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235B1 -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 Google Patents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235B1
KR101382235B1 KR1020130036344A KR20130036344A KR101382235B1 KR 101382235 B1 KR101382235 B1 KR 101382235B1 KR 1020130036344 A KR1020130036344 A KR 1020130036344A KR 20130036344 A KR20130036344 A KR 20130036344A KR 101382235 B1 KR101382235 B1 KR 101382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ola
elevating
lifting
fram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주식회사 경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주식회사 경성기업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1020130036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곤돌라를 사용시에는 구조물의 옥상 표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운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구조물의 옥상 표면의 하부로 하강시켜 구조물의 옥상 표면에서의 설치면적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조물의 옥상 표면의 하부에 곤돌라와 상기 곤돌라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승하강 공간; 상기 곤돌라와 승하강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곤돌라의 붐대 상부에 상기 승하강 공간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덮어지는 덮개;를 포함하는 승하강식 곤돌라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구조물의 옥상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곤돌라로 인한 구조물에 대하여 미관이나 경관을 해치지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Cover with gondola ascent and descent type}
본 발명은 곤돌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곤돌라를 사용시에는 구조물의 옥상 표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운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구조물의 옥상 표면의 하부로 하강시켜 구조물의 옥상 표면에서의 설치면적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돌라라 함은 구조물의 외벽이나 구조물의 유지 관리시 사람이나 화물 등을 구조물의 원하는 위치까지 승하강시켜 운반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장비로서, 통상 구조물의 최상층에 설치된다.
여기서, 구조물의 최상층이란 구조물의 옥상이나 옥상에 헬기 등이 이착륙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헬리포트(heliport) 등을 말하는 것이며, 본원에서는 구조물의 최상층을 구조물의 옥상에 적용된 예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조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곤돌라는 구조물의 옥상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사용하는 이동식과, 설치된 위치에서 회전에 의해서만 사용되는 고정식으로 나뉜다.
아울러, 곤돌라는 구조물의 외부에서 보이게 설치되면 구조물의 미관을 해치게 됨에 따라 통상 구조물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함에 따라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사용하는 이동식이 많이 적용된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 구조물을 지을 때 구조물의 디자인 상 옥상에서의 추락방지와 옥상 방수층의 마무리 보호를 위해 시공되는 파라펫(parapet)의 높이가 낮게 설치됨에 따라 파라펫의 높이가 낮은 측을 통하여 곤돌라가 구조물의 외부에서 보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0235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구조물의 옥상 파라펫의 높이 따라 메일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된 승하강 프레임을 승하강부에 의하여 곤돌라가 파라펫의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구비되는 건물용 곤돌라 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3505호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은 물론 일반적인 곤돌라의 경우, 구조물의 옥상으로부터 노출되게 설치됨에 따라 어떠한 조건에서도 설치면적을 필수적으로 점유하게 됨으로써, 구조물의 옥상 활용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의 경우 구조물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은 조건을 가지기는 하나, 옥상에서 노출된 상태이므로 옥상에서의 여러 활동에 많은 지장 및 간섭됨이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관이 현저하게 떨어짐은 물론 경관도 해치는 단점도 있었다.
아울러, 옥상으로부터 노출된 곤돌라로 인하여 옥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인 헬리포트 등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시에도 여러 지장을 초래하는 단점도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곤돌라를 사용시에는 구조물의 옥상 표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운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구조물의 옥상 표면의 하부로 하강시켜 구조물의 옥상 표면에서의 설치면적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승하강식 곤돌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곤돌라를 필요로 하는 높이로의 조절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구조물의 옥상에 구비되는 곤돌라로서, 상기 구조물의 옥상 표면의 하부에 곤돌라와 상기 곤돌라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승하강 공간; 상기 곤돌라와 승하강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곤돌라의 붐대 상부에 상기 승하강 공간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덮어지는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 공간의 내측 상부에는 승하강부재에 의해 덮개가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덮개의 밑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받침프레임이 더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부재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 프레임,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일측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각각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과 결합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스크류들이 동시에 구동되게 기어박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에는 각각의 스크류잭이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 프레임은 내부에 다수의 보조 승하강 프레임과, 상기 보조 승하강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보조 승하강부를 더 구비되어 다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는 곤돌라의 붐대 밑면에 장착되며 내측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외측에 위치하여 승하강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링, 상기 회전링과 고정링 사이에 구비되는 구름볼, 상기 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곤돌라를 사용시에는 구조물의 옥상 표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운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구조물의 옥상 표면의 하부로 하강시켜 구조물의 옥상 표면에서의 설치면적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물의 옥상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곤돌라로 인한 구조물에 대하여 미관이나 경관을 해치지 효과를 가진다.
또한, 승하강 공간을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밑면 테두를 받쳐주는 받침프레임에 의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필요로 하는 어떠한 시설물도 설치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곤돌라를 승하강부와 보조 승하강부에 의하여 필요로 하는 높이로의 조절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작업에 따른 작업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원활하게 운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승하강 부재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와 스크류잭의 일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가 하강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승하강 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와 스크류잭의 일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가 하강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옥상에 구비되어 사람이나 화물 등을 구조물의 원하는 위치까지 승하강시켜 운반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곤돌라로서, 본 발명의 곤돌라는 사용시에 구조물의 옥상 표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운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구조물의 옥상 표면의 하부로 하강시켜 구조물의 옥상 표면으로의 설치면적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곤돌라(100)는 상기 구조물의 옥상 표면의 하부에 곤돌라(100)와 상기 곤돌라(1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150)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승하강 공간(200)을 구비한다.
즉, 구조물의 옥상에 곤돌라를 사용하지 않을 때 승하강부재에 의해 곤돌라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옥상의 표면으로부터 곤돌라가 보이지 않도록 곤돌라의 붐대를 포함하는 길이 방향과 같은 형태의 직사각 형태의 승하강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곤돌라(110)와 승하강부재(150) 사이에는 곤돌라(100)를 사용시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곤돌라(100)의 붐대(102) 상부에 상기 승하강 공간(200)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공간(200)으로 승하강부재(150)와 곤돌라(100)가 하강하여 수용되면서 상기 승하강 공간(200) 전체가 덮어지는 덮개(300);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상기 덮개는 승하강 공간의 상부 전체를 덮개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하강된 곤돌라가 보이지 않아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덮개의 상면에는 별도의 시설물 등을 설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상기 승하강 공간(200)의 내측 상부에는 승하강부재(150)에 의해 덮개(300)가 상부를 덮었 을 때 그 덮개(300)의 하중에 대하여 높은 지지력을 가지면서 안전성 또한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덮개(300)의 밑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받침프레임(210)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프레임은 승하강 공간의 내측 테두리에 덮개의 외측 테두리를 받쳐 줄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덮개의 하중에 대한 높은 대응력과 상기 덮개로 다른 시설물을 설치시 그에 대한 하중에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승하강부재(150)는 승하강 공간(200)의 바닥면에 밑면이 장착되며, 설치 조건에 따라 사각 또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52)과, 상기 지지프레임(152)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제 상기 곤돌라를 승하강시키도록 지지프레임(152)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승하강 프레임(154)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154)의 일측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프레임(154)을 승하강시키는 각각의 스크류(155a)와 상기 스크류(155a)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55b)를 구비한 승하강부(15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승하강 프레임(154)은 각각의 스크류(155a)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155a)는 지지프레임(152)과 승하강 프레임(154)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154)에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다수 개의 스크류(155a)는 하나의 구동모터(155b)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55b)는 스크류(155a)들이 동시에 구동되게 기어박스(155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155a)에는 각각의 스크류잭(155a')이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스크류(155a)는 스크류잭(155a')과 결합되어 짐에따라 스크류잭(155a')과 연결된 기어박스(155b')에 의해 그 구동이 연동되며, 일측과 그 일측과 마주보는 측에 각각 설치된 기어박스(155b')는 하나의 구동모터(155b)에 의해 그 구동력을 각각의 스크류(155a)로 전달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구동모터(155b)는 구동되면서 그 구동력을 일측과, 그 일측과 마주보게 설치된 기어박스(155b')로 전달하고, 적어도 두개의 스크류잭(155a')과 연결된 기어박스(155b')는 전달받은 구동력을 기어박스(155b')와 연결된 스크류(155a)로 각각 전달하여 승하강 프레임(154)을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잭(155a')은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스크류(155a)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때 스크류(155a)와 스크류잭(155a')은 통상적인 스플라인 축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155a)의 상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더 설치하여 스크류(155a)에 좌굴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52)과 승하강 프레임(154) 사이에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153)를 설치하여 승하강 프레임(154)이 승강되거나 하강할 때, 지지프레임(152)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를 안내한다.
한편, 상기 승하강 프레임(154)은 내부에 다수의 보조 승하강 프레임(154A)과, 상기 보조 승하강 프레임(154A)을 승하강시키는 보조 승하강부(155A)를 더 구비되어 다단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승하강 프레임은 전술한 승하강 프레임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며, 보조 승하강부 역시 전술한 승하강부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 승하강 프레임와 보조 승하강부는 곤돌라를 필요로 하는 높이로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곤돌라를 설치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부(110)는 곤돌라(100)의 붐대(102) 밑면에 장착되며 내측면에는 기어부(112a)가 형성되는 회전링(112)과, 상기 회전링(112)의 외측에 위치하여 승하강부재(150)의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링(114)과, 상기 회전링(112)과 고정링(114) 사이에서 구름되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구름볼(113)과, 상기 기어부(112a)와 맞물려 회전링(112)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축에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구동부(116)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회전링과 고정링 및 구름볼은 통상의 볼 베어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의 내측면에 형성된 기어부로 구동부에 의해 구동력을 인가하게 됨에 따라 회전링이 회전되면서 곤돌라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하강부재(150)인 승하강부(155)의 구동모터(155b)가 구동됨에 따라 그 구동력이 기어박스(155b')와 스크류잭(155a')을 통해 각각의 스크류(155a)로 전달됨에 따라 지지프레임(152)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153)의 안내에 따라 승하강 프레임(154)이 승하강 공간(200)으로부터 승강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 프레임(154)에 구비된 곤돌라(100)는 물론 그 곤돌라(100)의 붐대(102) 상부에 형성된 덮개(300)는 승하강 공간(200)을 개방시킨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 프레임(154)의 승강되는 높이는 작업용도에 따라 보조 승하강부에 의해 전술한 보조 승하강 프레임을 더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곤돌라(100)를 회전부(110)를 통하여 필요로 하는 위치로 회전시킨 후, 곤돌라(100)를 이용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운반물을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운반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곤돌라(100)를 승하강 공간(200)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부(110)에 의해 회전시킨 후 도 6에서와 같이 상기한 승하강부(155)를 통하여 구동모터(155b)를 승강시와 반대로 구동시킴에 따라 승하강 프레임(154)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승하강부재(150)는 물론 곤돌라(100) 또한 승하강 공간(200)으로 수용되도록 하강시킨다. 이때, 곤돌라(100)의 붐대(102) 상부에 형성된 덮개(300)는 승하강 공간(200)을 덮어 폐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곤돌라를 사용시에는 구조물의 옥상에 구비된 승하강 공강으로부터 상승시켜 필요로 하는 운반작업을 수행하고, 곤돌라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옥상의 표면 하부로 형성된 승하강 공간으로 하강시키면서 덮개에 의해 승하강 공간을 폐쇄시킴으로써, 구조물 옥상에서의 곤돌라 설치면적을 생략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에 따라 구조물의 옥상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곤돌라로 인한 구조물의 미관이나 경관 또한 해치지 않은 조건도 가지게 된다.
100 : 곤돌라 110 : 회전부
112 : 회전링 113 : 구름볼
114 : 고정링 150 : 승하강부재
152 : 지지프레임 153 : 가이드 롤러
154 : 승하강 프레임 154A : 보조 승하강 프레임
155 : 승하강부 155A : 보조 승하강부
200 : 승하강 공간 210 : 받침프레임
300 : 덮개

Claims (7)

  1. 구조물의 옥상에 구비되는 곤돌라로서,
    상기 구조물의 옥상 표면의 하부에 곤돌라와 상기 곤돌라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승하강 공간;
    상기 곤돌라와 승하강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곤돌라의 붐대 상부에 상기 승하강 공간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덮어지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공간의 내측 상부에는 승하강부재에 의해 덮개가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덮개의 밑면을 받쳐 지지하도록 받침프레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하강되는 승하강 프레임,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일측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각각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스크류들이 동시에 구동되게 기어박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에는 각각의 스크류잭이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프레임은 내부에 다수의 보조 승하강 프레임과, 상기 보조 승하강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보조 승하강부를 더 구비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곤돌라의 붐대 밑면에 장착되며 내측면에는 기어부가 형성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외측에 위치하여 승하강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링, 상기 회전링과 고정링 사이에 구비되는 구름볼, 상기 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KR1020130036344A 2013-04-03 2013-04-03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KR101382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344A KR101382235B1 (ko) 2013-04-03 2013-04-03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344A KR101382235B1 (ko) 2013-04-03 2013-04-03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235B1 true KR101382235B1 (ko) 2014-04-08

Family

ID=5065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344A KR101382235B1 (ko) 2013-04-03 2013-04-03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2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095B1 (ko) * 2016-09-28 2017-06-02 주식회사 경성기업 곤돌라용 승강장치
CN110714606A (zh) * 2019-10-31 2020-01-21 贾天翼 一种吊篮固定装置及方法
KR20230097484A (ko) 2021-12-24 2023-07-03 대한곤돌라주식회사 빌딩유지보수장비용 오픈형 도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4104A (en) * 1970-05-15 1972-08-15 Mitsubishi Heavy Ind Ltd Twin-type slewing crane
JPH07165381A (ja) * 1993-12-15 1995-06-27 Taisei Corp ゴンドラ架設方法及びゴンドラ架設用基礎構造物
KR20110007452A (ko) * 2009-07-16 2011-01-24 주식회사 경성기업 건물용 곤돌라 장치
KR20110019857A (ko) * 2009-08-21 2011-03-02 박종덕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4104A (en) * 1970-05-15 1972-08-15 Mitsubishi Heavy Ind Ltd Twin-type slewing crane
JPH07165381A (ja) * 1993-12-15 1995-06-27 Taisei Corp ゴンドラ架設方法及びゴンドラ架設用基礎構造物
KR20110007452A (ko) * 2009-07-16 2011-01-24 주식회사 경성기업 건물용 곤돌라 장치
KR20110019857A (ko) * 2009-08-21 2011-03-02 박종덕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095B1 (ko) * 2016-09-28 2017-06-02 주식회사 경성기업 곤돌라용 승강장치
CN110714606A (zh) * 2019-10-31 2020-01-21 贾天翼 一种吊篮固定装置及方法
KR20230097484A (ko) 2021-12-24 2023-07-03 대한곤돌라주식회사 빌딩유지보수장비용 오픈형 도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142B2 (en) Vertically elevating mobile work platform
JP5688493B2 (ja) 複合昇降ステージ
KR101923924B1 (ko)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KR101382235B1 (ko) 덮개를 구비한 승하강식 곤돌라
KR101517066B1 (ko) 다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가변형 온실구조물
KR101447737B1 (ko) 공동주택 옥상의 거치식 크레인
KR20090130622A (ko) 저 피트(pit)형 승강기식 주차장치
KR101011371B1 (ko) 건설공사용 리프트
CN206359198U (zh) 一种室内用装饰装修升降工作台
KR101061022B1 (ko)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
KR101555057B1 (ko) 과일 수확용 작업장치
CN201116259Y (zh) 隐型人货施工升降机
CN207313070U (zh) 一种小型高空作业升降台
CN108590150B (zh) 建筑施工安全升降装置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CN104477745A (zh) 高层养猪运输机
KR101923925B1 (ko)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CN216896534U (zh) 一种便于安装监测设备的结构塔
CN210214484U (zh) 微机房电梯
KR101023504B1 (ko) 건물용 곤돌라 장치
KR101743095B1 (ko) 곤돌라용 승강장치
US11851303B2 (en) Elevating cage apparatus with alternative powered or manual input
JP6055616B2 (ja) 建物の養生装置及び養生方法
KR101011056B1 (ko) 승강기에 회전판 업다운과 회전기능을 갖는 주차장치
KR101788174B1 (ko) 다단 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