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023Y1 - 도어 힌지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023Y1
KR200424023Y1 KR2020060014025U KR20060014025U KR200424023Y1 KR 200424023 Y1 KR200424023 Y1 KR 200424023Y1 KR 2020060014025 U KR2020060014025 U KR 2020060014025U KR 20060014025 U KR20060014025 U KR 20060014025U KR 200424023 Y1 KR200424023 Y1 KR 200424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roller
cam
lift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4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0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를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고,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고 난 뒤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 힌지의 구성은 도어에 부착되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축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축핀에 결합되는 캠과, 상기 캠의 둘레면에 접촉되며, 상기 프레임의 동작에 따라 상기 캠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와 핀으로 결합되며, 상기 롤러의 동작에 따라 상, 하 이동하는 승강암 및 상기 승강암이 끼워지고, 상기 승강암의 상, 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 힌지, 프레임, 캠, 롤러, 승강암, 스프링

Description

도어 힌지{a door hing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도어 힌지의 측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도어 힌지의 정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의 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프레임 20: 축핀
24: 캠 26: 롤러
28: 핀 30: 승강암
32: 스프링 100: 도어
200: 도어프레임
본 고안은 도어 힌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고,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고 난 뒤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어 힌지는 도어가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를 말한다.
상기한 도어 힌지는 도어가 일측을 기점으로 해서 좌, 우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도어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방식(즉, 앞쪽으로 눕혀지며 출몰하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나뉘어진다.
후자에 해당하는 도어 힌지는 가전제품인 가스오븐렌지나 전자렌지 혹은 냉장고 도어 및 홈바(Home Bar)나 이외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위 도어 힌지와 관련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89157 호(명칭: 도어에 구비되는 홈바의 힌지결합구조)가 있다.
상기 선 등록 고안은 냉장고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공간인 홈바의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 구조를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 등록 고안에서 제시한 힌지 구조는 도어를 폐쇄시키는 과정에서 일정압력의 반발력을 발생시켜 도어를 신속하게 폐쇄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 등록 고안의 힌지에는 일정각도로 열려진 도어를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개재되지 못하여 도어는 완전히 개방된 뒤에도 자체 무게로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아래의 구조물에 부딧쳐 소음을 유발함과 함께 부딧치는 과정에서 발생한 충격으로 힌지의 부속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개방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도어를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고,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고 난 뒤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어가 폐쇄될 때에도 보다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도어프레임상에서 개폐가능하게 설치시키게 되는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부착되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축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축핀에 결합되는 캠과, 상기 캠의 둘레면에 접촉되며, 상기 프레임의 동작에 따라 상기 캠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와 핀으로 결합되며, 상기 롤러의 동작에 따라 상, 하 이동하는 승강암 및 상기 승강암이 끼워지고, 상기 승강암의 상, 하 이동을 탄 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를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시될 도어 힌지는 두개를 한 쌍으로 하여 도어의 양측에 각기 부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도어 힌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힌지(10)는 도어(100)에 부착되는 프레임(12)을 가진다. 상기 프레임(12)은 "ㄷ"단면 구조로 전방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4)가 형성된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프레임(12)의 하단에는 양측으로 구멍(16)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16)에는 축핀(20)이 끼워진다. 상기 축핀(20)의 양단부는 프레임(12)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일단은 도어프레임(200)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캡(22)으로 밀폐 구성한다. 즉, 상기 프레임(12)은 도어프레임(200)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축핀(20)을 중심으로 회동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축핀(20)의 중앙에는 캠(24)이 결합된다. 상기 캠(24)의 둘레면에는 평탄구간(24a)과 굴곡구간(24b)이 형성되는 데, 이 평탄구간(24a)과 굴곡구간(24b)을 통해 후술하는 롤러(26)는 캠(24)의 둘레면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 하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캠(24)의 위쪽에는 롤러(26)가 캠(24)의 둘레면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 롤러(26)는 프레임(12)의 회동동작에 따라 캠(24)의 둘레면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26)는 이동과정에서 캠(24)의 둘레면에 형성된 평탄구간(24a)과 굴곡구간(24b)을 통해 이동과정에서 상, 하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롤러(26)는 평탄구간(24a)에서 굴곡구간(24b)으로 이동하면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고, 굴곡구간(24b)에서 평탄구간(24a)으로 이동하면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상기 롤러(26)는 프레임(10)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핀(28)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핀(28)의 양단부는 프레임(10)의 양측에 형성된 안내장공(18)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롤러(26)의 상, 하 이동에 따라 상기 안내장공(18)을 타고 이동하며 롤러(26)의 이동동작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핀(28)에는 승강암(30)이 결합된다. 상기 승강암(30)은 프레임(12)의 공간부(14)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핀(28)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26)의 동작(상, 하 이동동작)을 통해 프레임(12)내에서 상, 하 동작하게 된다.
상기 승강암(30)의 외경에는 스프링(32)이 끼워진다. 상기 스프링(32)은 승강암(30)의 상, 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또한 상기 스프링(32)은 승강암(30)의 아래쪽에 핀(28) 체결되어 있는 롤러(26)를 캠(24)의 둘레면에 탄력적으로 접촉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32)은 언급한 바와 같이 승강암(30)을 탄력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도어(100)의 개방으로 승강암(30)이 상승동작하면 상승한 높이만큼 압축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여기서 발생한 압축력은 도어(100)로 전해져 개방된 도어(10)를 정지시키게 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동작설명란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토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10)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200)에 설치된 도어(100)가 폐쇄(닫혀진)된 상태에서는 롤러(26)는 캠(24)의 둘레면중 평탄구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스프링(32)의 텐션력으로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어(100)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미 도시 함)를 당겨 도어(100)를 개방시키게 되면 도 4b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26)는 캠(24)의 평탄구간(24a)을 지나 굴곡구간(24b)으로 이동하게 되는 데, 이때 도 4b와 같이 도어(100)의 초기 개방시에는 롤러(26)가 평탄구간(24a)만을 타고 이동한 상태임으로서 승강암(30)은 미세하게 승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32)은 별다른 압축력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32)에서 압축력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서 도어(100)는 별다른 저항없이 초기의 개방동작이 부드럽게 진행되고, 또한 개방속도도 비교적 빠르게 진행된다.
다음, 도어(100)가 계속적으로 개방되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26)는 캠(24)의 평탄구간(24a)을 지나 굴곡구간(24b)으로 이동하게 되는 데, 이때 굴곡구간(24b)으로 이동한 롤러(26)는 밀려나며 위쪽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롤러(26)와 핀(28) 결합된 승강암(30)은 롤러(26)의 상승과 함께 위쪽으로 승강하게 된다. 즉, 상기 승강암(30)이 승강하면 승강암(30)의 외경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32)은 승강암(30)의 승강높이만큼 압축되어 지고, 여기서 발생한 압축력에 의해 도어(100)는 저항을 받게 됨으로서 도어(100)의 개방속도는 점차적으로 느려져 결국 도어(100)가 90°로 완전히 열려지게 되면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는 도어의 개폐동작을 부드럽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고 난 뒤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어가 구조물에 부딧치지 않도록 하여 소음과 충격에 따른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도어(100)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100)를 도어프레임(200)상에서 개폐가능하게 설치시키게 되는 도어 힌지(10)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에 부착되며 도어(100)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프레임(200)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축핀(2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축핀(20)에 결합되는 캠(24)과;
    상기 캠(24)의 둘레면에 접촉되며, 상기 프레임(12)의 동작에 따라 상기 캠(24)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26)와;
    상기 롤러(26)와 핀(28)으로 결합되며, 상기 롤러(26)의 동작에 따라 상, 하 이동하는 승강암(30) 및 ;
    상기 승강암(30)이 끼워지고, 상기 승강암(30)의 상, 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2)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
KR2020060014025U 2006-05-25 2006-05-25 도어 힌지 KR200424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25U KR200424023Y1 (ko) 2006-05-25 2006-05-25 도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25U KR200424023Y1 (ko) 2006-05-25 2006-05-25 도어 힌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867A Division KR100744968B1 (ko) 2006-05-25 2006-05-25 도어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023Y1 true KR200424023Y1 (ko) 2006-08-14

Family

ID=4177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025U KR200424023Y1 (ko) 2006-05-25 2006-05-25 도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0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263A2 (ko) * 2009-04-29 2010-11-04 Kim Yong Hyeok 충격완화 및 소음저감기능을 갖는 도어로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263A2 (ko) * 2009-04-29 2010-11-04 Kim Yong Hyeok 충격완화 및 소음저감기능을 갖는 도어로크장치
WO2010126263A3 (ko) * 2009-04-29 2011-03-10 Kim Yong Hyeok 충격완화 및 소음저감기능을 갖는 도어로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968B1 (ko) 도어 힌지
KR101104640B1 (ko) 도어 힌지
WO2019128513A1 (zh) 一种门体铰链装置及具有该门体铰链装置的冰箱
EP2987933B1 (en) Hinge
WO2019042347A1 (zh) 一种铰链组件及包括其的冰箱
KR101920970B1 (ko) 도어 힌지
EP2284344A2 (en) Improved hinge for wings or doors
KR20170108482A (ko) 도어 힌지
CN212201754U (zh) 翻盖结构和柜子
WO2013170469A1 (zh) 水平向上开启盖体用铰链
KR200424023Y1 (ko) 도어 힌지
KR101157804B1 (ko) 도어 힌지
KR20180112955A (ko) 도어 힌지
KR200475825Y1 (ko) 주방 가구용 리프트 도어
US10641027B2 (en) Door hinge
EP3241967B1 (en) Four-link door hinge capable of self-closing in a buffered way
KR20030002535A (ko) 도어 장치
KR101493143B1 (ko) 도어 힌지
KR20090080755A (ko)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용홈바
JP4425242B2 (ja) 吊掛装置
KR200397651Y1 (ko) 도어클로저
JP2013234469A (ja) 折戸の開閉装置
US20160168878A1 (en) Foot pedal assembly for appliances
KR101271536B1 (ko) 창호용 턴첵
JP2010209679A (ja) 戸体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