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132Y1 -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132Y1
KR200426132Y1 KR2020060016477U KR20060016477U KR200426132Y1 KR 200426132 Y1 KR200426132 Y1 KR 200426132Y1 KR 2020060016477 U KR2020060016477 U KR 2020060016477U KR 20060016477 U KR20060016477 U KR 20060016477U KR 200426132 Y1 KR200426132 Y1 KR 200426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moving member
frame portion
machine tool
materia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라
Original Assignee
황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라 filed Critical 황인라
Priority to KR2020060016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물품을 파지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공작기계의 공작부로 전후이동시키는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를 좌우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부재와 결합되는 상부프레임부와, 일측이 상기 상부프레임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부를 좌우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부와,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그 상부에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좌우이동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돌출된 가이드돌출부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부와, 상기 가이드돌출부의 홀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돌출부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충분한 작업공간을 형성하여 작업시 편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고정부재 제1이동부재 제2이동부재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The meterial supply device for machine tool}
도 1은 종래의 소재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좌우이동부재의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좌우이동부재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의 제2이동부재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종래의 소재공급장치가 설치된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가 설치된 개략적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프레임부 20 : 구동실린더부
30 : 하부프레임부 31 : 가이드돌출부
40 : 가이드부 100 : 제2이동부재
200 : 고정부재 300 : 제1이동부재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로 공급되는 소재를 파지하여 상기 공작기계의 공작부에 공급하고, 가공이 마친 소재를 취출하는 소재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소재를 가공하는 공작부에 자동으로 소재를 공급하고 취출하기 위하여 상기 공작부에 인접한 위치에 소재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소재공급장치의 측면도를, 도 2는 종래의 좌우이동부재의 측면도를, 도 3은 종래의 좌우이동부재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재공급장치(1000')는, 물품을 파지시키는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를 공작기계(2)의 공작부(미도시)로 전후이동시키는 제1이동부재(300)와, 상기 제1이동부재(300)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소재공급장치(1000')는 상기 제1이동부재(3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상기 좌우이동부재(100')의 이동폭이 좁아서 작업자가 위치하는 작업공간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작업자의 작업이 불편하였고, 종래의 소재공급장치(1000')와 작업자의 위치가 가까워서 종래의 소재공급장치(1000')가 가동할때 작업자의 안전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자의 충분한 작업공간을 형성하여 작업시 편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는 물품을 파지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공작기계의 공작부로 전후이동시키는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를 좌우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부재와 결합되는 상부프레임부와, 일측이 상기 상부프레임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부를 좌우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부와,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그 상부에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좌우이동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돌출된 가이드돌출부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부와, 상기 가이드돌출부의 홀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돌출부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본 고안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의 정면도를,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의 제2이동부재를 보인 정면도를, 도 6은 종래의 소재이송장치가 설치된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가 설치된 개략적인 평면도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소재공 급장치(1000)는 고정부재(200)와, 제1이동부재(300)와, 제2이동부재(1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공작기계의 공작부로 소재를 공급하거나, 가공이 마친 소재를 취출시키기 위해 소재를 집거나 놓는 기능을 담당하는 통상적인 구조로 되어있으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이동부재(300)는 상기 고정부재(200)를 상기 공작기계의 공작부로 전후 이동시킨다.
즉, 가공할 소재를 집은 상기 고정부재(200)를 상기 공작기계의 공작부로 전진시키고, 가공이 마친 소재를 집은 상기 고정부재(200)를 상기 공작부로부터 취출시키기 위하여 후진한다.
상술한 제1이동부재(300)도 통상적인 구조로 되어있으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이동부재(100)는 상부프레임부(10)과, 구동실린더부(20)와, 하부프레임부(30)와, 가이드부(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부(10)은 일방향으로 긴 판형상을 가지며, 그 상부에 상기 제1이동부재(300)와 결합된다.
상기 구동실린더부(20)는 유동되는 종단이 상기 상부프레임부(10)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부(10)를 좌우 이동시킨다.
통상적으로 상기 구동실린더부(20)는 작업자(1)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구동실린더부(20)가 돌출되면 상기 상부프레임부(10)는 상기 작업 자(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실린더부(20)가 삽입되면 상기 상부프레임부(10)는 상기 작업자(1)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부프레임부(30)은 상기 상부프레임부(10)의 하부에 위치되며, 그 상부에 상기 상부프레임부(10)의 좌우이동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돌출된 가이드돌출부(31)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가이드돌출부(31)의 홀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돌출부(31)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부(10)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실린더부(20)에 의하여 상기 상부프레임부(10)가 좌우 이동시 그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한다.
본 고안의 올바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프레임부(10)의 길이가 긴 양측종단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40)와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결합돌기(41)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부(40)와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부(40)는 봉형상으로 상기 구동실린더부(20)의 양측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소재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자(1)에게 효과를 준다.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기계용 소재공급장치(1000)는 상기 공작기계(2)의 전면에 그리고, 상기 작업자(1)의 측면에 위치된다.
종래의 소재공급장치(1000')는 상기 좌우이동부재(100')의 좌우 이동거리가 짧아 상기 작업자(1)와 접할만큼 근접되어 위치되며, 상기 작업자(1)는 좁은 작업공간(a)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그 결과 종래의 소재공급장치(1000')가 가동할 때에는 상기 작업자(1)와 근접되어 있어 항상 상기 작업자(1)는 위험에 노출되고, 상기 작업자(1)는 좁은 작업공간(a)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 부자연스러워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가 야기되어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공작기계용 소재공급장치(1000)는 상기 제2이동부재(100)의 좌우 이동거리가 길어 종래보다 더 먼 거리를 두고 상기 작업자(1)의 면에 설치되며, 상기 작업자(1)는 넓은 작업공간(b)을 가지게 되었다.
그 결과 본 고안의 공작기계용 소재공급장치(1000)가 가동할 때에도 상기 작업자(1)와 거리가 종래보다 멀어 상기 작업자(1)는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자(1)는 넓은 작업공간(b)이 확보되어 불편함 없이 자연스럽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작기계용 소재공급장치에 의하면, 작업자의 충분한 작업공간을 형성하여 작업시 편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물품을 파지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공작기계의 공작부로 전후이동시키는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를 좌우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부재와 결합되는 상부프레임부;
    일측이 상기 상부프레임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부를 좌우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부;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그 상부에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좌우이동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돌출된 가이드돌출부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부; 및
    상기 가이드돌출부의 홀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돌출부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프레임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부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이동부재가 작업자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넓어져 원활히 작업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
KR2020060016477U 2006-06-19 2006-06-19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 KR200426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77U KR200426132Y1 (ko) 2006-06-19 2006-06-19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77U KR200426132Y1 (ko) 2006-06-19 2006-06-19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132Y1 true KR200426132Y1 (ko) 2006-09-15

Family

ID=4177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477U KR200426132Y1 (ko) 2006-06-19 2006-06-19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1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919A (ko) 2016-06-08 2017-12-18 (주)라인자동화 소재 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919A (ko) 2016-06-08 2017-12-18 (주)라인자동화 소재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9306U (ja) 射出成形機の金型位置決め装置
ITMI20070684A1 (it) Macchina di taglio, particolarmente per pelle e materiali similari.
AU5634901A (en) Construction machine for machining floor surfaces
CN103481408B (zh) 注射机三工位移模结构
ITUD20040101A1 (it) Macchina per rifinire un oggetto quale un profilato, un pannello, o simile
TW201024056A (en) Wire saw and wire saw system
KR200426132Y1 (ko)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
KR101814863B1 (ko) 노칭 금형
KR100967166B1 (ko) 금형 표면 가공기
CN205765034U (zh) 一种用于平板电脑壳的夹具
JPS6290356A (ja) 整備位置へ可動のキヤリツジ装置を備えた平形編機
KR101640614B1 (ko) 공작기계의 자동 공구 교환장치
JP2014188624A (ja) 設置装置、設置システム及び設置方法
JP6923637B2 (ja) 対基板作業機
CN111168424B (zh) 一种自锁紧式缸盖加工装置
CN102657413B (zh) 金属拉链尺寸控制装置
KR100647073B1 (ko) 공작물 자동이송장치
JP3131603U (ja) 移動式クランプ装置
KR101622654B1 (ko) 백히팅용 케이블 로봇
KR101816071B1 (ko) 드릴머신 고정장치
KR101870334B1 (ko) 홀 가공장치
JP4609810B2 (ja) 曲げ金型及び金型ホルダ並びに金型落下防止装置
CN203599640U (zh) 转角锯切机后锁位装置及具有该后锁位装置的转角锯切机
JP2008080368A (ja)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ワーク位置決め装置
KR20110011296U (ko) 공작기계의 소재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