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728Y1 - 접지함 - Google Patents

접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728Y1
KR200425728Y1 KR2020060017091U KR20060017091U KR200425728Y1 KR 200425728 Y1 KR200425728 Y1 KR 200425728Y1 KR 2020060017091 U KR2020060017091 U KR 2020060017091U KR 20060017091 U KR20060017091 U KR 20060017091U KR 200425728 Y1 KR200425728 Y1 KR 200425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ing
wire
fasten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국헌
Original Assignee
정국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국헌 filed Critical 정국헌
Priority to KR2020060017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7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위의 배전선로상으로부터 인출한 접지선과 지중에 매설된 접지봉에 연결되는 접지전선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접지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접지함은 배전선로상에서 발생 되는 이상전압을 차단하는 전기시설물로서, 접지함 내측에서 이루어지는 접지를 통해 각종 전기 재해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전주상의 배전선로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과 지중에 매설하는 접지봉에 연결되는 접지전선을 클램프등으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접지봉의 저항측정이나 접지선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없었으며, 접지선이 여러 가닥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접지선의 배열에 따른 설치 및 정리가 깨끗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 접지함은 그 내측에 길이를 서로 달리하는 다수개의 접지단자를 가지며, 각각의 접지단자는 좌우 양측에 접지선 및 접지전선을 고정하는 체결구를 가지되, 상기 좌우 체결구는 연결편으로 서로 연결토록 한 것으로, 접지선과 접지전선을 신속히 연결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접지된 전선의 이상 여부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전선, 접지, 접지함, 단자

Description

접지함{grounding box}
도1은 본 고안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접지선을 서로 연결한 것을 보인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품인 체결구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품인 체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품인 체결구의 사용 상태 분해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부분 분해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타 실시 예로서 뚜껑을 생략한 상태의 평면도
도9는 본 고안의 타 실시 예로서 뚜껑을 생략한 상태의 평면도
도10은 종래의 접지함에 있어 사용되는 체결구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11은 종래의 접지함에 있어 사용되는 체결구의 사용 상태 분해 사시도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함체(접지함) 11: 인입구 12: 인입구
14: 볼트 15: 뚜껑 17: 볼트
18: 볼트 20: 접지선 21: 접지전선
30: 접지단자 31: 체결구 32: 체결구의 몸체
33: 연결편 35: 체결편 36: 만곡부
37: 관통구멍 38: 보강부 40: 절연판
본 고안은 전주위의 배전선로상으로부터 인출한 접지선과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과 연결되는 접지전선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다수개의 접지단자를 갖는 접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친 전력을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일반 수용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의 배전선로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전주에 설치되는 배전선로는 고전압선의 합선과 지락사고시 계전기의 동작을 확실히 하여 이상전압을 억제하고 낙뢰, 서지 등 이상전압에 의한 기기보호와 누전으로 인한 각종 전기 재해방지를 위하여 접지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기 재해 방지를 위해 수행하는 접지는 일정 깊이의 지하에 매설되는 접지봉에 배전선로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을 서로 연결하여 접지시키는 것으로, 대개 작업 공정상 배전선로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과 지하에 매설되는 접지봉을 직접 연결하지 않고, 배전선로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의 단부와 접지봉과 연결되는 접지전선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접지함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전주상의 배전선로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과 지중에 매설된 접지봉의 접지전선을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접지전선과 접지선의 양단부를 클램프등으로 연결 고정하므로 인하여 접지봉의 저항측정이나 접지선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없었으며, 또한 접지선이 한 가닥이 아니고 여러 가닥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접지선의 배열 설치가 곤란하며, 설치 후 뒷정리가 깨끗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으로 선 등록한 제289741호의 '접지함'이 있는바, 상기 선등록 고안은 전주의 배전선로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과 지중에 매립된 접지봉에 연결된 접지전선을 연결하여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함으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함체 저면에 접지선 인입구와 접지전선 인입구를 가지며, 함체 내측에는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개의 접지단자가 부착되며, 상기 각각의 접지단자 양측에는 고정볼트로 함체에 연결되는 체결구를 가지되, 일측의 체결구에는 접지선이 연결되고 타측의 체결구에는 접지전선이 연결되며, 상기 양측 체결구는 연결편으로 연결 되어지되, 상기 연결편의 양 단부는 결합요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선등록 고안의 경우, 함체 내측에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개의 접지단자가 부착되어 있어, 접지선과 접지전선을 신속히 연결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접지된 전선의 이상 여부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그러나, 상기 접지단자의 체결구에 접지선 및 접지전선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구(100)에 관통된 구멍(101)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101)에 접지선이나 접지전선을 끼우도록 하였는바, 이 경우 체결구(100)에 관통 구멍(101)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체결구 몸체의 두께가 두꺼워야 하는 단점이 발생하여 부품(원자재) 원가면에서 상당히 불합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선등록 고안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본 고안은, 체결구(31)의 몸체(32) 일측 전면에 반원형의 요홈(34)을 형성하고, 상기 반원형의 요홈(34)에 호응 되어 하나의 관통상태로 구멍(37)이 형성되도록 일측에 반원형 만곡부(36)가 형성된 체결편(35)을 볼트(14)로 몸체(32)에 고정토록 함으로써, 체결구의 몸체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지 아니하고도 전선을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종래에는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구(100) 몸체에 전선 끼움용 관통구멍(101)을 형성하므로 인하여 몸체의 두께가 두꺼워야 했으나, 본원고안은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 원자재 원가를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전주의 배전선로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20)과 지중에 매립된 접지봉에 연결된 접지전선(21)을 연결하여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함으로써, 개폐 가능한 뚜껑(15)을 갖는 함체(10) 저면에 접지선(20) 인입구(11)와 접지전선(21) 인입구(12)를 가지며, 함체(10) 내측에는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개의 접지단자(30)가 부착되며, 상기 각각의 접지단자(30) 양측에는 고정 볼트(17)로 함체(10)에 연결되는 체결구(31)를 가지되, 일측의 체결구(31)에는 접지선(20)이 연결되고 타측의 체결 구(31)에는 접지전선(21)이 연결되며, 상기 양측 체결구(31)는 연결편(33)으로 연결 되어 지되, 상기 연결편(33)의 양 단부는 결합요홈(33')(33")이 형성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31)는 몸체(32) 일측 전면에 반원형의 요홈(34)이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의 요홈(34)에 호응 되어 하나의 원통형 구멍(37)이 형성되도록 일측에 반원형 만곡부(36)가 형성된 체결편(35)을 볼트(14)로 체결구(31) 몸체(32)에 고정하되, 상기 체결편(35)이 체결구 몸체(32)의 상, 하부에 잘 밀착되도록 체결편(35)의 양 단부(35')가 절곡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함체(10)는 전주나 기타 부속물의 임의 높이에 부착 설치되며, 함체(10)의 저면에는 전주의 배전선로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20)을 끼워 넣는 타원형의 접지선 인입구(11)와, 지중에 매설된 접지봉과 연결되는 접지전선(21)을 끼워 넣는 타원형의 접지전선 인입구(12)를 갖는다.
따라서, 함체(10)의 저면에 형성된 타원형의 접지선 인입구(11)와 접지전선 인입구(12)를 통해 함체(10)로 들어온 전선의 단부는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각각의 접지단자(30)에 체결되어 각각의 접지선(20)과 접지전선(21)은 서로 연결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서로 그 길이를 달리하는 접지단자(30)는 양측에 체결구(31)를 갖게 되며, 양측 체결구(31)에는 접지선(20)과 접지전선(21)이 끼워지게 된다.
또한, 양측 체결구(31)는 연결편(33)으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의 양 측 단부는 체결이 용이하게 결합요홈(33')(33")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종래 고안(등록실용신안 289741호)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에 있어 체결구(31)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서, 이를 살펴보면, 체결구(31)의 몸체(32) 일측 전면에 반원형의 요홈(34)이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의 요홈(34)에 맞부착되어 하나의 원통형 구멍(37)이 형성되도록 일측에 반원형 만곡부(36)가 형성된 체결편(35)이 볼트(14)로 몸체(32)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체결구(31)의 경우, 몸체(32) 전면에 형성된 반원형 요홈(34)과 체결편(35)의 반원형 만곡부(36)가 합쳐져서 하나의 관통형 구멍(37)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구멍(37)에 접지선(20) 혹은 접지전선(21)이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끼워지는 접지선(20)이나 접지전선(21)의 경우, 그 직경이 상기 관통 구멍(37)보다 작을 경우에는 끼워지는 부위를 약간 감아 꼬아서 두껍게 구성하여 끼우면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체결구(31)에 원통형 구멍(37)을 구성하면, 체결구의 몸체(32)를 두껍게 형성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원자재의 소요를 상당히 줄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지선이나 접지전선을 끼우기 위하여 체결구(100)의 몸체에 관통구멍(101)을 형성토록 하였으나, 이는 제법 상당한 크기의 직경을 가져야 하는 관통구멍(101) 크기의 특성상 체결구(100)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는 결국 제조에 따른 원자재 소요를 가중시키게 되어 원가면에서 상당히 비경제적이었다.
특히 체결구(31)는 그 재질이 전기저항이 적은 구리나 동합금재로 구성되므로 원자재 가격이 상당히 고가인바, 본원고안과 같이 체결구의 몸체 두께를 줄이게 되면 원자재 수요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어 그 효과는 상당한 것이다.
한편,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17)는 함체(10)의 배면 쪽에서 끼워지는 것으로 체결구(31)를 함체(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볼트(14)는 체결편(35)을 체결구 몸체(3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볼트(18)는 연결편(33)을 체결구의 몸체(3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미설명부호 38은 보강부로서 체결편(35)의 두께를 약간 두껍게 하여 만곡부(36)의 지지력을 보다 강하게 보강한 것이며,
도8과 도9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 평면도로서 접지단자를 굴곡지게 설치하여, 양측 체결구에 전선을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9는 함체를 합성수지재가 아닌 금속 함체로 구성토록 한 것으로, 도면부호 40은 절연판을 표시한 것이다.
한편, 체결편(35)의 양 단부(35')는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절곡된 양 단부(35')가 체결구 몸체(32)의 상, 하부에 꽉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볼트(14)로 상기 체결편(35)을 체결구(31)의 몸체(32)에 고정시킬 때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 접지함은 배전선로로부터 인출한 접지선을 지중에 매설한 접지봉으로 연결하는 접지전선을 접지시키는 것으로, 이는 배전선로에서 유사시 발생 되는 합선, 지락 사고시 보호계전기의 동작을 확실히 하여 이상전압을 억제하게 되며, 전뢰, 써지등의 이상전압 발생시 기기보호와 누전시 발생 되는 전기재해를 방지하는 아주 중요한 전기설비로서, 본 고안과 같이 구성하면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접지선과 접지전선을 연결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접지된 전선의 이상 여부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체결구는 그 몸체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어, 원자재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주의 배전선로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20)과 지중에 매립된 접지봉에 연결된 접지전선(21)을 연결하여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함으로서, 개폐 가능한 뚜껑(15)을 갖는 함체(10) 저면에 접지선(20) 인입구(11)와 접지전선(21) 인입구(12)를 가지며, 함체(10) 내측에는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개의 접지단자(30)가 부착되며, 상기 각각의 접지단자(30) 양측에는 고정 볼트(17)로 함체(10)에 연결되는 체결구(31)를 가지되, 일측의 체결구(31)에는 접지선(20)이 연결되고 타측의 체결구(31)에는 접지전선(21)이 연결되며, 상기 양측 체결구(31)는 연결편(33)으로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편(33)의 양 단부는 결합요홈(33')(33")이 형성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31)는 몸체(32) 일측 전면에 반원형의 요홈(34)이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의 요홈(34)에 호응 되어 하나의 원통형 구멍(37)이 형성되도록 일측에 반원형 만곡부(36)가 형성된 체결편(35)을 볼트(14)로 체결구(31) 몸체(32)에 고정하되, 상기 체결편(35)이 체결구 몸체(32)의 상,하부에 잘 밀착되도록 체결편(35)의 양 단부(35')가 절곡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접지함.
KR2020060017091U 2006-06-26 2006-06-26 접지함 KR200425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91U KR200425728Y1 (ko) 2006-06-26 2006-06-26 접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91U KR200425728Y1 (ko) 2006-06-26 2006-06-26 접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728Y1 true KR200425728Y1 (ko) 2006-09-06

Family

ID=4177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091U KR200425728Y1 (ko) 2006-06-26 2006-06-26 접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7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121A (ko) * 2022-08-23 2022-09-13 (주)다성테크놀로지 급단전 단로기기 안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121A (ko) * 2022-08-23 2022-09-13 (주)다성테크놀로지 급단전 단로기기 안전 시스템
KR102475668B1 (ko) 2022-08-23 2022-12-08 (주)다성테크놀로지 급단전 단로기기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753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US8277263B1 (en) Intersystem grounding bridge
CN206332400U (zh) 一种导线分线盒
KR101389250B1 (ko) 퓨즈 유닛
KR100909098B1 (ko) 합선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 접속체
KR101948550B1 (ko) 폴리머 배전용 피뢰기
KR200425728Y1 (ko) 접지함
KR100549981B1 (ko) 콘크리트전주 접지선 연결장치
KR101022515B1 (ko) 배전선 접지장치
CN201359894Y (zh) 带有接地杆和穿刺线夹的支柱式避雷器装置
KR100830397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101022720B1 (ko) 전기계량기함 터미널블록
KR200289741Y1 (ko) 접지함
CN207200467U (zh) 一种电动汽车用电机接线盒结构
KR20110006154A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주용 라인 포스트 애자와 폴리머 피뢰기 설치구조
KR20110006152A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주용 라인 포스트 애자와 폴리머 피뢰기 설치구조
CN215680994U (zh) 一种全浇注接地排
CN205231295U (zh) 一种负荷开关用高压绝缘保护线
CN210490392U (zh) 一种配电线路绝缘增强器
JP2004119187A (ja) バッテリ構成方法
US4952898A (en) Transformer secondary buss adapter apparatus
KR100544695B1 (ko) 전주용 접지장치
CN214479462U (zh) 一种低压架空导线相间支撑件
KR100934257B1 (ko) 공동주택의 내선 배전용 전선라인 커넥터
CN213547223U (zh) 一种输出线的卡装结构及双定子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