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349Y1 - 용기 안전캡 - Google Patents

용기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349Y1
KR200425349Y1 KR2020060013726U KR20060013726U KR200425349Y1 KR 200425349 Y1 KR200425349 Y1 KR 200425349Y1 KR 2020060013726 U KR2020060013726 U KR 2020060013726U KR 20060013726 U KR20060013726 U KR 20060013726U KR 200425349 Y1 KR200425349 Y1 KR 200425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uter cap
container
stoppe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60013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3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3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장착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을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캡과 동시에 내캡이 연동하면서 잠김 고정되어지게 함과 동시에 용기로부터 캡을 분리할 때에는 외캡이 풀림방향으로 어느정도 회전되어진 이후 외캡에 의해 내캡이 회전되면서 풀려지도록 하되, 풀림방향으로 회전된 외캡에 가해졌던 외력이 해제되어지면 외캡이 스프링의 감기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신체구조상 캡의 회전각도가 작은 어린 아이들이 캡을 쉽게 열 수 없게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어린아이들이 쉽게 열지못하도록 된 용기 안전캡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은 용기몸체(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내캡(10)과 상기 내캡(10)에 조립된 외캡(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캡(20)을 잠김 방향으로 회전시켰을때 내캡(10)에 회전력이 바로 발생하면서 잠겨지고, 상기 외캡(20)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상기 외캡(20)만이 일정구간까지 헛돌아 가도록함에 따라 어린아이들이 안전캡을 열 수 없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안전캡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용기 안전캡, 내캡, 외캡, 잠김스토퍼, 풀림스토퍼, 스프링고정부재, 코일스프링, 스토퍼

Description

용기 안전캡{ Safety cap of cas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 안전캡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 안전캡이 용기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의한 용기 안전캡이 용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 안전캡을 열기 위해 회전시키고 있는 상태의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 안전캡을 회전시켜 열 수 있는 상태의 평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몸체 10 : 용기 내캡
11 : 결합환테 12 : 스프링 안착홈
20 : 외캡 21 : 결합환홈
30 : 스프링
본 고안은 각종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장착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을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캡과 동시에 내캡이 연동하면서 잠김 고정되어지게 함과 동시에 용기로부터 캡을 분리할 때에는 외캡이 풀림방향으로 어느정도 회전되어진 이후 외캡에 의해 내캡이 회전되면서 풀려지도록 하되, 풀림방향으로 회전된 외캡에 가해졌던 외력이 해제되어지면 외캡이 스프링의 감기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신체구조상 캡의 회전각도가 작은 어린 아이들이 캡을 쉽게 열 수 없게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몸체에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할 목적으로 캡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용기몸체에 장착되는 캡은 주로 통상의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캡을 분리, 장착할 수 있도록된 용기는 누구나가 쉽게 개방할 수 있어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들도 쉽게 열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캡의 개방이 용이함에 따라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들에 의한 내용물 낭비는 물론 인체에 유해한 내용물로부터 어린아이들을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나사결합식 캡을 가지는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 안전 캡이다.
대표적인 종래 안전 캡으로는 내캡과 외캡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의 상면에 걸림요홈이 일정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고, 외캡의 내저면에는 상기의 내 캡에 형성된 걸림요홈에 위치하여 내캡을 잠그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전 캡은 용기로부터 안전 캡을 열고 닫을 때 외캡의 윗면을 눌러 상기 외캡의 내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내캡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요홈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돌리도록 한 구조이어서 아이들의 행동의 형태상 캡을 눌러서 돌리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안전캡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있다.
본 고안은 종래 안전 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몸체에 장착되는 내캡과 그 외측으로 씌워져 장착되는 외캡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의 감김 탄성력에 의해 외캡의 스토퍼가 내캡의 잠김스토퍼에 위치하여져 있어 캡을 장착할때 즉시 잠김이 일어나는 반면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스프링의 풀림 탄성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외캡의 스토퍼가 내캡의 풀림스토퍼에 닿을때 까지의 거리가 있어 신체 발육상 손목의 회전 각도가 작을 수 밖에 없는 아이들에 의해 외캡이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지더라도 외캡의 스토퍼가 내캡의 풀림스토퍼에 닿지 않아 캡을 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풀림방향으로 외캡을 회전시킨 후 재차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외캡으로부터 손을 떼면 외캡이 코일스프링의 감김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위치하여져 어린 아이들이 열 수 없는 것이어서 분별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이 캡을 쉽게 열어 내용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보호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 서 아이들이 캡을 열어 인체에 유해한 내용물을 먹게 되는 폐단을 해소시킨 용기 안전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어린아이들이 쉽게 열지못하도록 된 용기 안전캡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은 용기몸체(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내캡(10)과 상기 내캡(10)에 조립된 외캡(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캡(20)을 잠김 방향으로 회전시켰을때 내캡(10)에 회전력이 바로 발생하면서 잠겨지고, 상기 외캡(20)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상기 외캡(20)만이 일정구간까지 헛돌아 가도록함에 따라 어린아이들이 쉽게 안전캡을 열 수 없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안전캡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용기 안전캡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몸체(1)에 장착되는 내캡(10)과, 상기 내캡(10)에 조립되는 외캡(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캡(10)은 외주면에 외캡(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환홈(21)이 체결되는 결합환테(1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코일스프링(30)이 장착되는 스프링안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안착홈(12)에는 코일스프링(30)의 하부고정단(31)이 고정되는 스 프링고정부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고정부재(13)와 이웃하는 위치에 풀림스토퍼(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풀림스토퍼(14)로부터 60~350도의 각을 이루는 위치에 잠김스토퍼(15)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효과적으로 어린이가 캡을 한번에 회전시킬 수 있는 각도의 한계인 90도 이상으로 하고 어른들이 캡을 한번에 회전시킬 수 있는 각도인 120도 이하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캡(10)에 장착되는 외캡(20)은 내측면에 상기 내캡(10)의 결합환테(11)가 끼워지는 결합환홈(21)이 형성되어 있고, 내저면에는 코일스프링(30)의 상부고정단(32)이 고정되어 지는 스프링고정부재(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캡(20)의 스프링고정부재(22)는 내캡(10)의 잠김스토퍼(15)와 풀림스토퍼(14)의 사이에서 활동되어질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내캡(10)과 외캡(20)의 사이에는 내캡(10)의 스프링고정부재(13)와 외캡(20)의 스프링고정부재(22)에 각각 고정되어 지는 상,하부고정단(32)(31)을 가지는 코일스프링(30)이 설치되어 진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용기 안전캡은 내캡(10)의 상부에서 외캡(20)을 밀어 넣어 조립하게 되는데, 상기 내캡(10)과 외캡(20)의 사이에 코일스프링(30)을 게재시킨다.
상기 코일스프링(30)을 설치할 때에는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고정단(32)을 외캡(20)의 내저면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재(22)에 위치하도록 하고, 하부에 형성된 하부고정단(31)은 내캡(10)의 스프링안착홈(12)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재(13)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외캡(20)과 내캡(10)을 조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외캡(20)과 내캡(10)은 상기 내캡(10)에 형성된 결합환테(11)가 외캡(20)의 결합환홈(21)에 끼워져 결합 된다.
상기와 같이 코일스프링(30)을 게재시켜 상기 외캡(20)과 내캡(10)을 조립할때 상기 외캡(20)의 스프링고정부재(22)가 상기 내캡(10)의 스프링안착홈(12)에 형성되어 있는 잠김스토퍼(15)와 풀림스토퍼(1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한 외캡(20)의 스토퍼(22)는 코일스프링(30)의 감김탄성력에 의해 내캡(10)의 잠김스토퍼(15)에 도3에서와 같이 항상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내캡(10)과 외캡(20)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용기 안전캡을 용기몸체(1)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장착할 때 외캡(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3에서와 같이 외캡(20)의 스토퍼(22)가 코일스프링(30)의 잠김탄성력에 의해 내캡(10)의 잠김스토퍼(15)에 접촉되어 있어 외캡(20)의 회전과 동시에 내캡(10)이 회전하면서 용기몸체(1)에 장착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착되어 용기몸체(1)에 수용된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 안전캡을 분리하여 용기몸체(1)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외캡(20)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캡(20)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캡(10)의 잠김스토퍼(15)에 접촉되어 있던 외캡(20)의 스프링 고정부재(22)가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내캡(10)의 풀림스토퍼(14)에 접촉되어지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외캡(20)을 회전시킴에 따라 내캡(10)이 용기몸체(1)로부터 회전되어 분리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캡(20)의 풀림방향 회전으로 내캡(10)이 용기몸체(1)로부터 분리되어지도록된 본 고안의 용기 안전캡은 상기 외캡(20)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코일스프링(30)에 반발력이 발생하여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외캡(20)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코일스프링(30)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외캡(20)이 원래의 위치로 뒤돌아 가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외캡(20)을 최소한 60~350도까지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된 구조이어서 신체 발육상 손목의 회전 각도가 작을 수 밖에 없는 아이들이 쉽게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 안전캡은, 용기몸체(10)에 장착되는 내캡(10)과 그 외측으로 씌워져 장착되는 외캡(20)의 사이에 코일스프링(30)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30)의 잠김 탄성력에 의해 외캡(20)의 스토퍼(22)가 내캡(10)의 잠김스토퍼(15)에 항상 위치하여져 있어 안전캡을 장착할때 내캡(10)이 잠김방향으로의 회전이 즉시 발생하는 반면 외캡(20)을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스프링(30)에 의한 탄성 반발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외캡(20)의 스토퍼(22)가 내캡(10)의 풀림스토퍼(14)에 닿을때 까지의 활동거리가 60~350도의 각도를 갖고 형성된 잠김스토퍼(15)와 풀림스토퍼(14)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 신체 발육상 손목의 회전 각도가 작을 수 밖에 없는 아이들에 의해 외캡이 풀림방향으로 회전되어지더라도 외캡(20)의 스토퍼(22)가 내캡(10)의 풀림스토퍼(14)에 닿지 않아 안전캡을 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풀림방향으로 외캡(20)을 회전시킨 후 제차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외캡(20)으로부터 손을 떼면 외캡(20)이 코일스프링(30)의 감김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위치하여져 어린 아이들이 열 수 없는 것이어서 분별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이 캡을 쉽게 열어 내용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보호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아이들이 캡을 열어 인체에 유해한 내용물을 먹게 되는 폐단을 해소시킨 용기 안전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4)

  1. 어린아이들이 쉽게 열지못하도록 된 용기 안전캡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은 용기몸체(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내캡(10)과 상기 내캡(10)에 조립된 외캡(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캡(20)을 잠김 방향으로 회전시켰을때 내캡(10)에 회전력이 바로 발생하면서 잠겨지고, 상기 외캡(20)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상기 외캡(20)만이 일정구간까지 헛돌아 가고 외캡(20)에서 손을 떼면 외캡(20)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함에 따라 어린아이들이 쉽게 안전캡을 쉽게 열수 없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안전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안전캡은 스프링안착홈(12)에 코일스프링(30)의 하부고정단(31)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부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고정부재(13)와 이웃하여 풀림스토퍼(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풀림스토퍼(14)로부터 일정구간 떨어진 지점에 잠김스토퍼(15)가 형성되어 있는 내캡(10)과;
    상기 내캡(10)의 내저면에 코일스프링(30)의 상부고정단(32)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부재(22)가 형성되어 있는 외캡과;
    상기 내캡(10)과 외캡(20) 사이에 위치하여 하부고정단(31)은 내캡(10)의 스프링고정부재(13)에, 상부고정단(32)은 외캡(20)의 스프링고정부재(22)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안전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10)의 풀림스토퍼(14)와 잠김스토퍼(15)사이에서 상기 외캡(20)의 스프링 고정부재(22)가 헛돌 수 있도록 상기 풀림스토퍼(14)와 잠김스토퍼(15)간의 각도가 60~350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안전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스토퍼(14와) 잠김스토퍼(15)간의 각도가 90~120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안전캡.
KR2020060013726U 2006-05-23 2006-05-23 용기 안전캡 KR200425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726U KR200425349Y1 (ko) 2006-05-23 2006-05-23 용기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726U KR200425349Y1 (ko) 2006-05-23 2006-05-23 용기 안전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349Y1 true KR200425349Y1 (ko) 2006-09-06

Family

ID=4177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726U KR200425349Y1 (ko) 2006-05-23 2006-05-23 용기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3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8012A (zh) * 2018-11-09 2019-02-22 深圳市石开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防护包装容器及其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8012A (zh) * 2018-11-09 2019-02-22 深圳市石开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防护包装容器及其使用方法
CN109368012B (zh) * 2018-11-09 2024-04-12 东莞市石开科技有限公司 一种儿童防护包装容器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69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US5819967A (en) Child-resistant, senior friendly container
EP1413524B1 (en) Safety cap
KR200422318Y1 (ko) 용기 안전캡
JP5257503B2 (ja) ロック付き飲料用容器の栓体
KR200425349Y1 (ko) 용기 안전캡
US4106651A (en) Left and right handed child-resistant safety cap
JP2003104408A (ja) チャイルドプルーフキャップ
US6032811A (en) Child resistant cap assembly
KR200441176Y1 (ko) 화장품 안전 용기
US11007812B1 (en) Writing instrument with locking cap
KR200432216Y1 (ko) 용기 안전캡
KR200436890Y1 (ko) 용기 안전캡
JPS61178A (ja) ウエツトテイシユ収納容器
KR200383084Y1 (ko) 안전용기
JP4281027B2 (ja) 化粧料容器
KR200437010Y1 (ko) 안전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H10152155A (ja) 容器の安全キャップ
WO2015069730A1 (en) Secured storage apparatus
KR20210085085A (ko) 원터치로 여닫을 수 있는 텀블러(물병)
JP2002106232A (ja) 覆蓋ロック装置及び覆蓋
KR102256499B1 (ko) 어린이 보호용 안전캡을 구비한 캡슐세제용 보관용기
KR920002415Y1 (ko) 수도미터보호통 덮개의 뚜껑개폐장치
KR20050018836A (ko) 문 손 끼임 방지구
JP4333874B2 (ja) 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