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003Y1 - 봉투 투입구 - Google Patents

봉투 투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003Y1
KR200425003Y1 KR2020060015976U KR20060015976U KR200425003Y1 KR 200425003 Y1 KR200425003 Y1 KR 200425003Y1 KR 2020060015976 U KR2020060015976 U KR 2020060015976U KR 20060015976 U KR20060015976 U KR 20060015976U KR 200425003 Y1 KR200425003 Y1 KR 200425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se
safe
pair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to KR2020060015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0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Landscapes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고(100)의 상단에 구비된 봉투투입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 봉투투입구(30)는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장방형의 개구부(31), 상기 개구부(31)를 에워싸는 상태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32), 상기 플랜지부(32)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상단프레임에 고정되어 아래로 뻗어서 현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대(33), 상기 한 쌍의 지지대(33)의 하단 양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31)를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베이스부(34), 상기 한 쌍의 지지대(33)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대(35)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상기 지지대(33)의 가이드대(35)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34)와 상기 플랜지부(32)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31)를 통하여 상기 금고(100)의 내부를 침입할 수 없게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장방형 틀 이송대(36), 그리고 금고(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대(36)를 가이드를 따라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송대, 베이스부, 가이드대, 지지대, 케이스

Description

봉투 투입구{apparatus for inputting a envelop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봉투 투입구가 구비된 금고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봉투 투입구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은 봉투 투입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투 속에 금전이나 귀중품을 담고서 금고의 문을 열지 않고 금고에 투입할 수 있는 봉투 투입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금고는 항상 문을 열어서 금전이나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지만, 요즘, 대형 유통 마켓에서는 정산원으로부터 출납원에게 일정 금액을 받은 다음에 현장에 나가서 출납원들이 고객으로부터 일정시간 수금한 돈을 무인으로 정산하는 정산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 정산시스템에는 출납원들이 고객으로부터 일정시간 수금한 돈을 자동 계수기에 투입하면, 자동으로 수금한 돈이 계수되어, 계수기의 배출구에 접속된 자동투입구를 구비한 금고에 자동으로 저장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출납원이 고객으로부터 수금한 돈에는 수표, 상표권, 손상된 지폐가 있어 이를 계수기에 투입하면, 계수기가 이러한 종류의 돈을 계수하지 못하게 되어 출납원이 이러한 종류의 돈을 수동으로 정산원에게 주고 정산하게 되어 완전 무인 정산시스템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고에 별도의 수동투입구를 만들어 출납원이 계수기에서 계수하지 못하는 돈을 봉투에 담아 수동투입구에 안전하게 투입하고 계수기에 계수하지 못하는 돈이 얼마라는 것을 출납원이 입력하게 하여 완전 무인 정산시스템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정장치가 있는 문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출납원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돈봉투를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면서 외부에서 금고 내부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게 하는 수동투입구를 금고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정면 일측에 힌지수단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개폐하며 정면에 구비된 시정장치에 의해 시정 및 해정될 수 있는 문이 구비되어 있는 금고에 있어서, 상단에 봉투투입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봉투투입구는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장방형의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에워싸는 상태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의 상단프레임에 고정되어 아래로 뻗어서 현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의 하단 양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베이스부,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상기 지지대의 가이드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금고의 내부를 침입할 수 없게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장방형 틀 이송대, 그리고 금고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대를 가이드를 따라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금고가 부호 100으로서 전체적으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 금고(100)는, 종래의 금고와 같이, 정면이 개방된 케이스(10)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정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를 개폐하며 정면에 구비된 시정장치(20)에 의해 시정 및 해정될 수 있는 문(D)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금고(100)는 종래의 금고와 달리, 상단에 봉투투입구(3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봉투투입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상단에 형성된 장방형의 개구부(31), 상기 개구부(31)를 에워싸는 상태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32), 상기 플랜지부(32)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상단프레임에 고정되어 아래로 뻗어서 현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대(33), 상기 한 쌍의 지지대(33)의 하단 양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31)를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 상을 가진 베이스부(34), 상기 한 쌍의 지지대(33)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대(35)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상기 지지대(33)의 가이드대(35)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34)와 상기 플랜지부(32)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31)를 통하여 상기 금고(100)의 내부를 침입할 수 없게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장방형 틀 이송대(36), 그리고 금고(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대(36)를 가이드를 따라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의 돈봉투푸시측에 배치된 틀부재(36a)의 하단에는 요철부(2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34)의 중앙에는 이 요철부(23b)와 암수결합식으로 맞출 수 있는 요철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예들 들면, 공지된 전후진 가능한 피스톤 로드, 또는 공지된 피니온과 랙 기구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피스톤 로드인 경우에는 상기 로드의 선단에 하나의 상기 틀부재(36a)이 고정되어 있으면, 장방형 틀 이송대(36)가 가이드대(35)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고,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온과 랙 기구인 경우에는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의 양측의 틀들 중 어느 하나의 틀의 외면에 랙(41)을 구비시키고 정역회전가능한 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전동 기어군(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구동되는 피니온(42)을 대응되는 가이드대(35)에 구비시키면, 피니온(4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가 상기 가이드대(35)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나 상기 모터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봉투 투입구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봉투 투입구는 폐쇄위치에서는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가 상기 베이스부(34)와 상기 플랜지부(32) 간에 형성된 공간을 외부에서 침투할 수 없게 폐쇄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출납원이 계수기에서 계수할 수 없는 돈들을 모아 봉투(E)에 담아서 상기 베이스부(34) 상에 놓고 나서, 출납원이 계수기의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봉투 투입구의 개방을 요구하면, 구동수단이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폐쇄상태에 있는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가 가이드대(35)를 따라 전진이송하게 되고, 이때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의 틀부재(36a)가 상기 봉투(E)를 이송방향 전방으로 밀게 되면서,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의 틀부재(이송방향의 선단에 위치된 틀부재, 즉 틀부재(36a)의 반대측에 위치된 틀부재)가 베이스부(34)와 상기 플랜지부(32) 간에 빈공간을 만들게 되어, 이 공간을 통하여 상기 봉투(E)가 상기 금곡(100)의 케이스(10)내로 유입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를 역방향으로 후진이송시키게 되고,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가 초기위치에 복귀되면, 베이스부(34)와 상기 플랜지부(32) 간의 공간이 폐쇄되게 되어 외부에서 침입을 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의 틀부재(36a)의 하단에 요철부(2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34)의 중앙에 이 요철부(23b)와 암수결합식으로 맞출 수 있는 요철부(34a)가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상기 장방형 틀 이송 대(36)의 전진 이송시 봉투(E)의 두께가 얇더라도 확실하게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의 틀부재(36a)가 봉투(E)를 밀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의 봉투 투입구에 의하면, 시정장치가 있는 문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출납원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돈봉투를 투입하는 것을 가능하면서 외부에서 금고 내부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서, 완전 무인 정산시스템을 가능하게 하였다.

Claims (4)

  1. 정면이 개방된 케이스(10)와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정면 일측에 힌지수단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를 개폐하며 정면에 구비된 시정장치(20)에 의해 시정 및 해정될 수 있는 문(D)이 구비되어 있는 금고(100)에 있어서,
    상단에 봉투투입구(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봉투투입구(30)는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장방형의 개구부(31), 상기 개구부(31)를 에워싸는 상태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32), 상기 플랜지부(32)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상단프레임에 고정되어 아래로 뻗어서 현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대(33), 상기 한 쌍의 지지대(33)의 하단 양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31)를 덮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베이스부(34), 상기 한 쌍의 지지대(33)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대(35)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상기 지지대(33)의 가이드대(35)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34)와 상기 플랜지부(32)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31)를 통하여 상기 금고(100)의 내부를 침입할 수 없게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장방형 틀 이송대(36), 그리고 금고(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대(36)를 가이드를 따라 이송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투입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의 틀부재(36a)의 하단에는 요 철부(2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34)의 중앙에는 이 요철부(23b)와 암수결합식으로 맞출 수 있는 요철부(34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투입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후진 가능한 피스톤 로드, 또는 피니온과 랙 기구이며,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로드의 선단이 하나의 상기 틀부재(36a)에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피니온과 랙 기구는 상기 장방형 틀 이송대(36)의 양측의 틀들중 어느 하나의 틀의 외면에 랙(41)이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정역회전가능한 모터 및 전동 기어군을 통하여 구동되는 피니온(42)이 대응되는 가이드대(35)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투입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외부의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투입구.
KR2020060015976U 2006-06-14 2006-06-14 봉투 투입구 KR200425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976U KR200425003Y1 (ko) 2006-06-14 2006-06-14 봉투 투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976U KR200425003Y1 (ko) 2006-06-14 2006-06-14 봉투 투입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399A Division KR100781801B1 (ko) 2006-06-14 2006-06-14 봉투 투입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003Y1 true KR200425003Y1 (ko) 2006-08-28

Family

ID=4177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976U KR200425003Y1 (ko) 2006-06-14 2006-06-14 봉투 투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0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803B1 (ko) 2006-06-14 2007-12-04 주식회사 네오테크 외부에서 지폐를 금고에 투입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50050Y1 (ko) 2008-07-25 2010-09-01 김승열 금고 내장형 헌금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803B1 (ko) 2006-06-14 2007-12-04 주식회사 네오테크 외부에서 지폐를 금고에 투입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50050Y1 (ko) 2008-07-25 2010-09-01 김승열 금고 내장형 헌금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127B2 (en) Document handling apparatus
WO2014153901A1 (zh) 纸币处理设备及其循环钞箱机构
US20080061497A1 (en) Bank bill storing machine
ITMI20010727A1 (it) Macchina automatica distributrice di prodotti a erogazione controllata
US4429639A (en) Money-dispensing device from a safe's space
KR200425003Y1 (ko) 봉투 투입구
JP2007128226A (ja) 現金回収装置
JP3451988B2 (ja) 紙幣カセット
US10169945B2 (en) Medium storage box and medium handling device
KR100781801B1 (ko) 봉투 투입구
US4618072A (en) Bill paying machine
JPH117583A (ja) 米の自動販売システム
KR102153731B1 (ko) 푸쉬플레이트의 승하강을 위한 구동부와 동력전달부 간의 연결구조
KR10109462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접객장치
KR100781803B1 (ko) 외부에서 지폐를 금고에 투입하는 장치 및 방법
JPH09128586A (ja) 現金回収装置
JP2007217064A (ja) カード装填装置
KR100781802B1 (ko) 수직이송장치
KR200425527Y1 (ko) 수직이송장치
KR20140052583A (ko) 봉투 입출 장치
CN210836300U (zh) 一种纸币存储装置和现金循环处理设备
EP3671677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ES2282233T3 (es) Compuerta de articulos y procedimiento para la descarga de objetos.
KR200429021Y1 (ko) 수평이송수단
JP3799321B2 (ja) 紙幣カセット及び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