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426Y1 - 다두 미싱 - Google Patents

다두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426Y1
KR200423426Y1 KR2020060013184U KR20060013184U KR200423426Y1 KR 200423426 Y1 KR200423426 Y1 KR 200423426Y1 KR 2020060013184 U KR2020060013184 U KR 2020060013184U KR 20060013184 U KR20060013184 U KR 20060013184U KR 200423426 Y1 KR200423426 Y1 KR 200423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ewing
frame
fixing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쿠오 다지마
데츠로우 곤도우
히로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20060013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4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4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05B39/005Quilting fram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22Adjusting or registering devices for the base fabric, e.g. for alignment with respect to th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원단(N)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0a, 10b, 11a ~ 11d)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성하고,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을 상기 그룹마다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적정히 전장(展張)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원단의 고정만을 해방하는 한편, 그 외의 부분의 원단의 고정에 대하여서는 그대로의 고정 상태를 유지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해방한 부분의 원단을 인장 원단을 적정히 원단 틀에 대하여 전장시킨 상태로 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해방한 부분에 대하여 고정 부재에 의한 원단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작업자는 해방한 부분의 원단만을 인장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원단을 적정히 전장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두 미싱 {MULTI-HEAD SEWING MACHINE}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다두 미싱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면 약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 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있어서의 원단의 고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상면 약도이다.
본 고안은, 긴 원단에 대하여 다수의 자수 등을 동시에 또한 연속적으로 봉제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미싱 헤드를 구비한 다두(多頭) 미싱에 관한 것이다. 특히, 원단을 적정히 전장(展張)한 상태로 고정하여 봉제를 행하는 것을 용이할 수 있도록 한 다두 미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긴 원단에 대하여 다수의 자수 등을 동시에 또한 연속적으로 봉제하는 것이 가능한 다두 미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두 미싱에 의한 봉제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우선 복수의 미싱 헤드를 구비한 미싱의 테이블 위에서 전 후좌우로 구동 제어되는 원단 틀에, 소정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긴 원단의 일부분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그 원단 틀을 구동하여 상기 고정된 부분으로의 봉제를 행한다. 이 봉제가 종료하면 원단 틀에 의한 원단의 고정을 해방하여, 봉제가 끝난 원단을 회수 측에 회수함과 동시에 원단 틀에 대하여 새로 원단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 알려진 다두 미싱에서는 원단 틀에 대한 원단의 고정 위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복수의 미싱 헤드에 의한 봉제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긴 원단에 대하여 다수의 자수 등을 동시에 또한 연속적으로 봉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다두 미싱에서, 가장 알려진 타입은, 롤 형상으로 감겨진 원단의 공급 스탠드나 봉제가 끝난 원단을 감아서 꺼내 가는 회수 스탠드가, 복수의 미싱 헤드를 X방향(원단의 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 즉 정면에서 보아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미싱의 Y방향(원단의 긴 방향)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단의 원단 틀에 대한 이송 방향은, 복수의 미싱 헤드의 늘어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것과는 다른 타입의 것으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특허문헌 1에는 원단의 공급 스탠드나 회수 스탠드를, 복수의 미싱 헤드를 X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미싱의 X방향 오른쪽과 왼쪽에 배치하고, 원단 틀에 대한 원단의 이송 방향을 복수의 미싱 헤드의 늘어선 방향으로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원단의 이송 방향을 복수의 미싱 헤드가 늘어선 방향으로 하면, 한번에 많은 봉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문헌 1 : 특허 제3368481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원단 틀에 대한 원단의 고정은,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이 행해지는 클램프 부재를 직사각형인 원단 틀의 4변에 각각 설치하고, 그 클램프 부재로 원단을 사이에 둠으로써 행하고 있다. 이러한 클램프 부재에 의한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은, 원단 이송 시에 자동으로 행해지거나, 혹은 조작 패널 등에 설치한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원단 틀에 대한 원단의 전장이 느슨한 경우에는 그 고정이 적정하지 않아 깨끗하게 봉제를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어서,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원단의 고정을 다시 할 필요가 있다. 종래, 원단 틀에 대한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은 모든 클램프 부재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고, 원단 틀의 4변 모두의 고정 및 해방을 행하게 되어 있어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원단 틀의 4변 모두의 고정이 해방된다. 그렇지만, 원단의 일부의 인장 상태가 느슨한 경우나 원단의 일부에만 주름이 발생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 등에 원단 틀의 4변 모두의 고정을 해방해 버리면, 고정을 다시 했을 때에 다른 개소에서 인장 상태가 느슨해지거나, 주름이 발생해 버리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원단 틀에 고정되는 원단의 전면(全面)을 적정히 전장된 상태로 하는 데는 신중한 작업을 행할 것이 요구되고, 이러한 작업에 시간이 걸린다. 이것은, 원단을 적정히 전장하기 위해서는 원단을 팽팽히 인장된 상태로 고정하면 좋지만, 종래에 있어서는 원단 틀의 4변 모두의 고정을 동시에 해방하고 있고, 원단을 강하게 끌어당겨 버리면 공급 스탠드 또는 회수 스탠드로부터 원단이 풀어져 버려서, 그러한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원단의 전장을 불충분한 것으로 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을 이용한, 즉 원단의 이송 방향을 복수의 미싱 헤드가 늘어선 방향으로 한 다두 미싱에 있어서는, 원단 틀의 좌우양단에서 원단이 고정되게 되기 위해, 원단 틀에 고정되는 원단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원단을 강한 인장을 과하게 하지 않고 적정히 전장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원단이 적정히 고정되어 있지 않은 그룹의 고정 부재를 해방하고, 그 해방된 부분의 원단만을 강하게 끌어당기고 그 부분의 원단만의 고정을 다시 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원단을 적정히 전장한 상태로 고정하여 봉제를 행할 수 있도록 한 다두 미싱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한 다두 미싱은, 복수의 미싱 헤드를 구비한 다두 미싱의 미싱 테이블 위에서 구동 제어되는 원단 틀에 대하여, 긴 원단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고정하고, 상기 원단 틀에 고정된 원단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이 원단 틀에 고정해야 할 원단 부분의 위치를 변경하여 봉제를 반복하도록 구성된 다두 미싱에 있어서, 상기 원단 틀에 대하여 원단을 해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성하고, 원단 틀에 대한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을 상기 그룹마다 부분적으로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원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성하고,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을 상기 그룹마다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적 정히 전장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원단의 고정만을 해방하는 한편, 그 외의 부분의 원단의 고정에 대하여서는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해방한 부분의 원단을 인장 원단을 적정하게 원단 틀에 대하여 전장시킨 상태로 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해방한 부분에 대하여 고정 부재에 의한 원단의 고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자는 해방한 부분의 원단만을 인장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원단을 적정히 전장한 상태로 고정하여 봉제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관점에 관한 다두 미싱은, 복수의 미싱 헤드를 구비한 다두 미싱의 미싱 테이블 위에서 구동 제어되는 직사각형의 원단 틀에 대하여, 긴 원단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고정하고, 상기 원단 틀에 고정된 원단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원단을 상기 미싱 헤드가 늘어선 방향으로 보내고, 상기 원단 틀에 고정해야 할 원단 부분의 위치를 변경하여 봉제를 반복하도록 구성된 다두 미싱에 있어서, 원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상기 직사각형의 원단 틀의 각 변에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원단 틀의 가로변에 배치한 고정 부재와, 세로 오른쪽 변에 배치한 고정 부재와, 세로 왼쪽 변에 배치한 고정 부재가 각각 개별적으로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작업자는 원단 틀의 일부 변에서만 원단을 고정하여 두고, 고정되어 있지 않은 쪽의 원단을 끌어당기면서 원단 틀의 나머지 변에 대하여 원단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즉, 용이하게 원단을 적정히 전장한 상태로 고정하여 봉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원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성 하고,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을 그룹마다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원단의 고정을 다시 할 때에 임의의 고정 부재만의 고정을 해방하여 다시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원단의 일부의 인장 상태가 느슨한 경우나 일부에 주름이 생긴 경우 등에는, 원단이 적정히 고정되어 있지 않은 그룹의 고정 부재를 해방하여, 그 부분의 원단만의 고정을 다시 할 수 있다. 이때, 다른 그룹의 고정 부재로서 원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방된 부분의 원단을 강하게 인장할 수 있rh, 용이하게 원단을 적정히 고정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원단의 인장 상태가 전체적으로 느슨하게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단 틀의 세로변의 어느 한쪽의 고정 부재를 그대로 하고 다른 변의 고정 부재를 해방한다. 그리고, 고정되어 있는 한쪽의 세로변의 반대 측 등으로부터 원단을 강하게 인장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원단을 팽팽히 당긴 상태로 재고정할 수 있게 된다.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고안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다두 미싱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면 약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배치되어 있는 스위치 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있어서의 원단의 고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상면 약도이다. 본 실시예에 나타내는 다두 미싱은 도면의 좌우 방향(즉 미싱의 정면에서 보아 가로 방향)으로 긴 원단(N)을 소정량씩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소정의 고정 위치에 세트한 후에, 상기 고정 위치에 세트된 긴 원단(N) 중의 일부의 원단(N)에 대하여 봉제를 행하는 것이다. 여기에 나타내는 도 1에 있어서는 원단(N)으로의 봉제중인 경우의 다두 미싱 상태를, 도 3에 있어서는 원단(N)으로의 봉제 전인 경우의 다두 미싱의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하, 이들 도 1 ~ 도 3에 나타낸 각 도에 의해 본 고안에 관한 다두 미싱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있어서는 도의 하면측이 봉제 작업을 행할 때에 실제로 작업자가 위치하는 다두 미싱 전면(前面)에 상당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다두 미싱에 있어서, 1은 미싱 프레임이고, 2는 테이블이다. 미싱 프레임(1)에는, 복수 개(여기서는 12개)의 미싱 헤드(3)가 도시된 다두 미싱의 좌우 방향(가로 방향 즉 길이 방향)에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2)은 긴 원단(N)의 잇따른 투입에 수반하여 원단(N)이 통과하는 방향이 되는 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을 길게 형성하고 있고, 이 테이블(2) 위에는 상기 미싱 프레임(1)에 설치된 각 미싱 헤드(3)와 대응하는 개소에 위치하도록 하여 침판(針板)(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테이블(2) 위에는 직사각형의 원단 틀(5)이 실어 놓여져 있고, 이 원단 틀(5)은 테이블(2)의 오른쪽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X구동기구(6) 및 Y구동기구(7)의 구동에 수반하는 X구동체(8) 및 Y구동체(9)에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단 틀(5)은, 복수 개의 미싱 헤드(3)가 한번에 긴 원단(N)에 대하여 자수 등의 봉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둘러싸기에 충분한 크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미싱 헤드(3)의 배열 방향에 향하여 길게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상기 원단 틀(5)의 좌우 변을 구성하고 있는 양 세로변부에는, 각 세로변부 내측에 따라 세로 클램프 부재(10a, 10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세로 클램프 부재(10a, 10b)는 그 내부에 있어서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클램프용 액추에이터)와, 그 측면 내측에 있어서 누름 틀체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누름 틀체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도면 안과 앞 사이를 왕복하도록 하여 상하로 움직인다. 이 누름 틀체를 적당히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것에 의해, 원단 틀(5)에 대응하여 배치된 원단(N) 부분의 원단 틀(5)에 대한 고정과 해방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원단 틀(5)의 전후 변을 구성하고 있는 양 가로변부에는, 각 가로변부에 병행하도록 하여 각각 2개의 가로 클램프 부재(11a, 11b, 11c, 11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는 각각이 대향하는 측면 내측에 있어서 누름 틀체(도시생략)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누름 틀체는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제 1 액추에이터(클램프용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수반하여 도면 안과 앞 사이를 왕복하도록 하여 상하로 움직인다. 이 누름 틀체를 적당히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것에 의해,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는 상기 세로 클램프 부재(10a, 10b)와 동일하게 하여 원단 틀(5)에 대한 원단(N)의 고정과 해방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가로 클램프 부재 11a 및 11c, 11b 및 11d 각각의 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제 2 액추에이터(텐션용 액추에이터)가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이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는 제 1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수반하여 원단 틀(5)에 대하여 원단(N)을 고정하고, 그 후에 계속해서 제 2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가로 클램프 부재 11a 및 11c, 11b 및 11d 각각의 간격을 넓게 함으로써 원 단(N)을 팽팽히 당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다두 미싱의 전면(前面) 측에 위치하는 가로 클램프 부재(11a, 11b)는 지지 부재(12)에 설치되어 있고, 지지 부재(12)는 원단 틀(5)의 전면 측의 가로변부에 연결 부재(13)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13)는 그 전체 길이를 적당한 길이로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가로 클램프 부재(11a, 11b)(지지 부재(12))의 위치를 원단(N)의 전체 폭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세로 클램프 부재(10a, 10b) 및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에 의한 원단 틀(5)에 대한 원단(N)의 고정과 해방은, 원단(N)의 이송시(잇따라 투입할 때)에 자동으로 행해지거나, 도시하지 않은 조작 패널을 이용한 유저 지시 등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에는, 세로 클램프 부재(10a, 10b),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를 구동하는 모든 액추에이터가 구동되고, 상기한 모든 클램프 부재에 있어서 원단(N)의 고정 및 해방이 동시에 행해진다.
본 고안에 관한 다두 미싱에 있어서는 상기한 동작을 행하는 한편, 상기 동작과는 다른 동작으로 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복수의 그룹마다에 있어서 소정의 클램프 부재만을 구동하여 원단(N)의 고정과 해방을 원단(N) 각각의 개소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 우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a)에 의한 원단(N) 우변만의 고정과 해방.
(2) 좌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b)에 의한 원단(N) 좌변만의 고정과 해방.
(3) 우측의 가로 클램프 부재(11a, 11c)에 의한 원단(N) 우측 부분에 있어서의 전후변의 고정과 해방, 또한 대향하는 가로 클램프 부재 11a와 11c의 간격 조 정.
(4) 좌측의 가로 클램프 부재(11b, 11d)에 의한 원단(N) 좌측 부분에 있어서의 전후변의 고정과 해방, 또한 대향하는 가로 클램프 부재 11b와 11d의 간격 조정.
이하, 이것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미싱 프레임(1)에는, 상기한 각 그룹마다에 있어서 소정의 클램프 부재의 구동에 의한 원단(N)의 고정 및 해방을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를 복수 구비한 스위치 박스(14)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박스(14)는, 작업자의 손이 용이하게 닿도록 파이프 부재(15)를 통하여 미싱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스위치 박스(14)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박스(14)에는 4개의 토글(toggle)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단(上段)에 배치된 좌우선택 스위치(16a)는 좌우의 그룹을 전환하기 위한 좌우그룹 선택용 스위치이고, 좌우선택 스위치(16a)를 오른쪽으로 넘어뜨리면 우측의 그룹, 왼쪽으로 넘어뜨리면 좌측의 그룹이 선택된다. 좌우선택 스위치의 하단에 배치된 3개의 스위치(16b, 16c, 16d)는, 각각 할당된 각 클램프 부재의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ON/OFF 스위치이다. 즉, 오른쪽의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b)는 세로 클램프(10a, 10b)의 액추에이터(클램프용 액추에이터)를, 중앙의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c)는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의 제 2 액추에이터(텐션용 액추에이터)를, 왼쪽의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d)는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의 제 1 액추에이터(클램프용 액추에이터)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이며, 다음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선택 스위치(16a)의 선택 상태에 의해 제어 대상으로 하는 액추에이터를 다르게 하여 구동하기 위한 온오프 지시를 한다.
좌우선택 스위치(16a)에서 우측의 그룹이 선택되고 있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b)의 조작에 따라 우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a)의 액추에이터(클램프용 액추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고,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c)의 조작에 따라 우측의 가로 클램프 부재 11a 및 11c의 제 2 액추에이터(텐션용 액추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d)의 조작에 따라 우측의 가로 클램프 부재 11a 및 11c의 제 1 액추에이터(클램프용 액추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좌우선택 스위치(16a)에서 좌측의 그룹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b)의 조작에 따라 좌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b)의 액추에이터(클램프용 액추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고,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c)의 조작에 따라 좌측의 가로 클램프 부재 11b 및 11d의 제 2 액추에이터(텐션용 액추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d)의 조작에 따라 좌측의 가로 클램프 부재 11b 및 11d의 제 1 액추에이터(클램프용 액추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b) 및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d)에 대하여서는, 스위치를 예를 들면 오른쪽으로 넘어뜨려 오프 상태로 하면 해당하는 클램프 부재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원단(N)의 고정을 해방하고, 스위치를 왼쪽으로 넘어뜨려서 온 상태로 하면 해당하는 클램프 부재에서 원단(N)을 고정하는 동작을 행한다. 중앙의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c)에 대하여서는, 스위치를 오른쪽으로 넘어뜨리면 해당하는 가로 클램프 부재를 이동하여 대향하는 가로 클램프 부재와의 간 격을 좁히고, 스위치를 왼쪽으로 넘어뜨리면 선택된 클램프 부재를 이동하여 대향하는 가로 클램프 부재와의 간격을 넓히는 동작을 행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의 다두 미싱에 있어서의 원단 틀(5)로의 원단(N)의 고정 동작에 대하여, 원단(N)으로의 봉제 시에 행하는 순서에 따라 간단하게 설명한다. 원단(N)은, 이 다두 미싱의 오른쪽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공급 스탠드의 원단 롤로부터 공급되어, 테이블(2) 위를 통과하고, 반대 측의 이 다두 미싱 왼쪽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회수 스탠드에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이 원단(N)을 세트할 때는 원단 틀(5)을 다두 미싱 전면 측(도에 있어서 하부측)으로 이동시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스탠드로부터 회수 스탠드로 곧장 유도되는 원단(N)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둔다. 그리고, 공급 스탠드로부터 잇따라 투입된 원단(N)을 각 클램프 부재에 의한 고정이 가능하게 되도록 원단 틀(5) 위를 통과한 후에, 회수 스탠드에 유도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소정의 조작 패널(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면, 세로 클램프 부재(10a, 10b),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의 각 액추에이터가 구동되어 원단 틀(5)에 대하여 원단(N)을 고정한다. 여기서 실행하는 원단(N)의 고정은, 처음에 세로 클램프 부재(10a, 10b)의 액추에이터(클램프용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원단(N)의 양 세로변을 파지하고, 다음으로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의 제 1 액추에이터(클램프용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원단(N)의 양 가로변을 파지하고, 그 후에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의 제 2 액추에이터(텐션용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고, 원단 틀(5)에 대하여 원단(N)이 팽팽히 당겨진 상태로 고정된다.
원단 틀(5)에 대하여 원단(N)을 고정하면, 작업자는 조작 패널 위 등에 배치되어 있는 「봉제 스타트 스위치」를 눌러 해당 다두 미싱을 기동한다. 미싱이 기동하면, 원단 틀(5)을 전후좌우로 구동하고, 그 원단 틀(5)에 고정된 원단(N)으로의 봉제를 행한다. 원단 틀(5)에 고정된 원단(N)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원단 틀(5)이 도 3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려져서, 세로 클램프 부재(10a, 10b) 및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의 액추에이터가 구동되어 원단 틀(5)에 대한 원단(N)의 고정이 해방된다. 이 원단(N)의 고정을 해방할 때에는, 각 클램프 부재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순서가 상술한 원단(N)의 고정 시에 행해지는 순서와는 반대의 순서로 된다. 원단(N)의 고정이 해방되면 원단(N)의 봉제가 실시된 부분(즉, 미싱 헤드(3)가 한번에 긴 원단(N)에 대하여 자수 등의 봉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 회수 스탠드에 회수됨과 동시에, 다음에 봉제를 행하는 부분의 원단(N)이 공급 스탠드의 원단 롤로부터 원단 틀(5) 위로 보내진다. 이 회수 스탠드에는 원단(N)을 회수하기 위한 구동원을 가지고 있고, 원단(N)의 이송시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원을 구동시켜 원단(N)을 회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원단(N)이 회수 스탠드에 회수되는 것에 의해 다음에 봉제를 행하는 부분의 원단(N)이 원단 틀(5) 위로 보내졌을 때에 회수 스탠드로의 회수를 정지시키고, 세로 클램프 부재(10a, 10b) 및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로서 다음에 봉제를 행하는 부분을 원단 틀(5)에 고정하여, 미싱을 재기동시켜서 봉제를 행한다. 이와 같이, 다두 미싱에서는 원단 틀(5)에 대한 원단(N)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면서 순차적으로 봉제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긴 원단에 대하여 복수의 자수 등을 동시에 또한 연속적으로 봉제한다.
상술한 「봉제 스타트 스위치」를 누른 이후의 동작은,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동작이다. 즉, 원단 틀(5)에 대한 원단(N)의 고정 및 해방은 최초의 고정에 대해서만 작업자에 의한 조작 패널의 조작에 따라 행해지는 것이고, 그 후에 대하여서는 원단(N)의 이송에 따라 원단(N)의 고정 및 해방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원단(N)의 이송에 따라 원단(N)의 고정 및 해방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원단 틀(5)에 대하여 제대로 전장한 상태로 원단(N)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일이 발생하면, 원단(N) 위에 깨끗하게 봉제를 행할 수가 없어서 상태가 나쁘다. 그 때문에, 원단 틀(5)에 대하여 원단(N)이 적정히 전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는 조작 패널 위 등에 배치되어 있는 「정지 스위치」를 눌러서 해당 다두 미싱을 정지시키고, 그때의 원단(N)의 고정 상태에 따라 원단(N)의 고정을 다시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다음에 원단 틀(5)에 대하여 제대로 전장한 상태로 원단(N)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때에 작업자가 행해야 할 작업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2개의 구체적인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원단 틀(5)에 대하여 원단(N)이 적정히 전장되어 있지 않은 제 1의 구체적인 예로서, 예를 들면 원단 틀(5)에 고정된 원단(N)의 좌측 부분에 주름이 발생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스위치 박스(14)의 각 스위치(16a ~ 16d)를 조작하여 좌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b) 및 가로 클램프 부재(11b, 11d)의 원단(N)의 고정을 해방하고, 그 해방한 부분만을 재고정한다. 즉, 우선 좌우선택 스위치(16a)를 왼쪽으로 넘어뜨려 좌측의 그룹을 선택한 후에,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b, 16c, 16d)를 오른쪽으로 넘어뜨려서 원단(N)의 고정을 해 방한다. 이렇게 하면, 원단 틀(5)에 대한 원단(N)의 우측 부분은 고정된 채이고, 해방된 원단(N)의 좌측 부분을 작업자가 인장하기 쉽고, 원단(N)을 끌어당기면서 스위치 박스(14)의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b ~ 16d)를 왼쪽으로 넘어뜨림으로써 원단(N)의 좌측 부분을 다시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좌측 부분에 발생했었던 주름이 없는 팽팽히 당겨진 상태로 원단(N)은 고정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적정히 전장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고정만을 해방하여 다른 부분의 고정은 그대로의 상태로 해 둠으로써, 해방한 부분의 원단(N)만을 인장하여 적정히 전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작업자는 해방한 부분의 원단(N)만을 인장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원단(N)의 고정의 재실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추에이터 구동 스위치(16c)에 대하여서는 조작하지 않아도 좋다. 즉, 좌우 방향에 대한 간격을 넓히기 위한 조작은 실시하지 않아도 좋다.
원단 틀(5)에 대하여 원단(N)이 적정히 전장되어 있지 않은 제 2의 구체적인 예로서, 예를 들면 원단 틀(5)에 고정된 원단(N)의 전장이 전체적으로 느슨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스위치 박스(14)의 각 스위치(16a ~ 16d)를 조작하여 좌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b), 모든 가로 클램프 부재(11a ~ 11d)의 원단(N)의 고정을 해방한다. 이것에 의해, 원단(N)은 우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a)로만 고정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회수 스탠드 측으로부터 원단(N)을 인장하고, 원단(N)을 끌어당긴 상태로 한 채로, 스위치 박스(14)의 각 스위치(16a ~ 16d)를 조작하여 원단(N)을 다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원단(N)이 전체적으로 팽팽히 전장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원단(N)의 고정이 전체적으로 적정 히 전장되어 있지 않을 때에서도, 원단 틀(5)의 한변의 클램프 부재의 고정을 그대로 함으로써, 고정된 부분의 반대 측으로부터 원단(N)을 강하게 인장하여 적정히 전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으로, 작업자는 원단(N)의 고정의 재실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관한 다두 미싱에 있어서는 각 클램프 부재의 원단(N)의 고정 및 해방을 그룹마다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원단(N)의 고정의 재실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원단(N)으로의 봉제를 자동으로 잇따라 투입하도록 한 경우, 원단(N)이 적정히 전장되어 있는지의 확인이 어렵거나, 미싱을 정지시키는 것이 늦어지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원단(N)을 보내어 다음에 봉제를 행할 부분의 원단(N)을 고정했을 때에 해당 다두 미싱을 자동적으로 일단 정지시키고, 작업자가 스타트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이 다두 미싱을 재기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는 원단(N)이 제대로 전장한 상태로 고정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여유를 가지고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리하다.
또한, 조작 패널에 설치된 스위치 또는 그 외의 조작자 등의 조작에 의해도 각 클램프 부재의 고정 및 해방을 그룹마다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스위치 박스(14)는 불필요하게 하여도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원단 틀(5)에 대한 원단(N)의 이송 방향을, 복수의 미싱 헤드(3)가 늘어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미싱의 정면에서 보아 전후 방향)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수 스탠드에 원단(N)을 회수하기 위한 구동원을 가지고, 원단(N)의 이송시에 연동하여 구동시켜 원단(N)을 회수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수 스탠드에 회수함과 동시에 원단(N)을 보내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단 틀(5)에 고정된 원단(N)으로의 봉제가 종료하여 원단 틀(5)이 도 3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려져서, 원단(N)의 고정을 해방하면 해당 다두 미싱을 정지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원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성하고,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을 상기 그룹마다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적정히 전장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원단의 고정만을 해방하는 한편, 그 외의 부분의 원단의 고정에 대하여서는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해방한 부분의 원단을 인장 원단을 적정하게 원단 틀에 대하여 전장시킨 상태로 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해방한 부분에 대하여 고정 부재에 의한 원단의 고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자는 해방한 부분의 원단만을 인장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원단을 적정히 전장한 상태로 고정하여 봉제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복수의 미싱 헤드를 구비한 다두(多頭) 미싱의 미싱 테이블 위에서 구동 제어되는 원단 틀에 대하여, 긴 원단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고정하고, 상기 원단 틀에 고정된 원단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이 원단 틀에 고정해야 할 원단 부분의 위치를 변경하여 봉제를 반복하도록 구성된 다두 미싱으로서,
    상기 원단 틀에 대하여 원단을 해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복수의 그룹으로 구성하고, 원단 틀에 대한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을 상기 그룹마다 부분적으로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 미싱.
  2. 복수의 미싱 헤드를 구비한 다두 미싱의 미싱 테이블 위에서 구동 제어되는 직사각형의 원단 틀에 대하여, 긴 원단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고정하고, 상기 원단 틀에 고정된 원단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원단을 상기 미싱 헤드가 늘어선 방향으로 보내고, 상기 원단 틀에 고정해야 할 원단 부분의 위치를 변경하여 봉제를 반복하도록 구성된 다두 미싱으로서,
    원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상기 직사각형의 원단 틀의 각 변에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원단 틀의 가로변에 배치한 고정 부재와, 세로 오른쪽 변에 배치한 고정 부재와, 세로 왼쪽 변에 배치한 고정 부재가 각각 개별적으로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 미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틀에 대하여 상기 각 고정 부재를 고정 위치 또는 해방 위치에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각 고정 부재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수단 및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각 고정 부재의 개별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원단 틀에 대한 원단의 고정 및 해방을 각각 부분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두 미싱.
KR2020060013184U 2003-12-26 2006-05-17 다두 미싱 KR200423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184U KR200423426Y1 (ko) 2003-12-26 2006-05-17 다두 미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34724 2003-12-26
KR2020060013184U KR200423426Y1 (ko) 2003-12-26 2006-05-17 다두 미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579A Division KR100804144B1 (ko) 2003-12-26 2004-12-24 다두 미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426Y1 true KR200423426Y1 (ko) 2006-08-07

Family

ID=4177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184U KR200423426Y1 (ko) 2003-12-26 2006-05-17 다두 미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4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5046A2 (en) Embroidery fabric clamping unit for use with embroidery machine and embroidery machine comprising same
US20110290166A1 (en) Embroidering machine
KR100818177B1 (ko) 자수기 및 천 펼침 방법
US11015274B2 (en) Quilting machine
KR20110070820A (ko) 다중-헤드, 다중-바늘 자수기, 이를 위한 다중-바늘 헤드, 쓰레드 절단 부재 및 쓰레드 절단기
KR100804144B1 (ko) 다두 미싱
US20210363678A1 (en) Quilted Panel
KR200423426Y1 (ko) 다두 미싱
EP1760178A1 (en) Sewing machine
JP4785525B2 (ja) 刺繍機の布張り方法及び装置
WO1999058751A1 (en) Vertical stitching machine and method
EP1362945B1 (en) Mattress label sewing clamp
JPH10137476A (ja) カーテンヒダ縫製装置
JP2008104786A (ja) 多針式キルティングマシンにおける針駆動装置
US6880471B2 (en) Multi-head sewing machines having devices for feeding long workpieces
US11015275B2 (en) Method of quilting layered input web
JPH1043450A (ja) ミシン
JP3362363B2 (ja) ミシン
JP4739869B2 (ja) ミシン
JPH1053951A (ja) 布張枠より大きい柄の刺繍加工方法
JP2001200465A (ja) タフトミシン
JP2023120480A (ja) 縫製装置及び縫製方法
JP3676417B2 (ja) 多針刺繍機の上糸はらい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JP2011099170A (ja) 繊維強化複合材料用プリフォームの縫合装置及び縫合方法
CN113914019A (zh) 自动缝纫机及其自动供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