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667B1 -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667B1
KR101490667B1 KR20130137284A KR20130137284A KR101490667B1 KR 101490667 B1 KR101490667 B1 KR 101490667B1 KR 20130137284 A KR20130137284 A KR 20130137284A KR 20130137284 A KR20130137284 A KR 20130137284A KR 101490667 B1 KR101490667 B1 KR 101490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ignal
data
microprocessor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광
Original Assignee
김용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광 filed Critical 김용광
Priority to KR2013013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G04G5/002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brought into action by radio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7/00Synchronisation
    • G04G7/02Synchronisation by radio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8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and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s of which represents the time, i.e. combinations of G04G9/02 and G04G9/08
    • G04G9/009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and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s of which represents the time, i.e. combinations of G04G9/02 and G04G9/08 using light valves, e.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02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sent by a satellite, e.g.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위성으로부터 기지국을 통하여 안테나와 증폭부와 대역통과 필터와 중간 주파수 변환부와 검파부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경유하여 시간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아 시간 표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수신한 순간의 시간 정보를 계산하는 시간 검출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시간 검출부로부터의 현재시간에 의하여 현재의 한국시간을 연산하는 시간 연산부와,
상기의 시간 연산부로부터 한국시간 정보를 전달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한국시간의 정보를 비롯한 정보를 전달받아 시각의 표시와 동작의 표시를 비롯한 내부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의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현재의 시간을 제1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1 LCD 구동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DC전원을 승압하여 데이터의 "H"값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시간정보의 데이터와 상기의 DC-DC 컨버터로부터 승압된 DC전원을 전달받으면서 고수준인 1의 상태와 저수준인 0의 상태 및 고임피던스 플로팅 상태의 세 가지의 상태를 갖는 디지털의 데이터를 DC 전원에 실어서 DC 전원선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3상태IC와,
상기의 3상태IC로부터 DC 전원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시간 정보의 데이터를 DC 전원으로부터 분리하면서 "0"과 "1"의 레벨의 방형파를 출력하는 슈미트 트리거IC와,
상기의 슈미트 트리거IC로부터 전달되는 시간정보의 데이터와 현재 표시되는 시간 정보와 비교하면서 시간 교정의 여부에 따른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의 비교부로부터 비교신호를 전달받으면 시간의 교정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자시계의 서브 컨트롤러와,
상기의 서브 컨트롤러로부터 시간을 교정할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서 현재시간을 제2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LCD 구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ime automatically of clock}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시계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뎀을 통하여 수신한 시간정보를 통하여 표준 시간 데이터를 검출하면서 정확한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간단한 구조의 DC 전력선 통신방식을 통하여 다수의 자시계에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신호선이나 복잡한 무선통신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모시계를 통한 표준 시간 데이터를 모든 자시계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계는 기준 클럭을 발생하고 이를 시,분,초로 분주한 후 LCD, LED를 통해 가시적으로 나타내거나 시계의 시,분,초침을 사용하여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계는 과거의 기계식 시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한 시간을 유지하지만 어느 정도의 오차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당히 틀린 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시로 시간을 정시에 맞추도록 보정을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산업용 또는 과학기술용으로 정시를 요구하는 시계에는 매우 자주 시간을 보정을 하여야 했다.
시간의 보정은 시계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거나 노브를 돌려서 정시방송 등을 이용하여 표준시간으로 맞추는 작업이다.
이러한 시간 보정작업은 상당한 주의를 요하기 때문에 어렵고 번거로움을 피할 수 없으며, 특히 산업용 또는 과학기술용으로 자주 시간보정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 자체가 매우 불편한 일이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공개 제97-55659호는 라디오의 시보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신호데이터에 의해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96-38530 호는 라디오나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는 시보를 인식하여 휴대용 전자시계, 가정용 텔레비전 또는 비디오의 시계를 보정하는 디지털 시계를 개시한다.
이와 유사하게 한국 공개특허 제96-18813호는 방송국의 시보음을 검출하여 1초 간격의 시보음 전압레벨을 통한 기준값 설정으로 시간의 오차를 보정하는 시간조정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한편 미국 특허 제4,582,434 호는 자동으로 여러 주파수를 스캔하여 가장 강한 주파수의 라디오 주파수를 선택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시간차를 보정하는 시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시간 보정장치나 방법은 모두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의 정시방송에 의존하고 있다. 이들 방송의 시보는 일반적으로 한 시간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보정 주기가 길어 정확한 시간을 확보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더욱이, 이들 방송국의 전파를 수신하는데는 고감도의 안테나가 필요하고 안테나를 구비하더라도 난청지역이나 음영지역에서는 전파 수신이 어려우며 특히 지하에 위치한 곳에서는 실질적으로 수신이 극히 미약하기 때문에, 시계의 시간보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이들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의 방송을 계속 수신하는 장치는 상당한 전원을 지속적으로 소모하므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없어 사실상 휴대용 시계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그리하여 1996년11월28일자 특허출원 제10-1996-0059174호(시보를 이용한 시간 자동 설정장치 및 방법)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방송국의 시보를 수신하는 시보 수신 단계,
상기 시보 수신 단계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을 갖고 반복하는 특정 주파수를 검출하는 주파수 검출 단계,
상기 주파수 검출 단계에서 소정 횟수의 특정 주파수가 검출되면 클럭이 조정되는 클럭 조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시보를 검출하는 여러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특정 방송의 특정의 주파수 성분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적어지며, 외부에서 동작하고 있는 시계도 자동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2006년 02월 09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03651호(지피에스에 의한 자동 시간교정 시계)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호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달받아 증폭하는 수신기의 증폭부와,
상기의 증폭된 신호에 대해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통과 필터와,
상기의 불필요한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검파 가능한 주파수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의 주파수에 대해 시간데이터만 추출하는 검파를 수행하는 검파부와,
상기의 검파된 시간데이터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거쳐 디지털신호로 수신되면 시간의 표시 및 교정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수신한 순간의 표준 시간 데이터를 추출하는 시간 검출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시간 검출부로부터의 표준 시간 데이터에 의하여 현재의 한국시간을 연산하는 시간 연산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발진기로부터의 주파수를 분주한 주파수에 의해 시간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체적으로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워치독타이머(WATCH DOG TIMER)와,
상기의 시간 연산부로부터 한국시간정보를 전달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시계의 컨트롤러에 한국시간정보를 전송하면서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RS232C의 제1 및 제2 통신모뎀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되는 한국시간의 정보를 비롯한 정보를 전달받아 시간의 표시와 동작의 표시를 비롯한 내부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의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현재의 동작에 따른 상태를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LCD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오전(AM)이나 오후(PM)의 표시를 하는 도트 점등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시간과 분 및 초의 두 자리씩을 표시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8비트 직렬입력 병렬출력의 3상태 래치와,
상기 8비트 직렬입력 병렬출력의 3상태 래치를 통해 출력되는 병렬출력에 의해 7세그먼트의 표시부에 숫자를 점등시키는 트랜지스터 어레이들로 구성함으로써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에 의해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세계시를 기준으로 현재 카운팅되는 시간과 비교하여 표준 시간 데이터를 항시 정확한 시간으로 교정할 수 있으며 스테이틱(static) 방식으로 모든 글자가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계의 시간을 수정하기 위한 구성에 의하여서는 하나의 시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건물에 다수의 시계가 있는 자모시계(母子時計)를 구성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각각의 시계가 서로 주파수 교란이나 선로 절단 또는 방송 사고에 의해 다른 시간으로 수정할 수 있게 되어 같은 건물에 다른 시간을 알리는 시계가 존재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하나의 시계에 상기의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틀린 시간을 알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자모시계는 큰 건물, 공장 등에 설치된 전기 설비, 서버 및 시스템을 정확하게 동작시키도록 전기 설비, 서버 및 시스템에 보다 정확한 시간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장치이므로 정확하고 일치된 시간정보에 의하여 전기 설비, 서버 및 시스템을 시간에 따라 일괄적으로 통제하여야 한다.
그러나, 건물 안쪽, 지하 및 터널과 같은 환경에 설치된 자모시계는 별도의 신호선을 통하여 표준 시간 데이터를 전송받기 때문에 배선 공사의 어려움과 함께 배선 공사의 공사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배선 공사 대신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표준 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으나, 소비 전력이 많이 드는 관계로 전원이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자모시계를 설치해야만 했었다.
더구나 건물의 안쪽이나 지하 또는 터널과 같은 위치에서는 GPS와 단파 및 중파의 신호가 원활하게 수신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시간으로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사람이 일일이 수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무선 통신의 방식 대신에 전원공급선 2라인과 통신선 2라인을 각각 사용하면서 전원과 시간 정보를 별도로 전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원공급선과 통신선을 별도로 사용하는 방식에 의하여서는 배선이 4라인이 필요하게 되어 설치비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 통신선의 길이가 길어지면 데이터 전압의 드롭폭이 커지게 되어 시간 정보의 정확한 전송이 불가능해지거나 선로에 침투하는 노이즈의 영향으로 인해 시간 정보의 오동작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원의 공급과 함께 시간 정보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AC전력선통신방식은 AC전용선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으면 데이터의 전송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는 노이즈 제거용 콘덴서를 전원부에 장착한 전자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송신측 전력선통신모뎀과 수신측 전력선통신모뎀의 사이에 전자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력선에 포함된 데이터를 노이즈로 판단하여 제거하게 되므로 수신측 전력선통신모뎀에서는 전원외에는 어떠한 데이터도 수신되지 않게 되어 전력선통신이 불가능해 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모시계에서 GPS 모뎀을 통하여 수신한 시간정보를 통하여 표준 시간 데이터를 검출하면서 정확한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간단한 구조의 DC 전력선 통신방식을 통하여 다수의 자시계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신호선이나 복잡한 무선통신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모시계를 통한 표준 시간 데이터를 모든 자시계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는,
위성으로부터 기지국을 통하여 안테나와 증폭부와 대역통과 필터와 중간 주파수 변환부와 검파부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경유하여 디지털의 시간 데이터를 전달받아 시간의 표시 및 교정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수신한 순간의 시간 정보를 계산하는 시간검출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시간 검출부로부터의 현재시간에 의하여 현재의 한국시간을 연산하는 시간연산부와,
상기의 시간 연산부로부터 한국시간 정보를 전달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한국시간의 정보를 비롯한 정보를 전달받아 시각의 표시와 동작의 표시를 비롯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1 표시구동부와,
상기 제1 표시구동부의 제어를 받으면서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제1 액정표시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DC전원을 승압하여 데이터 값이 "0"일 때에는 8∼12V, 데이터 값이 "1"일 대에는 16∼24V의 값으로 승압하여 데이터의 "H"값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DC-DC 컨버터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시간정보의 데이터와 상기의 DC-DC 컨버터로부터 승압된 DC전원을 전달받으면서 고수준인 1의 상태와 저수준인 0의 상태 및 고임피던스 플로팅 상태의 세 가지의 상태를 갖는 디지털의 데이터를 DC 전원에 실어서 DC 전원선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3상태IC와,
상기의 3상태IC로부터 DC 전원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시간 정보의 데이터를 DC 전원으로부터 분리하면서 "0"과 "1"의 레벨의 방형파를 출력하는 슈미트 트리거IC와,
상기의 슈미트 트리거IC로부터 전달되는 시간정보의 데이터와 현재 표시되는 시간 정보와 비교하면서 시간 교정의 여부에 따른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의 비교부로부터 비교신호를 전달받으면 시간의 교정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 컨트롤러와,
상기의 서브 컨트롤러로부터 시간을 교정할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서 현재시간을 제2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LCD 구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에 의하여서는 GPS 모뎀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시간 연산부에서 현재의 한국시간을 연산하여 모시계의 컨트롤러로 전달함으로써 제1 LCD 구동부를 통하여 제1 액정 표시부에 현재의 시간을 정확하게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시간정보의 데이터와 DC전원을 전달받는 3상태IC에서 고수준인 1의 상태와 저수준인 0의 상태 및 고임피던스 플로팅 상태의 세 가지의 상태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저주파의 데이터를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DC전원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3상태IC에서 출력되는 시간 정보의 데이터를 DC 전원에 대해 슈미트 트리거IC에서 "0"과 "1"의 레벨을 강조한 방형파의 DC전원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위성으로부터 기지국(10)을 통하여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1)와,
상기의 안테나(11)에서 수신한 미약한 전파 신호를 증폭하는 송,수신기(1)의 증폭부(12)와,
상기의 증폭부(12)에서 증폭된 신호에 대해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통과 필터(13)와,
상기의 불필요한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발진기(15)로부터 입력되는 설정된 주파수에 의해 검파 가능한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중간 주파수 변환부(14)와,
상기의 중간 주파수 변환부(14)에서 검파 가능하도록 변환된 중간 주파수에 대해 필요한 시간 데이터의 신호만 추출하는 검파를 수행하는 검파부(16)와,
상기의 검파부(16)에서 검파된 시간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7)와,
상기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7)를 경유하여 시간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아 시간의 표시 및 교정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8)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으면서 수신한 순간의 시간 정보를 계산하는 시간 검출부(19)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으면서 시간 검출부(19)로부터의 현재시간에 의하여 현재의 한국시간을 연산하는 시간 연산부(2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으면서 발진기(22)로부터의 주파수를 분주한 주파수에 의해 시간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체적으로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리얼 타임 클록(Real time clock)(21)과,
상기의 시간 연산부(20)로부터 한국시간 정보를 전달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8)로부터 한국시간의 정보를 비롯한 정보를 전달받아 시각의 표시와 동작의 표시를 비롯한 내부 동작을 제어하는 모시계(2)의 컨트롤러(31)와,
상기의 컨트롤러(31)의 제어를 받으면서 현재의 시간을 제1 액정 표시부(33)에 표시하는 제1 LCD 구동부(32)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으면서 DC전원을 승압하여 데이터 값이 "0"일 때에는 8∼12V, 데이터 값이 "1"일 대에는 16∼24V의 값으로 승압하여 데이터의 "H"값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DC-DC 컨버터(23)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로부터 시간정보의 데이터와 상기의 DC-DC 컨버터(23)로부터 승압된 DC전원을 전달받으면서 고수준인 1의 상태와 저수준인 0의 상태 및 고임피던스 플로팅 상태의 세 가지의 상태를 갖는 디지털의 데이터를 DC 전원에 실어서 DC 전원선(3)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3상태IC(24)와,
상기의 3상태IC(24)로부터 DC 전원선(3)을 통하여 전달되는 시간 정보의 데이터를 DC 전원으로부터 분리하면서 "0"과 "1"의 레벨의 방형파를 출력하는 수신기(4)의 슈미트 트리거IC(41)와,
상기의 슈미트 트리거IC(41)로부터 전달되는 시간정보의 데이터와 현재 표시되는 시간 정보와 비교하면서 시간 교정의 여부에 따른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42)와,
상기의 비교부(42)로부터 비교신호를 전달받으면 시간의 교정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자시계(5)의 서브 컨트롤러(51)와,
상기의 서브 컨트롤러(51)로부터 시간을 교정할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서 현재시간을 제2 액정 표시부(53)에 표시하는 제2 LCD 구동부(52)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성으로부터 기지국(10)을 통하여 전송되는 무선호출 신호를 송,수신기(1)의 안테나(11)에서 수신한다.
상기의 안테나(11)에서 수신한 미약한 전파 신호를 수신기(1)의 증폭부(12)에서 증폭한다.
상기의 증폭부(12)에서 증폭된 신호에 대해 대역통과 필터(13)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의 불필요한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전달받는 중간 주파수 변환부(14)에서 발진기(15)로부터 입력되는 설정된 주파수에 의해 검파 가능한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도록 한다.
상기의 중간 주파수 변환부(14)에서 검파 가능하도록 변환된 중간 주파수에 대해 검파부(16)에서는 필요한 시간 데이터의 신호만 추출하는 검파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의 검파부(16)에서 검파된 시간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7)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
상기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7)를 경유하여 시간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8)에서 시간의 표시 및 교정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는 시간 검출부(19)에서는 수신한 순간의 시간 정보를 계산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는 시간 연산부(20)에서는 시간 검출부(19)로부터의 현재시간에 의하여 현재의 한국시간을 연산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는 리얼 타임 클록(Real time clock)(21)에서는 발진기(22)로부터의 주파수를 분주한 주파수에 의해 시간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체적으로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의 시간 연산부(20)로부터 한국시간 정보를 전달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8)로부터 한국시간의 정보를 비롯한 정보를 전달받는 모시계(2)의 컨트롤러(31)에서는 시각의 표시와 동작의 표시를 비롯한 내부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의 컨트롤러(31)의 제어를 받는 제1 LCD 구동부(32)에서는 현재의 시간을 제1 액정 표시부(33)에 표시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는 DC-DC 컨버터(23)에서는 DC전원을 데이터 값이 "0"일 때에는 8∼12V, 데이터 값이 "1"일 대에는 16∼24V의 값으로 승압하여 데이터의 "H"값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로부터 시간정보의 데이터와 상기의 DC-DC 컨버터(23)로부터 승압된 DC전원을 전달받는 3상태IC(24)에서는 고수준인 1의 상태와 저수준인 0의 상태 및 고임피던스 플로팅 상태의 세 가지의 상태를 갖는 디지털의 데이터를 DC 전원에 실어서 DC 전원선(3)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의 3상태IC(24)로부터 DC 전원선(3)을 통하여 디지털의 데이터가 실린 DC 전원을 전달받는 수신기(4)의 슈미트 트리거IC(41)에서는 DC 전원으로부터 시간 정보의 데이터를 분리하면서 8∼12V일 때에는 "0", 16∼24V일 때에는 "1" 레벨의 방형파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의 슈미트 트리거IC(41)로부터 시간정보의 데이터를 전달받는 비교부(42)에서 현재 표시되는 시간 정보와 비교하면서 시간 교정의 여부에 따른 비교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의 비교부(42)로부터 비교신호를 전달받는 자시계(5)의 서브 컨트롤러(51)에서는 시간의 교정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의 서브 컨트롤러(51)로부터 시간을 교정할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제2 LCD 구동부(52)에서는 현재시간을 제2 액정 표시부(53)에 표시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송,수신기 2 : 모시계
3 : DC 전원선 4 : 수신기
5 : 자시계 10 : 기지국
18 : 마이크로 프로세서 31 : 컨트롤러
23 : DC-DC 컨버터 24 : 3상태IC
41 : 슈미트 트리거IC 51 : 서브 컨트롤러

Claims (1)

  1. 위성으로부터 기지국(10)을 통하여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1)와,
    상기의 안테나(11)에서 수신한 미약한 전파 신호를 증폭하는 송,수신기(1)의 증폭부(12)와,
    상기의 증폭부(12)에서 증폭된 신호에 대해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대역통과 필터(13)와,
    상기의 불필요한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전달받으면 발진기(15)로부터 입력되는 설정된 주파수에 의해 검파 가능한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중간 주파수 변환부(14)와,
    상기의 중간 주파수 변환부(14)에서 검파 가능하도록 변환된 중간 주파수에 대해 필요한 시간 데이터의 신호만 추출하는 검파를 수행하는 검파부(16)와,
    상기의 검파부(16)에서 검파된 시간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7)와,
    상기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7)를 경유하여 시간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아 시간의 표시 및 교정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8)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으면서 수신한 순간의 시간 정보를 계산하는 시간 검출부(19)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으면서 시간 검출부(19)로부터의 현재시간에 의하여 현재의 한국시간을 연산하는 시간 연산부(2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으면서 발진기(22)로부터의 주파수를 분주한 주파수에 의해 시간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체적으로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리얼 타임 클록(Real time clock)(21)과,
    상기의 시간 연산부(20)로부터 한국시간 정보를 전달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8)로부터 한국시간의 정보를 비롯한 정보를 전달받아 시각의 표시와 동작의 표시를 비롯한 내부 동작을 제어하는 모시계(2)의 컨트롤러(31)와,
    상기의 컨트롤러(31)의 제어를 받으면서 현재의 시간을 제1 액정 표시부(33)에 표시하는 제1 LCD 구동부(32)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의 제어를 받으면서 DC전원을 승압하여 데이터 값이 "0"일 때에는 8∼12V, 데이터 값이 "1"일 대에는 16∼24V의 값으로 승압하여 데이터의 "H"값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DC-DC 컨버터(23)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8)로부터 시간정보의 데이터와 상기의 DC-DC 컨버터(23)로부터 승압된 DC전원을 전달받으면서 고수준인 1의 상태와 저수준인 0의 상태 및 고임피던스 플로팅 상태의 세 가지의 상태를 갖는 디지털의 데이터를 DC 전원에 실어서 DC 전원선(3)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3상태IC(24)와,
    상기의 3상태IC(24)로부터 DC 전원선(3)을 통하여 전달되는 시간 정보의 데이터를 DC 전원으로부터 분리하면서 "0"과 "1"의 레벨의 방형파를 출력하는 수신기(4)의 슈미트 트리거IC(41)와,
    상기의 슈미트 트리거IC(41)로부터 전달되는 시간정보의 데이터와 현재 표시되는 시간 정보와 비교하면서 시간 교정의 여부에 따른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42)와,
    상기의 비교부(42)로부터 비교신호를 전달받으면 시간의 교정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자시계(5)의 서브 컨트롤러(51)와,
    상기의 서브 컨트롤러(51)로부터 시간을 교정할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서 현재시간을 제2 액정 표시부(53)에 표시하는 제2 LCD 구동부(5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
KR20130137284A 2013-11-13 2013-11-13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 KR101490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7284A KR101490667B1 (ko) 2013-11-13 2013-11-13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7284A KR101490667B1 (ko) 2013-11-13 2013-11-13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667B1 true KR101490667B1 (ko) 2015-02-05

Family

ID=5259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7284A KR101490667B1 (ko) 2013-11-13 2013-11-13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096B1 (ko) * 2016-04-08 2018-05-04 유한우 Gps 신호를 이용하여 시간 보정을 하는 시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891A (ko) * 2002-01-12 2003-07-23 주식회사 오라시스템 전기시계시스템
JP2005269553A (ja) 2004-03-22 2005-09-29 Yaskawa Electric Corp 時分割式直流電力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KR200415310Y1 (ko) 2006-02-09 2006-05-02 김용광 지피에스에 의한 자동 시간교정 시계
JP2006250817A (ja) 2005-03-11 2006-09-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自動時刻調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891A (ko) * 2002-01-12 2003-07-23 주식회사 오라시스템 전기시계시스템
JP2005269553A (ja) 2004-03-22 2005-09-29 Yaskawa Electric Corp 時分割式直流電力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2006250817A (ja) 2005-03-11 2006-09-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自動時刻調整システム
KR200415310Y1 (ko) 2006-02-09 2006-05-02 김용광 지피에스에 의한 자동 시간교정 시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096B1 (ko) * 2016-04-08 2018-05-04 유한우 Gps 신호를 이용하여 시간 보정을 하는 시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5011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EP3306349A3 (en) Systems and method for ais transponder integration with ils/vor receivers
TW2006115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wireless tv on/off
WO2010065408A3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control system of a vehicle using induction field communication
PH12019501300A1 (en) Wake-up radio
EP2565736A3 (en) Electronic timepiece
KR10149066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시간 교정장치
US200802532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magnetic wave timepiece
KR101991377B1 (ko) 동체활동 및 화재감지, 생체신호수신 기능이 구비된 댁내 무선방송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90115768A1 (en) Image providing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constituted by the same
KR101358903B1 (ko) 자동 시간 교정장치
JP2008096389A (ja) 電子機器、時刻管理装置、時刻設定プログラム、時刻設定方法
KR200415310Y1 (ko) 지피에스에 의한 자동 시간교정 시계
EP0933689B1 (en) Tim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RU2015122517A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наружного блока с применением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акой установки
KR20170109749A (ko) 실내 바늘시계의 구동시스템
KR20170102407A (ko) 외부 바늘시계의 구동시스템
KR20230094373A (ko) 이동형 시간데이터 전송장치
US20160127853A1 (en) Wireless inductive pointer clock
JP4858490B2 (ja) 防災情報受信装置、防災情報受信方法
US20160124394A1 (en) Wireless inductive pointer clock
EP3018538A1 (en) Wireless inductive pointer clock
CN216870813U (zh) 多功能型罗兰-c授时监测接收机
CN203849868U (zh) 无线交通信号控制系统
WO2006094221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eo-location indicator in response to a wake-up requ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