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756Y1 -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756Y1
KR200423756Y1 KR2020060013507U KR20060013507U KR200423756Y1 KR 200423756 Y1 KR200423756 Y1 KR 200423756Y1 KR 2020060013507 U KR2020060013507 U KR 2020060013507U KR 20060013507 U KR20060013507 U KR 20060013507U KR 200423756 Y1 KR200423756 Y1 KR 200423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lift
fixing
link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오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오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오정공
Priority to KR2020060013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7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66B9/0807Driving mechanisms
    • B66B9/0815Rack and pinion, fricti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66B9/0846Guide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용 리프트의 케이지와 구동부에 형성된 고정편과 연결편 사이에 고정축과 회전축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링크부재를 더 설치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케이지의 회전력을 향상시켜 굴곡진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지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과 롤러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구동모터의 수명을 장기화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사용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키고, 리프트의 안전운행을 꾀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케이지, 구동부, 고정편, 연결편, 고정축, 회전축, 롤러, 링크부재, 결합공

Description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lift for a task}
도 1은 종래의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케이지와 구동부의 연결상태를 확대 도시해 보인 상세도.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정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 도시해 보인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지 12 : 고정편
14, 24 : 고정공 20 : 구동부
22 : 연결편 30 : 가이드 레일
100 : 링크부재 102, 104 : 결합공
S1, S2 : 고정축, 회전축 R : 롤러
G1, G2 : 기어, 랙기어
본 고안은 선박이나 철탑 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화물이나 작업자 등을 운반 및 이동시키는 작업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프트를 구성하는 케이지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승/하강시 굴곡진 레일을 따라 상기 케이지와 구동부의 원활한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작업용 리프트는 선박이나 철탑 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며 작업자나 화물 등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자나 화물이 탑승 및 탑재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금속앵글과 금속망 등을 이용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되는 케이지(10)와, 상기 케이지(10)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M)가 프레임 상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G1)가 일체로 설치된 구동부(20)로 크게 구성되는데 상기 케이지(10)와 구동부(20)는 일체가 아닌 각각 독립된 상태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일체로 조립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장에서 조립되는 케이지(10)에는 그 후방 상부 좌/우에 고정편(12)을 돌출시키되, 상기 고정편(12)에는 소정 직경이 수평으로 관통된 고정공(14)을 형성하여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20)는 그 전방 하부 좌/우에 상기 고정편(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편(22)을 형성하되, 상기 연결편(22)에도 고정편(12)에 형성된 고정공(14)과 동일한 직경의 고정공(24)을 형성하여 일치시킨 다음 상기 고정공(14)(24)에 고정축(S1)을 긴밀하게 삽입하여 일체가 되도록 연결.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작업용 리프트는 선박이나 철탑 또는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데, 그 설치작업은 먼저, 선박이나 철탑 또는 건물의 외벽 등에 소정 직경의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는 가이드 레일(30)을 선박이나 철탑 또는 건물의 외벽과 동일 높이로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30) 상에는 랙기어(G2)를 수직으로 고정.설치한 다음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G1)를 상기 랙기어(G2)와 치합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지(10)와 구동부(20)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롤러(R)가 상기 가이드레일(30)과 결합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작업용 리프트의 작동은 상기 케이지(10)에 작업자 또는 화물을 탑재시킨 상태에서 구동부(2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구동모터(20)가 구동하여 기어(G1)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기어(G1)가 랙기어(G2)를 따라 위치가 변동하면, 상기 가이드레일(30)과 결합된 다수의 롤러(R)가 회전하며 상기 케이지 (10)및 구동부(20)의 승강 또는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용 리프트를 선박이나 철탑의 외부에 굴곡지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30)에 설치하여 작동시킬 경우 상기 케이지(10)의 고정편(12)과 구동부(20)의 연결편(22)에 형성된 고정공(14)(24)에 고정축(S1)을 삽입.고정하여 상기 케이지(10)와 구동부(20)가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30)의 굴곡진 경사각과 대응하여 케이지(10)의 회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30)과 롤러(R)와의 마찰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구동모터(M)에 과부하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고가인 구동모터(M)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음은 물론 작업용 리프트의 사용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롤러가 이탈되어 리프트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여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켜 수요를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작업용 리프트의 케이지와 구동부에 형성된 고정편과 연결편 사이에 고정축과 회전축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링크부재를 더 설치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케이지의 회전력을 향상시켜 굴곡진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지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과 롤러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구동모터의 수명을 장기화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사용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키고, 리프트의 안전운행을 꾀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선박이나 철탑 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작업자나 화물 등을 승/하강시키는 작업용 리프트에 적용되며, 상기 작업자나 화물이 탑재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를 이동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지의 후방 상부 좌/우에는 고정공이 수평으로 통공된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전방 하부 좌/우에는 고정공이 수평으로 통공된 연결편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과 연결편에 형성된 고정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축을 각각 삽입.고정하여 상기 케이지와 구동부를 일체가 되도록 연결.설치한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과 동일한 직경의 결합공이 상/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통공된 링크부재를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링크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을 상기 연결편에 형성된 고정공과 일치시켜 고정축을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링크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은 상기 고정편에 형성된 고정공과 일치시켜 회전축을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일체로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 도시해 보인 상세도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개략적인 사용상태도로서, 종래와 동일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업용 리프트는 케이지(10)와 구동부(20) 및 링크부재(1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10)는 다수의 금속앵글과 금속망을 이용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하여 작업자나 화물 등을 탑재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지(10)의 후방 상부 좌/우에는 각각 고정공(14)이 통공된 고정편(12)이 돌출.형성되고, 양측 상/하부에는 다수의 롤러(R)가 일체로 장착되게 된다.
상기 구동부(20)는 사각 형틀로 된 금속 프레임 상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동모터(M)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으로 회전하는 기어(G1)가 일체로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20)는 별도로 구비되어 현장에서 상기 케이지(10)와 일체로 체결되어 작업용 리프트로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구동부(20)의 전방 하부 좌/우에는 고정공(24)이 통공된 연결편(22)이 돌출.형성되고, 후방 양측 상/하부에는 다수의 롤러(R)가 일체로 장착되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100)는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질을 특정 형태로 성형시켜 한쌍으로 구비하는 것으로서, 그 상/하부에는 각각 상기 고정편(12)과 연결편(22)에 형성된 고정공(14)(24)과 동일한 직경의 결합공(102)(104)을 수평으로 통공시켜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02)을 상기 구동부(20)의 연결편(22)에 형성된 고정공(24)과 일치되게 한 다음 고정축(S1)을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104)은 상기 케이지(10)의 고정편(12)에 형성된 고정공(14)과 일치되게 한 다음 회전축(S2)을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구성부품을 조립.체결하여 형성된 작업용 리프트는 외부 표면이 굴곡이 심한 선박이나 철탑 등의 외벽에 미리 설치된 가이드 레일(30) 상에 상기 케이지(10)와 구동부(20)에 장착된 다수의 롤러(R)가 감싸듯이 결합되게 하고, 상기 구동모터(M)에 의해 연동되는 기어(G1)가 랙기어(G2)와 치합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 레일(30) 상에 설치된 케이지(10)에 작업자나 화물을 탑재한 상태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모터(M)가 구동하여 기어(G1)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기어(G1)는 랙기어(G2)를 따라 위치가 변동되며 상기 케이지(10) 및 구동부(20)가 동시에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30)이 굴곡이 심한 상태가 되면 그에 대응하여 상기 링크부재(100)가 고정축(S1)과 회전축(S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링크부재(100)가 회동한 만큼 상기 케이지(10) 및 구동부(20)가 자연스럽게 회동함에 따라 후방 양측 상/하부에 장착된 다수의 롤러(R)가 상기 가이드 레일(30)과 최소한으로 마찰하며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동모터(M)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고 케이지(10)의 원활한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케이지의 회전력을 향상시켜 굴곡진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지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과 롤러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구동모터의 수명을 장기화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사용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용 리프트의 안전운행을 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선박이나 철탑 또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작업자나 화물 등을 승/하강시키는 작업용 리프트에 적용되며,
    상기 작업자나 화물이 탑재되는 케이지(10)와 상기 케이지(10)를 이동하는 구동부(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지(10)의 후방 상부 좌/우에는 고정공(14)이 수평으로 통공된 고정편(12)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20)의 전방 하부 좌/우에는 고정공(24)이 수평으로 통공된 연결편(2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12)과 연결편(22)에 형성된 고정공(14)(24)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축(S1)을 각각 삽입.고정하여 상기 케이지(10)와 구동부(20)를 일체가 되도록 연결.설치한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14)(24)과 동일한 직경의 결합공(102)(104)이 상/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통공된 링크부재(100)를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링크부재(10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02)을 상기 연결편(22)에 형성된 고정공(24)과 일치시켜 고정축(S1)을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링크부재(10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104)은 상기 고정편(12)에 형성된 고정공(14)과 일치시켜 회전축(S2)을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일체로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
KR2020060013507U 2006-05-19 2006-05-19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 KR200423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507U KR200423756Y1 (ko) 2006-05-19 2006-05-19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507U KR200423756Y1 (ko) 2006-05-19 2006-05-19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756Y1 true KR200423756Y1 (ko) 2006-08-11

Family

ID=4177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507U KR200423756Y1 (ko) 2006-05-19 2006-05-19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7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914B1 (ko) 2012-02-20 2012-07-19 국제산업렌탈 (주) 건설용 리프트 탑드라이브 견인링크
KR102490549B1 (ko) * 2022-09-01 2023-01-19 이상진 컨트롤 패널이 리프트 카 내부에 구비되는 건설용 리프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914B1 (ko) 2012-02-20 2012-07-19 국제산업렌탈 (주) 건설용 리프트 탑드라이브 견인링크
KR102490549B1 (ko) * 2022-09-01 2023-01-19 이상진 컨트롤 패널이 리프트 카 내부에 구비되는 건설용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6234C2 (ru)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KR200423756Y1 (ko) 작업용 리프트의 설치구조
WO2006027411A2 (en) Elevator arrangement
US10822817B2 (en) Lifting and carrying system for maintaining building facades
CN219823333U (zh) 一种井道施工升降机的提升机构
CN208932922U (zh) 一种既有建筑加装电梯用剪式攀爬吊装机
CN218714881U (zh) 一种用于房屋建设的脚手架
JP2017128918A (ja) 昇降扉構造
KR200446922Y1 (ko) 굴곡형 리프트의 수평유지장치
KR101382235B1 (ko)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CN108928783A (zh) 一种既有建筑加装电梯用剪式攀爬吊装机
JP2000086117A5 (ja) エレベータ装置
JP3748815B2 (ja) 杭打機の昇降装置
JP2000086117A (ja) エレーベータ装置
KR200207412Y1 (ko) 공사용 곤도라 지지대
CN202081796U (zh) 移动式抗风柱
KR101023504B1 (ko) 건물용 곤돌라 장치
CN213505630U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吊装设备
CN216360977U (zh) 电动升降栅栏门
KR100941955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CN207017622U (zh) 一种电梯井安全施工操作平台
KR200206604Y1 (ko) 건축공사용 승강기
CN215756145U (zh) 一种辅助复杂金属幕墙快速安装的组合式升降机
CN220489292U (zh) 一种具有耐磨结构的支撑架
KR200207410Y1 (ko) 공사용 곤도라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