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148Y1 -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환경 목재옹벽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환경 목재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148Y1
KR200424148Y1 KR2020060014251U KR20060014251U KR200424148Y1 KR 200424148 Y1 KR200424148 Y1 KR 200424148Y1 KR 2020060014251 U KR2020060014251 U KR 2020060014251U KR 20060014251 U KR20060014251 U KR 20060014251U KR 200424148 Y1 KR200424148 Y1 KR 200424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ber
cable
retaining wall
wood
n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희
Original Assignee
홍석희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희,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석희
Priority to KR2020060014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1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높이(약 3.0m)까지는 수직목재를 일정간격마다 설치한 후, 그에 수평방향으로 지지시키는 수평목재를 가로 설치하여 사면을 보호하고, 옹벽의 안정을 추구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마다 쏘일 팀버 네일링을 뒷채움 배면의 지중에 설치하여, 옹벽이 토압에 의해 활동되는 힘에 대해 쏘일 팀버 네일링의 마찰력에 의해 저항하도록 한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구축하는 방법과 상기 목재옹벽 적용높이 이상의 경우는 수직목재 말뚝 하부는 지중에 근입시키고, 그 상단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PS케이블을 지지시켜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구성함으로써 양단이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구조 시스템으로 대폭 개선하여 그 적용높이를 더욱 상승시키도록 한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은 절성토 사면의 흙막이 높이가 일정한 높이 이하인 경우에는 수직목재를 일정간격마다 설치한 후, 그에 수평방향으로 지지시키는 수평목재를 가로 설치하여 사면을 보호하고, 옹벽의 안정을 추구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마다 쏘일 팀버 네일링을 뒷채움 배면의 지중에 설치하여, 옹벽이 토압에 의해 활동되는 힘에 대해 쏘일 팀버 네일링의 마찰력에 의해 저항하도록 한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하고, 일정한 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구조계산서에서 요구되는 만큼 수직목재의 말뚝 하부를 지중에 근입시키고, 상단에는 캠빔 수평목재로 지지하거나 토압에 의한 활동 수평력이 클 경우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PS케이블을 설치하여 자립식 목재옹벽이 양단 경계조건을 갖도록 하는바, 즉 하부는 지반지지 탄성계수 경계조건으로 지지하고, 상부는 프리스트레스 캠빔의 강성 탄성계수와 PS케이블에 프리스트레스힘이 작용하는 경계조건을 갖추도록 한 기술이다.
프리스트레스 캠빔, 쏘일 팀버 네일링,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The both end-spring environmental timber retaining wall supporting by prestress cab beam and soil timber nailing}
도 1은 종래의 목재를 이용하여 흙막이용 벽으로 사용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목재 말뚝과 수평목재패널 및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목재 말뚝과 수평목재패널 및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목재 말뚝과 수평목재패널 및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목재 말뚝과 수평목재패널 및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구성하기 위해 PS케이블을 수직목재말뚝 사이에서 긴장 정착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구성하기 위해 PS케이블을 수직목재말뚝 사이에서 긴장 정착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의 쏘일 네일링 거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정착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쏘일 팀버 네일링의 지압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마찰지압 쐐기나이프를 펼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도 11의 쏘일 팀버 네일링의 지압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마찰지압 쐐기나이프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중 수직목재말뚝 상단에 수평캠빔목재로 지지된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중 수직목재말뚝 상단에 수평캠빔목재로 지지된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쏘일 팀버 네일링을 목재로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직목재말뚝 12: 기초콘크리트
20: 수평목재패널 22: 수평캠빔목재
30: 쏘일 팀버 네일링 32: 타이백
34: PS케이블 36: 뒷채움
38: 그라우팅 40: 어스앵커 정착장치
42: 정착용 브라켓 44: 정착콘
46: 굴곡용 강관 48: 정착용 지압부재
49: 정착용 볼트, 너트 50: PS케이블 연결정착장치
54: 정착구 55: 정착클램프
56: 정착연결 보호캡 57: 인장 장비용 잭
58: 압축링 59: 정착 루프강선
60: 프리스트레스 캠빔 62: PS케이블 거치홈
64: PS케이블 보호용캡 66: 쉬이스 덕트
72: 지압력 74: 마찰력
76: 인발력 80: 식재
82: 마찰지압 강화용 쐐기나이프
84: 그라우트튜브 및 마찰쐐기 나이프 인장선
86: 천공홀 W: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본 고안은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하여 옹벽높이를 대폭 상승시키는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에 관한 것으로, 일정높이(약 3.0m)까지는 수직목재를 일정간격마다 설치한 후, 그에 수평방향으로 지지시키는 수평목재를 설치하여 사면을 보호하고, 옹벽의 안정을 추구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마다 쏘일 팀버 네일링을 뒷채움 배면의 지중에 설치하여, 옹벽이 토압에 의해 활동되는 힘에 대해 쏘일 팀버 네일링의 마찰력에 의해 저항하도록 한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구축하는 방법과 상기 목재옹벽 적용높이 이상의 경우는 수직목재 말뚝 하부는 지중에 근입시키고, 그 상단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PS케이블을 지지시켜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구성함으로써 양단이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구조 시스템으로 대폭 개선하여 그 적용높이를 더욱 상승시키는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절성토 지반의 도로, 철도, 단지, 하천 등을 조성하는데 있어, 용지제한, 사면안정, 토공량 축소,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일정한 절성토면에 흙막이용 및 사면보호용으로 축조하는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한 종래의 옹벽으로는 철근콘크리트 옹벽, 보강토 옹벽, 쏘일철근네일링 및 쇼크리트 보강한 옹벽, 콘크리트 블록식 옹벽 등이 있다.
상기한 대부분의 옹벽이 철근콘크리트 성형, 무기재료 블록으로 축조 및 지 반강화용으로 쏘일네일링 및 쇼크리트 등에 의해 시공하므로 공사비용 증가, 공기증가, 환경피해, 자연지형과 부조화, 환경 복원성 결여, 미관저해, 색상의 퇴색화, 우수시 퇴적 및 환경오염, 자연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강토 등으로 옹벽을 구축할 경우에는 식물의 식재가 곤란한 문제와, 옹벽의 전면에 블록을 쌓고 그 배면에 일정 높이마다 활동방지용 지오그리드 설치와 뒷채움 다짐 시공하는 공법으로 자연지형과 절연하고, 환경복원성과 연약지반에 적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 외에 최근에는 사람들이 보다 질 높은 생활의 일환으로 청계천 복원과 같은 보다 인공미가 덜한 자연적이고 환경친화적인 구조물을 선호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일정높이(약 3.0m)까지는 수직목재를 일정간격마다 설치한 후, 그에 수평방향으로 지지시키는 수평목재를 가로 설치하여 사면을 보호하고, 옹벽의 안정을 추구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마다 쏘일 팀버 네일링을 뒷채움 배면의 지중에 설치하여, 옹벽이 토압에 의해 활동되는 힘에 대해 쏘일 팀버 네일링의 마찰력에 의해 저항하도록 한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구축하는 방법과 상기 목재옹벽 적용높이 이상의 경우는 수직목재 말뚝 하부는 지중에 근입시키고, 그 상단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PS케이블을 지지시켜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구성함으로써 양단이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구조 시스템으로 대폭 개선하여 그 적용높이를 더욱 상승시키도록 한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은 절성토 사면의 흙막이 높이가 일정한 높이 이하인 경우에는 수직목재를 일정간격마다 설치한 후, 그에 수평방향으로 지지시키는 수평목재를 가로 설치하여 사면을 보호하고, 옹벽의 안정을 추구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마다 쏘일 팀버 네일링을 뒷채움 배면의 지중에 설치하여, 옹벽이 토압에 의해 활동되는 힘에 대해 쏘일 팀버 네일링의 마찰력에 의해 저항하도록 한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하고, 일정한 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구조계산서에서 요구되는 만큼 수직목재의 말뚝 하부를 지중에 근입시키고, 상단에는 캠빔 수평목재로 지지하거나 토압에 의한 활동 수평력이 클 경우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PS케이블을 설치하여 자립식 목재옹벽이 양단 경계조건을 갖도록 하는 바, 즉 하부는 지반지지 탄성계수 경계조건으로 지지하고, 상부는 프리스트레스 캠빔의 강성 탄성계수와 PS케이블에 프리스트레스힘이 작용하는 경계조건을 갖추도록 한 기술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목재 말뚝과 수평목재패널 및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목재 말뚝과 수평목재패널 및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 옹벽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목재 말뚝과 수평목재패널 및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목재 말뚝과 수평목재패널 및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중 쏘일 팀버 네일링(30)으로 지지하는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은 양단부간에 일정한 폭을 두고, 수직목재가 지반에 타입되어 이루어진 수직목재말뚝(10)과; 상기 수직목재말뚝(10)의 양단부 간의 배면을 가로질러서 목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수평목재패널(20)과; 상기 수평목재패널(20)의 일정높이별로 상하간에 목재의 일측면이 고정되고, 타측면은 뒷채움(36) 배면에 근입되는 쏘일 팀버 네일링(30)으로 지지되고, 그 배면에 뒷채움(36)을 실시하고, 각 단의 상부에 식재(80)를 조성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목재옹벽(W)을 구축하기 위한 목재는 원목, 폐목, 가공목, 반원목, 아무 톱밥과 플라스틱류 화합물의 조성 목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한 목재는 내구성을 확보하여 곰팡이나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구리, 비소, 크롬, 타날리스(tanalith), CuAz (구리, 붕산, 테부코나졸(Tebuconazole))의 화합물의 수용액으로 목재에 도포, 침전 또는 가압하여 내구성, 방식성 및 방충성 목재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중 쏘일팀버네일링(30)으로 지지하는 양단지 지 환경목재옹벽(W)의 시공은 수직목재를 일정한 간격마다 지중에 근입시켜 수직목재말뚝(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직목재말뚝(10)에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목재를 설치하여 수평목재패널(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평목재패널(20)의 일정높이별로 상하간에 목재를 고정 설치하여 쏘일 팀버 네일링(30)으로 지지하는 단계; 그 배면에 뒷채움(36)을 실시하고, 각 단의 상부에 식재(80)를 조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목재옹벽(W)을 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 중 쏘일 팀버 네일링(30)으로 지지하는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은 원목, 폐목, 반원목, 가공목 등의 목재를 조립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절성토 높이가 어느 정도 이상이면 수직목재말뚝(10)으로만 옹벽(W)으로서 자립이 곤란할 것으로 예상되는바, 다소 높은 절성토의 경우에는 적정간격으로 수직목재를 타입하여 수직목재말뚝(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목재말뚝(10)에 수평방향으로 목재를 적층시키면서 적정간격마다 쏘일 팀버 네일링(30)를 고정하고, 상기 쏘일 팀버 네일링(30)를 뒷채움(36)의 배면에 근입시켜서 이 쏘일 팀버 네일링(30)상에 마찰력에 의한 토압에 의한 활동 수평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구성하기 위해 PS케이블을 수 직목재말뚝 사이에서 긴장 정착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을 구성하기 위해 PS케이블을 수직목재말뚝 사이에서 긴장 정착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중 프리스트레스 캠빔(60)으로 지지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은 절성토 높이가 높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공법으로 수직목재말뚝(10)을 일렬로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직목재말뚝(10) 상단에 PS케이블 거치홈(62)이 형성된 수직목재말뚝(10)과; 일정구간의 수직목재말뚝(10)의 양단에 PS케이블(34)의 지반정착부를 그라우팅(38)으로 고정한 쏘일네일링과, 상기 PS케이블 거치홈(62)내를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는 쉬이스덕트(66)와, 상기 쉬이스덕트(66)내에 상기 쏘일 네일링 된 PS케이블(34)을 연장, 일정구간별 수직목재말뚝(10) 전구간을 횡단 배치하고, 그 중앙에서 PS케이블(34)의 일측과 타측을 상호 인장 장비용 잭(57)을 이용하여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정착구(54)로 강결시켜 PS케이블 연결 정착장치(50)를 구성하거나 PS케이블(34)의 일측과 타측의 단부에 압축링(58)이 설치된 상태에서 정착클램프(55)와 정착 루프강선(59)이 설치되어 상호 긴장하여 체결 연결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강결하여 PS케이블연결정착장치(50)를 형성함으로써, PS케이블(34)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프리스트레스캠빔(60)과, 상기 PS케이블(34)을 보호해주도록 PS케이블(34)의 표면에 설치되는 PS케이블보호용캡(64)로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캠빔(6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중 프리스트레스 캠빔(60)으로 지지된 양단지지 환경 목재 옹벽(W)은 절성토 높이가 높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공법은 적정간격으로 일렬로 수직목재를 타입하여 수직목재말뚝(10)을 형성하고, 상기 일정구간의 수직목재말뚝(10) 양단에 PS케이블(34)의 지반정착부는 그라우팅(38)으로 고정한 쏘일네일링을 만들고, 상기 PS케이블 거치홈(62)내를 가로질러 쉬이스덕트(66)를 배치하고, 상기 쉬이스덕트(66)내에 상기 쏘일 네일링 된 PS케이블(34)을 연장 배치하고, 그 중앙에서 PS케이블(34)을 상호 인장 장비용 잭(57)을 이용하여 긴장하여 정착구(54)로 강결시켜 PS케이블 연결 정착장치(50)를 설치하거나 PS케이블(34) 단부에 정착클램프(55)와 정착 루프강선(59)을 만들어 상호 긴장하여 연결하여 PS케이블 연결정착장치(50)을 형성함으로써 PS케이블(34)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프리스트레스캠빔(60)과, 상기 PS케이블(34)을 보호해주도록 PS케이블(34)의 표면에 PS케이블보호용캡(64)을 설치하여 프리스트레스캠빔(60)을 시공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의 쏘일 네일링 거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정착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쏘일 팀버 네일링의 지압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마찰지압 쐐기나이프를 펼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4는 도 11의 쏘일 팀버 네일링의 지압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마찰지압 쐐기나이프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의 쏘일 네일링(30)은 지반에 천공홀(86)을 형성한 후, 수직목재말뚝(10)을 지지하는 프리스트레스 캠빔(60)용 PS케이블(34)을 연장하여 지반정착부에 근입시키며, 상기 PS케이블(34)에는 마찰지압 강화용 쐐기나이프(82)와 그라우트튜브 및 마찰쐐기 나이프인장선(84)을 부착하여 조립된 PS케이블(34)을 상기 천공홀(86)에 삽입하고, 상기 그라우트튜브 및 마찰쐐기 나이프인장선(84)을 당겨 마찰지압 강화용 쐐기나이프(82)가 펼쳐져 천공홀(86) 이상으로 확대시켜 지압면적 범위를 확대시키며, 상기 천공홀(86)에 그라우팅(38)을 실시하여 PS케이블(34)의 지반정착부가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하며, PS케이블(34)의 지반 노출면에는 정착용 지압부재(48)를 설치하고, 정착용 브라켓(42)과 정착구(54)로 완전히 앵커링하여 강결 경계조건을 형성하고, 상기 PS케이블(34)을 일정구간의 수직목재말뚝(10)에 지지되도록 연장하는데 있어, 수직목재말뚝(10) 지지 프리스트레스 캠빔(60)의 PS케이블(34)의 선형과 기능을 유지하도록 벤딩이 유연하게 그 모서리에 굴곡용 강관(46)을 설치한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중 수직목재말뚝 상단에 수평캠빔목재로 지지된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중 수직목재말뚝 상단에 수평캠빔목재로 지지된 환경 목재옹벽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쏘일 팀버 네일링을 목재로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중 수직목재말뚝(10) 상단에 수평캠빔목재(22)로 지지된 환경 목재옹벽(W)은 수직목재말뚝(10)을 일렬로 수직으로 배치되며, 수직목재말뚝(10) 상단에 수평캠빔목재(22)가 밀착되도록 표면을 정리한 수직목재말뚝(10)과; 상기 수직목재말뚝(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캠빔목재(22)와; 상기 수평캠빔목재(22)의 양단에 각각 PS케이블(34)를 고정 정착시키는 어스앵커정착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중 수직목재말뚝(10) 상단에 수평캠빔목재(22)로 지지된 환경 목재옹벽(W)의 시공은 상기 수직목재말뚝(10)의 상단간을 가로질러서 수평캠빔목재(22)를 설치하되, 수직목재말뚝(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캠빔목재(22)를 설치하고, 상기 수평캠빔목재(22)의 양단에 각각 PS케이블(34)로 지지시키고, 그 PS케이블(34)이 고정되도록 어스앵커정착장치(4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쏘일 팀버 네일링(30)은 그 단부에 타이백(32)이 장착용 볼트너트(49)로 고정되어, 지압력(72)에 의해 활동에 지지하도록 지반 내에 설치된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은 사면의 지형에 대한 적응성이 콘크리트 옹벽, 보강토 옹벽 등에 비해 유연성이 높고, 식물이나 동물의 통로 및 서식이 가능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조경성이 뛰어나며, 폐목이나 고사목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옹벽 제거시 옹벽제거에 따른 사면의 환경복원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경제적이고 공사기간이 상당히 단축되고, 자중이 비교적 가볍기 때문에 인력운반이 가능하고 별도의 중장비의 사용이 필요치 않으며, 옹벽에 별도의 투수를 위한 특수기능공이 필요치 않으며, 고랭지나 동절기 등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법면 공극이 많기 때문에 배수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연성구조이므로 부등침하 및 지진에 의한 변형 및 손상 등이 없으며, 옹벽의 법면 공극에는 초지 녹화가 가능하므로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옹벽을 구성하는 목재는 별도로 방부처리하므로 25-50년 정도의 내구성을 가지며, 저독성의 목재를 사용하므로 수질오염방지에 일조하며, 폐목이나 고사목, 기타 벌목재를 유용하게 이용함으로 환경친화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프리스트레스캠빔(60)과 쏘일네일링으로 지지하는 양단지지 환경 목재 옹벽(W)은 수직목재말뚝(10)을 일렬로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말뚝 상단에 PS케이블 거치홈(62)이 형성된 수직목재말뚝(10)과; 일정구간의 수직목재말뚝(10)의 양단에 PS케이블(34)의 지반정착부가 그라우팅(38)으로 고정하고, 상기 PS케이블 거치홈(62)내를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는 쉬이스덕트(66)와, 상기 쉬이스덕트(66)내에 상기 쏘일 네일링 된 PS케이블(34)을 연장 배치하여 수직목재말뚝(10)의 상기 구간을 중복 횡단케 하고, 그 중앙에서 PS케이블(34)의 일측과 타측을 상호 인장 장비용 잭(57)을 이용하여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정착구(54)로 강결시켜 PS케이블 연결 정착장치(50)를 구성하거나 PS케이블(34)의 일측과 타측 단부에 압축링(58)이 설치된 상태에서 정착클램프(55)와 정착 루프강선(59)이 설치되어 상호 긴장하여 체결 연결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강결하여 PS케이블연결정착장치(50)를 형성함으로써 프리스트레스캠빔(60)을 이루고, 상기 PS케이블(34)을 보호해주도록 PS케이블(34)의 표면에 설치되는 PS케이블보호용캡(64)로 이루어지는 프리스트레스캠빔(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2. 쏘일 팀버 네일링(30)으로 지지하는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W)은 양단부간 에 일정한 폭을 두고, 목재가 지반에 타입되어 이루어진 수직목재말뚝(10)과; 상기 수직목재말뚝(10)의 양단부 간의 배면을 가로질러서 목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수평목재패널(20)과; 상기 수평목재패널(20)의 일정높이별로 상하간에 목재의 일측면이 고정되고, 타측면은 뒷채움(36) 배면에 근입되는 쏘일 팀버 네일링(30)으로 지지되고, 그 배면에 뒷채움(36)을 실시하고, 각 단의 상부에 조성된 식재(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목재말뚝(10)의 상단간을 가로질러서 수평캠빔목재(22)를 설치하되, 수직목재말뚝(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캠빔목재(22)를 설치하고, 상기 수평캠빔목재(22)의 양단에 각각 PS케이블(34)로 지지시키고, 그 PS케이블(34)이 고정되도록 어스앵커정착장치(40)를 설치하거나, 상기 쏘일 팀버 네일링(30)은 그 단부에 타이백(32)이 장착용 볼트너트(49)로 고정되어, 지압력(72)에 의해 활동에 지지하도록 지반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쏘일 네일링은 지반에 천공홀(86)을 형성한 후, 수직목재말뚝(10)으로부터 PS케이블(34)을 연장하며, 상기 수직목재말뚝(10)과 PS케이블(34)간에 정착콘(44)과 정착용지압부재(48)를 설치하며, 상기 PS케이블(34)의 단부에 그라우트 튜브 및 마찰쐐기 나이프인장선(84)을 고정 설치하며, 상기 그라우트 튜브 및 마찰쐐기 나이프인장선(84)에는 마찰지압 강화용 쐐기나이프(82)를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철공홀(86)에 그라우트재를 충전하여 그라우팅(38)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S케이블(34)의 연결은 일측과 타측이 정착구(54)내 PS케이블(34)이 설치되며, 그 가운데에 정착구(54)를 매개로 하여 인장 장비용 잭(57)가 설치되며, 상기 정착구(54)를 외부에서 보호하도록 정착연결 보호캡(56)으로 감싸여 구성되는 PS케이블 연결정착장치(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S케이블(34)의 연결은 일측과 타측이 정착구(54)내 PS케이블이 압축링(58)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일측의 PS케이블(34)에는 정착클램프(55)가 설 치되고, 타측의 PS케이블(34)에는 정착루프강선(59)이 설치되어, 이 정착클램프(55)가 정착루프강선(59)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정착클램프(55)와 정착루프강선(59)의 외면을 정착연결보호캡(56)에 의해 감싸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목재말뚝(10) 상단에 수평캠빔목재(22)로 지지된 환경 목재옹벽(W)은 수직목재말뚝(10)을 일렬로 수직으로 배치되며, 수직목재말뚝(10) 상단에 수평캠빔목재(22)가 밀착되도록 표면을 정리한 수직목재말뚝(10)과; 상기 수직목재말뚝(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캠빔목재(22)와; 상기 수평캠빔목재(22)의 양단에 각각 PS케이블(34)를 고정 정착시키는 어스앵커정착장치(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KR2020060014251U 2006-05-26 2006-05-26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환경 목재옹벽 KR200424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251U KR200424148Y1 (ko) 2006-05-26 2006-05-26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환경 목재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251U KR200424148Y1 (ko) 2006-05-26 2006-05-26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환경 목재옹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478A Division KR100791456B1 (ko) 2006-05-26 2006-05-26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148Y1 true KR200424148Y1 (ko) 2006-08-16

Family

ID=4177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251U KR200424148Y1 (ko) 2006-05-26 2006-05-26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환경 목재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1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725B2 (en) Arched soil nail wall
CN100564700C (zh) 格构式钢柱塔吊基础座的施工方法
US6666625B2 (en) Retaining wall support posts
KR100642341B1 (ko) 흙막이 토류벽 보강용 파일부재
KR100817901B1 (ko) 절취사면 보강토옹벽 구조물
KR100726984B1 (ko) 흙막이 가설시스템
EP3225746B1 (en) A bearing structure
JP2005232858A (ja) 道路拡幅方法と落石防止方法。
KR20090069865A (ko) 받침대를 사용한 친환경 경사면 구축방법
KR100791456B1 (ko) 양단지지 환경 목재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42372B1 (ko) 탑―다운 방식에 의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공법
KR100467234B1 (ko) 패널 삽입식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KR200424148Y1 (ko) 프리스트레스 캠빔과 쏘일 팀버 네일링을 이용한 양단지지환경 목재옹벽
KR20030028081A (ko) 절토지역 사면보강구조
KR20010086663A (ko) 연결 와이어를 이용한 사면보강장치 및 방법
KR100968518B1 (ko)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JP2005350884A (ja) 道路などの拡幅方法と壁面パネル。
JP3244324B2 (ja) 山留め工法
US10087598B1 (en) Counterfort retaining wall
KR101224872B1 (ko)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자연석 옹벽
KR100631362B1 (ko) 보호대상구체에 지지되는 의존 지하벽
KR100641265B1 (ko) 조립식 목재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H116165A (ja) 擁壁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258951Y1 (ko) 절토지역 사면보강구조
KR100479500B1 (ko)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