에서 수저통 본체는 벽부재와 바닥판부재를 착탈하는 구성이나, 상기 벽부재와 바닥판부재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바닥판부재에 해당하는 수저통 본체의 바닥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실시예 2에서, 수저통본체와 물받이통을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 상기 수저통 본체가 상기 물받이통의 하단까지 삽입되지 않고, 단턱부까지만 삽입되도록 하여 물이 고이는 공간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단턱부가 없이 수저통 본체를 물받이통의 하단까지 삽입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만, 이때에는 물이 고이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판부재를 벽부재의 하단에 위치시키지 않고, 물이 고이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단에서 일정한 높이만큼 떨어져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부재는 그 일면에 회전손잡이부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바닥판부재를 벽부재에 돌려 끼울 때 상기 회전손잡이부를 잡고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은, 수저통에 고여있는 물이 쉽게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신속하게 고인 물이 제거되어 세균번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저통은 그 바닥면과 몸체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바닥에 끼여있는 각종 오염물질은 손쉽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수저를 수납하며 바닥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저통 본체와, 상기 수저통 본체의 바닥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받아주는 물받이통을 포함하는 수저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통 본체는, 바닥이 트인 통형상의 벽부재와, 상기 벽부재의 바닥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통 본체의 벽부재에는 그 벽부재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통.
KR2020060016453U 2006-06-19 2006-06-19 수저통 KR200426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53U KR200426510Y1 (ko) 2006-06-19 2006-06-19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53U KR200426510Y1 (ko) 2006-06-19 2006-06-19 수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510Y1 true KR200426510Y1 (ko) 2006-09-19

Family

ID=4177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453U KR200426510Y1 (ko) 2006-06-19 2006-06-19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5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7540A (zh) * 2017-12-31 2018-05-08 南京医科大学第附属医院 可拆卸的筷筒
KR200490987Y1 (ko) * 2018-10-26 2020-02-03 양동훈 위생 수저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7540A (zh) * 2017-12-31 2018-05-08 南京医科大学第附属医院 可拆卸的筷筒
KR200490987Y1 (ko) * 2018-10-26 2020-02-03 양동훈 위생 수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510Y1 (ko) 수저통
JP7450084B2 (ja) 加湿装置
US20070138075A1 (en) External hanging type aquarium filtering device
JP2007305885A (ja) 電気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用ルーバー
JP2005146542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JP2006006631A (ja) 洗濯機
JP2010005247A (ja) 洗濯機
KR20080088175A (ko) 세탁기
KR20090033570A (ko) 배수 트랩을 포함하는 싱크대
JP2011025985A (ja) カートリッジ式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100766302B1 (ko) 주방용 세척기
JP5361290B2 (ja) 排水器具
KR100769572B1 (ko) 주방용 세척기
JP2007120022A (ja) 排水トラップ
JP2009030330A (ja) 排水構造
JPS6014867Y2 (ja) 排水器
JP2006028887A (ja) ヌメリ取り排水蓋
ES2570404T3 (es) Máquina para lavar la vajilla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filtración de agua de lavado de la vajilla
KR200318050Y1 (ko) 배수구 마개
KR20150099357A (ko) 살균 소독제가 설치된 싱크볼용 배수커버
JP2005273413A (ja) 排水栓
JP4389666B2 (ja) シンク
JP5084218B2 (ja) 排水口用蓋
JP2008232450A (ja) 換気口装置
KR20120002862U (ko) 위생 수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