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856Y1 - 자동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856Y1
KR200425856Y1 KR20060016440U KR20060016440U KR200425856Y1 KR 200425856 Y1 KR200425856 Y1 KR 200425856Y1 KR 20060016440 U KR20060016440 U KR 20060016440U KR 20060016440 U KR20060016440 U KR 20060016440U KR 200425856 Y1 KR200425856 Y1 KR 200425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unit
contradiction
gps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6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보영
Original Assignee
차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보영 filed Critical 차보영
Priority to KR20060016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8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856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GPS 시간수신부, 비교부, 주제어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부는 2개의 GPS 시간수신기로 구성되어 병렬로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하나의 GPS 시간수신기가 고장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시간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거나 시간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GPS 시간수신기를 통해 시간 정보를 수신하며, 비교부는 일치회로(비교기;comparator)로 구성되어, 2개 GPS 시간수신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시간정보의 일치성 및 오차를 검출하여 시간정보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GPS 시간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년, 월, 일, 시, 분, 초 정보를 받아 비교기(일치회로)를 통하여 초 단위까지의 일치성 및 클록펄스의 일치성을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하며, 모순검지부는 비교 데이터의 일치여부에 따라 모순(고장) 판정시 모순검지부내 LED 및 LCD로 구성된 표시부를 통하여 고장표시하며, 메모리부는 관리자의 예약된 시간에 방송될 내용을 입력하여 저장하며, 예약시간에 전관방송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내용이 방송되며, 시계부는 비교부에서 2개의 GPS 시간수신기가 일치하여 모순검지부에서 정상으로 판단될 경우 현재 시간을 표시하며,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부, 비교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읽고 쓸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 및 정전시 전관방송장치에 구비된 무정전전원공급장치로 각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송 시스템
전관방송, GPS, 시간수신기, 시보수신기, 예약

Description

자동방송 시스템{ The automatic broadcasting system }
도 1은 본 고안의 간략한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전기시계 블록도
도 3은 랙 일체형으로 제작된 본 고안의 간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GPS 시간수신기
20 : 비교부
30 : 주제어부
40 : 모순검지부
50 : 메모리부
60 : 전관방송장치
70 : 시계부
출원번호 20-2006-0003651 "지피에스에 의한 자동 시간교정 시계" 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에 의해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세계시 를 기준으로 현재 카운팅 되는 시간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을 항시 정확한 시간으로 교정할 수 있으며 스테이틱(static) 방식으로 모든 글자가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한 지피에스에 의한 자동 시간교정 시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안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호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달받아 증폭하는 수신기의 증폭부와, 상기의 증폭된 신호에 대해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통과 필터와, 상기의 불필요한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검파 가능한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의 주파수에 대해 시간 데이터만 추출하는 검파를 수행하는 검파부와, 상기의 검파된 시간 데이터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수신되면 시간의 표시 및 교정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수신한 순간의 현재 시각 정보를 추출하는 시간 검출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시간 검출부로부터의 현재 시각에 의하여 현재의 한국시간을 연산하는 시간연산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를 분주한 주파수에 의해 시간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체적으로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워치독타이머(WATCH DOG TIMER)와, 상기의 시간 연산부로부터 한국시간정보를 전달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시계의 컨트롤러에 한국시간정보를 전송하면서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RS232C의 제1 및 제2 통신모뎀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되는 한국시간의 정보를 비롯한 정보를 전달받아 시각의 표시와 동작의 표시를 비롯한 내부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의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현재의 동작에 따른 상태를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LCD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오전(AM)이나 오후(PM)의 표시를 하는 도트 점등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시간과 분 및 초의 두 자리씩을 표시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8비트 직렬입력 병렬출력의 3상태 래치와, 상기 8비트 직렬입력 병렬출력의 3상태 래치를 통해 출력되는 병렬출력에 의해 7세그먼트의 표시부에 숫자를 점등시키는 트랜지스터 어레이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피에스(이하 GPS라 표기함)에 의한 자동 시간교정 시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에 의해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세계시(世界時)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 카운팅되는 시간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을 항시 정확한 시간으로 교정할 수 있으며 스테이틱 방식으로 모든 글자가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한 GPS에 의한 자동 시간교정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계는 태엽과 기어들에 의해 바늘을 회전시키는 기계식시계와, 기분 클럭을 분주한 단위시간으로 시간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전자식 시계의 2가지가 있으며, 요즈음에는 전자식 시계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의 전자식 시계는 기준 클럭을 발생하고 이를 시분초로 분주한 후 LCD, LED를 통해 가시적으로 나타내거나 시계의 시분초침을 사용하여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식 시계는 기계식 시계에 비해 태엽을 감거나 하는 불편이 없고 바늘의 이동상태보다 숫자를 읽으면서 시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저가에 공급되는 까닭에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하게 동작하도록 조작된 상태에서도 사용 중에 어느 정도의 오차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틀린 시간을 나타내기 마련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시로 시간을 정시에 맞추도록 보정을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산업용 또는 과학기술용으로 정시를 요구하는 시계에는 매우 자주 시간 보정을 해야 했다.
시간의 보정은 시계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거나 노브를 돌려서 정시방송 등을 이용하여 표준시간으로 맞추는 작업이다.
이러한 시간 보정작업은 상당한 주의를 요하기 때문에 어렵고 번거로움을 피할 수 없으며, 특히 산업용 또는 과학기술용으로 자주 시간 보정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 자체가 매우 불편한 일이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공개 제 97-55659 호는 라디오의 시보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신호데이터에 의해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 96-38530 호는 라디오나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는 시보를 인식하여 휴대용 전자시계, 가정용 텔레비전 또는 비디오의 시계를 보정하는 디지털 시계를 개시한다.
이와 유사하게 한국 공개특허 제 96-18813 호는 방송국의 시보음을 검출하여 1초 간격의 시보음 전압레벨을 통한 기준값설정으로 시간의 오차를 보정하는 시간조정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한편 미국 특허 제 4,582,434 호는 자동으로 여러 주파수를 스캔하여 가장 강한 주파수의 라디오 주파수를 선택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시간차를 보정 하는 시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시간 보정장치나 방법은 모두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의 정시방송에 의존하고 있다.
이들 방송의 시보는 일반적으로 한시간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보정 주기가 길어 정확한 시간을 확보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더욱이, 이들 방송국의 전파를 수신하는데는 고감도의 안테나가 필요하고 안테나를 구비하더라도 난청지역이나 음영지역에서는 전파 수신이 어려우며 특히 지하에 위치한 곳에서는 실질적으로 수신이 극히 미약하기 때문에, 시계의 시간 보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이들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의 방송을 계속 수신하는 장치는 상당한 전원을 계속적으로 소모하므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없어 사실상 휴대용 시계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그에 따라 2003년 5월 27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16505호(지피에스 세계시에 의한 시간자동교정장치)가 제안 되었는바, 이는 GPS 세계시에 의한 시간 자동교정장치는 각 방에 설치되어 시간을 표시하도록 된 자(子)시계에 있어서, 시간 교정에 필요한 세계시에 대한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외부 기준신호 공급원; 외부 기준신호 공급원과 마이크로프로세서와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워치도그 타이머(Watchdog Timmer)를 기본 클럭으로 사용하며, 그 워치도그 타이머에서 카운팅 중인 현재 시간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 하여 입력되는 외부 기준신호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워치도그 타이머의 현재 시간을 교정 처리하는 마이크 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자시계들을 구동하기 위한 자시계 드라이브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피에스 세계시에 의한 시간자동 교정 장치에 의하여서는 외부 기준신호 공급원의 GPS 수신기를 통해 인공위성에서 제공되는 세계시를 수신하여 한국시간을 추출하고, 워치도그 타이머에서 발생한 시간 데이터에 의한 현재시각과 비교한 후, 세계시에 의하여 한국시각을 교정하면서 세계시와 일치하는 제어신호를 자시계 드라이버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각 방의 자시계를 일치시키도록 하였으나, 워치독 타이머에 의하여 현재시간을 출력하여 표시하다가 세계시에 의하여 현재시간을 교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시간을 이중으로 계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디지털로 표시되는 시간이 다이내믹 방식으로 순차 점등하였으므로 선명도가 떨어져서 주위가 밝은 곳에서는 시간을 거의 읽을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전기시계 설비는 도2와 같은 설계방식으로 설계되어 시설되는데 배관, 배선 공사를 제외하고 물품 구입가만 수 천만원씩 하는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왔다.
종래의 기술은 정확한 시간보정을 위한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하여 왔으나, 그 정확한 시각을 활용한 응용기술의 발전은 미약하였다.
본 고안은 전관방송장치에 있어 정시에 예약방송 및 단위 시간마다 정확한 시각에 전관방송을 통하여 현재시각 안내방송을 할 수 있는 전관방송장치를 첫 번 째 기술과제로 하며, 고가의 GPS MAIN CLOCK과 X-TAL OSC를 사용하지 않고 GPS 시간수신기 2개를 상호 병렬 보정하여 예약방송 및 단위 시간마다 정확한 시각에 전관방송을 할 수 있게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두 번째 기술적 과제로 하며, GPS 시간수신기와 시보수신기를 상호 병렬 보정하여 예약방송 및 단위 시간마다 정확한 시각에 전관방송을 할 수 있게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세 번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이중의 GPS 시간수신기(10), 비교부(20), 주제어부(30), 모순검지부(40), 메모리부(50), 전관방송장치(60), 시계부(70)로 구성되어, 도 3과 같이 하나의 일체형 랙에 장착된다.
일 실시 예로, 전관방송장치는 AUTO BLOWER FAN(AMP RACK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팬을 동작시킴으로써 시스템 전체를 안정하게 운용한다.), MONITOR PANEL(파워앰프 각각의 스피커를 모니터링 한다.), DIGITAL TUNER(AM/FM 라디오 방송장치), EMERGENCY PANEL(화재자동감지기와 연결하여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비상경보음을 송출한다.), CHIME & SIREN(공명효과를 준 부드러운 음색의 차음은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적합하며 각각 2 TONE, WESTERMINSTER, 하향차임, 상향차임이 있어야 한다. 파상(~), 평판(-) 비상또는 경보 방송용으로 파상 및 평판의 사이렌 신호음을 발생한다.), EMERGENCY SWITCHER(자동 화재감지 신호에 의하여 발화층과 직상층의 스피커 회선을 제어한다.), SPEAKER SELECTOR(푸쉬버튼 스위치로 스피커를 임의로 선택한다.), MATRIX(비상 판넬과 릴레이 그룹과 연 결하여 사용하며, 일반방송중이라도 원격 및 비상 신호가 입력되면 우선순위에 의해 비상방송 및 원격방송으로 전환한다.), CD PLAYER(다수의 컴팩트 디스크를 넣고 사용하며 연주중 열림/닫힘 버튼을 눌러 연주중인 디스크를 제외한 나머지 트레이의 디스크들을 원하는 디스크로 교환한다.), CASSETTE DECK(카세트 테잎 플레이어), PRE AMPLIFIER(사용 주파수에 따라 고음, 중음, 저음의 음색 조절기가 각 채널에 있어 취향에 맞추어 음색 조절한다.), BLANK PANEL(국제 규격의 표준 RACK CABINET에 장착되는 판넬이며, 표준형 RACK CABINET에 각종 기기를 설치하고 남는 공간을 메우기도 하며, 또한 자연적으로 발열하는 각종 기기들의 가운데에 설치하여 기기간의 열전도를 줄이는 기능을 가지며 모든 크기는 국제규격인 아래의 기준에 준하여 제작된다.) POWER AMP(증폭기), RELAY GROUP(스피커 출력은 비상 및 일반 스피커 신호를 갖추고 있어 2선 및 3선식 방송을 한다.), TERMINAL BOARD(정상시 및 비상시의 경우에도 선로의 접속이 용이한 3선식 터미날 보드이다.), POWER DISTRIBUTOR DC24V/5A(RACK SYSTEM에 장착된 제반 기기의 전원을 종합적으로 제어한다.), BATTERY CHARGER(비상전원으로 비축하는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이면 자동으로 충전을 시작하고 일정전압 이상이면 자동으로 충전을 정지하는 과충전 방지기능이 있다.) RACK CABINET(EIA 표준 규격의 음향기기 장착용 RACK CABINET이며 상·하 크기와 좌·우의 크기는 표준규격에 준하여 제작한다.), 무정전전원공급장치(전관방송장치 및 본 고안의 각부에도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GPS 시간수신기등에 공용으로 전원 공급한다.) 로 구성된다.
전관방송장치는 일반적인 기본 사양을 일 실시 예로 들은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 통상적인 전관방송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수의 시계로 구성된 시계부 및 GPS 시간수신기 역시 통상적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정확한 시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종래의 전기시계 설계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에는 고가의 GPS MAIN CLOCK과 X-TAL OSC를 사용하여 GPS MAIN CLOCK과 SUB CLOCK, POWER SUPPLY로 구성되어 MASTER CLOCK를 구성한다.
이하 도 1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GPS 시간수신기는 2개로 구성되어 병렬로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하나의 GPS 시간수신기가 고장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시간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 나머지 하나의 GPS 시간수신기로 임시작동하며 모순검지부에서 고장 표시하며, 시간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 비교부, 모순검지부에서 모순검출 및 판단한다.
비교부는 일치회로(비교기;comparator)로 구성되어, 2개 GPS 시간수신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시간정보의 일치성 및 오차를 검출하여 시간정보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GPS 시간수신기의 년, 월, 일, 시, 분, 초 정보를 받아 일치회로(비교기)를 통하여 초 단위까지의 일치성 및 클록펄스의 일치성을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한다.
모순검지부의 수동조작판넬은 관리자의 입력값(모순검지부의 수동조작판넬을 통하여 비교부의 정확도를 결정한다.)에 따라 모순검지를 판정한다.
모순검지부는 입력부(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하는 수동조작판넬로 구성되어 일실시 예로, '십분의 일초' '백분의 일초' '천분의 일초' 를 선택하는 것으로 백분의 일초로 선택되었을 경우 비교부에서 2개의 GPS 시간수신기의 일치성이 백분의 일초 단위 이하로 오차가 발생할 경우 정상으로 간주하며 그 이상으로 오차가 발생할 경우 모순으로 검지하여 모순 표시부에 고장 표시를 한다.
메모리부는 정시 또는 예약시간을 세팅하며, 예약된 시간에 방송될 내용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일 실시 예로 매 시각마다 시보를 방송하거나, 예약시간에 미리 저장된 방송내용을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계부는 모순검지부를 통하여 정확한 시간으로 판단된 시간을 표시하며,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기, 비교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일 실시예로, 2개의 GPS 시간수신기 중 1개는 시보 수신기로 대체하여 비교부에서 매시간 단위로 시간정보를 비교하여 모순검지부에 비교데이터를 전송하는 일 실시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 예로, GPS 시간수신부, 비교부, 주제어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부는 2개의 GPS 시간수신기로 구성되어 병렬로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하나의 GPS 시간수신기가 고장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시간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거나 시간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GPS 시간수신기를 통해 시간 정보를 수신하며, 비교부는 일치회로(비교기;comparator)로 구성되어, 2개 GPS 시간수신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시간정보의 일치성 및 오차를 검출하여 시간정보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GPS 시간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년, 월, 일, 시, 분, 초 정보를 받아 비교기(일치회로)를 통하여 초 단위까지의 일치성 및 클록펄스의 일치성을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하며, 모순검지부는 비교 데이터의 일치여부에 따라 모순(고장) 판정시 모순검지부내 LED 및 LCD로 구성된 표시부를 통하여 고장표시하며, 메모리부는 관리자의 예약된 시간에 방송될 내용을 입력하여 저장하며, 예약시간에 전관방송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내용이 방송되며, 시계부는 비교부에서 2개의 GPS 시간수신기가 일치하여 모순검지부에서 정상으로 판단될 경우 현재 시간을 표시하며,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부, 비교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읽고 쓸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 및 정전시 전관방송장치에 구비된 무정전전원공급장치로 각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송 시스템
일 실시 예로, GPS 시간수신부는, 시보수신기와 GPS 시간수신기로 구성 및 비교부, 주제어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기와 시보수신기는 병렬로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하나의 GPS시간 수신기 또는 시보수신기의 고장으로 하나가 고장이 발생되어도 나머지 하나로 임시로 작동되며, 비교부는 일치회로(비교기;comparator)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기 및 시보수신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시간정보의 일치성 및 오차를 검출하여 시간정보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GPS 시간수신기의 년, 월, 일, 시, 분, 초 정보를 받아 정시에 시보수신기와 비교기(일치회로)를 통하여 일치성을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하며, 모순검지부는 입력부와 표시부로로 구성되어 입력부는 수동조작판넬로 구성되어 관리자가 입력하는 입력값(초기 입력값)에 따라 모순검지를 판정하는 것으로 수동조작판넬은 '십분의 일초' '백분의 일초' '천분의 일초'를 선택하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백분의 일초로 선택되었을 경우 비교부에서 GPS 시간수신기 및 시보수신기의 일치성이 백분의 일초 단위 이하로 오차가 발생할 경우 정상으로 간주하며 그 이상으로 오차가 발생할 경우 모순으로 검지하여 표시부에 고장 표시를 하며, 메모리부는 관리자에 의해 예약시간을 입력 및 예약된 시간에 방송될 내용을 입력하여 저장하며, 예약시간에 전관방송장치를 통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내용이 방송되며,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기, 시보수신기, 비교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송 시스템
일 실시 예로, 주제어부는 GPS 시간수신기, 비교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읽고 쓸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제어프로그램을 입력하는 수동조작판넬을 추가로 구성하여 모순검지부의 관리자의 입력값(초기 입력값)에 따라 모순검지를 판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동조작판넬으로 모순판단의 기준이 되는 기준값(일실시 예로, 십분의 일초' '백분의 일초' '천분의 일초' )를 입력하는 수동조작판넬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송 시스템
일 실시 예로, 모순검지부는 수동조작판넬, 표시부, 제어부로 구성되어 수동조작판넬은 3개 버튼으로 십분의 일초, 백분의 일초, 천분의 일초를 선택하여 관리자의 선택버튼 입력에 따라 오차범위를 선택하며,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수동조작판넬에서 선택된 오차범위 내에서 모순(오차) 판단하여, 수동조작 판넬에서 선택된 오차범위를 넘어 오차발생(모순발생)시, 표시부는 LED로 구성되어 표시부의 LED를 점등하는 제어부, 수동조작판넬, 표시부로 구성된 모순검지부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송 시스템
본 고안은 전관방송장치에 있어 정시에 예약방송 및 단위 시간마다 정확한 시각에 전관방송을 통하여 시간 및 안내방송을 할 수 있는 전관방송장치를 특징으로 메모리부의 메모리 내용, 일 실시 예로 " 현재 시각은 12시입니다." , "열차가 20분 후에 출발합니다." , "객장 종료 1분전입니다." 와 같이 다양한 응용예가 가능하다.
또한, 정확한 시간정보를 얻기 위하여 고가의 GPS MAIN CLOCK과 X-TAL OSC를 사용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저가의 GPS시간수신기 2개를 상호 병렬 보정하여 예약방송 및 단위 시간마다 정확한 시각에 전관방송을 할 수 있게 시간정보를 제공 또는 GPS 시간수신기와 시보수신기를 상호 병렬 보정하여 정확한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4)

  1. GPS 시간수신부, 비교부, 주제어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부는 2개의 GPS 시간수신기로 구성되어 병렬로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하나의 GPS 시간수신기가 고장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시간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거나 시간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GPS 시간수신기를 통해 시간 정보를 수신하며, 비교부는 일치회로(비교기;comparator)로 구성되어, 2개 GPS 시간수신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시간정보의 일치성 및 오차를 검출하여 시간정보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GPS 시간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년, 월, 일, 시, 분, 초 정보를 받아 일치회로(비교기)를 통하여 초 단위까지의 일치성 및 클록펄스의 일치성을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하며, 모순검지부는 비교 데이터의 일치여부에 따라 모순(고장) 판정시 모순검지부내 LED 및 LCD로 구성된 표시부를 통하여 고장표시하며, 메모리부는 관리자의 예약된 시간에 방송될 내용을 입력하여 저장하며, 예약시간에 전관방송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내용이 방송되며, 시계부는 비교부에서 2개의 GPS 시간수신기가 일치하여 모순검지부에서 정상으로 판단될 경우 현재 시간을 표시하며,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부, 비교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읽고 쓸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 및 정전시 전관방송장치에 구비된 무정전전원공급장치로 각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GPS 시간수신부는, 시보수신기와 GPS 시간수신기로 구성 및 비교부, 주제어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기와 시보수신기는 병렬로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하나의 GPS시간 수신기 또는 시보수신기의 고장으로 하나가 고장이 발생되어도 나머지 하나로 임시로 작동되며, 비교부는 일치회로(비교기;comparator)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기 및 시보수신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시간정보의 일치성 및 오차를 검출하여 시간정보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GPS 시간수신기의 년, 월, 일, 시, 분, 초 정보를 받아 정시에 시보수신기와 일치회로(비교기)를 통하여 일치성을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모순검지부로 전송하며, 모순검지부는 입력부와 표시부로로 구성되어 입력부는 수동조작판넬로 구성되어 관리자가 입력하는 입력값(초기 입력값)에 따라 모순검지를 판정하는 것으로 수동조작판넬은 '십분의 일초' '백분의 일초' '천분의 일초' 를 선택하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백분의 일초로 선택되었을 경우 비교부에서 GPS 시간수신기 및 시보수신기의 일치성이 백분의 일초 단위 이하로 오차가 발생할 경우 정상으로 간주하며 그 이상으로 오차가 발생할 경우 모순으로 검지하여 표시부에 고장 표시를 하며, 메모리부는 관리자에 의해 예약시간을 입력 및 예약된 시간에 방송될 내용을 입력하여 저장하며, 예약시간에 전관방송장치를 통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내용이 방송되며,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GPS 시간수신기, 시보수신기, 비교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주제어부는 GPS 시간수신기, 비교부, 모순검지부, 메모리부, 전관방송장치, 시계부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읽고 쓸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제어프로그램을 입력하는 수동조작판넬을 추가로 구성하여 모순검지부의 관리자의 입력값(초기 입력값)에 따라 모순검지를 판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동조작판넬으로 모순판단의 기준이 되는 기준값(일 실시 예로, 십분의 일초' '백분의 일초' '천분의 일초' )를 입력하는 수동조작판넬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모순검지부는 수동조작판넬, 표시부, 제어부로 구성되어 수동조작판넬은 3개 버튼으로 십분의 일초, 백분의 일초, 천분의 일초를 선택하여 관리자의 선택버튼 입력에 따라 오차범위를 선택하며,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수동조작판넬에서 선택된 오차범위 내에서 모순(오차) 판단하여, 수동조작판넬에서 선택된 오차범위를 넘어 오차발생(모순발생)시, 표시부는 LED로 구성되어 표시부의 LED를 점등하는 제어부, 수동조작판넬, 표시부로 구성된 모순검지부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송 시스템
KR20060016440U 2006-06-19 2006-06-19 자동방송 시스템 KR200425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6440U KR200425856Y1 (ko) 2006-06-19 2006-06-19 자동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6440U KR200425856Y1 (ko) 2006-06-19 2006-06-19 자동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856Y1 true KR200425856Y1 (ko) 2006-09-19

Family

ID=4177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6440U KR200425856Y1 (ko) 2006-06-19 2006-06-19 자동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8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72B1 (ko) * 2017-03-24 2017-06-08 주식회사 소비코프로페셔널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 기반 멀티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72B1 (ko) * 2017-03-24 2017-06-08 주식회사 소비코프로페셔널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 기반 멀티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7900B2 (en) Combination clock radio, weather station and message organizer
US4315332A (en) Electronic timepiece radio
CA2397278A1 (en) Wireless synchronous time system
US10264537B2 (en) Time code controlled logic device
US20050105399A1 (en) Appliance having a clock set to universal time
US6744351B2 (en) Central radio device and associated appliance
CN101155254A (zh) 电视机智能遥控器
KR200425856Y1 (ko) 자동방송 시스템
US7397999B2 (en) Signal receiver
JP2008507859A (ja) 自動チャネル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US7411869B2 (en) Wireless synchronous time system
JP4549885B2 (ja) 設備機器制御システム
KR200415310Y1 (ko) 지피에스에 의한 자동 시간교정 시계
KR100860105B1 (ko) 방송 시보 신호에 의한 표준 시각 정보 세팅 시스템 및그를 이용한 표준 시각 정보 세팅 방법
Lombardi et al. WWVB radio controlled clocks: Recommended practices for manufacturers and consumers
KR930005908B1 (ko) 시각자동 조정회로
WO2001048569A1 (fr) Systeme de reglage automatique d'horlogerie numerique et horlogerie numerique dotee d'une fonction de reglage automatique
JP3837093B2 (ja) 電波修正機能付きアラーム時計
JPH08160170A (ja) リモコン信号送信装置およびこれを受信する電子機器並びにリモコン信号を用いた時計校正システム
JP3009990B2 (ja) 受信機
JP2005069790A (ja) 時刻情報送受信装置、腕時計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230094373A (ko)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
JP2005348277A (ja) 電子機器
JPH08146162A (ja) 自動時刻設定装置
JP2006329948A (ja) 時計校正システム、機器本体、リモコンおよび時計校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