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338Y1 -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338Y1
KR200424338Y1 KR2020060013657U KR20060013657U KR200424338Y1 KR 200424338 Y1 KR200424338 Y1 KR 200424338Y1 KR 2020060013657 U KR2020060013657 U KR 2020060013657U KR 20060013657 U KR20060013657 U KR 20060013657U KR 200424338 Y1 KR200424338 Y1 KR 200424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osmosis
pretreatment
pretreatment filter
water treatment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곤
장동인
Original Assignee
한일월드(주)
김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월드(주), 김태곤 filed Critical 한일월드(주)
Priority to KR2020060013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3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입수를 전처리 여과하는 전처리 필터를 구비하는 전처리 장치와 이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재여과하는 역삼투압막으로 이루어진 역삼투 여과기 및, 이들을 내부에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필터는 중공형으로서 일단에는 상기 인입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인입수를 여과한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전처리 필터 하우징, 상기 배출구 측의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섬유고정구 및, 상기 섬유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은 상기 섬유고정구를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탈착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세척이 가능하고 석회질 등의 응집성 침전물의 조대화 및 결착을 막는 전처리 필터를 적용하고, 이에 따라 전처리 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역삼투압 여과기의 수명을 최대한으로 연장하여, 보수 유지를 손쉽게 하고,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세척과정을 모듈로부터 분리하여 수처리 장치 모듈을 단순하게 구성하여, 장치를 소형화하고, 단가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역삼투압, 수처리, 전처리, 굴곡

Description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MODULAR WATER TREATMENT DEVICE WITH REVERSE OSMOSIS PRESSURE}
도 1은 일반적인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의 대표적인 시스템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전처리 필터의 일실시예 및 이의 여과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전처리 필터의 섬유고정구 분리를 위한 탈착구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전처리 필터의 여러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으로 도시의 편의상 섬유가 모두 세워진 형태로 도시한 것이며, 실제는 섬유가 눌려지거나 주저앉은 형태로 존재함.)
도 9는 본 고안의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입구 20: 배출구
30: 전처리 필터 하우징 40: 섬유고정구
42: 섬유 50: 탈착구
60: 유동부
100: 전처리 장치 110: 전처리 필터
200: 역삼투 여과기 300: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본 고안은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 세척이 가능하고 석회질 등의 응집성 침전물의 조대화 및 결착을 막는 전처리 필터를 적용하고, 이에 따라 전처리 장치를 새로 교환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높은 여과능을 가지는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역삼투압 여과기의 수명을 최대한으로 연장하여, 보수 유지를 손쉽게 하고,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세척과정을 모듈로부터 분리하여 사람이 세척하거나 별도의 세척 장치를 적용하거나 이를 수거하여 한꺼번에 별도로 세척함으로써 반영구적인 전처리 필터의 세척을 모듈로부터 분리하여 수행하므로 수처리 장치 모듈 자체는 별도의 세척모듈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이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장치를 소형화하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는 간이용 또는 소형으로 일체의 여과장치를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여 하나의 하우징 내에 모든 여과설비가 구비되어 모듈(module 또는 skid)단위로 이송되어 원수 인입과 최종적인 취수구만을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형태의 간이 수처리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이에 적용되는 역삼투압 막으로 이루어진 역삼투압 필터(여과기)는 고도의 여과성능을 가지는 고가의 여재로서 일정량의 정수기능을 수행한 후에는 이를 정기적으로 교환하여 주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고가의 역삼투압 여과기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수처리 비용 및 유지 관리 절차 및 비용을 절감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는 도 1에 그 일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역삼투압 여과기의 전단계에서 일정수준의 여과수가 상기 역삼투압 여과기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처리 장치를 통하여 전처리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이러한 전처리 과정에 사용되는 전처리 필터도 일정한 시간의 여과를 진행한 후에는 이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이의 교환을 위하여 유지관리가 필요하고 이의 교환시마다 별도의 전처리 필터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처리 필터를 역세장치를 활용하여 세척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처리 필터의 수명을 연장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개선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역류에 따른 세정을 진행하기 위한 펌프, 압축공기 발생장치, 제어장치 등을 포함하는 역세장치를 모듈내에 포함해야 한다. 이와 같은 부가장치의 증대는 이동식 및 간이식에 주로 적용되는 모듈형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커다란 문제점이 되며, 이와 같은 부가장치의 증대에 따라 모듈이 비대해지고, 모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모듈에 기존의 역세장치가 적용되는 전처리 필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전처리 필터로 표면이 평평한 멤브레인 타입이 적용됨에 따라 석회질과 같은 응집성이 높은 이물질을 포함하는 처리수(원수 또는 인입수)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이물질이 응집하여 역세효율이 떨어지므로 고가의 역세장치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전처리 필터를 자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단순하면서도 역세효율이 높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운용비용을 줄일 수 있는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모듈을 단순하게 구성하여, 장치를 소형화하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석회질 등의 응집성 침전물의 조대화 및 결착을 막아 수세효율이 높아 전처리 필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보수 유지를 손쉽게 하고,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인입수를 전처리 여과하는 전처리 필터를 구비하는 전처리 장치와 이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재여과하는 역삼투압막으로 이루어진 역삼투 여과기 및, 이들을 내부에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필터는
중공형으로서 일단에는 상기 인입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인입수를 여과한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전처리 필터 하우징;
상기 배출구 측의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섬유고정구 및,
상기 섬유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은 상기 섬유고정구를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탈착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입수를 전처리 여과하는 전처리 필터(110)를 구비하는 전처리 장치(100)와 이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재여과하는 역삼투압막으로 이루어진 역삼투 여과기(200) 및, 이들을 내부에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300)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필터(110)는 중공형으로서 일단에는 상기 인입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인입수를 여과한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0)가 구비되는 전처리 필터 하우징(30), 상기 배출구(20) 측의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30)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섬유고정구(40) 및, 상기 섬유고정구(40)에 일단이 고정 되어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30)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섬유(42)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30)은 상기 섬유고정구(40)를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탈착구(5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진다.
즉, 본 고안의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는 전처리 장치와 이와 연결된 역삼투 여과기를 포함하여 인입수를 여과함에 있어서, 그 전처리 필터를 세척이 가능한 필터를 사용하도록 하며, 특히 이러한 전처리 필터의 세척시에 세척제거에 어려움이 있는 응집성 이물질이 잘 응집되지 않도록 하여 세척시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이러한 세척을 진행함에 있어서 이러한 세척을 모듈내의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처리 필터로부터 여재(다수의 섬유사)부분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여재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세척하도록 하여 모듈의 크기 및 제조단가를 대폭적으로 줄여 적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종래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석회질 등의 응집성이 높은 이물질은 농도가 높아지면 서로 엉겨 붙어 전처리 필터의 유입부 표면에 넓게 형성되면서 그 접촉면적이 증대되므로 수세에 의해서 그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전처리 필터의 세척시에 세척제거에 어려움이 있는 응집성 이물질이 잘 응집되지 않도록 하여 세척시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간의 접촉이 적어야하므로 이를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섬유(42)가 인입수의 수류에 의하여 압착되어 인입수가 접촉하는 표면이 거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이 여과시에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중공형 전처리 필터 하우징(30)에서, 배출구(20) 측에 일단이 고정된 다수의 섬유(42)가 채워 진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30) 섬유가 채워질 수 있는 중공형이면 어떤 형태이든 상관없으며 바람직하게는 튜브형인 것이 수류 및 여과효율, 섬유적층체의 형상 측면에서 좋다.
상기 하우징은 여과를 위하여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하고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형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성되는 것이 좋고 다수의 섬유의 압착을 돕기 위해서는 중력방향으로 인입수가 인입되는 것이 좋으므로 상단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는 그 전처리 필터를 세척이 가능한 필터를 사용하도록 하고, 세척을 모듈내의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처리 필터로부터 상기 다수의 섬유 부분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세척하도록 하여 모듈의 크기 및 제조단가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상기 다수의 섬유(42)는 섬유고정구(40)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30)내에 위치하고, 상기 섬유고정구(40)는 상기 배출구 측의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탈착을 위하여 전처리 필터 하우징 내부로의 접근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30)은 상기 섬유고정구(40)를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탈착구(50)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섬유(42)에는 공지의 다양한 여재(filter media)에 사용되는 섬유사가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는 합성수지 섬유가 적용이 가능하 며, 한 가닥으로 구성된 단사 또는 여러 가닥을 꼬아 만든 복사가 사용될 수 있고, 처리수의 종류에 따라 섬유의 굵기는 다양한 굵기를 적용할 수 있고, 균일한 굵기의 섬유를 사용하거나 다양한 굵기의 섬유를 섞어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굵기는 바람직하게 0.5 내지 25 ㎛인 것이 여과효율을 위하여 좋다.
상기 다수의 섬유(42)를 상기 섬유고정구(40)에 고정하는 방법 및 구성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는 클램핑, 용접, 심기 등의 구체적인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고정구(40)의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의 탈착방법도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볼트 결합, 나사결합, 전자석이나 자석을 이용한 자력결합, 클램핑, 후크 등의 다양한 방법 및 체결구의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고정구(40)의 전처리 필터 하우징(30)으로의 탈착을 위해서는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30) 내부로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 필터 하우징이 일체형이 아닌 일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탈착구(50)가 요구되어진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도 3의 경우에는 전처리 필터 하우징의 하부를 바로 분리하여 그 하부가 탈착구로서 역할을 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섬유고정구(40)를 탈착구(50)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바로 세척을 할 수도 있고, 이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와 같이 별도의 탈착이 가능한 벽면을 하우징의 벽면에 별도로 부설하여 탈착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탈착구는 경 첩을 이용하여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하우징 내부의 섬유고정구를 탈착하도록 사용자가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된 섬유부분은 사람에 의하여 빨아서 세척하거나, 일정량을 수거하여 별도의 세척 모듈이 있는 곳에서 자동으로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다수의 섬유(42)는 그 일단이 상기 섬유고정구(40)에 각각 고정될 수도 있으며,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도 5에 그 일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섬유가 하나의 고정점에 함께 고정되어 그룹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점에 여러 가닥의 섬유가 고정되어진 경우에는 세척시 세척수의 유입에 따른 난류의 형성시에 섬유간의 접촉회수가 늘어나 이들 간의 충돌로 인한 이물질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세척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상기 다수의 섬유의 타단은 도 6 내지 도 7에 그 일 실시예들을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각각 또는 적어도 2개의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이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 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유동부(60)에 각각 별도로 고정되거나, 하나의 유동부(60)에 모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여과시에 압착률을 높여 여과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세척시에는 세척수의 유입에 따른 섬유의 장력을 증대 및 유동부와 섬유간의 접촉 및 충돌로 이물질의 탈락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유동부를 가지는 경우에 도 8에 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섬유의 타단은 하나의 유동부에 모두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섬유는 그 양단이 적어도 2개의 섬유가 하나의 고정점에 함께 고정되어 그룹으로 고정되고, 서로에 대하여 꼬인 형태로 고정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세척시에 유동부의 이동에 따라 섬유가 잡아당기거나 느슨해지는데, 이 과정에서 섬유간에 꼬인 부분이 서로 비벼지게 되므로 이를 통하여 섬유를 개별적으로 비벼서 세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세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전처리 필터에서 상기 섬유는 처리수의 유입에 따라 수류의 압축에 의하여 적층구조를 가지게 되어 필터로서 작용하게 되나, 처리수의 유속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압착률이 변화하여 필터의 여과성능이 변화하게 되므로 여과공정중에는 일정한 압착률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처리 필터의 다수의 섬유는 일단이 상기 중간부의 여과수 유출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유동부에 고정되며, 상기 유동부와 상기 배출구 측은 그 하나가 전자석으로 구성되고(바람직하게는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배출구 측이 전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그 반대편은 자석에 붙는 금속재질이거나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석은 전처리 장치가 여과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어되고, 섬유고정구의 분리시에는 척력이 작용하거나 상호작용이 없도록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하여 여과시에 상기 전자석을 기동하여 유동부와 배출구 측 사이를 자력으로 당기고 있도록 하여 섬유의 압착률이 처리수의 유속변화에 둔감하게 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섬유고정구를 자력을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전자석을 이용하여 섬유고정구 및 유동부를 한꺼번에 고정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처리 필터는 직렬 또는 병렬로 다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도 9에는 본 고안의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따르면, 별도 세척이 가능하고 석회질 등의 응집성 침전물의 조대화 및 결착을 막는 전처리 필터를 개발하여 적용한다.
따라서 전처리 장치 및 이의 필터를 새로 교환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오염된 전처리 필터의 세척이 보다 용이하며, 높은 여과능을 가지는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역삼투압 여과기의 수명을 최대한으로 연장하여, 보수 유지를 손쉽게 하고,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과정 및 이와 관련된 장치를 모듈로부터 분리하여 사람이 세척하거나 별도의 세척장치를 적용하거나 이를 수거하여 한꺼번에 별도로 세척함으로써 반영구적인 전처리 필터의 세척을 모듈로부터 분리하여 수행하므로 수처리 장치 모듈 자체는 별도의 세척모듈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이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장치를 소형화하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므로 다양한 곳에 설치가 가능하고 적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 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인입수를 전처리 여과하는 전처리 필터를 구비하는 전처리 장치와 이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재여과하는 역삼투압막으로 이루어진 역삼투 여과기 및, 이들을 내부에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필터는
    중공형으로서 일단에는 상기 인입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인입수를 여과한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전처리 필터 하우징;
    상기 배출구 측의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섬유고정구 및,
    상기 섬유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은 상기 섬유고정구를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탈착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섬유는 그 일단이 상기 섬유고정구에 각각 고정되거나, 적어도 2개의 섬유가 하나의 고정점에 함께 고정되어 그룹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섬유의 타단은 그 각각 또는 적어도 2개의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이 상기 전처리 필터 하우징 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한 유동부에 각각 별도로 고정되거나, 하나의 유동부에 모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섬유의 타단은 하나의 유동부에 모두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섬유는 그 양단이 적어도 2개의 섬유가 하나의 고정점에 함께 고정되어 그룹으로 고정되고, 서로에 대하여 꼬인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와 상기 배출구 측은 그 하나가 전자석으로 구성되고 그 반대편은 자석에 붙는 금속재질이거나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석은 전처리 장치가 여과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어되고, 섬유고정구의 분리시에는 척력이 작용하거나 상호작용이 없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KR2020060013657U 2006-05-22 2006-05-22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KR200424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657U KR200424338Y1 (ko) 2006-05-22 2006-05-22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657U KR200424338Y1 (ko) 2006-05-22 2006-05-22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646A Division KR101089666B1 (ko) 2006-05-22 2006-05-22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338Y1 true KR200424338Y1 (ko) 2006-08-18

Family

ID=4177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657U KR200424338Y1 (ko) 2006-05-22 2006-05-22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3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04544B2 (ja) 中空ファイバ膜の洗滌
CN201168468Y (zh) 一种逆流式高效净水器
AU2007239266B2 (en) Fine filtering apparatus using flexible fiber filter module
JP2013512771A (ja) 水平棒支持式空隙制御型繊維ろ材フィルターおよび水平棒支持式繊維ろ過装置
KR20080102340A (ko) 초음파를 이용한 산업용 섬유 여과기
KR102100701B1 (ko) 흡입식 프리코팅 여과기
KR102143508B1 (ko) 흡입식 프리코팅 여과기
KR200424338Y1 (ko)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KR101089666B1 (ko) 모듈형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CN101670200B (zh) 超声波清洗纤维束过滤器
KR101097996B1 (ko)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KR200222527Y1 (ko)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KR100735713B1 (ko) 나노 멤브레인 모듈을 이용한 라텍스용액 농축 장치
KR100618412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역세방법
KR200373573Y1 (ko) 반복재생이 가능한 정밀여과장치
KR100274759B1 (ko) 섬유호스를 이용한 정밀여과방법 및 그 장치
KR200346468Y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규조토 여과시스템
CN205435488U (zh) 一种新型膜过滤装置
KR20060066184A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CN214327339U (zh) 微滤污水过滤装置
CN212523242U (zh) 一种易于清洁的净水机
KR200393368Y1 (ko) 오·폐수 및 정수처리용 바이오 볼
KR200355755Y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KR200422976Y1 (ko)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CN219194762U (zh) 一种环保净水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5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