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232Y1 - 도광판을 이용한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 Google Patents

도광판을 이용한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232Y1
KR200424232Y1 KR2020060011128U KR20060011128U KR200424232Y1 KR 200424232 Y1 KR200424232 Y1 KR 200424232Y1 KR 2020060011128 U KR2020060011128 U KR 2020060011128U KR 20060011128 U KR20060011128 U KR 20060011128U KR 200424232 Y1 KR200424232 Y1 KR 200424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keypad
light emitting
guide plat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비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비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비에프
Priority to KR2020060011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232Y1/ko
Priority to JP2007000067U priority patent/JP3130331U/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4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키패드의 발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측면 LED(Light Emitting Diode)조명 및 도광판을 이용하여 발광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폰 키패드의 발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EL 키패드와 같은 초박형 키패드를 구현함에 있어서, EL시트 대신 도광판을 도입한 발광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키패드의 초박화 및 균일한 광도를 실현하면서도 EL 키패드가 갖는 노이즈 및 원가 상승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에 고품질의 초박형 키패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폰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광판,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Description

도광판을 이용한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Keypad back-light assembly of handheld device using light guide plat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 발광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 발광 조립체(제1실시예)의 결합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A'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 발광 조립체(제2실시예)의 결합 평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 : 인쇄회로기판 11 : LED
2 : 메탈돔부 21 : 메탈 돔
22 : 돔 테이프 3 : 도광판
31, 31a : 요철 패턴 32 : LED 커버
33 : 외곽 차광부
본 고안은 휴대폰 키패드의 발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측면 LED(Light Emitting Diode)조명 및 도광판을 이용하여 발광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폰 키패드의 발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키패드의 발광 방식은 LED형이 주류를 이루며, 일부 고가의 기종에서 EL형이 보급되어 있는 추세이다.
LED형은 키패드 상 여러 위치(10~20군데)에 LED를 실장 함으로써 키패드 전체를 조명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LED형은 많은 수의 LED를 사용하다 보니 전력 소비량이 많아 휴대폰 밧데리의 수명을 단축하며, 발광에 있어서도 LED와의 원근에 따라 휘도에 차이가 발생하여 발광의 불균일성을 초래하게 된다.
EL형은 EL 시트의 형태로 이용되어 초절전, 초박화 및 발광의 균일성 실현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나, EL형은 근본적으로 전기적인 간섭으로 잡음이 발생하고, 고가의 구동 회로가 요구되어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LED를 이용하되, 종래의 LED형이 갖는 발광의 불균일성, 전력소모량의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고비용이면서도 잡음에는 취약한 EL형을 도입하지 않고도 절전, 초박화 및 발광의 균일성이라는 EL형의 장점을 갖는 키패드 발광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측면 발광이 가능한 다수의 LED가 일측에 일렬로 설치된 키패드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과의 접점을 제공하는 메탈 돔 및 메탈 돔을 부착하고 메탈 돔 간의 간극을 메우되 LED와 중첩되는 부분은 개방하도록 설계된 돔 테이프를 포함하는 메탈돔부; 및 상기 메탈돔부 상에 이격되어 접착 결합하며, 상기 LED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할 요철 패턴이 내측에 형성되고 광손실을 막기 위해 LED 커버와 외곽 차광부를 구비한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조립체의 각 구성요소별 분해 사시도인바, 아래에서부터 인쇄회로기판, 메탈돔부, 도광판의 순으로 결합함을 나타낸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의 휴대폰 키패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쇄회로기판(1)은 일반적으로 EL 키패드에 채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회로기판을 그대로 이용하되, 인쇄회로기판상에 LED(11)를 실장함에 있어서는 측면발광이 가능한 LED를 채용하고 이를 인쇄회로기판의 일측면(바람직하게는 상부 측면)을 따라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2개) LED를 일렬로 이격 설치한다. 여기서 측면 발광이 가능한 LED는 사이드 뷰(Side View)기능이 있는 LED 또는 구조적 변형으로 측면 발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LED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키패드와 수평하게 측면발광을 제공할 수 있는 LED이면 족하다.
메탈돔부(2)는 메탈돔(21)과 돔테이프(22)를 포함하여 인쇄회로기판상에 결합하는바, 인쇄회로기판과 기패드의 접점으로서 메탈돔을 제공하고, 돔 테이프는 메탈돔에 의해 형성된 요철을 메우고 메탈돔을 부착함으로써 메탈돔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EL 키패드에서 제공하는 메탈돔부를 이용하면 되나, 본 고안에서는 메탈돔부상에 EL 시트 대신 도광판가 결합될 것이므로 LED의 광손실을 막기 위하여 상기 돔테이프에 반사처리를 하여 빛이 흡수되지 않고 상향하도록 처리하였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LED가 메탈돔부 상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돔 테이프는 LED가 위치한 부분은 개방하도록 설계한다.
도광판(3)은 빛의 확산을 도와주는 박막의 필름으로서 일반적으로 투명 폴리카보네이트나 고무 재질을 사용한다. 도광판은 요철 패턴(31), LED 커버(32) 및 외곽 차광부(33)를 포함하여 메탈돔부 상에 약간 이격되어 접착 결합함으로써, 측면에서 메탈돔부 상으로 입사되는 LED 빛이 도광판 내측에 형성된 요철 패턴에 의해 특정부위(키패드의 키(Key) 부)에 빛이 머물면서 요철 패턴 부위를 집중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요철 패턴(31)의 설계는 빛의 밝기나 균일도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인바, 제품의 디자인이나 LED의 실장 위치에 따라 변화해야 한다.
즉, 광원으로부터의 원근과 조사 각도에 따라 요철의 정도와 밀도를 달리 설계하는 것이 중요한바, 도 2a의 조립 완성도를 보면, LED 광원에 인접한 키 부일수록 요철을 작고 낮게 설계하여 빛이 많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선명한 요철 패턴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절대적인 광량이 작을 수밖에 없는 위치적 특성을 감안하여 요철 패턴을 크고 조밀하게 설계하여 빛의 통과를 막고 빛을 더욱 많이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요철 패턴은 키 부의 형상에 따라 키 부별로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도 있고, 도면부호 31a와 같이 줄무늬의 패턴으로 다수의 키 부를 포괄하는 형태로 설계할 수도 있는바, 도 3은 LED실장 위치를 키패드 상부 양 모서리로 변형하고 도광판의 요철 패턴으로서 줄무늬 패턴을 도입했을 경우의 조립 예시도이다. 이와 같이 LED의 실장위치 및 요철 패턴의 설계는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도광판은 이 밖에도 빛이 상부로 굴절되어 손실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도광판 상에서 LED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반사처리된 LED 커버(32)를 설치한다. 또한 도광판 외곽으로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외곽 차광부(33)를 도입한다.
도 2b는 도 2a의 조립 완성도를 A - A'방향에서 절단한 단면도로서 인쇄회로기판, 메탈돔부 및 도광판의 결합상태를 잘 보여주고 있는바, 도광판와 메탈돔부 사이에 빛이 도파될 수 있도록 약간의 간격을 접착 결합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고안은 EL 시트 대신 도광판을 이용한다는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종래 EL 키패드가 같는 박막화 및 초절전 구조를 제공하면서도 LED 키패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고안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종래 키패드 구조에서 채용하던 구성요소 중 본 고안에서 그대로 이용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바, 이를 감안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판단하여야 할 것이며 종래 기술에 해당하는 부분에서의 변형으로 본 고안과의 상이성을 주장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EL 키패드와 같은 초박형 키패드를 구현함에 있어서, EL 시트 대신 도광판을 도입한 발광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키패드의 초박화 및 균일한 광도를 실현하면서도 EL 키패드가 갖는 노이즈 및 원가 상승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에 고품질의 초박형 키패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폰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측면 발광이 가능한 다수의 LED가 일측에 일렬로 설치된 키패드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과의 접점을 제공하는 메탈 돔 및 메탈 돔을 부착하고 메탈 돔 간의 간극을 메우되 LED와 중첩되는 부분은 개방하도록 설계된 돔 테이프를 포함하는 메탈돔부; 및 상기 메탈돔부 상에 이격되어 접착 결합하며, 상기 LED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할 요철 패턴이 내측에 형성되고 광손실을 막기 위해 LED 커버와 외곽 차광부를 구비한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요철 패턴은 키 부의 위치에 따라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키 부를 포괄하는 줄무늬 패턴으로 형성하되, 요철의 정도 및 밀도는 LED 광원과의 원근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측면 발광 LED는 2개의 LED가 상부 측면을 따라 일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돔부의 돔 테이프는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KR2020060011128U 2006-04-25 2006-04-25 도광판을 이용한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KR200424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28U KR200424232Y1 (ko) 2006-04-25 2006-04-25 도광판을 이용한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JP2007000067U JP3130331U (ja) 2006-04-25 2007-01-10 キーパッドの発光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128U KR200424232Y1 (ko) 2006-04-25 2006-04-25 도광판을 이용한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405A Division KR100676480B1 (ko) 2006-04-25 2006-04-25 도광판과 일체화된 휴대폰 키패드의 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232Y1 true KR200424232Y1 (ko) 2006-08-22

Family

ID=4177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128U KR200424232Y1 (ko) 2006-04-25 2006-04-25 도광판을 이용한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30331U (ko)
KR (1) KR200424232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482B1 (ko) 2006-05-15 2006-11-28 (주)아토콘 발광 키패드
KR100675040B1 (ko) 2006-07-12 2007-01-29 주식회사 모센 키패드용 라이트 가이드 및 그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한휴대폰용 키패드
KR100765864B1 (ko) 2006-09-12 2007-10-10 한울정보기술(주) 도파로 필름을 구비한 발광 키패드
KR100765883B1 (ko) 2006-09-12 2007-10-10 한울정보기술(주) 도파로 필름을 구비한 발광 키패드
KR100792585B1 (ko) 2006-05-24 2008-01-09 (주)지엔씨 키 입력장치
KR100802553B1 (ko) 2005-12-27 2008-02-20 케이 비 광통신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팅 장치
KR100815233B1 (ko) 2007-01-08 2008-03-19 (주)네오센스 휴대용 단말기의 도광판 구조
KR100916010B1 (ko) * 2007-08-31 2009-09-10 (주)매트릭스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키패드용 백라이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0717A (ja) * 2007-09-14 2009-04-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シートスイッチ
JP4829904B2 (ja) * 2008-01-15 2011-12-07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ライトガイド層を備えた照明構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53B1 (ko) 2005-12-27 2008-02-20 케이 비 광통신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팅 장치
KR100649482B1 (ko) 2006-05-15 2006-11-28 (주)아토콘 발광 키패드
KR100792585B1 (ko) 2006-05-24 2008-01-09 (주)지엔씨 키 입력장치
KR100675040B1 (ko) 2006-07-12 2007-01-29 주식회사 모센 키패드용 라이트 가이드 및 그 라이트 가이드를 이용한휴대폰용 키패드
KR100765864B1 (ko) 2006-09-12 2007-10-10 한울정보기술(주) 도파로 필름을 구비한 발광 키패드
KR100765883B1 (ko) 2006-09-12 2007-10-10 한울정보기술(주) 도파로 필름을 구비한 발광 키패드
KR100815233B1 (ko) 2007-01-08 2008-03-19 (주)네오센스 휴대용 단말기의 도광판 구조
KR100916010B1 (ko) * 2007-08-31 2009-09-10 (주)매트릭스 도파로 시트를 이용한 키패드용 백라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30331U (ja)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4232Y1 (ko) 도광판을 이용한 휴대폰 키패드 발광 조립체
KR100676480B1 (ko) 도광판과 일체화된 휴대폰 키패드의 인쇄회로기판
JP4728067B2 (ja) シート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4959164B2 (ja) シートスイッチ、シートスイッチモジュール及びパネルスイッチ
US8188397B2 (en) Sheet switch module
US7651231B2 (en) Lighting module for use in a keypad device
US8605232B2 (en) Display backlight having light guide plate with light source holes and dual source packages
JP2008060058A (ja) 発光シートモジュール
US20070039809A1 (en) Sheet switch, sheet switch module and panel switch
JPWO2006087863A1 (ja) 面状照明装置
JP4971427B2 (ja) 電気デバイスの照明
TWI607475B (zh) 背光模組及應用其之發光鍵盤
US20090244905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input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 having the same
TWM528464U (zh) 發光輸入裝置
JPWO2007097117A1 (ja) 側面発光ユニット及び照光パネル
TWI725894B (zh) 背光模組及其相關發光鍵盤
US20070242048A1 (en) Electronic device and keyboard module thereof
US8303155B2 (en) Bifacial light emitting backlight
TW202205328A (zh) 背光模組及發光鍵盤
KR101333050B1 (ko) 키 패드 어셈블리
KR200425513Y1 (ko) 도광판을 이용한 휴대폰 키패드 발광조립체
KR200485851Y1 (ko) 면상 발광 장치
KR20070021964A (ko) 시트 스위치, 시트 스위치 모듈 및 패널 스위치
JP2009238406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反射シート
JP2000221502A (ja) 液晶用バック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XTG Extinguishment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