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257Y1 -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257Y1
KR200425257Y1 KR2020060016877U KR20060016877U KR200425257Y1 KR 200425257 Y1 KR200425257 Y1 KR 200425257Y1 KR 2020060016877 U KR2020060016877 U KR 2020060016877U KR 20060016877 U KR20060016877 U KR 20060016877U KR 200425257 Y1 KR200425257 Y1 KR 200425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hollow tube
fastening member
fixed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2020060016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2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2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중공관부가 폭방향으로 이어진 납작형관 형태의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밀착하여 제1체결부재(14)로 고정된 연결체(12)와, 상기 포스트의 하단에 밀착하여 제2체결부재(18)로 고정되는 베이스대(16)를 구비하되, 상기 포스트의 중공관부는 폭방향 양측의 측 중공관부(22)와 이 측 중공관부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 중공관부(24)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트의 상단의 중간 중공관부(24)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14)가 체결되는 구멍(24a)이 포스트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측 중공관부(22)의 외측 내부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18)가 체결되는 구멍을 가진 조립보스(22a)가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의 하단의 측 중공관부(22)의 외측일부에는 상기 베이스대(16)가 끼워져 상기 제2체결부재(18)에 의해 고정되도록 절개된 절개부(22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부품과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연결부위의 유격을 줄이며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leg of furniture}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2는 도1의 포스트의 단면도,
도3은 도1의 연결체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1의 베이스대의 상세도,
도5는 도4의 베이스대가 포스트에 결합되는 상태도,
도6은 도1의 연결조인트가 결합되는 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접이식 테이블(1인용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접이식 테이블(미팅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스트 12 : 연결체
14 : 제1체결부재 16 : 베이스대
18 : 제2체결부재 22 : 측 중공관부
24 : 중간 중공관부 26 : 커버
30 : 연결 조인트
본 고안은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 테이블, 보드 및 강연대 등의 가구는 상판의 하측에 다리가 결합되어 지지하게 된다. 종래 이러한 가구용 다리는 금속재일 경우에는 용접등의 방법으로 상판 또는 프레임에 연결되거나, 목재나 플라스틱재일 경우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판 또는 프레임에 직접 연결되거나 연결부품을 매개로 상판 또는 프레임에 연결된다.
상기 가구용 다리가 체결부재로 연결될 경우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조립/출고되거나 부분적으로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가구용 다리에서는 가구와 다리를 조립 및 해체하기가 복잡하고 부품간의 연결부위에서 유격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스템가구의 경우에 다리의 포스트에 각종 부품을 연결하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 다리의 조립 및 해체가 더욱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부품과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연결부위의 유격을 줄이며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는, 다수의 중공관부가 폭방향으로 이어진 납작형관 형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밀착하여 제1체결부재로 고정된 연결체와, 상기 포스트의 하단에 밀착하여 제2체결부재로 고정되는 베이스대를 구비하되, 상기 포스트의 중공관부는 폭방향 양측의 측 중공관부와 이 측 중공관부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 중공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트의 상단의 중간 중공관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구멍이 포스트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측 중공관부의 외측 내부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구멍을 가진 조립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의 하단의 측 중공관부의 외측일부에는 상기 베이스대가 끼워져 상기 제2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체는 몸체부와, 상기 측 중공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형성된 측 삽입부와, 상기 중간 중공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형성된 중간 삽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 삽입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대는 상기 절개부에 끼워져 상기 제2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포스트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푸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 중공관부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조립홈띠가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대의 고정부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진 조립보스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조립홈띠에 끼워지는 리브가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 어 있다.
상기 포스트의 상단 외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에 함께 체결되어 보조포스트를 연결하는 연결 조인트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간 중공관부는 상기 측 중공관부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이 두께 차이로 인해 상기 중간 중공관부 사이에는 홈띠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띠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가 보이지 않도록 커버가 끼워져 있다.
상기 베이스대의 고정부의 단부에는 다리의 하부를 막도록 마감캡이 결합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다수의 중공관부를 가진 납작형관 형태의 포스트(10)의 상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판이 연결되는 연결체(12)가 중공관부에 삽입되어 제1체결부재(14)로 고정되고, 상기 포스트(10)의 하단에는 베이스대(16)가 밀착하여 제2체결부재(18)로 고정된다.
도2에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0)의 중공관부는 폭방향 양측의 측 중공관부(22, 22)와 이 측 중공관부(22, 22)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 중공관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의 중간 중공관부(24)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14)가 체결되는 구멍(24a)이 포스트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중공관부(24)는 상기 측 중공관부(22, 22)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이 두께 차이로 인해 상기 중간 중공관부(24) 사이에는 홈띠부(24b)가 형성되고, 상기 홈띠부(24b)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14)가 보이지 않도록 커버(26)가 끼워져 있다.
본 고안은 포스트의 전면에서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조립을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10)의 측 중공관부(22, 22)의 외측 내부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18)가 체결되는 구멍(22a-1)을 가진 조립보스(22a)가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0)의 하단의 측 중공관부의 외측일부에는 상기 베이스대(16)가 끼워져 상기 제2체결부재(18)에 의해 고정되도록 절개된 절개부(22b : 도1에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 중공관부(22)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대(16)의 후술하는 고정부가 끼워지는 조립홈띠(22c)가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12)는 몸체부(12a)와, 상기 측 중공관부(22)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12a)에서 돌출형성된 측 삽입부(12b)와, 상기 중간 중공관부(24)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12a)에서 돌출형성된 중간 삽입부(1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 삽입부(12c)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14)가 끼워지는 관통구멍(12c-1)이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대(16)는 상기 포스트(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데, 상기 절개부(22b)에 끼워져 상기 제2체결부재(18)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6a)와, 상기 고정부(16a)에서 상기 포스트(10)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푸트부(16b)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대(16)의 고정부(16a)의 중간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18)가 삽입 되는 구멍(16a-2)을 가진 조립보스(16a-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6a)의 외측 모서리에는 상기 조립홈띠(22c)에 끼워지는 리브(16a-3)가 고정부(16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트부(16b)의 단부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단부에는 바퀴(28)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대(16)의 고정부(16a)가 상기 포스트(10)의 조립홈띠(22c)에 끼워지고 제2체결부재(18)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16a)의 단부에는 다리의 하부를 막도록 마감캡(29)이 결합되어 마감된다.
도5는 상기 베이스대(16)의 고정부(16a)가 상기 포스트(10)의 조립홈띠(22c)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조립된 베이스대(16)는 포스트에 흔들림없이 연결할 수 있으며 볼트조립은 하단에서 이루어지므로 조립부의 노출이 없고 마감캡에 의해 마무리되어 외관이 더욱 미려하게 된다.
상기 포스트(10)의 상단 외면에는 보조포스트(도시안됨)를 연결하는 연결 조인트(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결 조인트(3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체결부재(42)에 의해 포스트(10)의 중간 중공관부(24)에 고정되는데, 몸체부(32)의 상단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돌출된 삽입부(34)를 구비하는데, 상기 몸체부(32)의 외측면(상기 삽입부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가스실린더의 로드부가 힌지결합되는 플랜지(3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체결부재(42)는 제1체결부재(14)와 함께 상기 커버(26)에 의해 가리워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 조인트(30)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조 포스트를 가진 접이식 테이블(1인용 테이블)(50)에 적용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 된 접이식 테이블(50)은 포스트(10)의 상단에 폴딩힌지(52)를 매개로 상판(54)의 일측 가장자리 중앙부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폴딩힌지(52)에서 소정의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벌어진 수평부(56a)와 이 수평부(56a)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56b)를 가진 한쌍의 보조 포스트(56)를 구비하며, 다리 연결조인트(30)가 상기 폴딩힌지(52)에 인접하여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보조 포스트(56)의 수평부(56a)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 조인트(30)에서 상기 상판(54)의 폭방향 중간으로 이어져 상기 상판(54)을 회동시키는 가스실린더(60)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접이식 테이블(미팅 테이블)(150)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테이블(150)은 2개(좌,우 양측)의 포스트(110, 110)의 상단부를 수평프레임(154)이 연결하고, 상기 수평프레임(154)의 상측에 상판(156)이 회동가능케 결합되며, 상기 상판(156)은 가스실린더(158)로 된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가능케 되어 있고, 상기 상판(156)의 저면에는 래치홀더를 가진 래치기구(160)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접이식 테이블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 책상, 왜건, 강연대, 보드대 등의 가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다양한 부품과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연결부위의 유격을 줄이며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중공관부가 폭방향으로 이어진 납작형관 형태의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밀착하여 제1체결부재(14)로 고정된 연결체(12)와, 상기 포스트의 하단에 밀착하여 제2체결부재(18)로 고정되는 베이스대(16)를 구비하되,
    상기 포스트의 중공관부는 폭방향 양측의 측 중공관부(22)와 이 측 중공관부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 중공관부(24)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트의 상단의 중간 중공관부(24)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14)가 체결되는 구멍(24a)이 포스트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측 중공관부(22)의 외측 내부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18)가 체결되는 구멍을 가진 조립보스(22a)가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의 하단의 측 중공관부(22)의 외측일부에는 상기 베이스대(16)가 끼워져 상기 제2체결부재(18)에 의해 고정되도록 절개된 절개부(2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12)는 몸체부(12a)와, 상기 측 중공관부(22)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형성된 측 삽입부(12b)와, 상기 중간 중공관부(24)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형성된 중간 삽입부(12c)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간 삽입부(12c)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14)가 끼워지는 관통구멍(12c- 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대(16)는 상기 절개부(22b)에 끼워져 상기 제2체결부재(18)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6a)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포스트의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푸트부(16b)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 중공관부(22)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조립홈띠(22c)가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대(16)의 고정부(16a)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18)가 삽입되는 구멍(16a-2)을 가진 조립보스(16a-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조립홈띠(22c)에 끼워지는 리브(16a-3)가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대(16)의 고정부(16a)의 단부에는 다리의 하부를 막도록 마감캡(29)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중공관부(24)는 상기 측 중공관부(22)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이 두께 차이로 인해 상기 중간 중공관부(24) 사이에는 홈띠부(24b)가 형성되고,
    상기 홈띠부(24b)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14)가 보이지 않도록 커버(26)가 끼 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의 상단 외면에는 상기 제3체결부재(42)에 의해 체결되어 보조포스트를 연결하는 연결 조인트(3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KR2020060016877U 2006-06-22 2006-06-22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KR200425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877U KR200425257Y1 (ko) 2006-06-22 2006-06-22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877U KR200425257Y1 (ko) 2006-06-22 2006-06-22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257Y1 true KR200425257Y1 (ko) 2006-09-05

Family

ID=4177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877U KR200425257Y1 (ko) 2006-06-22 2006-06-22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2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57B1 (ko) * 2017-02-21 2017-04-28 주식회사 우드메탈 높이 가변형 승강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357B1 (ko) * 2017-02-21 2017-04-28 주식회사 우드메탈 높이 가변형 승강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257Y1 (ko) 가구용 다리의 연결구조
JP4680054B2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CN216074418U (zh) 连接架、衣物处理装置和衣物处理设备
JP7027772B2 (ja) 天板の支持装置
CN201074371Y (zh) 一种组合式高隔断墙
JP2008119407A (ja) 袖付きデスク装置
JP3119739U (ja) ラック組立て構造
JP6501610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フレーム構造
JP4804974B2 (ja) テーブルにおける幕板の支持構造
KR200395677Y1 (ko) 하부 가림판을 구비한 책상
WO2014061721A1 (ja) フラップ天板付家具
KR200406549Y1 (ko) 유리칸막이 테이블
JP3673710B2 (ja) 天板の後端縁における配線受け樋装置
JPH083310Y2 (ja) 箱体の脚の構造
KR102302269B1 (ko) 조립식 테이블
JP2007125249A (ja) 部材取付構造及びテーブル
CN215776247U (zh) 一种方便组装的桌脚结构
KR200200790Y1 (ko) 조인트 수단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200162672Y1 (ko) 냉장고의 상부힌지 고정구조
KR100677911B1 (ko) 조립식 장식장의 프레임 구조
CN200998016Y (zh) 办公主管桌金属连接支撑结构
JP4127786B2 (ja) テーブル等の上下支柱連結構造
JP4416869B2 (ja) パネル装置
KR200258337Y1 (ko)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
JP5438192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