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619Y1 -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 Google Patents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619Y1
KR200424619Y1 KR2020060014391U KR20060014391U KR200424619Y1 KR 200424619 Y1 KR200424619 Y1 KR 200424619Y1 KR 2020060014391 U KR2020060014391 U KR 2020060014391U KR 20060014391 U KR20060014391 U KR 20060014391U KR 200424619 Y1 KR200424619 Y1 KR 200424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board
plate
bookcase
memo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대신자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자토산업(주) filed Critical 대신자토산업(주)
Priority to KR2020060014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6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a writ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사각형 좌우측판(2)의 후방에 배면판(4)이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판(2)과 배면판(4) 사이의 공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측판(2)의 서로 마주하는 벽면에는 오목한 결합홈(5)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책장(10)과, 상기 배면판(4)의 안쪽 공간에서 그 양측단이 상기 좌우측판(2)의 결합홈(5)에 끼워져 상기 책장(10)의 수용공간 내부에 직립 설치된 메모보드(20)와,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을 지지하여 메모보드(20)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메모보드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메모보드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메모보드를 프레임에 의해 지지하여 비치하거나 벽에 걸어서 설치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메모보드를 별체로 구비하여 비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메모보드, 일체형, 배면판, 수평판, 측판, 책장

Description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Book case with memo board}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을 구성하는 책장바디에 메모보드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책장바디에 배면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메모보드가 책장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주요부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책장 20. 메모보드
30. 메모보드 고정수단 40. 상단걸이구
45. 측방걸이구 50. 고정구
본 고안은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메모보드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메모보드를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하여 비치하거나 벽에 걸어서 설치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며,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보드는 사무실 등에 비치되어 포스트잇을 붙였다가 떼어내거나 글씨를 썼다가 지울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메모보드는 베이스판인 철판의 전면에 고유 색상의 특수칼라도료를 도포하여 구성하거나, 철판의 전면에 고유 색상의 수지판을 부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다리를 가진 프레임에 의해 메모보드를 지지하여 실내에 비치하거나 고리 등에 의해 벽에 걸어서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메모보드는 책장과는 별도로 프레임에 지지되어 비치되거나 벽에 걸어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나아가, 이처럼 책장과는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실내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메모보드를 책장의 수납공간에서 책장의 배면판 전면에 양면테이프로 부착하여 설치한 제품이 있다.
그런데, 이처럼 양면테이프로 자석을 붙이도록 한 제품은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양면테이프가 떨어져서 메모보드가 책장의 배면판에서 앞으로 넘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앞으로 넘어진 메모보드를 다시 세워서 붙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메모보드는 자석을 붙일 수 있도록 철판의 전면에 메모보드를 도장하거나 부착하여 구성되는데, 앞으로 넘어진 메모보드를 다시 세울 때 메모보드를 파지한 손이 날카로운 철판(즉, 재단된 철판의 끝단)에 의해 베어 상처를 입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메모보드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메모보드를 프레임에 의해 지지하여 비치하거나 벽에 걸어서 설치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메모보드를 별체로 구비하여 비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사각형 좌우측판(2)의 후방에 배면판(4)이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판(2)과 배면판(4) 사이의 공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측판(2)의 서로 마 주하는 벽면에는 오목한 결합홈(5)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책장(10)과, 상기 배면판(4)의 안쪽 공간에서 그 양측단이 상기 좌우측판(2)의 결합홈(5)에 끼워져 상기 책장(10)의 수용공간 내부에 직립 설치된 메모보드(20)와,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을 지지하여 메모보드(20)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메모보드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이 제공된다.
상기 메모보드 고정수단은 상기 책장(10)의 배면판(4)의 후방에서 상기 배면판(4)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에 위치한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부에 박혀진 타카핀(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부는 상기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부에 결합된 예비고정수단(25)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비고정수단(25)은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부에 위치된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부에 박혀져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타카핀(2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측판(2)의 각 결합홈(5)의 너비(w)는 상기 메모보드(20)와 책장(10)의 배면판(4)을 합친 두께(d)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상기 메모보드(20)와 좌우측판(2)의 결합홈(5) 사이에 상기 배면판(4)을 고정할 때 상기 배면판(4)과 결합홈(5) 사이에 여유 공간(s)이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장방형으로 결합된 좌우측판(2)과 배면판(4)의 내부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이 배치되되 상기 수평판(6) 중에서 최상단 의 수평판(6) 양단부는 상기 좌우측판(2)의 상단부보다 하측에서 고정되어 상기 좌우측판(2)의 상단부에 상단걸이부(2a)가 형성된 책장(10)과, 상단부에 걸이구(40)가 장착되어 상기 걸이구(40)에 의해 상기 좌우측판(2)의 상단걸이부(2a)에 걸려져서 상기 측판(2)의 외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메모보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이 제공된다.
상기 책장(10)의 배면판(4) 양단부는 상기 좌우측판(2)의 후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전진한 위치에서 상기 좌우측판(2)의 내벽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판(2)의 후단부에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후단걸이부(2b)가 형성되고, 상기 메모보드(20)의 양측단에는 측면걸이구(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측면걸이구(40)가 상기 측판(2)의 후단걸이부(2b)에 걸려짐과 동시에 상기 측판(2)의 전단부에 걸려져서 상기 메모보드(2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측판(2)의 외부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보드(20)는 둘레부에 액자형의 프레임(f)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걸이구(40)와 측방걸이구(45)는 탄성재질의 금속재로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단 및 측방걸이구(40,45)가 상기 책장(10)의 각 걸이부(2a,2b)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측방걸이구(45)는 디귿자 형상의 클립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메모보드(20)와 상기 책장(10)의 측판(2)의 전후단에 동시에 끼워져 상기 메모보드(20)의 양단을 책장(10)의 측판(2) 외측면에 고정하며, 상기 측방걸이구(45)는 상기 메모보드(20)의 전면에 걸려지는 부분의 선단부에 상기 메모보드(20)의 전면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걸림편(47a)이 구비되어 상기 절곡걸림편(47a) 이 상기 프레임(f)의 내측단에 걸려져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각형 좌우측판(2)의 후방에 배면판(4)이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판(2)과 배면판(4) 사이의 공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이 배치되어 이루어진 장방형의 책장(10)과, 상기 상하부 수평판(6) 사이의 공간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에서 상기 배면판(4)의 전면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된 메모보드(20)와, 제1고정편(52)과 제2고정편(54)이 기역자 형상으로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고정편(52)과 제2고정편(54)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편(52,54)에 체결구(56)가 관통되는 고정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50)는 어느 하나의 고정편(52,54)을 관통하는 체결구(56)에 의해 상기 측판(2)의 서로 마주하는 벽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다른 하나의 고정편(54,52)에 의해 상기 메모보드(20)의 전면 외곽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을 구성하는 책장바디에 메모보드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책장바디에 배면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의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장방형의 책장(10)과, 이 책장(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장착된 메모보드(20)와, 이 메모보드(20)가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수단(30) 을 갖는 구조이다.
상기 책장(10)은 직사각형 좌우측판(2)의 후방에 배면판(4)이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판(2)과 배면판(4) 사이의 공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이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판(2)의 서로 마주하는 벽면에는 오목한 결합홈(5)이 형성된다. 이 결합홈(5)은 좌우측판(2)의 서로 마주하는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메모보드(20)는 베이스판인 사각형의 철판(p) 전면에 보드코팅(c)하여 구성된 것으로, 보드코팅(c)면에 포스트잇을 붙였다가 떼어내거나 보드코팅(c)면에 매직 등으로 글자를 썼다가 지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메모보드(20)의 좌우단이 각각 좌우측판(2)의 수직 방향의 결합홈(5)에 끼워진다.
상기 고정수단(30)은 메모보드(20)의 상하단을 지지하여 메모보드(20)가 상하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피스 등의 체결구로 구성된다. 즉, 고정수단(30)은 피스와 같은 체결구로 이루어져서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에 위치한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메모보드(20)의 상하단을 지지하므로, 메모보드(20)가 책장(10)의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30)은 피스 대신에 타카핀(30)을 채용한다. 즉, 다른 것에 비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타카핀(30)을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에 타카로 쏴서 박아줌으로써, 제작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피스보다 타카핀(30)은 타카로 쏴서 박아주므로, 제품 조립 공정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부는 메모보드(20)의 상하단에 위치하는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부에 예비적으로 결합된 예비고정수단(25)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예비고정수단(25)은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부에 타카에 의해 쏴서 박아놓은 타카핀(25)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 타카핀(25)이 메모보드(20)의 상하단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메모보드(20)의 후면에서 좌우측판(2)의 결합홈(5)에 배면판(4)을 결합하는 공정과 같은 추후 공정에서 메모보드(20)가 상하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판(2)의 각 결합홈(5)의 너비(w)는 메모보드(20)의 두께(d1)과 책장(10)의 배면판(4)의 두께(d2)을 합친 두께(d)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상기 메모보드(20)와 좌우측판(2)의 결합홈(5) 사이에 배면판(4)을 고정할 때 배면판(4)과 결합홈(5) 사이에 여유 공간(s)이 확보된다. 이와 같은 여유 공간(s)을 확보하도록 구성한 이유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책장 제조 방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책장을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책장바디 형성과정에서는 직사각의 좌우측판(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을 결합하여 입방체 형상의 책장바디(12)를 형성한다. 이때, 좌우측판(2)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결합홈(5)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메모보드 조립과정에서는 좌우측판(2)의 결합홈(5)에 사각형의 메모보드(20) 양단부를 끼움 결합한다. 이때, 메모보드(20)의 상하단부는 상하부 수평 판(6)의 후단부에 구비된 예비고정수단(25), 즉, 타카핀(2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메모보드(20)의 양단부는 좌우측판(2)의 각 결합홈(5)에 끼워져 지지되는 한편, 메모보드(20)의 양단부는 상하부 수평판(6)에 박아놓은 타카핀(25)에 의해 지지되므로, 메모보드(20)가 상하 좌우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다음의 메모보드 고정과정에서는 메모보드 고정수단(30), 즉, 다른 타카핀(30)에 의해 메모보드(20)의 상하단을 고정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배면판(4)의 양단부를 좌우측판(2)의 각 결합홈(5)에 끼운 다음, 상기 타카핀(30)을 배면판(4)을 관통하여 메모보드(20)의 상하단에 위치한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부에 타카로 박아주면, 메모보드(20)의 양단부는 좌우측판(2)의 결합홈(5)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편, 메모보드(20)의 상하단은 상기 배면판(4)을 관통하여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부에 박혀진 타카핀(30)에 의해 고정되므로, 사각의 메모보드(20)를 책장(10)의 수납공간에 유동되지 않도록 직립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면판(4)의 나머지 적소에 또 다른 타카핀(8)(도 3에 도시됨)을 각 수평판(6)의 후단부에 박아줌으로써, 최종적으로 메모보드(20)가 장착된 장방형의 책장(10)을 제작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메모보드(20)를 설치하거나 실내 건물의 벽에 걸어서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지지프레임에 메모보드(20)를 지지하여 비치하거나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함은 물론,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장(10)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메모보드(20)의 네 외곽부가 모두 은폐되므로, 시각적으로 메모보드(20)가 책장(10) 자체에 일체화된 것처럼 보이게 되며, 이로 인해, 외관적으로 미려한 효과도 갖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판(2)의 각 결합홈(5)의 너비(w)는 메모보드(20)와 책장(10)의 배면판(4)의 두께(d1,d2)을 합친 두께(d)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상기 메모보드(20)와 좌우측판(2)의 결합홈(5) 사이에 배면판(4)을 고정할 때 배면판(4)과 결합홈(5) 사이에 여유 공간(s)이 확보된다.
구체적으로, 좌우측판(2)의 결합홈(5)의 너비(w)는 5mm이고, 배면판(4)의 두께(d2)는 3mm이고, 메모보드(20)의 두께(d1)는 0.4mm에서 0.6mm(즉, 베이스판인 철판의 두께는 0.3mm에서 0.4mm이고, 메모보드(20)의 철판 전면에 코팅된 보드코팅층의 두께는 0.1mm에서 0.2mm임)이다. 따라서, 상기 메모보드(20)의 두께(d1)와 배면판(4)의 두께(d1)을 합친 두께(d)는 최대 3.6mm이고 상기 좌우측판(2)의 결합홈(5)의 너비(w)는 5mm이므로, 상기 여유 공간(s)은 최대 1.4mm 정도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여유 공간(s)을 확보하도록 구성한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방체의 책장바디(12)를 형성하는 좌우측판(2)의 각 결합홈(5)에 배면판(4)을 끼워서 결합하게 되는데, 배면판(4)이 길이가 긴 경우에는 책장바디(12)의 상단부에서 좌우측판(2)의 결합홈(5)에 배면판(4)의 양단부를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서 결합하기가 곤란하다. 왜냐하면, 긴 책장바디(12)를 세워서 배면판(4)을 끼우기 책장바디(12)의 상단부로부터 끼우기 위해서는 긴 배면판(4)을 책장바디(12) 의 상단부까지 들어주어야 하는데, 실내에서 배면판(4)을 높이 들어서 끼우는 경우에는 배면판(4)이 실내의 천장에 걸려서 작업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방체 형상으로 조립된 책장바디(12)를 좌우측판(2) 중에서 먼저 어느 하나의 측판(2)의 결합홈(5)에 먼저 배면판(4)의 일측단을 끼워준다. 이어서, 다른 측판(2)의 결합홈(5)에 배면판(4)의 타측단을 끼워준다.
이때, 작업자가 아직 결합되지 않은 배면판(4)의 타측단을 약간 안쪽으로 휘어준 상태에서 다른 측판(2)의 결합홈(5)에 끼우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한 여유 공간(s)의 확보가 필요한 것이다. 즉, 상기 메모보드(20)의 후면과 측판(2)의 결합홈(5)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면판(4)의 두께(여기서는 3mm)와 같은 상태이면, 배면판(4)의 타측단이 상기 측판(2)의 결합홈(5)에 쉽게 끼워지지 않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메모보드(20)와 배면판(4)을 합친 두께에 더하여 여유 공간(s)(여기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최대 1.4mm)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면판(4)을 측판(2)의 결합홈(5)에 용이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메모보드가 책장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주요부의 평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의하면, 상기 책장(10)을 구성하는 좌우측판(2)과 배면판(4)의 내부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이 배치되되, 최상단의 수평판(6)의 양단부는 좌우측판(2)의 상단부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서 고정되어 최상단 수평판(6)의 상측에 상단걸이부(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모보드(20)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서 상단부에 걸이구(4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물론, 메모보 드(20)의 둘레부는 사각 액자형의 프레임(f)에 의해 보호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의 책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상단걸이부 형성과정에서는 사각형 좌우측판(2)의 후방에 배면판(4)을 결합함과 동시에 좌우측판(2)과 배면판(4) 사이의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을 배치하되 최상단 수평판(6)은 좌우측판(2)의 상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결합하여, 상기 좌우측판(2)의 상단부분에는 상단걸이부(2a)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서, 걸이부재 조립과정에서는 직사각의 메모보드(20) 상단부에 걸이부재를 피스 등의 체결구(미도시)로 조립한다. 즉, 걸이구(40)는 단면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걸이구(40)의 일측을 피스 등의 체결구에 의해 메모보드(20) 상단 배면에 고정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메모보드(20) 상단부의 걸이구(40)를 책장(10)의 좌우측판(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측판(2)의 상단걸이부(2a)에 걸어주면, 메모보드(20)를 책장(10)의 측판(2) 외측면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책장(10)의 배면판(4) 양단부는 책장(10)의 좌우측판(2)의 후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전진한 위치에서 좌우측판(2)의 서로 마주하는 벽면에 결합되어 좌우측판(2)의 후단부에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후단걸이부(2b)가 형성된다. 아울러, 메모보드(20)의 양측단에는 측방걸이구(45)가 더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방걸이구(45)는 탄성재질의 얇은 금속으로 디귿자형의 클립 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것으로, 메모보드(20)와 책장(10)의 측판(2)의 후단걸이부(2b)와 전단의 걸이부(이때, 전단 걸이부는 책장(20)을 제조할 때 자동으로 생기는 부분임)프레임(f)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측방걸이구(45)는 메모보드(20)의 전면에 걸려지는 부분의 선단부에 메모보드(20)의 전면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걸림편(47a)이 구비되어, 이 절곡걸림편(47a)이 프레임(f)의 내측단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방걸이구(45)가 책장(10)의 측판(2)의 후단걸이부(2b)와 전단부에 동시에 끼워짐으로써, 메모보드(2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메모보드(20)의 상단걸이구(40)와 측방걸이구(45)는 단면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 성형됨과 동시에 탄성재질의 금속재로 구성되어, 상기 걸이구(40)가 책장(10)의 측판(2)에 형성된 상단걸이부(2a)와 후단걸이부(2b) 및 측판(2)의 전단부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므로, 외력에 의해 걸이구(40)가 측판(2)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방걸이구(45)는 메모보드(20)와 별체로 구성되어 비교적 자유롭게 메모보드(20)를 책장(10)의 측판(2)에 고정할 수 있는 한편, 메인보드(20)를 책장(20)의 측판(2)에 일단 고정한 상태에서는 그 절곡걸림편(47a)이 메인보드(20) 둘레부의 프레임(f) 내측단에 걸려지기 때문에, 측방걸이구(45)가 외력(즉, 측방걸이구(45)를 잡아 당기는 등의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결국, 측방걸이구(45)는 메모보드(20)를 비교적 편리한 방법으로 책장(10)의 측판(2)에 고정하는 효과와, 메모보드(20)를 책장(1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하겠다.
아울러,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메모보드(20)가 책장(10)의 측방에 탈부착식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책장(10)의 위치 변경시에 메모보드(20)를 필요한 위치에 바꿔서 부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책상의 왼쪽에 책장(10)을 놓고 사용하는 경우, 메모보드(20)를 책장(10)의 좌우측판(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측판(2) 외측에 걸어놓고 사용하며, 반대로, 책상의 오른쪽에 책장(10)을 놓고 사용하는 경우, 메모보드(20)를 책장(10)의 다른 측판(2) 외측에 걸어놓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메모보드(20)가 용이하게 탈부착식으로 책장(10)에 장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책장(10)의 위치 변경에 관계없이 메모보드(20)를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위치를 바꾸어 책장(10)에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메모보드(20)의 배면을 도시되지 않은 부착수단(구체적으로 양면테이프임)에 의해 책장(10)의 배면판(4) 전면에 부착한 다음, 도 8에 도시된 고정구(50)에 의해 메모보드(20)의 외곽부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도 9와 도 10의 책장(10)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사각의 좌우측판(2)의 후방에 사각의 배면판(4)을 결합하고, 좌우측판(2)과 배면판(4) 사이의 공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을 배치하여 장방형의 책장(10)을 먼저 만든다. 이어서, 상기 좌우측판(2)과 배면판(4)의 전방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전방에서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기 배면판(4)의 전면에 사각의 메모보드(20)를 부착 시킨다.
이어서, 제1고정편(52)과 제2고정편(54)이 기역자 형상으로 일체화된 형태의 고정구(5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구(50)의 제1고정편(52)을 관통하는 체결구(56)를 책장(10)의 좌우측판(2)의 마주보는 벽면에 체결하여 기역자형의 고정구(50)를 책장(10)의 좌우측판(2) 내벽면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구(50)의 제2고정편(54)으로 메모보드(20)의 전면 둘레부를 가압하여 지지함으로써, 메모보드(20)가 견고하게 책장(10)의 내부에 직립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의 제3실시예에서는 양면테이프만으로 메모보드(20)를 책장(10)의 내부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기역자 형상의 고정구(50)에 의해 메모보드(20)의 전방을 가압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더운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높아질 때에도 메모보드(20)의 양면테이프가 떨어져서 책장(10)의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모보드(20)가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메모보드(20)를 다시 세워서 부착하지 않아도 되며, 나아가, 메모보드(20)를 손으로 파지하여 세울 때 메모보드(20)의 날카로은 철판에 의해 손이 베어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지지하여 메모보드(20)를 비치하거나 건물의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할 필요 없이, 책장(10) 자체에 직접 메모보드(20)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프레임에 의해 메모보드(20)를 비치하거나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메모보드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메모보드를 프레임에 의해 지지하여 비치하거나 벽에 걸어서 설치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아울러, 메모보드를 별체로 구비하여 비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책장의 내부에 설치된 메모보드가 앞으로 넘어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넘어진 메모보드를 다시 세워서 붙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넘어진 메모보드를 다시 세울 때 메모보드를 파지한 손이 날카로운 철판(즉, 재단된 철판의 끝단)에 의해 베어 상처를 입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사각형 좌우측판(2)의 후방에 배면판(4)이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판(2)과 배면판(4) 사이의 공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측판(2)의 서로 마주하는 벽면에는 오목한 결합홈(5)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책장(10)과, 상기 배면판(4)의 안쪽 공간에서 그 양측단이 상기 좌우측판(2)의 결합홈(5)에 끼워져 상기 책장(10)의 수용공간 내부에 직립 설치된 메모보드(20)와,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을 지지하여 메모보드(20)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메모보드 고정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보드 고정수단은 상기 책장(10)의 배면판(4)의 후방에서 상기 배면판(4)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에 위치한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부에 박혀진 타카핀(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부는 상기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부에 결합된 예비고정수단(25)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 가 장착된 책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고정수단(25)은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부에 위치된 상하부 수평판(6)의 후단부에 박혀져 상기 메모보드(20)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타카핀(2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판(2)의 각 결합홈(5)의 너비(w)는 상기 메모보드(20)와 책장(10)의 배면판(4)을 합친 두께(d)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상기 메모보드(20)와 좌우측판(2)의 결합홈(5) 사이에 상기 배면판(4)을 고정할 때 상기 배면판(4)과 결합홈(5) 사이에 여유 공간(s)이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6. 장방형으로 결합된 좌우측판(2)과 배면판(4)의 내부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이 배치되되 상기 수평판(6) 중에서 최상단의 수평판(6) 양단부는 상기 좌우측판(2)의 상단부보다 하측에서 고정되어 상기 좌우측판(2)의 상단부에 상단걸이부(2a)가 형성된 책장(10)과, 상단부에 걸이구(40)가 장착되어 상기 걸이구(40)에 의해 상기 좌우측판(2)의 상단걸이부(2a)에 걸려져서 상기 측판(2)의 외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메모보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책장(10)의 배면판(4) 양단부는 상기 좌우측판(2)의 후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전진한 위치에서 상기 좌우측판(2)의 내벽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측판(2)의 후단부에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후단걸이부(2b)가 형성되고, 상기 메모보드(20)의 양측단에는 측방걸이구(45)가 더 구비되며, 상기 측방걸이구(45)가 상기 측판(2)의 후단걸이부(2b)에 걸려짐과 동시에 상기 측판(2)의 전단부에 걸려져서 상기 메모보드(2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측판(2)의 외부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보드(20)는 둘레부에 액자형의 프레임(f)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걸이구(40)와 측방걸이구(45)는 탄성재질의 금속재로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단 및 측방걸이구(40,45)가 상기 책장(10)의 각 걸이부(2a,2b)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측방걸이구(45)는 디귿자 형상의 클립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메모보드(20)와 상기 책장(10)의 측판(2)의 전후단에 동시에 끼워져 상기 메모보드(20)의 양단을 책장(10)의 측판(2) 외측면에 고정하며, 상기 측방걸이구(45)는 상기 메모보드(20)의 전면에 걸려지는 부분의 선단부에 상기 메모보드(20)의 전면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걸림편(47a)이 구비되어 상기 절곡걸림편(47a)이 상기 프레임(f)의 내측단에 걸려져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9. 사각형 좌우측판(2)의 후방에 배면판(4)이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판(2)과 배면판(4) 사이의 공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판(6)이 배치되어 이루어진 장방형의 책장(10)과, 상기 상하부 수평판(6) 사이의 공간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부에서 상기 배면판(4)의 전면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된 메모보드(20)와, 제1고정편(52)과 제2고정편(54)이 기역자 형상으로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고정편(52)과 제2고정편(54)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편(52,54)에 체결구(56)가 관통되는 고정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50)는 어느 하나의 고정편(52,54)을 관통하는 체결구(56)에 의해 상기 측판(2)의 서로 마주하는 벽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다른 하나의 고정편(54,52)에 의해 상기 메모보드(20)의 전면 외곽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KR2020060014391U 2006-05-29 2006-05-29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KR200424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391U KR200424619Y1 (ko) 2006-05-29 2006-05-29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391U KR200424619Y1 (ko) 2006-05-29 2006-05-29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034A Division KR100845016B1 (ko) 2006-05-29 2006-05-29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619Y1 true KR200424619Y1 (ko) 2006-08-28

Family

ID=4177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391U KR200424619Y1 (ko) 2006-05-29 2006-05-29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6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6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rticles
JP2021510576A (ja) 取り付け手段
US20050236538A1 (en) Modular assembly of wall-mounted accessories
KR100845016B1 (ko)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및 그 제조방법
KR200479680Y1 (ko)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US20100193652A1 (en) Wall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KR200424619Y1 (ko) 메모보드가 장착된 책장
JP3153423U (ja) 吊持部材取り付けセット
KR200443095Y1 (ko) 액자 구조
CN214630863U (zh) 一种可折叠式柔性家具
KR20200117133A (ko) 무지주 선반
KR102129823B1 (ko) 벽면 부착용 타공판
TW202304349A (zh) 層板固定裝置與使用層板固定裝置的壁掛置物架
JP2006271991A (ja) 壁掛け具
CN220457477U (zh) 一种电视及其底座
JP4033653B2 (ja) 筆記板等のボード
CN214785580U (zh) 一种拆卸方便的建筑室内装饰板
CN216702165U (zh) 一种镜面的安装结构
CN210976404U (zh) 一种带灯活动层板装配结构
JP3231671U (ja) 保持具
CN210249133U (zh) 一种支撑腿
JPH0715600Y2 (ja) ミニチュア提灯セット及び取付具
KR200305463Y1 (ko) 부착기능을 갖는 달력걸이
JPS6010460Y2 (ja) パネル取付用フレ−ムバ−
KR100680002B1 (ko) 식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