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373A -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373A
KR20230094373A KR1020210183500A KR20210183500A KR20230094373A KR 20230094373 A KR20230094373 A KR 20230094373A KR 1020210183500 A KR1020210183500 A KR 1020210183500A KR 20210183500 A KR20210183500 A KR 20210183500A KR 20230094373 A KR20230094373 A KR 20230094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time information
wave
detector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광
Original Assignee
김용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광 filed Critical 김용광
Priority to KR1020210183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373A/ko
Publication of KR20230094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G04G5/002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brought into action by radio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7/00Synchronisation
    • G04G7/02Synchronisation by radio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02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sent by a satellite, e.g. GPS
    • G04R20/04Tuning or receiv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08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broadcast from a long-wave call sign, e.g. DCF77, JJY40, JJY60, MSF60 or WWVB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2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an AM/FM standard signal, e.g. RDS
    • G04R20/22Tuning or receiving; Circui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를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지역에서 온/오프 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중에 표시부로 수신되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고 작동중 LED 및 수신완료 LED를 통해 사용자에게 작동상태를 알려주도록 하고,
안테나 또는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어 검파부를 경유하는 중에 시간정보로 수집하여 검출부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의 시간정보를 시간데이터로 전달받는 검출부에서는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선택하여 컨트롤러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의 가장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전달받는 컨트롤러는 충방전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면서 유·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시간표시장치의 유·무선 수신부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안되는 위치에 설치한 시간표시장치에서도 간단하게 시간을 설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omitted}
본 발명은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데이터의 수신이 어려운 내부에 설치한 시간표시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충방전배터리의 전원으로 온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본체를 수신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AM, FM, TV 중파, 단파, 위성 수신기(GPS) 및 장파에 의한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본체를 시간표시장치의 근접 위치로 이동한 후 유무선으로 수신한 시간정보를 시간표시장치에 전달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안되는 위치에 설치한 시간표시장치에서도 간단하게 시간을 설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계는 기준 클럭을 발생하고 이를 시분초로 분주한 후 LCD, LED를 통해 가시적으로 나타내거나 시계의 시침, 분침 및 초침을 사용하여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계는 과거의 기계식 시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한 시간을 유지하지만 어느 정도의 오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당히 틀린 시간을 나타나기 마련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시로 시간을 정시에 맞추도록 보정을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산업용 또는 과학기술용으로 정시를 요구하는 시계에는 매우 자주 시간을 보정을 하여야 했다.
시간의 보정은 시계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거나 노브를 돌려서 정시방송 등을 이용하여 표준시간으로 맞추는 작업이다.
이러한 시간 보정작업은 상당한 주의를 요하기 때문에 어렵고 번거로움을 피할 수 없으며, 특히 산업용 또는 과학기술용으로 자주 시간보정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 자체가 매우 불편한 일이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공개 제97-55659호는 라디오의 시보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신호데이터에 의해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96-38530 호는 라디오나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는 시보를 인식하여 휴대용 전자시계, 가정용 텔레비전 또는 비디오의 시계를 보정하는 디지털 시계를 개시한다.
이와 유사하게 한국 공개특허 제96-18813호는 방송국의 시보음을 검출하여 1초 간격의 시보음 전압레벨을 통한 기준값 설정으로 시간의 오차를 보정하는 시간 조정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한편 미국 특허 제4,582,434 호는 자동으로 여러 주파수를 스캔하여 가장 강한 주파수의 라디오 주파수를 선택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시간차를 보정하는 시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시간 보정장치나 방법은 모두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의 정시방송에 의존하고 있다. 이들 방송의 시보는 일반적으로 한 시간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보정 주기가 길어 정확한 시간을 확보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더욱이, 이들 방송국의 전파를 수신하는데는 고감도의 안테나가 필요하고 안테나를 구비하더라도 난청지역이나 음영지역에서는 전파 수신이 어려우며 특히 지하에 위치한 곳에서는 실질적으로 수신이 극히 미약하기 때문에, 시계의 시간보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이들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의 방송을 계속 수신하는 장치는 상당한 전원을 계속적으로 소모하므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없어 사실상 휴대용 시계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그리하여 2014년 01월 28일자 특허등록 제10-1358903호(자동 시간 교정장치)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AM 안테나, FM 안테나, TV 중파 안테나, 단파 안테나, GPS 수신부 및 장파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시간신호를 수집하여 제1 비교부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비교부에서 AM 시간정보, FM 시간정보, TV 중파 시간정보, 단파 시간정보, GPS에 의한 시간정보 및 장파의 시보음을 비교하여 비교 데이터를 검출부로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의 AM 시간정보, FM 시간정보, TV 중파 시간정보, 단파 시간정보, GPS에 의한 시간정보 및 장파의 시보음을 제1 비교부를 통하여 비교데이터로 전달받는 검출부에서는 제1 작동/대기 선택 타이머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으면서 내부의 제1 클록 발생기로부터의 비교 데이터에 의하여 가장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의 가장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전달받는 메인 컨트롤러에서는 전달되는 시간정보와 현재의 시간정보를 제2 비교부에서 출력하여 오차의 범위를 비교하도록 하고,
상기 제2 비교부로부터 오차의 범위에 따른 정보를 전달받은 메인 컨트롤러에서는 오차의 범위에 의하여 시간을 교정할 시기와 교정값에 따른 교정신호를 결정하도록 하고,
상기의 메인 컨트롤러에서 결정된 교정신호는 무선송신부로 전달되어 건물의 내부나 지하 또는 터널의 내부에 설치한 다수의 시계로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무선송신부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교정신호를 전달받는 각 시계의 무선수신부에서는 제2 작동/대기 선택 타이머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으면서 시간 교정을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무선수신부를 통하여 가장 최근의 시간정보를 전달받는 제3 비교부에서는 현재의 시간과의 오차에 의해 오차 범위 정보를 서브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시간을 교정할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내부의 제2 클록 발생기로부터 클록을 전달받으면서 상기의 시간을 교정할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시간조정부에서는 시간교정을 위한 클록 신호를 출력하여 시간교정이 작동하도록 다수의 시계에서 동시에 시간교정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의 AM 시간정보, FM 시간정보, TV 중파 시간정보, 단파 시간정보, GPS에 의한 시간정보 및 장파의 시보음은 상기의 AM 안테나, FM 안테나, TV 중파 안테나, 단파 안테나, GPS 수신부 및 장파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에 대해 각각 AM 검파부, FM 검파부, TV 중파 검파부, 단파 검파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검파부 및 장파 검파부를 경유하는 중에 AM 시간정보, FM 시간정보, TV 중파 시간정보, 단파 시간정보, GPS에 의한 시간정보 및 장파의 시보음으로 모두 수집하여 제1 비교부에 전달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 시간 교정장치에 의하여서는 교정장치가 창문 근처나 인터넷에 의한 데이터의 수신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된 경우에는 최초에 현재 시간을 입력하거나 시간의 조정이 필요할 때에도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하지만, 건물의 안쪽에 설치하였거나 터널, 지하벙커 등에 설치한 경우에는 시멘트 벽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장해를 받게 되므로 시간 데이터의 수신이 용이하지 않아 처음 시간을 설정하는 것 조차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의 수신이 어려운 내부에 설치한 시간표시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충방전배터리의 전원으로 온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본체를 수신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AM, FM, TV 중파, 단파, 위성 수신기(GPS) 및 장파에 의한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본체를 시간표시장치의 근접 위치로 이동한 후 유무선으로 수신한 시간정보를 시간표시장치에 전달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안되는 위치에 설치한 시간표시장치에서도 간단하게 시간을 설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는,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를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지역에서 온/오프 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중에 표시부로 수신되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고 작동중 LED 및 수신완료 LED를 통해 사용자에게 작동상태를 알려주도록 하고,
안테나 또는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어 검파부를 경유하는 중에 시간정보로 수집하여 검출부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의 시간정보를 시간데이터로 전달받는 검출부에서는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선택하여 컨트롤러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의 가장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전달받는 컨트롤러는 충방전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면서 유·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시간표시장치의 유·무선 수신부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안되는 위치에 설치한 시간표시장치에서도 간단하게 시간을 설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에 의하여서는 데이터의 수신이 어려운 내부에 설치한 시간표시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충방전배터리의 전원으로 온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본체를 수신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AM, FM, TV 중파, 단파, 위성 수신기(GPS) 및 장파에 의한 시간정보를 수신하면, 본체를 시간표시장치의 근접 위치로 이동한 후 유무선으로 수신한 시간정보를 시간표시장치에 전달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안되는 위치에 설치한 시간표시장치에서도 간단하게 시간을 설정하거나 수정하면서 정확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1)의 정면에는 표시부(2)를 형성하여 수신되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면에는 송·수신 안테나(3)와 온/오프 스위치(4)를 돌출되게 형성하면서 표시부(27)의 작동중 LED(5) 및 수신완료 LED(6)를 형성하고,
하면에는 전원용 USB 단자(7)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AM 안테나(11), FM 안테나(13), TV 중파 안테나(15), 단파 안테나(17), GPS나 글로나스 또는 갈릴레오의 위성 수신부(19) 및 장파 수신부(21)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에 대해 각각 AM 검파부(12), FM 검파부(14), TV 중파 검파부(16), 단파 검파부(18), 위성 검파부(20) 및 장파 검파부(22)를 경유하는 중에 AM 시간정보, FM 시간정보, TV 중파 시간정보, 단파 시간정보, 위성에 의한 시간정보 및 장파의 시보음으로 모두 수집하여 검출부(23)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의 AM 시간정보, FM 시간정보, TV 중파 시간정보, 단파 시간정보, 위성에 의한 시간정보 및 장파의 시보음을 시간데이터로 전달받는 검출부(23)에서는 가장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선택하여 컨트롤러(24)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의 가장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전달받는 컨트롤러(24)는 충전용 USB 단자(7)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전원부(25)를 통하여 충방전 배터리(26)에 충전하였다가 방전시켜 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 스위치(4)를 통한 시작신호를 입력받으면 표시부(27)의 작동중 LED(5)를 온시키도록 하고,
데이터의 수신이 용이한 장소에서 시간정보를 입력받으면 표시부(27)의 수신완료 LED(6)를 점등시켜 수신이 되었음을 알리도록 하고,
상기의 컨트롤러(24)에서는 전달되는 시간정보를 유·무선 송신부(28)를 통하여 시간표시장치(30)의 유·무선 수신부(31)로 전송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안되는 위치에 설치한 시간표시장치에서도 간단하게 시간을 설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는,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1)의 정면에는 표시부(2)를 형성하여 수신되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도록 한다.
상면에는 송·수신 안테나(3)와 온/오프 스위치(4)를 돌출되게 형성하면서 표시부(27)의 작동중 LED(5) 및 수신완료 LED(6)를 형성하고, 하면에는 전원용 USB 단자(7)를 돌출되게 형성한다.
컨트롤러(24)는 충전용 USB 단자(7)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전원부(25)를 통하여 충방전 배터리(26)에 충전하였다가 방전시켜 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시간표시장치(30)를 설치한 곳의 위치에서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 시간을 정확하게 설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1)를 시간표시장치(30)를 소지한 후 데이터의 송신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한 다음 온/오프 스위치(4)를 온시키면, 표시부(27)의 작동중 LED(5)를 점등하여 지금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동시에 AM 안테나(11), FM 안테나(13), TV 중파 안테나(15), 단파 안테나(17), GPS나 글로나스 또는 갈릴레오의 위성 수신부(19) 및 장파 수신부(21)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신한 신호에 대해 각각 AM 검파부(12), FM 검파부(14), TV 중파 검파부(16), 단파 검파부(18), 위성 검파부(20) 및 장파 검파부(22)를 경유하는 중에 AM 시간정보, FM 시간정보, TV 중파 시간정보, 단파 시간정보, 위성에 의한 시간정보 및 장파의 시보음으로 모두 수집하여 검출부(23)에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의 AM 시간정보, FM 시간정보, TV 중파 시간정보, 단파 시간정보, 위성에 의한 시간정보 및 장파의 시보음을 시간데이터로 전달받는 검출부(23)에서는 가장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선택하여 컨트롤러(24)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시간정보의 수신이 완료된다.
그리고 컨트롤러(24)에서 정면의 표시부(2)를 통하여 수신되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동시에 표시부(27)의 수신완료 LED(6)를 점등시켜 수신이 되었음을 알리도록 한다.
상기의 가장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전달받는 컨트롤러(24)는 전달되는 시간정보를 유·무선 송신부(28)와 송·수신 안테나(3)를 통하여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된 시간표시장치(30)의 유·무선 수신부(31)로 전송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안되는 위치에 설치한 시간표시장치에서도 간단하게 시간을 설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 2 : 표시부
3 ; 송·수신 안테나 4 ; 온/오프 스위치
7 ; 전원용 USB 단자 23 ; 검출부
24 ; 컨트롤러 27 ; 표시부
28 ; 유·무선 송신부 30 ; 시간표시장치
31 ; 유·무선 수신부

Claims (1)

  1.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1)의 정면에는 표시부(2)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송·수신 안테나(3)와 온/오프 스위치(4)와 표시부(27)의 작동중 LED(5) 및 수신완료 LED(6)를 형성하고,
    하면에는 전원용 USB 단자(7)를 돌출되게 형성하되,
    AM 안테나(11), FM 안테나(13), TV 중파 안테나(15), 단파 안테나(17), GPS나 글로나스 또는 갈릴레오의 위성 수신부(19) 및 장파 수신부(21)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에 대해 각각 AM 검파부(12), FM 검파부(14), TV 중파 검파부(16), 단파 검파부(18), 위성 검파부(20) 및 장파 검파부(22)를 경유하는 중에 AM 시간정보, FM 시간정보, TV 중파 시간정보, 단파 시간정보, 위성에 의한 시간정보 및 장파의 시보음으로 모두 수집하여 검출부(23)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의 AM 시간정보, FM 시간정보, TV 중파 시간정보, 단파 시간정보, 위성에 의한 시간정보 및 장파의 시보음을 시간데이터로 전달받는 검출부(23)에서는 가장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선택하여 컨트롤러(24)에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의 가장 안정적인 시간정보를 전달받는 컨트롤러(24)는 충전용 USB 단자(7)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전원부(25)를 통하여 충방전 배터리(26)에 충전하였다가 방전시켜 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 스위치(4)를 통한 시작신호를 입력받으면 표시부(27)의 작동중 LED(5)를 온시키도록 하고,
    데이터의 수신이 용이한 장소에서 시간정보를 입력받으면 표시부(27)의 수신완료 LED(6)를 점등시켜 수신이 되었음을 알리도록 하고,
    상기의 컨트롤러(24)에서는 전달되는 시간정보를 유·무선 송신부(28)를 통하여 시간표시장치(30)의 유·무선 수신부(31)로 전송하도록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
KR1020210183500A 2021-12-21 2021-12-21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 KR20230094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500A KR20230094373A (ko) 2021-12-21 2021-12-21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500A KR20230094373A (ko) 2021-12-21 2021-12-21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373A true KR20230094373A (ko) 2023-06-28

Family

ID=8700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500A KR20230094373A (ko) 2021-12-21 2021-12-21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3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3329B1 (en) Satellite signal reception device, timekeeping device, and satelllite signal reception method for a satellite signal reception device
JP5353303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衛星信号受信方法
EP1079285A2 (en) Clock system
JP5333014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閏秒更新情報受信方法
US8514667B2 (en) Electronic timepiece and reception control method for an electronic timepiece
JP5747630B2 (ja) 電子時計および時刻修正方法
JP5765145B2 (ja) 電子時計
JP5076921B2 (ja) 計時装置および計時装置の衛星信号受信方法
US79954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magnetic wave timepiece
JP2011163803A (ja) 無線中継装置及び報知方法
JP2001051077A (ja) 時刻修正用情報出力装置および自動時刻修正時計
US9007876B2 (en) Electronic timepiece
KR20230094373A (ko)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
JP2004530132A (ja) 自動時間設定を有するタイムキーパおよびそのための時間設定方法
JP5590198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閏秒更新情報受信方法
KR101358903B1 (ko) 자동 시간 교정장치
KR200415310Y1 (ko) 지피에스에 의한 자동 시간교정 시계
JP6911427B2 (ja) 電子機器および受信装置
US20210247724A1 (en) Radio-Controlled Timepie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Controlled Timepiece
JP5356996B2 (ja) 受信機およびgps腕時計
KR10149066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
JP2010216999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70109749A (ko) 실내 바늘시계의 구동시스템
JP3835308B2 (ja) 計時装置システム
KR19990084800A (ko) 표준시간으로 보정되는 시계 및 그 보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